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817A - 이동 전화기의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기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817A
KR20010040817A KR1020007008711A KR20007008711A KR20010040817A KR 20010040817 A KR20010040817 A KR 20010040817A KR 1020007008711 A KR1020007008711 A KR 1020007008711A KR 20007008711 A KR20007008711 A KR 20007008711A KR 20010040817 A KR20010040817 A KR 20010040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keypad
main parts
adhesive
associate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스태프슨퍼
Original Assignee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2001004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8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동 전화 장치용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피벗가능 해치 또는 플립(F)과 관련된 장치. 상기 플립(F)은, 특히 부주의한 키패드 명령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장치(1) 상의 키패드(5) 부분을 물리적으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플립(F)은 그 뒤쪽, 즉 닫힌 상태에서 키패드(5)에 가장 근접한 쪽에 페인팅, 접착성 혹은 비-접착성 라벨, 또는 카드와 같이 개인 주문제작의 보호 부착이나 설치를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플립(F)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도 주문제작은, 상기 플립(F)이 적어도 일부 투명하므로 플립(F)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전화기의 장치{ARRANGEMENT AT A MOBILE TELEPHONE}
키패드 위를 덮기 위한 상기와 같은 플립이나 해치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 전화기는 수년 간 소정의 제조업자에 의해 이용되어 왔다. 상기 플립을 구비하는 주 목적, 즉 상기 키패드가 부주의하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고자하는 목적은 다른 제조업자에 의해서는 키패드 로크(lock)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다루어져왔는데, 상기 로크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부호를 입력함으로써 개시된다.
유럽 특허 제 A2-492 747 호에 따른 바와 같은 어떤 일부 응용에 있어서, 상기 플립은 또한, 전화기를 테이블과 같은 곳에 세워진 상태로 둠으로써 더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탠드(stand)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플립의 또 다른 응용은, 상기 전화기 상의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이 포켓과 같은 곳에 소지될 때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제 A-5 030 166호에 따르면, 플립은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윈도우(window)를 가져 상기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이동 전화기 상의 플립은 주로 키패드 보호를 위한 구조로 되어 왔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플립은 좀 더 최신 유행의 주문제작된 버전(fashionable customized versions)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주문제작된 버전이 성공한 주된 이유는 아마도, 자신의 이동 전화기가 외관상 동일한 종류의 다른 이동 전화기와 함께 회의 테이블과 같은 곳에 놓여있을 때 상기 주문제작된 버전이 알아보기에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주문제작을 산업상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문제작된 버전 종류마다 생산되어야 하는 물품(article)의 수가 많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인식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주문제작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상이한 종류의 스티커가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처음에 부착되는 곳에 붙이기 위해서는 표면이 완전히 깨끗해야 한다는 점에서 스티커는 지저분하다. 올바르게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스티커의 외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되기 때문에 덜 눈길을 끌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장기적으로 볼때 그다지 적합한 해결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은 주로 이동 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전화용의 피벗가능한 보호용 해치(pivotable protective hatch) 또는 플립(flip)과 관련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립은, 특히 부주의한 키패드 명령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키패드(keypad) 부분을 물리적으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키패드를 보호하기 위해 플립을 구비한 이동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내지 5는 각기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플립을 통해 도1의 라인(line)(X-X)을 따라 약간 확대하여 간단히 나타낸 횡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개인 또는 다른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뿐 아니라 개선된 주문제작 수단을 구비한 이동 전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전화기 자체 또는 상기 전화기가 접속되는 망(net) 내에서 이용가능한 기능으로부터 최대 성능을 얻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이동 전화 장치의 플립은 그 뒤쪽, 즉 플립이 닫힌 상태(closed state)에서 키패드에 가장 근접하게 놓이는 쪽에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는 페인팅(painting), 접착성(sticky)이나 비-접착성 라벨(label), 또는 카드와 같이 개인 주문제작의 보호 부착(attachment) 또는 설치(arrangement)를 허용한다. 상기와 같은 주문제작은, 플립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도 플립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전화기가 자주 사용될 때, 특히 페인팅이나 접착성 라벨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때 자체적으로 주문제작의 내구성(dura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플립은 두 가지 중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한 부분은 플립이 닫혀있을 때 전화기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부분이고, 다른 한 부분은 플립을 열어 키패드 방향으로 본 다음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최소한 상기 플립이 처음 이용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되며 착탈가능(detachable)하다.
오늘날의 이동 전화 서비스 이용자는 전화 가입 영역내에서 유용한 모든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가능성을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특히 잘 알려져있는 신호(* 및 #)를 이용하여 상이한 종류의 부호 조합을 기억해야 한다. 오늘날 사람들이 사회의 각기 다른 서비스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 밖의 상기와 같은 부호 다수를 기억해야 한다는 것을 염두해두면, 본 발명은, 플립 뒤쪽에 사람들의 스트레스 레벨을 낮출 수 있는 개인 정보를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신뢰성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장점에 대한 세부사항이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좀 더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에 있어서, 통상적인 "플립형" 이동 전화 장치(1)가 하우징(housing)(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의 정면(2')에는 수화구(earpiece) (3), 디스플레이(4), 전화걸기 위한 통상적인 버튼(6)과 온/오프(on/off), 전송(send) 및, 클리어(clear) 등과 같은 기능 버튼(7)을 가진 키패드(5), 그리고 마이크로폰(microphone)(8)이 있으며, 상기 하우징(2')의 상부측(2")에는 안테나가 있다. 특히,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류의 플립(F)을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종류의 플립(F)에 대한 실시예가 간단하긴 하지만 어쨌든 좀 더 세부적인 방식으로 나타나있다. 측면으로 훅-모양의(hook-shaped) 에지(edge)(11)를 가진 하부(lower portion)(10)는, 충분한 구조적인 견고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어 이동전화 하우징(2)에 피벗이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훅-모양의 에지(11)가 슬롯(slot)(12)을 형성하는데, 마찬가지로 상기와 상응하게 형성된 플라스틱 덮개판(cover plate)(13)이 그 안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부분(10) 및 덮개판(13)이 플립(F)의 두 가지 주요 부분을 구성한다. 상기 부분(10)과 덮개판(13) 사이에는 공간(14)이 형성되는데, 여기에 스티커 또는 카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분(10)이나 덮개판(13)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 투명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주문제작된 설계(design) 또는 단순한 정보 재료를 제공하는 쪽에 상이한 메시지나 정보 재료를 가진 상기 스티커나 카드는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에서 보일 수 있다.
도 3 및 4는, 플립(F)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투명하게 하여 사람의 눈에 편리한 방식으로 플립(F)을 주문제작할 수 있는 플립(F)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판(13)과 하부(10) 간의 상호 부착은 스냅 부착 수단(snap attatchment mean)(1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도 접착제(adhesive)나 아교(glue)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될 수 있다. 이는, 스티커나 카드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는 경우, 업자(dealer)가 전화기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난당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는 본래의 전화기 소유자가 확인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접착제나 아교를 이용함에 있어서의 또 다른 장점은, 두 가지의 착탈식 부분으로 된 플립에 비해서 플립이 더욱 큰 구조적인 견고성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도 4에는 좀 더 간단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플립의 덮개판(13)과 하부(10) 사이에 강한 접착제(adhesive agent)(A)를 필요로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스티커 또는 카드가 상기 덮개판과 하부 사이의 공간(14)에 놓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는 훨씬 더 간단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플립(F)은 단지 카드(C)를 포함하기에 적합한 하부(10)만 포함한다. 상기 카드는, 통상적인 신용 카드(credit card) 크기와 같은 표준 크기인 것이 가능하며, 수단, 예컨대 플립의 측면을 따라 생성된 슬롯(15)에 맞을 수 있다.
플립(F)은 각기 다른 설계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 목적은, 상기 이동 전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바에 따라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알아두어야 한다. 플립의 재료는, 투명한 플라스틱의 뒤쪽에 있는 페인팅이 페인팅된 모티브(motive)가 어떤 구조를 갖던지 양호한 원만한 외양을 제공하도록 페인팅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것이(PC 및 ABS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함) 가능하다.

Claims (8)

  1. 이동전화 장치(1) 용의 피벗가능한 보호용 해치 또는 플립(F)과 관련된 장치로서, 특히 부주의한 키패드 명령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립(F)이 적어도 키패드(5) 부분을 물리적으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는 플립 관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F)은 뒤쪽, 즉 닫힌 상태에서 키패드(5)에 가장 근접하게 놓이는 쪽에, 페인팅, 접착성 혹은 비-접착성 라벨, 또는 카드(C)와 같이 개인 주문제작의 보호 부착 또는 설치를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F)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플립(F)에 의해 형성되며, 두 가지 주요 부분(10, 13)을 포함하는데, 상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투명하며, 상기 부분 사이에 상기 주문제작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의 상기 주요 부분(10 또는 13) 중 한 부분은, 상기 플립의 나머지 주요 부분(13 또는 10)에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주요 부분(10, 13)은, 상기 플립(F)이 이용되는 처음에만 상호 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주요 부분(10, 13)은 상호 미끄러지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7. 제3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주요 부분(10, 13)은 일체시키는(coinciding) 스냅 부착 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8. 제3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주요 부분(10, 13)은, 접착제나 아교를 이용하여 상호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관련 장치.
KR1020007008711A 1998-02-10 1998-12-07 이동 전화기의 장치 KR20010040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0373-4 1998-02-10
SE9800373A SE9800373L (sv) 1998-02-10 1998-02-10 Anordning vid en mobiltelefon
PCT/SE1998/002228 WO1999040706A1 (en) 1998-02-10 1998-12-07 Arrangement at a mobile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817A true KR20010040817A (ko) 2001-05-15

Family

ID=204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711A KR20010040817A (ko) 1998-02-10 1998-12-07 이동 전화기의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74088B1 (ko)
EP (1) EP1055313A1 (ko)
JP (1) JP2002517919A (ko)
KR (1) KR20010040817A (ko)
CN (1) CN1285108A (ko)
AU (1) AU2192599A (ko)
BR (1) BR9815187A (ko)
EE (1) EE200000465A (ko)
SE (1) SE9800373L (ko)
WO (1) WO1999040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825B1 (en) 2000-08-23 2005-12-2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Communication unit with personalizing feature
GB2374235B (en) * 2000-12-29 2004-09-22 Nokia Mobile Phones Ltd A casing
US7711400B2 (en) 2000-12-29 2010-05-04 Vertu Limited Casing
JP2003143280A (ja) * 2001-11-02 2003-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の付属品及び携帯端末
US7010333B2 (en) * 2003-02-19 2006-03-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US20050141699A1 (en) * 2003-12-22 2005-06-30 Aeileen Cheung Modifications to telephones in combination of aesthetic and extra-functional values
US20050245299A1 (en) * 2004-04-29 2005-11-03 Med-Pat, Inc. Telephone having information window thereon
EP1766598A2 (en) * 2004-06-08 2007-03-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printable decorative labels for custom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040081A1 (en) * 2004-08-23 2006-02-23 Hodsdon Jerry 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502609B2 (en) * 2005-03-15 2009-03-10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7914869B2 (en) 2005-04-18 2011-03-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Mobile device label with negative image feature
CN1893786B (zh) * 2005-11-01 2010-05-12 摩托罗拉公司 半透明或透明盖及具有这种盖的装置
US9565279B2 (en) 2013-06-18 2017-02-07 Tracer Imaging Llc Mobile terminal case with displaceable beze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1475A (en) * 1979-01-18 1981-09-29 Motorola, Inc. Labelling device
DE3309832A1 (de) * 1983-03-18 1984-09-20 Siemens Ag Schnurloses telefon
DE3882721D1 (de) * 1987-01-23 1993-09-09 Siemens Ag Fernsprechhandapparatekoerper mit einer die bedienungseinrichtung verschliessbaren klappe.
GB2235371B (en) 1989-09-02 1993-01-06 Linden Leisure Limited Stick seat
US5113435A (en) * 1989-12-11 1992-05-12 Zeny Corporation Structure of telephone keyboard
JP2856263B2 (ja) * 1990-09-07 1999-02-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DE4037554A1 (de) 1990-11-26 1992-05-27 Roemmers Sa Arzneimittel zur topischen anwendung
DE4041988A1 (de) * 1990-12-21 1992-07-02 Mannesmann Ag Kommunikationsgeraet, insbesondere endgeraet fuer den telefonverkehr
GB2252219A (en) * 1991-01-26 1992-07-29 Telesound Telephone set with ornamental elements
JP3120479B2 (ja) 1991-07-23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無線電話装置
US5465401A (en) * 1992-12-15 1995-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information transfer
US5655018A (en) * 1994-11-29 1997-08-05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handset with an integrated volume actuator
US5664013A (en) * 1995-06-07 1997-09-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Embedded notepad system for a cellular telephone
GB2325371A (en) * 1997-05-14 1998-11-18 Radio Design Limited A mobile telephone with a cover flap for displaying user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5187A (pt) 2000-11-14
WO1999040706A1 (en) 1999-08-12
EE200000465A (et) 2002-02-15
SE9800373D0 (sv) 1998-02-10
JP2002517919A (ja) 2002-06-18
EP1055313A1 (en) 2000-11-29
CN1285108A (zh) 2001-02-21
US6374088B1 (en) 2002-04-16
SE9800373L (sv) 1999-08-11
AU2192599A (en) 199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5566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emovable escutcheon elements
JP3098455B2 (ja) 携帯電話機
KR20010040817A (ko) 이동 전화기의 장치
US7050764B2 (en) Illuminated interchangeable bezel assembly for a cellular telephone
US20020057792A1 (en) Radiotelephone
JP4057914B2 (ja) ケース
US7355590B2 (en) Keymat
US20040096054A1 (en) Casing
WO2001069804A1 (ko)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US20050130721A1 (en) Interlocking cover for mobile terminals
EP1356658A2 (en) A casing
KR100663459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 폴더의 교체형 슬라이딩 커버 장치
US7092520B2 (en) Radiotelephone
EP1352437B1 (en) A device with a loudspeaker and an ear piece cover
JP2002125022A (ja) 折畳み型携帯電話機
KR980013175A (ko) 푸시 버튼 전화기 및 그 전화기에 적응되는 제한 동작 모드용 소자
US6980825B1 (en) Communication unit with personalizing feature
JP4027641B2 (ja) 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及びその化粧パネル
US7454014B2 (en) Device with a loudspeaker and an ear piece cover
KR100310854B1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EP1364519B1 (en) Casing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O1999021343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see-through flip element
JP2002125016A (ja) 携帯電話機
JP2003032342A (ja) 外装用化粧カバーおよび携帯用情報機器
JPH10190794A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