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071B1 -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071B1
KR101471071B1 KR1020130110172A KR20130110172A KR101471071B1 KR 101471071 B1 KR101471071 B1 KR 101471071B1 KR 1020130110172 A KR1020130110172 A KR 1020130110172A KR 20130110172 A KR20130110172 A KR 20130110172A KR 101471071 B1 KR101471071 B1 KR 10147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terminal connector
fixing protrusion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섭
Original Assignee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고정돌부의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탈부착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며, 타단부에 터치펜, 볼펜, 레이저 빔(Laser beam) 등을 설치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본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규격화된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고정돌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기종, 종류 및 형상에 상관없이 호환이 가능한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holder apparatus of smart phone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터치펜 겸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일단부가 터치펜을, 타단부가 스마트폰의 케이블 커넥터에 삽입되는 고정돌부를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전 기종의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고, 전자소자 및 통신 인터페이스가 발달됨에 따라 고성능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고, 이러한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뿐만 아니라 데이터통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 PC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술, 콘텐츠 산업, 다기능의 어플리케이션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발달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해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을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시키거나 또는 고화질의 콘텐츠를 열람하거나 다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등과 같이 스마트폰의 활용시간 및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가정, 차량 및 야외 등에서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편리하고 안전하게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433호(고안의 명칭 : 초슬림형 거치장치)에 개시된 거치장치는 양면테이프 및 "U"자 형상의 슬라이딩 홈을 이용하여 통신기기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의 거치장치는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U'자 형상의 가이드 부재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번거로우며, 가이드부재를 한 곳에만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약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 10-2013-0094510호(발명의 명칭 :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에 개시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전면커버가 스마트폰의 후방으로 열려서 후면커버의 외부면을 마주볼 때 연결부가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기종 및 종류에 따른 형상에 대응하여 별도의 제조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 거치 시 후면커버에 의하여 시야에 가려진 전면커버에 연결부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거치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2244호(고안의 명칭 : 휴대폰 거치장치)에 개시된 휴대폰 거치장치는 스마트폰이 끼워지는 안치홈을 형상하는 플렉시블 바에 탄성 밴드가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기종 및 종류의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으나, 상기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성이 떨어지며, 스마트폰과의 탈착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휴대폰 거치장치는 탄성밴드가 모니터가 형성된 스마트폰의 전면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거치 후 노출된 탄성밴드가 스마트폰의 조작을 방해하며, 스마트폰 부착 시 탄성밴드가 스마트폰의 전원 버튼 및 카메라렌즈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이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즉 휴대가 간단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거치시키며, 스마트폰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으며, 다양한 기종 및 종류의 스마트폰에 호환이 가능한 거치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일단부에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휴대성 및 탈부착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정돌부를 스마트폰 단자 커넥터에 삽입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스마트폰에 탈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 접착수단을 이용한 스마트폰 거치대가 탈부착 시 접착수단에 의해 스마트폰에 자국을 남겨 외관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타단부에 터치펜, 볼펜, 레이저 빔(Laser beam) 등을 설치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본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규격화된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고정돌부가 삽입 및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기종 및 종류에 상관없이 호환이 가능한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단자 커넥터가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외주면으로부터 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는 돌출면이 상기 단자 커넥터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의 타단부를 지면에 접촉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 상기 단자 커넥터의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면적을 갖되 상기 고정돌부에 인접한 일단부까지 연결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단자 커넥터가 형성된 상기 스마트폰의 측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단자 커넥터가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며, 대향되는 벽들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축 삽입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일면이 반원기둥 형상의 곡면부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가 상기 지지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는 돌출면이 상기 단자 커넥터의 형상에 대응되어 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회전된 후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의 타단부를 지면에 접촉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곡면부에 대향되는 일면에 상기 단자 커넥터의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면적을 갖되 상기 고정돌부에 인접한 일단부까지 연결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단자 커넥터가 형성된 상기 스마트폰의 측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터치펜, 볼펜, 레이저빔(Laser beam), 지우개들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삽입홈이 결합됨으로써 탈부착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결합되는 고정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단부에 터치펜, 볼펜, 레이저 빔(Laser beam) 등을 설치함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본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규격화된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에 삽입홈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기종 및 종류에 상관없이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적용되는 고정돌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고정돌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고정돌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의 단자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스마트폰 거치대(1)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가 스마트폰에 부착되며, 타단부가 지면에 접촉되어 후술되는 도 3의 스마트폰(10)을 지지함으로써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스마트폰(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1)는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2)로 형성되되 몸체(2)는 일단부에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접촉되어 이를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터치펜부(3)가, 타단부에 도 3의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삽입되는 고정돌부(7)가 형성된다. 이때 스마트폰(10)은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일측면(13)에 스마트폰의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icro 단자 커넥터(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마트폰 단자 커넥터(15)는 충전 및 데이터송수신 케이블의 커넥터가 연결되며, 최근에 마이크로 5핀 방식이 통일되어 적용되고 있다.
몸체(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10)의 폭보다 2분의 1이상 4분의 3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2)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몸체(2)의 형상은 원기둥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몸체(2)는 타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원기둥 형상의 안착홈(5)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홈(5)은 몸체(2)의 타단부까지 평평한 면으로 연결되며, 몸체의 외주면과 수직면(51)으로 연결된다.
또한 안착홈(5)은 후술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 및 후면(11) 사이의 측면(13) 부위가 삽입됨으로써 안착홈(5)을 형성하는 수직면(51)과 고정돌부(7)에 의해 스마트폰(10)이 걸려 지지되게 된다.
또한 몸체(2)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2)는 단부에 인접한 안착홈(5)의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부(7)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 돌부(7)는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삽입되며, 상세하게로는 두께, 폭 및 높이가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 돌부(7)는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대향되는 대접면에 대접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인 핀삽입홈(71)이 형성되고, 핀삽입홈(71)에는 단자 커넥터(15)의 핀(15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핀(151)이 삽입됨으로써 고정 돌부(7)가 스마트폰(10)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터치펜부(3)는 몸체(2)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스마트폰(10)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접촉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터치펜부(3)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간편하게 조작하기 위한 장치이며, 터치 스크린 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조작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펜과, 터치 센서패널 또는 터치 패드에 정전소자를 구성하여 이 정전소자 사이에 흐르는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조작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도전성 터치펜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의 터치펜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터치펜의 구성 및 방법은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터치펜부(3)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접촉부위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스마트폰 거치대(1)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부(7)가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삽입되면 스마트폰(10)의 측면(13)에 몸체(2)가 수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10)의 측면(13)에 인접한 부위는 고정돌부(7) 및 몸체(2)의 수직면(51) 사이의 안착홈(5)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돌부(7) 및 수직면(51)에 의해 스마트폰(10)의 전면 및 후면이 걸려 스마트폰(10)이 스마트폰 거치대(1)에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1)는 스마트폰(10)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터치펜부(3)를 지면(20)에 접촉시키면 스마트폰(10)은 일정한 각도로 고정된다.
도 6은 도 2에 적용되는 고정돌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고정돌부(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단자 커넥터(15)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되 단자 커넥터(15)에 삽입 시 단자 커넥터(15)의 내면들 중 후면커버(11)에 인접한 내면에 대접되는 일측면에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도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핀 삽입홈(7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돌부는 단자 커넥터(15)의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단자 커텍너(15)의 핀(151)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들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과 8의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일단부에 원뿔 형상의 경사부(121)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부에 전술하였던 도 2와 동일한 형상 및 구성의 고정 돌부(107) 및 안착홈(105)이 형성되는 몸체(102)와, 몸체(102) 내에 설치되어 경사부(12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펜(141)과, 일단부에 터치펜부(3)가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부(121)에 탈부착 되는 덮개부(109)로 이루어진다.
경사부(121)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펜(141)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몸체(102) 내부에 설치된 펜(141)이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덮개부(109)는 일면에 개구부를 갖는 원기둥 형사으로 형성되되 개구부를 통해 경사부(121)가 삽입된다.
또한 덮개부(109)는 개구부에 인접한 내주면에 끼움돌부(195)가 형성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해 경사부(121)가 내부로 삽입될 때 내주면이 몸체(102)의 외주면에 대접되고, 끼움돌부(195)에 의해 몸체(102)에 억지끼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단부에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탈부착 되는 고정 돌부 및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스마트폰(10)을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고, 고정돌부 및 안착홈이 형성되지 않은 타단부에 터치펜, 볼펜, 레이저 빔(Laser beam)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성을 높임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고정돌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고정돌부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스마트폰 거치대(1)는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하였던 도 2의 안착홈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홈(205)이 몸체(202)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안착홈(205)을 형성하는 외주면들 중 몸체(202)의 단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외주면으로부터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07)가 형성된다.
지지부(207)는 대향되는 측면들에 회전축(208)이 삽입되는 회전축 관통공(271)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2 고정돌부(209)는 길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일면으로부터 반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곡면부(291)가 형성된다. 이때 곡면부(291)는 지지부(207)의 대향되는 측면들 사이의 개구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2 고정돌부(209)는 지지부(207)에 삽입될 때 지지부(207)의 회전축 관통공(271)에 일체로 연결되는 관통공(293)이 곡면부(291)에 형성된다. 즉 회전축(208)은 지지부(207)의 일측 회전축 삽입공(271) -> 제2 고정돌부(209)의 관통공(291) 및 지지부(207)의 타측 회전축 삽입공(271)의 순서데로 관통된 후 체결됨으로써 제2 고정돌부(209)는 지지부(20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 고정돌부(209)는 지지부(207)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면에 걸려 90˚로 회전되게 된다.
즉 스마트폰 거치대(200)는 제2 고정돌부(209)가 90˚로 회전되면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제2 고정돌부(209)의 단부가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제2 고정돌부(209)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곡면부(291)에 대향되는 일면에 단자 커넥터(15)의 핀(151)이 삽입되는 핀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스마트폰 거치대(200)는 평상시에는 제2 고정돌부(209)를 회전시키지 않아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스마트폰 거치 시에는 제2 고정돌부(209)를 90˚로 회전시켜 제2 고정돌부(209)의 단부를 스마트폰(10)의 단자 커넥터(15)에 삽입시킴으로써 스마트폰(10)을 거치시킨다.
1:스마트폰 거치대 2:몸체 3:터치펜부
5:안착홈 7:고정돌부 10:스마트폰
15:단자 커넥터 51:수직면 71:핀삽입홈
121:경사부 109:덮개부 195:끼움돌부

Claims (7)

  1.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단자 커넥터가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외주면으로부터 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는 돌출면이 상기 단자 커넥터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의 타단부를 지면에 접촉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 상기 단자 커넥터의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면적을 갖되 상기 고정돌부에 인접한 일단부까지 연결되는 연결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단자 커넥터가 형성된 상기 스마트폰의 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단자 커넥터가 전면 및 후면을 연결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며, 대향되는 벽들에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축 삽입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일면이 반원기둥 형상의 곡면부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가 상기 지지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는 돌출면이 상기 단자 커넥터의 형상에 대응되어 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회전된 후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의 타단부를 지면에 접촉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청구항 4에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곡면부에 대향되는 일면에 상기 단자 커넥터의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6. 청구항 4 또는 5에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면적을 갖되 상기 고정돌부에 인접한 일단부까지 연결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단자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단자 커넥터가 형성된 상기 스마트폰의 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7. 청구항 6에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터치펜, 볼펜, 레이저빔(Laser beam), 지우개들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30110172A 2013-09-13 2013-09-13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147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172A KR101471071B1 (ko) 2013-09-13 2013-09-13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172A KR101471071B1 (ko) 2013-09-13 2013-09-13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071B1 true KR101471071B1 (ko) 2014-12-10

Family

ID=5267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172A KR101471071B1 (ko) 2013-09-13 2013-09-13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28A (ko) * 2018-01-30 2019-08-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KR20210028461A (ko) * 2019-09-04 2021-03-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928Y1 (ko) * 2004-12-22 2005-03-16 이화산업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치 구조
KR100830079B1 (ko) * 2006-07-18 2008-05-16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20120087025A (ko) * 2011-01-27 2012-08-06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928Y1 (ko) * 2004-12-22 2005-03-16 이화산업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치 구조
KR100830079B1 (ko) * 2006-07-18 2008-05-16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20120087025A (ko) * 2011-01-27 2012-08-06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28A (ko) * 2018-01-30 2019-08-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KR102107999B1 (ko) * 2018-01-30 2020-05-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KR20210028461A (ko) * 2019-09-04 2021-03-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KR102291149B1 (ko) * 2019-09-04 2021-08-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389B2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11102B1 (ko) 모바일 단말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US20210181611A1 (en) Handheld gimbal
US20140268542A1 (en) Docking apparatus of electronic apparatus
US8725210B2 (en) Attachable assembly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20100069117A1 (en) USB enabled mobile phone handset
KR201400283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84614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062395A1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US20100226078A1 (en) Accessory strap fixing structure
CN210007730U (zh) 移动终端
KR10147107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WO2024012027A1 (zh) 充电座、触控笔及触控笔组件
US11340717B2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KR1017318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WO2014034765A1 (ja)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KR101992297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JP2007213933A (ja) 携帯電子機器の充電装置
CN210183362U (zh) 移动终端
KR20210103345A (ko) 핸드폰 케이스
CN112579493A (zh) 扩展坞
KR102002392B1 (ko)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