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05Y1 - 휴대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05Y1
KR200468105Y1 KR2020120004441U KR20120004441U KR200468105Y1 KR 200468105 Y1 KR200468105 Y1 KR 200468105Y1 KR 2020120004441 U KR2020120004441 U KR 2020120004441U KR 20120004441 U KR20120004441 U KR 20120004441U KR 200468105 Y1 KR200468105 Y1 KR 200468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blade piece
terminal case
core material
low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겉감 사이에 들어가는 심재에 소켓부가 형성되어 힌지브래킷의 날개를 외부에서 삽입하여 끼울 수 있되, 힌지브래킷의 날개의 측면부는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어 빠지지 않도록 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후면커버; 및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 및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을 힌지결합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되, 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제1날개편이 삽입결합되고,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제2날개편이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이 고안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겉감 사이에 들어가는 심재에 소켓부가 형성되어 힌지브래킷의 날개를 외부에서 삽입하여 끼울 수 있되, 힌지브래킷의 날개의 측면부는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어 빠지지 않도록 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화의 물결에 따라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이 급격히 진행되어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2010년 7월 기준으로 전국민 이동통신기기 보급률은 1인당 1대를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이 보다 자유로운 스마트폰이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대표로서 각광을 받고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면부가 넓게 스크린으로 형성된 개인용 휴대단말기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도 다종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스마트폰 케이스는 크게 폴더형과 다이어리형으로 구분되는데 폴더형은 길이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말하고 다이어리형은 폭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폴더형과 다이어리형을 포괄하여 케이스부재가 단일한 형태로 구성된 것과 분리형으로 나뉘어 구성된 것이 있다. 분리형으로 나뉘어 구성된 것은 분리된 케이스부재를 결합하는 수단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고안이나 발명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형 케이스부재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에 적용되며,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겉감 사이에 들어가는 심재에 소켓부가 형성되어 힌지브래킷의 날개를 외부에서 삽입하여 끼울 수 있되, 힌지브래킷의 날개의 측면부는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어 빠지지 않도록 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후면커버; 및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 및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을 힌지결합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되, 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제1날개편이 삽입결합되고,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제2날개편이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는 상부원단층과 심재 사이 및 심재와 하부원단층 사이에 각각 PET 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날개편 및 상기 제2날개편은 측면에 언더컷이 형성되어 힌지브래킷이 각 커버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과 하부원단층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소켓부에 상기 제1날개편 및 제2날개편이 결합될 때 제1날개편 및 제2날개편이 상부원단층 및 하부원단층에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과 하부원단층의 내측면 및 PET 판재의 내외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PET판재가 상부원단층과 하부원단층에 면접착되어 결합되고, 소켓부에 제1날개편 및 제2날개편이 결합될 때 PET 판재에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안전하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각 커버에 소켓부가 형성되어 힌지브래킷의 날개편을 외부에서 삽입하여 끼울 수 있으므로 생산이 쉬워진다.
힌지브래킷의 날개편의 측면부는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어 쉽사리 케이스에서 빠져 분리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강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상부원단층(31), 심재(32), 하부원단층(33)이 차례로 적층되고 심재(32)에는 일측에 절취홈(32a)이 형성되는 전면커버(30);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후면커버(40); 및 제1날개편(11)과 제2날개편(13) 및 제1날개편(11)과 제2날개편(13)을 힌지결합하는 힌지부(13,14)로 구성되는 힌지브래킷(10)을 포함하되, 전면커버(30)의 상부원단층(31), 심재(32)의 절취홈(32a), 하부원단층(33)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39)에 제1날개편(11)이 삽입결합되고,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제2날개편(13)이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힌지브래킷(10)은 제1날개편(11)과 제2날개편(13) 및 제1날개편(11)과 제2날개편(13)을 힌지결합하는 힌지부(12,22)로 구성된다. 힌지부(12,22)는 회전이 가능도록 형성되며 공지의 기술요소로 적용될 수 있다. 힌지부(12,22)의 일측(12)은 연장면이 형성되어 이에 연결되는 제1날개편(11)은 제2날개편(13)과 서로 평행하게 접혔을 때 일정거리로 이격된다. 이 이격거리는 휴대단말기를 덮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이격거리와 같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전면커버(30)의 상부원단층(31), 심재(32), 하부원단층(33)이 차례로 적층되고 면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원단층(31)과 하부원단층(33)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부원단층(31), 심재(32), 하부원단층(33)이 면결합시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전면커버(30)의 상부원단층(31), 심재(32), 하부원단층(33)이 면결합시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재(32)의 절취홈(32a)이 있는 측면에 절취홈(32a), 상부원단층(31), 하부원단층(33)이 만나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소켓부(39)가 형성된다.
이 소켓부(39)에 힌지브래킷(10)의 제1날개편(11)을 억지끼움으로 삽입결합할 수 있다. 심재(32)의 절취홈(32a)의 형상은 제1날개편(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날개편(11)의 측면부(11a)는 언더컷으로 형성되고, 심재(32)의 절취홈(32a)의 측면부의 형상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일단 제1날개편(11)이 소켓부(39)에 삽입되면 빠져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손상을 입지 않고 오랜 내구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한다.
후면커버(40) 및 제2날개편(13)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30)에는 상부원단층(31)과 심재(32) 사이 및 심재(32)와 하부원단층(33) 사이에 각각 PET 판재(34,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커버(30)의 상부원단층(31)과 하부원단층(33)의 내측면 및 상기 PET 판재(34,35)의 내외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PET판재(34,35)가 상부원단층(31)과 하부원단층(35)에 면접착되어 결합되고, 소켓부(39)에 제1날개편(11) 이 결합될 때 PET 판재(34,35)에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커버(40) 및 제2날개편(13)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이어리형에 적용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폴더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사용이 가능하다. 커버에 형성된 소켓부에 힌지브래킷의 날개편을 외부에서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이 편하고, 날개편의 측면에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가 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좋아진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힌지브래킷 11 제1날개편
13 제2날개편 30 전면커버
40 후면커버

Claims (5)

  1.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전면커버;
    상부원단층, 심재, 하부원단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심재에는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후면커버; 및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 및 상기 제1날개편과 제2날개편을 힌지결합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상기 제1날개편이 삽입결합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 심재의 절취홈, 하부원단층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부에 상기 제2날개편이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는 상부원단층과 심재 사이 및 심재와 하부원단층 사이에 각각 PET 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편 및 상기 제2날개편은 측면에 언더컷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브래킷이 상기 각 커버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과 하부원단층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에 상기 제1날개편 및 제2날개편이 결합될 때 상기 제1날개편 및 제2날개편이 상기 상부원단층 및 하부원단층에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상부원단층과 하부원단층의 내측면 및 상기 PET 판재의 내외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상기 PET판재가 상기 상부원단층과 하부원단층에 면접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소켓부에 상기 제1날개편 및 제2날개편이 결합될 때 상기 PET 판재에 접착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20120004441U 2012-05-25 2012-05-25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68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41U KR200468105Y1 (ko) 2012-05-25 2012-05-25 휴대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41U KR200468105Y1 (ko) 2012-05-25 2012-05-25 휴대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05Y1 true KR200468105Y1 (ko) 2013-07-23

Family

ID=5139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41U KR200468105Y1 (ko) 2012-05-25 2012-05-25 휴대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0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63Y1 (ko) * 2009-01-06 2009-05-14 (주)금오전자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110007366U (ko) * 2010-01-18 2011-07-26 윤 호 김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63Y1 (ko) * 2009-01-06 2009-05-14 (주)금오전자 바 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110007366U (ko) * 2010-01-18 2011-07-26 윤 호 김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1489S1 (en) User interface display module for a multifunction printing machine
US9351415B2 (en) Easy fold combination sun shade and cas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D749554S1 (en) Cover for mobile phone
WO2019052332A1 (zh) 显示屏组件及移动终端
US9332329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6385473B (zh) 壳体、指纹模组和移动终端
WO2014106370A1 (zh) 手持式电子产品
KR20120003702U (ko) 휴대폰 보호대
KR101252648B1 (ko) 휴대폰 케이스
US10305167B2 (en) Antenna circuit,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osing antenna circuit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US96107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8105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CN206353802U (zh) 壳体、指纹模组和移动终端
CN207897021U (zh) 手机保护壳
US988809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207968760U (zh) 扬声器箱
KR200457476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4038Y1 (ko)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JP5905796B2 (ja) 携帯端末
CN203352633U (zh) 一种多功能手机外壳
JP3185351U (ja) 携帯端末用保護ケース
KR200469139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CN206712883U (zh) 一种背板可换式的手机壳
CN204015429U (zh) 一种新型手机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