KR200202202Y1 - 이동전화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전화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02Y1
KR200202202Y1 KR2020000014813U KR20000014813U KR200202202Y1 KR 200202202 Y1 KR200202202 Y1 KR 200202202Y1 KR 2020000014813 U KR2020000014813 U KR 2020000014813U KR 20000014813 U KR20000014813 U KR 20000014813U KR 200202202 Y1 KR200202202 Y1 KR 200202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terminal
fastening
protection window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팔
정광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4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화면보호창 또는 단말기를 장식하는 데코를 용이하게 분리,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액정화면(220) 전방에 설치되는 화면보호창(230)의 일단에는 체결돌기(231)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신축 가능하게 절곡됨과 함께 체결홈(233)을 갖는 체결후크(232)가 형성되며, 단말기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 몸체(210)에는 상기 화면보호창의 체결돌기(231)가 삽입되는 걸림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화면보호창(230) 체결후크의 체결홈(233)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12)가 형성되어, 상기 화면보호창(230)이 상기 케이스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전화단말기{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단말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화면보호창과, 단말기의 외부를 장식하는 데코(deco:decoration의 약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약칭함)는 휴대 가 용이하도록 소형화하여 기지국의 전파발사거리 이내에서의 장소 및 거리에 제한받지 않고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데이터교환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이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크게 플립형과 폴더형으로 구분되는데, 플립형 단말기는 단말기의 일측면에 플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시에 상기 플립을 개방하도록 된 것이고, 폴더형 단말기는 단말기 일측과 타측을 접도록 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플립형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일반적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요부 절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플립형 단말기(100)는 케이스 몸체(110)의 전면 상부에 정보를 출력하는 액정화면(120)이 구비되고, 상기 액정화면(120) 전방에 화면보호창(130)이 장착되어 상기 액정화면(120)을 보호한다.
그리고, 케이스 몸체(110) 전면 하부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보턴(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조작보턴부를 개폐하는 플립(150)이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몸체(110)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수화부(170)와, 음성을 전달하는 송화부(160)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플립(150) 전면에는 단말기(100)를 장식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 혹은 색상의 플립데코(155)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플립형 단말기(100)는 송신 또는 수신시 상기 플립(150)을 열고 조작보턴을 조작하여 사용하게 되며, 사용한 후에는 상기 플립(150)을 닫아 단말기(100)의 사용을 완료한다.
한편, 최근에는 단말기의 대중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 뿐만아니라 다양한 형상 또는 색상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단말기의 화면보호창은 사용시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중요부분임에 불구하고, 종래 단말기의 화면보호창(130)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110) 전면에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접착테이프 혹은, 접착제등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화면보호창(130)을 케이스 몸체(110)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우며, 다른 화면보호창으로 교체한다고 해도 이전에 사용된 접착제등의 잔류물에 의해 쉽게 화면보호창이 떨어짐에 따라, 최초 출시된 화면보호창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플립형 단말기(100)의 플립(150)의 전면에는 단말기(100)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제품의 로고등이 새겨진 플립데코(155)를 구비하기도 하나, 상기 플립데코(155) 역시 접착테이프 혹은, 접착제등에 의해 접착 결합되기 때문에, 전술한 화면보호창(130)과 같이 분리하기 어려워 새로운 플립데코로 교체하기 불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플립형 단말기(100)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 색상의 화면보호창(130) 또는 플립데코(155)로 교체하기 어려워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폴더형 단말기 역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화면보호창을 케이스 몸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가 취향에 따라 상기 화면보호창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말기의 케이스 몸체을 장식하는 데코를 케이스 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데코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정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요부 절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요부 절개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정면도
도 6a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의 정면도
도 6b 는 도 5a 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데코의 정면도
도 7b 는 도 6a 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과 플립데코의 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210. 케이스 몸체 211. 걸림홈
212. 걸림돌기 230. 화면보호창
231. 체결돌기 232. 체결후크
233. 체결홈 234. 연속돌기
350. 플립 351. 플립 수용부
352. 플립 걸림홈 355. 플립데코
356. 플립데코 체결돌기 367. 착탈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액정화면 전방에 설치되는 화면보호창의 일단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신축 가능하게 절곡됨과 함께 체결홈을 갖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단말기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 몸체에는 상기 화면보호창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화면보호창 체결후크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화면보호창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8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요부 절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약칭함)는 케이스 몸체(210)와, 상기 케이스 몸체(210) 상부에 내장되는 액정화면(220)과, 상기 액정화면(220) 전방에 구비되는 화면보호창(230)과, 상기 케이스 몸체(210)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조작보턴(미도시)과, 상기 케이스 몸체 상단부에 구비되는 수화부(270) 및 하단부에 구비되는 송화부(260)와, 상기 조작보턴을 개폐하는 플립(250)으로 크게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200)의 화면보호창(220)은 체결돌기(231)와 체결후크(232)에 의해 케이스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상단 대략 중앙부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체결돌기(2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하단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후크(232)가 신축 가능하게 절곡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체결후크(232)는 케이스 몸체(210) 내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체결후크(232)의 하부가 절곡부분의 빈 공간만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후크(232)의 하부에는 체결홈(23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후크(232)의 하부 전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속돌기(234)가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 몸체(210)에는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체결돌기(231)가 삽입되는 걸림홈(211)과,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체결후크(232)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233)이 끼워지는 걸림돌기(212)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체결후크(232) 하부 전면에 형성된 연속돌기(234)를 밀어 올리면, 체결후크(232)의 절곡된 하부가 상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체결홈(233)이 상기 케이스 몸체(210)의 걸림돌기(2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화면보호창(230)의 하부가 케이스 몸체(210)로부터 자유로워짐에 따라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체결돌기(231)를 상기 케이스 몸체(210)의 걸림홈(211)으로부터 탈거하여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화면보호창(230)을 케이스 몸체(210)에 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화면보호창(230)의 분리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즉, 먼저 화면보호창(230)의 체결돌기(231)를 케이스 몸체(210)의 걸림홈(211)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후크(232)의 연속돌기(243)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체결후크(232)의 절곡부분을 수축시킨 후, 상기 체결후크(232)의 체결홈(233)을 케이스 몸체(210)의 걸림돌기(212)에 끼워 화면보호창(230)을 케이스 몸체(210)에 장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색상의 화면보호창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단말기를 장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지만, 본 고안은 폴더형 단말기의 화면보호창에 체결돌기 및 체결후크를 형성함과 함께 케이스 몸체에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폴더형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5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단말기의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 역시 체결돌기(331) 및 체결후크(332)가 형성된 화면보호창(330)이 케이스 몸체(3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단말기(2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하면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6a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의 정면도이고, 도 6b 는 도 6a 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따른 단말기의 플립(350)은 그 전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35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351)의 상하 좌우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걸림홈(352)이 형성된다.
또한, 도 7a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데코의 정면도이고, 도 7b 는 도 6a 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은 상기 플립(350)에 착탈 가능한 플립데코(355)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플립데코(355)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플립(350)의 걸림홈(352)에 삽입되는 체결돌기(356)가 형성되어,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립데코(355)가 상기 플립의 수용부(351)에 장착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립데코(355) 전면의 좌우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착탈돌기(35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플립(350)과 플립데코(355)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립데코(355)의 착탈돌기(357)에 외력을 주면 상기 플립데코(355)가 휘어지면서 상기 플립데코(355)의 체결돌기(356)가 상기 플립(350)의 걸림홈(352)에서 이탈되어 상기 플립데코(355)를 상기 플립(350)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립데코(355)의 장착시에는 상기 착탈돌기(357)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플립데코(355)를 휘게하여 상기 플립(350)에 장착 결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화면보호창(330)을 분리, 장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말기의 플립(350) 전면을 장식하는 플립데코(355)를 용이하게 착탈 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말기(300)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색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폴더형 단말기에는 조작보턴을 개폐하는 플립이 없으나, 단말기의 전면에 해당하는 케이스 몸체에 전술한 구조를 적용하여, 폴더형 단말기에 데코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말기의 액정화면 전방에 구비되는 화면보호창을 용이하게 분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색상으로 화면보호창을 교체할 수 있다.
둘째, 플립의 전면에 결합되는 플립데코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플립데코를 교체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액정화면 전방에 설치되는 화면보호창의 일단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신축 가능하게 절곡됨과 함께 체결홈을 갖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단말기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 몸체에는 상기 화면보호창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화면보호창 체결후크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화면보호창이 상기 케이스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케이스 몸체 내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후크의 하부 전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속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플립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수용부의 좌우측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립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플립데코를 구비하여, 상기 플립의 수용부에 상기 플립데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데코 전면의 좌우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착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
KR2020000014813U 2000-05-25 2000-05-25 이동전화단말기 KR200202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13U KR200202202Y1 (ko) 2000-05-25 2000-05-25 이동전화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813U KR200202202Y1 (ko) 2000-05-25 2000-05-25 이동전화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02Y1 true KR200202202Y1 (ko) 2000-11-15

Family

ID=1965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813U KR200202202Y1 (ko) 2000-05-25 2000-05-25 이동전화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48B1 (ko) * 2002-10-28 2005-05-17 이명학 핸드폰의 보조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보조 윈도우를잡아주는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48B1 (ko) * 2002-10-28 2005-05-17 이명학 핸드폰의 보조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 보조 윈도우를잡아주는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8608A1 (en) Gasket for smartwatch cover
KR1009423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커버
US5383091A (en) Grip and protective casing for cellular telephone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WO2003036922A3 (en) User exchangeable mobile phone keypad
KR100663459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 폴더의 교체형 슬라이딩 커버 장치
KR200444463Y1 (ko)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JP2006217189A (ja) 携帯型電子機器のカバー部材取付構造、カバー部材、携帯型電子機器及びカバー部材装着方法
KR20010040817A (ko) 이동 전화기의 장치
KR200202202Y1 (ko) 이동전화단말기
KR20080095971A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4027641B2 (ja) 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及びその化粧パネル
CN209375742U (zh) 一种新型的手机壳结构
KR100466167B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310426Y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70007543A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락킹 장치
KR101113484B1 (ko) 교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 보호창
JP2002058518A (ja) 携帯電話保護ケース
KR200289870Y1 (ko) 착탈식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381961Y1 (ko) 반개방형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CN208572187U (zh) 外型、颜色、物料和功能自由搭配及背部单双面设计的保护壳
KR200363061Y1 (ko) 소형 물체를 내삽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KR100464977B1 (ko) 착탈식 장식용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2717Y1 (ko) 교체가용이한수신부카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