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63Y1 -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63Y1
KR200444463Y1 KR2020090000102U KR20090000102U KR200444463Y1 KR 200444463 Y1 KR200444463 Y1 KR 200444463Y1 KR 2020090000102 U KR2020090000102 U KR 2020090000102U KR 20090000102 U KR20090000102 U KR 20090000102U KR 200444463 Y1 KR200444463 Y1 KR 200444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ront cover
cover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상
Original Assignee
(주)금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487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446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오전자 filed Critical (주)금오전자
Priority to KR2020090000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 타입의 휴대폰(50)에 결합되어 휴대폰(50)을 보호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50)의 표시화면(52)이 설치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덮개(10)와, 상기 휴대폰(50)의 배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배면덮개(20)와, 상기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부(12) 및 힌지축부(22)와, 상기 배면덮개(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서 전면덮개(10)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휴대폰(5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8, 32)과, 상기 배면덮개(20) 상단부의 이탈방지턱(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요부(34)와, 상기 전면덮개(1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되는 걸림돌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휴대폰(50) 미사용시에는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를 후크 체결하여 휴대폰(50)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휴대폰(50)의 표시화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전면덮개(10)를 열어 폴더형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배면덮개(20)의 이탈방지턱(28, 32)에 의해 휴대폰(50)이 안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휴대폰, 표시화면, 케이스, 힌지홈부, 힌지축부, 이탈방지턱, 후크 체결

Description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Case for bar type mobile phone}
본 고안은 바 타입의 휴대폰의 보호를 위한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이용한다. 휴대폰 케이스는 통상 비닐이나 가죽 재질의 소프트 케이스, 또는 플라스틱류의 하드 케이스가 사용된다. 가죽 재질의 소프트 케이스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지만 가격이 고가이며 충격에는 약하고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 하드 케이스는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휴대폰은 종래 바 타입의 휴대폰이 등장하였으나, 이후 휴대폰 제조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폰의 기능 및 구조가 점차 업그레이드되면서 접이식인 폴더 형과 슬라이드형 휴대폰이 인기를 끌게 되었으며, 최근 들어서는 터치스크린이 상용화되면서 화면 전체를 스크린으로 활용하도록 된 바 타입의 휴대폰이 다시 주목을 끌고 있다. 이들 바 타입의 휴대폰은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고가의 제품으로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케이스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 바 타입의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는 통상 터치스크린이 배치된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덮개와 배터리가 장착되고 카메라 등이 설치되는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덮개가 각각 별체로 구성되었다. 전면덮개 및 배면덮개는 각각 휴대폰의 전면과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덮개에는 휴대폰의 스크린이 오픈되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는 전면덮개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이 오픈되어 있어 스크린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은 외부의 충격에 약하므로 잦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잦은 스크래치가 발생될 경우 액정화면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된다.
종래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의 다른 문제점은 전면덮개와 배면덮개가 휴대폰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는 점이다. 전면덮개와 배면덮개는 자체 탄성에 의해 휴대폰에 결합된다. 그런데, 잦은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경우, 덮개의 탄지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덮개가 휴대폰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면덮개와 배면덮개의 일단부는 힌지 결합되도록하고 타단부는 후크 체결하도록 하여, 바 타입의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면덮개와 배면덮개를 후크 체결하여 내부의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케이스로부터 휴대폰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미사용시 전면덮개에 의해 휴대폰의 표시화면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전면덮개의 후크를 해제한 후 폴더형으로 전면덮개를 개방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한 새로운 구조의 바 타입 휴대폰형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면덮개의 외관에 장식시트를 부착하도록 하여 자칫 단조로워질 수 있는 케이스의 장식적 효과를 높이고 심미감을 부여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면덮개의 외부에 휴대폰의 전파수신을 감지하여 발광하는 LED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착신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토록 함은 물론 케이스의 장식적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면덮개의 내면에 거울을 부착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케이스를 개방하여 대형의 거울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는, 바 타입의 휴대폰(50)에 결합되어 휴대폰(50)을 보호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50)의 표시화면(52)이 설치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덮개(10)와, 상기 휴대폰(50)의 배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배면덮개(20)와, 상기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부(12) 및 힌지축부(22)와, 상기 배면덮개(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서 전면덮개(10)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휴대폰(5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8, 32)과, 상기 배면덮개(20) 상단부의 이탈방지턱(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요부(34)와, 상기 전면덮개(1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되는 걸림돌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덮개(10)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외장품안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품안착부(42)에는 휴대폰(50)의 소정 문양이 인쇄된 장식시트(44)가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덮개(10)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외장품안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품안착부(42)에는 LED(62) 및 휴대폰(50)으로 수신되는 전파를 감지하여 상기 LED(62)를 점등시키는 점등회로부(64)가 인쇄된 PCB(60)와, 상기 PCB(60)의 점등회로부(6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6)가 장착되고, 상기 PCB(60)의 상부에는 투광커버(70)가 결합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덮개(1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거울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거울안착부(14)에는 거울(16)이 부착된다.
본 고안의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따르면, 배면덮개를 휴대폰의 배면에 억지 끼움 결합하고 배면덮개의 상하단부에 각각 휴대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며, 전면덮개의 하단부는 배면덮개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부는 배면덮개의 상단에 후크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면덮개를 배면덮개에 후크 체결하여 내부의 휴대폰을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보호하고 휴대폰의 표시화면이 외부의 충격 및 스크래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전면덮개의 후크 체결을 해제한 후 폴더식으로 개방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휴대폰이 케이스에 안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덮개의 외면에 외장품안착부(42)를 구성하고 여기에 다양한 문양의 장식시트를 부착함으로써, 휴대폰을 완전히 커버하면서도 장식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덮개의 외면에 LED 및 휴대폰의 전파수신을 감지하여 LED를 점등시키는 점등회로부가 실장된 PCB를 장착하고 여기에 투광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전면덮개가 후크 체결되어 케이스 내부에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LED를 통해 휴대폰의 착신을 시각적으로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의 착신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장식적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유휴공간인 전면덮개의 내면에 거울을 부착하여 케이스 개방시 사용자가 전면덮개 내면의 거울을 이용하여 용모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바 타입의 휴대폰에 적용되는 케이스이다. 바 타입의 휴대폰은 통상 전면에 대형의 표시화면을 구비하는 것이며, 이 표시화면은 대개의 경우 터치스크린이다.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이러한 바 타입의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외장 케이스로서, 휴대폰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덮개와 배면덮개의 일단부가 상호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는 후크 체결되어, 휴대폰을 보다 안전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폴더형 휴대폰과 유사하게 전면덮개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휴대폰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크게 표시화면(52)이 설치된 휴대폰(50)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덮개(10)와, 휴대폰(50)의 배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배면덮개(20)로 구성된다. 전면덮개(10)는 휴대폰(50)의 표시화면(52)을 완전히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면덮개(20)는 휴대폰(50)의 배면에 설치된 카메라(도시 안됨) 등을 노출시키도록 소정 영역의 개구부(26)를 갖는다.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는 각각 휴대폰(50)의 측부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테두리벽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는 휴대폰(50)의 모서리부분을 커버하여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때, 특히 배면덮개(20)는 휴대폰(50)의 배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테두리벽이 휴대폰(10)의 배면부 측방에 가압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갖는다. 또한, 배면덮개(20)의 테두리벽이 휴대폰(10)의 배면부 측방에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면덮개(20)의 내면에는 휴대폰(10)의 배면부를 수용할 수 있는 휴대폰안착부(24)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덮개(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전면덮개(1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8, 32)이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턱(28, 32)은 각각 휴대폰(5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만큼 돌출되며, 휴대폰(50)이 배면덮개(20)에 억지 끼움 결합된 후 길이방향(휴대폰의 상하방향)으 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의 하단부와 배면덮개(20)의 하단부에는 각각 힌지홈부(12) 및 힌지축부(22)가 형성되며, 이 힌지홈부(12)와 힌지축부(22)가 상호 힌지 결합되어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덮개(10)의 하단부에 양 끝과 중앙에 3개의 힌지홈부(12)가 형성되고, 배면덮개(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28)의 단부에는 2개의 힌지축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덮개(20) 하단부의 두 힌지축부(22)가 각각 전면덮개(10) 하단부 중앙의 힌지홈부(12)와 끝단의 힌지홈부(12)에 힌지 결합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면덮개(10)측에 힌지홈부(12)가 형성되고, 배면덮개(20)측에 힌지축부(22)가 형성되었지만, 이는 상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배면덮개(20) 상단부의 이탈방지턱(32) 단부에는 걸림요부(34)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전면덮개(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되는 걸림돌부(18)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를 배면덮개(20)측으로 접은 후에 상기 걸림돌부(18)를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하면, 전면덮개(10)가 배면덮개(20)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전면덮개(10)의 후크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하기 위하여, 배면덮개(20)의 걸림요부(34) 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해제용 홈부(36)가 형성된다.
나아가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거울안착부(14)가 형성되며, 이 거울안착부(14)에는 거울(16)이 부착된다. 거울(16)은 반사면을 갖는 얇은 시트 형상이며,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접착수 단을 매개로 부착되거나, 거울안착부(14)의 테두리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거울(16)의 둘레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돌기와 홈의 가압고정 방식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전면덮개(10)는 배면덮개(20)측에 후크 체결되는 것으로서, 휴대폰(50)의 전면부에 밀착하여 고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면덮개(10)의 내면이 유휴공간이 될 수 있으며, 이 유휴공간을 이용하여 거울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전면덮개(10) 내면의 거울(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로 제공되며, 종래 휴대폰(50)에 액세서리 형태로 구비된 소형의 거울에 비해 더욱 많은 면적을 비출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외장품안착부(42)가 형성되며, 이 외장품안착부(42)에는 거울안착부(14)에 거울(16)이 부착된 것과 동일하게 소정 문양이 인쇄된 장식시트(44)가 부착된다. 장식시트(44)는 소재 상면에 소정 문양이 인쇄되거나 조각된 시트로서, 아크릴 또는 패브릭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시트(44)는 각기 다른 문양을 갖는 다수의 시트가 본 고안의 케이스와 세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장식시트(44)는 외장품안착부(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원하는 장식시트(44)로 교체 장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의 외면에 형성된 외장품안착부(42)에는 PCB(60)와 배터리(66)가 장착되고, 그 위에 투광커버(7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PCB(60) 상에는 복수의 LED(62)들이 SMD(Surface Mount Device) 타입으로 실장되며, 휴대폰(50)으로 수신되는 전파를 감지하여 상기 LED(62)를 점등시키는 점등회로부(64)가 인쇄된다. 점등회로부(64)는 전파 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배터리(66)의 전원을 정전압 레귤레이팅하여 LED(62)에 공급하는 정전압부 등으로 구성된다. 점등회로부(64)는 휴대폰(50)의 착신이 발생할 때 해당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감지하여, 상기 LED(62)들을 소정 시간동안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PCB(60)의 일단부에 형성된 포트에 배터리(66)의 커텍터(68)가 접속된다. 배터리(66)는 가능한 박막형으로 구성된다.
통상 LED(62)에서 발생된 광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상기 투광커버(70)를 이용하여 LED(62)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킨다. 따라서, 전면덮개(10)가 후크 체결되어 휴대폰(50)이 케이스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착신이 발생하면, 전면덮개(10)의 외부로 은은한 광이 방출된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폰(50)의 착신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의 장식적 효과를 더욱 높이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휴대폰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덮개(20)의 휴대폰안착부(24)에 휴대폰(50)을 삽입하여 배면덮개(20)에 억지 끼움 결합한다. 이때, 배면덮개(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기 이탈방지턱(28, 32)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휴대폰(50)을 배면덮개(20)의 측방으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렇게 배면덮개(20)측에 결합된 휴대폰(50)은 배면덮개(20)의 테두리벽에 의해 측방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며, 이탈방지 턱(28, 32)에 의해 상하부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만약, 휴대폰(50)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를 배면덮개(20)측으로 접은 후, 전면덮개(10)의 걸림돌부(18)를 배면덮개(20)의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하여 휴대폰(50)을 보호한다. 이때, 전면덮개(10)에 의해 휴대폰(50)의 표시화면(52)이 완전히 가려지므로, 표시화면(52)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특히, 표시화면(52)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시화면(52)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면덮개(10)를 후크 체결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 외면에 부착된 장식시트(44)에 의해,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의 발광에 의해 자칫 단조로워질 수 있는 케이스의 이미지에 장식적 효과가 부여된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폰(50)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의 후크 체결을 해제하고, 전면덮개(10)를 개방하여 휴대폰(50)을 사용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힌지홈부(12) 및 힌지축부(22)의 결합부이에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돌기 등을 부가하여, 전면덮개(10)가 과도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통상 바 타입의 휴대폰(50)은 전면부에 수화부(도시 안됨), 표시화면(52), 기능키(54), 송화부(56)가 모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일부 기능키들이 휴대폰(50)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지만, 이는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 사이로 노출되며, 배면부에 형성된 카메라 등은 배면덮개(20)의 개구부(26)를 통해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덮개(10)를 개방하면 휴대폰(50)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전면덮개(10)의 내면에 구비된 거울(16)은 사용자가 용모 등을 관리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휴대폰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덮개 12 : 힌지홈부
14 : 거울안착부 16 : 거울
18 : 걸림돌부 20 : 배면덮개
22 : 힌지축부 24 : 휴대폰안착부
26 : 개구부 28 : 이탈방지턱
32 : 이탈방지턱 34 : 걸림요부
36 : 결합해제용 홈부 42 : 외장품안착부
44 : 장식시트 50 : 휴대폰
52 : 표시화면 54 : 기능키
56 : 송화부 60 : PCB
62 : LED 64 : 점등회로부
66 : 배터리 68 : 커넥터
70 : 투광커버

Claims (4)

  1. 바 타입의 휴대폰(50)에 결합되어 휴대폰(50)을 보호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50)의 표시화면(52)이 설치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덮개(10)와, 상기 휴대폰(50)의 배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배면덮개(20)와, 상기 전면덮개(10)와 배면덮개(20) 각각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부(12) 및 힌지축부(22)와, 상기 배면덮개(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서 전면덮개(10)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휴대폰(5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8, 32)과, 상기 배면덮개(20) 상단부의 이탈방지턱(3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요부(34)와, 상기 전면덮개(1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요부(34)에 후크 체결되는 걸림돌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10)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외장품안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품안착부(42)에는 소정 문양이 인쇄된 장식시트(44)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10)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외장품안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품안착부(42)에는 LED(62) 및 휴대폰(50)으로 수신되는 전파를 감지하여 상기 LED(62)를 점등시키는 점등회로부(64)가 인쇄된 PCB(60)와, 상기 PCB(60)의 점등회로부(6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6)가 장착되고, 상기 PCB(60)의 상부에는 투광커버(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1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거울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거울안착부(14)에는 거울(16)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20090000102U 2009-01-06 2009-01-06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44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102U KR200444463Y1 (ko) 2009-01-06 2009-01-06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102U KR200444463Y1 (ko) 2009-01-06 2009-01-06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463Y1 true KR200444463Y1 (ko) 2009-05-14

Family

ID=4134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102U KR200444463Y1 (ko) 2009-01-06 2009-01-06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6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05Y1 (ko) * 2012-05-25 2013-07-2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17624B1 (ko) * 2012-01-05 2013-10-10 주식회사 다스텍 발광부재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 케이스
KR200470012Y1 (ko) * 2012-02-09 2013-11-25 최윤선 거울과 카드 수납부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WO2014133299A1 (ko) * 2013-02-28 2014-09-04 Kim Soong Jae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469651B1 (ko) * 2013-03-22 2014-12-09 김성철 휴대폰 케이스의 구조
KR101469652B1 (ko) * 2013-03-22 2014-12-09 김성철 엘이디 장식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24B1 (ko) * 2012-01-05 2013-10-10 주식회사 다스텍 발광부재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 케이스
KR200470012Y1 (ko) * 2012-02-09 2013-11-25 최윤선 거울과 카드 수납부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68105Y1 (ko) * 2012-05-25 2013-07-2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14133299A1 (ko) * 2013-02-28 2014-09-04 Kim Soong Jae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469651B1 (ko) * 2013-03-22 2014-12-09 김성철 휴대폰 케이스의 구조
KR101469652B1 (ko) * 2013-03-22 2014-12-09 김성철 엘이디 장식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463Y1 (ko)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WO2011152584A1 (ko) 태블릿pc용 케이스
US20140262847A1 (en) Case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40080553A1 (en) Cover for portable devices adapted to attach modules thereto
CN217935681U (zh) 一种折叠手机壳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10027951A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101733435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CN210518425U (zh) 可折叠的电子设备
KR101058499B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50328Y1 (ko) 노트북 보호케이스
JP2008052124A (ja) 保護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KR200478820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687269B1 (ko) 휴대폰 커버구조체
KR20080095971A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90117466A (ko) 개인용 휴대 통신기기 보호커버
JPH07288567A (ja) 携帯無線電話機
CN212696049U (zh) 一种多功能全包式手机保护套
KR200406188Y1 (ko) 무선 단말기 케이스
JP2010226203A (ja) 携帯機器の装飾取付具
KR20110121776A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스킨
JP2923257B2 (ja) 携帯電話の保護カバー
JP2002058518A (ja) 携帯電話保護ケース
CN213067934U (zh) 一种翻盖式照度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605

Effective date: 200907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605

Effective date: 200911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