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025A -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025A
KR20120087025A KR1020110008459A KR20110008459A KR20120087025A KR 20120087025 A KR20120087025 A KR 20120087025A KR 1020110008459 A KR1020110008459 A KR 1020110008459A KR 20110008459 A KR20110008459 A KR 20110008459A KR 20120087025 A KR20120087025 A KR 20120087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gender
charging
cov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775B1 (ko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11000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7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손쉽게 결합 분해가 가능한 구성품을 조합하여 모바일 기기를 일정 장소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게 한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고 모바일 기기의 측면과 배면을 각각 감싸는 측면부와 배면부를 포함하며, 측면부 및 배면부에 모바일 기기가 적어도 일부 노출되는 연결홀 및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커버와
커버와 결합하고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되, 측면부와 접하는 제1 몸체, 배면부와 접하도록 제1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결합홀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 몸체,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모듈, 제1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연결홀을 관통하여 모바일 기기와 충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커넥터 형태의 제1 커넥터, 및 제2 몸체의 배면에 형성된 암커넥터 형태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Mobile device recharging and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일정 장소에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게 한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 또는 모바일 폰은 단순히 장소에 관계없이 이동 중에도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만 설계되고 개발되었으나, 기술 발달로 인한 전자기기의 소형화, 디지털화에 따라 이에 카메라 기능이나 음악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단순한 전화기가 아닌 여러가지 기능을 이동중에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기기로 발전 되었다. 그 일례로 근래에 개발된 스마트 폰 등은 고성능의 중앙 연산 장치를 내장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형의 컴퓨터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가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의 의존도를 높여 스마트 폰 이나 이를 포함한 모바일 기기를 이동시에는 물론이고 일정한 장소에 머물러 있는 경우에도 자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빈도가 늘고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는 좀 더 오랜 시간 동안 좀 더 편리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원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하여 장시간의 기기 사용이 불편함이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임의의 장소에서도 기기를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의 사용 환경을 개선시킨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과 배면을 각각 감싸는 측면부와 배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 및 배면부에 상기 모바일 기기가 적어도 일부 노출되는 연결홀 및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되, 상기 측면부와 접하는 제1 몸체, 상기 배면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모듈,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충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커넥터 형태의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몸체의 배면에 형성된 암커넥터 형태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는 각 구성부분이 서로 손쉽게 결합되어 거치대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거치대를 손쉽게 분해하여 휴대하였다가 임의의 장소에서 자유롭게 다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모바일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며, 장소에 관계없이 모바일 기기를 충전시켜 모바일 기기의 사용시간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거치대는 분해된 경우에도 모바일 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와, 비상시 모바일 기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본체, 서로 다른 규격의 커넥터를 연결해주는 변환 젠더등의 각 구성부분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서 결합홀만을 따로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a에서 결합홀과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가 서로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b의 결합홀과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체 후면에 변환 젠더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각 구성부분의 관계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충전모듈의 충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변환 젠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사용자가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를 사용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도 3a는 도 2에서 결합홀만을 따로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a에서 결합홀과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가 서로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b의 결합홀과 제1 결합돌기 및 제2 결합돌기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체 후면에 변환 젠더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1)는 크게 커버(100), 본체(200) 및 변환 젠더(300)의 구성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커버(100), 본체(200)및 변환 젠더(300)는 상호 결합되어 거치대를 구성하며 서로 분리되어 거치대가 해체된 경우에도 각각의 구성부분은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먼저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의 측면 전체에 밀착되어 모바일 기기의 측면을 감싸 보호하는 측면부(110)와 모바일 기기의 배면 전체에 밀착되어 모바일 기기의 배면을 감싸 보호하는 배면부(120)로 이루어진다.
커버(100)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등을 재료로 미리 준비된 금형으로부터 측면부(110)와 배면부(120)를 포함하여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0)는 모바일 기기에 밀착 결합하여 모바일 기기를 감싸 유사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때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이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의 전면은 노출하고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측면과 배면부분만을 감싸도록 측면부(110)와 배면부(120)만으로 커버(100)를 형성하여 모바일 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사용자의 기기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커버(100)는 측면부(110)와 배면부(120)에 각각 연결홀(111)과 결합홀(121)을 가진다. 연결홀(111)은 측면부(110)의 일 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의 측면이 일부 노출되는데, 노출되는 모바일 기기의 측면에는 모바일 기기가 외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전용 충전기와 연결되거나 컴퓨터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용 케이블이 연결되는 외부기기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연결홀(111)은 모바일 기기의 외부기기 접속 단자를 커버(10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바일 기기는 커버(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연결홀(111)을 통해 외부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연결홀(111)은 모바일 기기의 측면에 형성된 외부기기 접속 단자의 형상에 맞추어 그보다 더 크거나 적어도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연결홀(111)은 본체(200)에 형성된 제1 커넥터(211)가 모바일 기기의 외부기기 접속 단자를 통해 모바일 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홀(111)을 통한 제1 커넥터(211)의 모바일 기기와의 자세한 연결과정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배면부(120) 일 측에는 결합홀(121)이 배면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결합홀(121)은 본체(20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와 맞물려 배면부(120)를 본체(200)와 밀착되게 고정시켜주며 이를 통해 커버(100)와 본체(200)는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결합홀(121)의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122)이 형성되어 결합홀(121)과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합이 안정적인 것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홀(121)과 오목홈(122),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와 이들의 자세한 결합과정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와 같이 측면부(110)와 배면부(120)를 갖는 커버(100)는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가 지면에 떨어지거나 하여 모바일 기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모바일 기기 대신 이를 흡수하여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폴리우레탄이나 천연 고무 등을 포함한 소재로 측면부(110)와 배면부(120)를 형성하면 커버(100)의 유연성이나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이 때에도 결합홀(121)과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는 결합이 단단히 이루어져야 하므로, 결합홀(121)을 포함하는 배면부(120)의 일부나 또는 배면부(120)전체는 측면부(110)와 달리 일정한 경도를 가지는 다른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커버(100)의 배면부(120) 일 측에는 카메라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는 커버(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장애 없이 외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 홀(123)은 커버(100)와 본체(20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어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데, 이를 위해 본체(200)는 커버(100)의 배면부(120)와 직접 맞닿는 제2 몸체(220)가 카메라 홀(123)을 가리지 않도록 커버(100)의 길이보다 약간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커버(100)의 측면부(110)에는 모바일 기기의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나 스피커, 마이크, 이어폰 잭 등과 면하는 지점에 각각의 크기, 모양에 맞추어 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위치나 이어폰 잭 등은 직접 외부로 노출되어 커버(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본체(200)는 크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로 이루어지며, 내장된 배터리(230)와 충전 모듈(240)을 이용해 모바일 기기를 충전한다. 제1 몸체(210)는 제2 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일 측면에 형성된 수커넥터 형태의 제1 커넥터(211)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211)가 형성된 제1 몸체(210)의 일 측면은 커버(100)의 측면부(110)에 형성된 연결홀(111)과 서로 마주보고 접하게 되는데, 제1 커넥터(211)는 연결홀(111)을 통해 커버(100)의 측면부(110)를 통과하여 모바일 기기의 외부기기 접속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버(100)와 본체(200)가 결합되면 커버(100)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는 제1 커넥터(211)를 통해 본체(200)와 연결되는데, 제1 커넥터(211)는 본체(200)와 모바일 기기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 회로를 통해 전기적으로도 서로 연결시켜 준다. 이 때 제1 커넥터(211)는 암커넥터 형태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이와 짝맞는 수커넥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210)의 타 측면에는 조작부(212) 및 표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12)는 본체(200)가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게 하거나 충전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부(212)를 조작하여 모바일 기기가 본체(2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충전하거나 충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조작부(212)는 배터리(230)와 제1 커넥터(211)를 포함하는 본체(200)내부의 전기 회로에 연결되어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3)는 배터리(230)의 잔량이나 본체(200)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때 표시부(213)는 소형의 LED램프를 장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점등되도록 하거나 액정 패널 등에 직접 문자나 도식등을 표시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조작부(212)와 연동되어 조작부(212)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몸체(220)는 제1 몸체(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커버(100)의 배면부(120)와 직접 접하는 면에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를 갖는다.
제2 몸체(220)는 제1 커넥터(211)가 형성된 제1 몸체(210)로부터 연장되어 일 측에 커버(100)의 배면부(120)와 접하는 평면을 형성한다. 이 때, 제2 몸체(220)는 제1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몸체(210)와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대로 카메라 홀(123)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배면부(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220)가 커버(100)의 배면부(120)와 접하는 평면에는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가 평면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는 각각 커버(100)의 배면부(120)에 형성된 결합홀(121)의 일 측과 타 측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결합홀(121)은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122)을 형성하여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오목홈(122)은 결합홀(121)둘레의 배면부(120)일 측이 음각 형성된 것으로, 결합홀(121)을 향해 일정 각도로 낮아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돌기(221) 역시 일정한 폭으로 제2 몸체(220)로부터 돌출 형성 되되 일측으로 굴절되어 제1 결합돌기(221)의 내측에는 굴절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돌기(221)는 제1 결합돌기(221)와 오목홈(122)이 각각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오목홈(1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221)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제1 결합돌기(221)와 결합홀(121)은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제1 결합돌기(221)와 오목홈(122)의 폭이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제1 결합돌기(221) 내측의 경사면과 오목홈(122)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또한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하면, 제1 결합돌기(221)가 오목홈(122)에 삽입된 때 좌 우 또는 상 하 방향의 이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제1 결합돌기(221)와 결합홀(121)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22)는 제2 몸체(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결합홀(121)의 제1 결합돌기(221)가 결합된 일 측의 맞은편 타 측에서 결합홀(121)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제2 결합돌기(222)는 결합홀(121)에 밀착되어 밀착된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주며 이를 통해 맞은편의 제1 결합돌기(221)가 삽입된 오목홈(122)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걸림쇠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결합돌기(222)는 제1 결합돌기(221)와 같이 굴절될 필요가 없으며 결합홀(121)의 일 측에 걸릴 수 있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된 배면부(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221) 및 제2 결합돌기(222)는, 먼저 제1 결합돌기(221)가 결합홀(121)의 일 측에 형성된 오목홈(122)에 삽입되고 결합홀(121)의 맞은편 타 측에 제2 결합돌기(222)가 밀착하여 고정됨으로써, 결합홀(121)의 일 측과 그 맞은편에 서로 반대방향의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제2 결합돌기(222)가 결합홀(121)에서 이탈하게 되면 결합홀(121)의 양 측에 제공되던 힘이 사라져 제1 결합돌기(221)는 오목홈(122)에서 빠져 나오게 되며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커버(100)의 일 측을 제2 결합돌기(222)가 결합홀(121)에서 이탈할 수 있는 만큼만 본체(200)로부터 이격시키면 커버(100)를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돌기(222)가 밀착되는 결합홀(121)의 일 측에도 역시 오목홈(122)을 형성하면, 결합홀(121)쪽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에 의해 오목홈(122)이 형성된 측의 두께가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2 결합돌기(222)가 결합홀에 밀착될 때 발생하는 마찰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손쉽게 커버(100)와 본체(20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제2 몸체(220)가 커버(100)의 배면부(120)와 접하는 면의 맞은편 뒷면에는 암커넥터 형태의 제2 커넥터(223)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23)는 제2 몸체(220)의 배면에서 변환 젠더(300)의 일 측에 형성된 제3 커넥터(320)를 통해 변환 젠더(300)와 결합되며, 제3 커넥터(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변환 젠더(300)로부터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2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커넥터(223)는 암커넥터 형태로 형성되고, 제3 커넥터(320)는 수커넥터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230)는 본체(20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자신이 가진 전기에너지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30)는 외부 전원에 의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합성물로 형성되어 화학적 변화를 통해 일정 크기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데 쓰이며 이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모두 소진되면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다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230)는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리튬, 리튬 중합체 등을 사용한 충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 모듈(240)은 배터리(23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모바일 기기로 공급하여 모바일 기기를 충전한다.
도 6은 도 1a의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의 각 구성부분의 관계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7은 충전모듈의 충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전 모듈(240)은 본체(200)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본체(200) 내부의 전기 회로를 통해 배터리(230), 제1 커넥터(211) 및 제2 커넥터(223)와 연결되어 배터리(230) 에서 제1 커넥터(211)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모바일 기기 충전 과정을 조절하거나, 변환 젠더(300)에서 제2, 제3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력을 배터리(230)로 공급하는 배터리(230)의 충전 과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충전 모듈(240)은 커패시터, 코일 등의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소형의IC(Integrated Circuit)회로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조작부(212) 또는 표시부(213)와도 전기 회로로 연결되어 조작부(212)의 조작에 따라 충전 과정을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이를 표시부(213)에 전달하여 표시부(213)가 본체(200)의 동작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충전 모듈(240)은 모바일 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시간의 흐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고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서서히 전압이 상승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충전 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충전시에 짧은 시간에 과다한 전류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자신의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과부하가 발생하여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모바일 기기의 동작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심한 경우 기기가 파손되는 이유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충전 과정이 좀더 자연스럽게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충전 모듈(240)은 전류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압이 천천히 상승되도록 하는 제1 구간(t1)과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류 공급량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하는 제2 구간(t2)으로 나누어 충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우선, 모바일 기기가 완전히 방전되어 있는 제1 구간(t1)에서는 전류 공급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전류를 모바일 기기로 공급하여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켜 주고, 전압이 상승되어 기준값에 도달하게 된 후에는 전압을 기준값으로 유지시켜 주면서 전류 공급량이 서서히 떨어지게 하여 종국에 전류 공급량이 제로값을 가지는 완충 상태에 도달하게 한다.
하지만, 제2 구간(t2)에서는 모바일 기기가 이미 제1 구간(t1)에서 많은 양의 전류를 공급받은 탓에 전류 공급이 제1 구간(t1)에서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일정 시간이 흐른 뒤에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적절히 줄어들지 않아 완충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지거나, 또는 완충 상태에 도달하기도 전에 전류 공급이 적체되어 아예 완충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모듈(240)은 제2 구간(t2)에서 시간에 따른 전류 공급의 감소량이 일정한 비율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서서히 전류 공급을 감소시켜 주는데,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도 전류 공급량의 감소 비율이 너무 작거나 또는 극단적으로 감소 비율이 영이 되는 경우, 즉,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류 공급량을 순간적으로 증가시켰다가 다시 적절히 감소되도록 조절하여 시간에 따른 전류 공급량의 감소비율이 급격히 변동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전류 공급량은 순간적으로 주어진 최대값까지도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는 전기적으로 자극을 받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제2 구간에서의 전류 공급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전류 공급량은 적절한 비율로 감소하여 완충 상태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충전 모듈(240)이 전류 공급의 급격한 변동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단계는 수 회 이상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적절히 그 횟수를 조절하면 시간에 따른 전류 공급량의 감소 비율이 증가하여 더 짧은 시간에 완충 상태에 도달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터리(230) 및 충전 모듈(240)은 본체(200) 내부에 수용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회로 연결이 가능하다면, 제1 몸체(210) 또는 제2 몸체(220)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또는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변환 젠더(300)는 젠더 몸체(310), 제3 커넥터(320), 제4 커넥터(330) 및 젠더 커버(34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커넥터(320)는 젠더 몸체(310)의 일단부에 수커넥터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커넥터(320)는 제2 몸체(220)의 배면에 형성된 암커넥터 형태의 제2 커넥터(223)에 삽입되어 내부 회로를 통해 변환 젠더(300)와 본체(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제4 커넥터(330)는 젠더 몸체(310)의 일 측부에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의 전용 충전기는 제4 커넥터(330)를 통해 변환 젠더(300)와 연결되는데, 역시 내부 회로를 통해 충전기와 변환 젠더(300)는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즉, 변환 젠더(300)는 제3 커넥터(320) 및 제4 커넥터(330)의 전기적 연결통로를 통해 외부 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본체(200)에 다시 전달하게 된다.
젠더 몸체(3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3 커넥터(320)가 제2 커넥터(223)에 삽입되면 변환 젠더(300)는 본체(200)와 결합되며 젠더 몸체(310)를 통해 본체(200)를 지지하게 된다.
젠더 몸체(310)는 일단부는 본체(200)와 접하고 반대편의 타단부는 바닥면과 접하여, 본체(200)가 바닥면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비스듬히 거치될 수 있도록 본체(200)를 지지한다. 젠더 몸체(310)의 길이를 적당히 조정하면 본체(200)가 거치되는 각도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젠더 커버(340)는 젠더 몸체(310)의 양측에 힌지를 형성하여 젠더 몸체(310)와 결합되며 힌지를 축으로 일정한 회전각을 갖도록 스윙할 수 있다.
스윙이란 젠더 커버(340)가 힌지를 축으로 젠더 몸체(310) 주변으로 가상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말하며, 젠더 커버(340)는 젠더 몸체(310)와 만나는 젠더 몸체(310)의 일 측으로부터 스윙하여 반대편 일 측에서 다시 젠더 몸체(310)와 만나 스윙이 끝난다.
젠더 커버(340)는 스윙시에 내측에 제3 커넥터(3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변환 젠더(300)가 본체(200)에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제3 커넥터(320)위로 스윙되어 제3 커넥터(320)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젠더 커버(340)는 스윙이 일정한 고정각에 따라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고정각이란 스윙시 젠더 커버(340)와 젠더 몸체(310)가 서로 이격되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고정각은 스윙의 시작점에서부터 스윙이 끝나는 지점까지 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젠더 커버(340)는 고정각과 고정각 사이만큼의 거리를 단속적으로 스윙하여 각각의 고정각이 형성된 지점에서는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젠더 몸체(310)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수 개의 홈을 형성하고, 젠더 몸체(310)와 접하는 젠더 커버(340)의 힌지 주변 내측면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홈에 돌기가 삽입되는 지점에서 젠더 커버(340)가 고정되어 고정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젠더 커버(340)와 젠더 몸체(310)가 서로 고정각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변환 젠더(300)가 본체(200)와 결합되면, 젠더 몸체(310)의 일단부와 젠더 커버(340)는 함께 바닥면에 접하여 본체(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일정하게 기울어져 본체(200)를 지지하는 젠더 몸체(310)를 젠더 커버(340)가 다시 보조적으로 지지하여 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와 본체(200)의 거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고정각을 변화시키면, 젠더 몸체(310)와 젠더 커버(340)가 이격된 정도가 변화되고 각각 바닥면에 접한 젠더 몸체(310)와 젠더 커버(340)는 기울어진 정도가 바뀌게 되어 결국 본체(200)의 거치 각도 역시 바뀌게 된다.
즉, 젠더 커버(340)의 고정각을 조정함으로써 본체(200)의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에게 알맞은 각도로 조절하여 거치대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변환 젠더(300)는 젠더 몸체(310)의 일 측에 길게 연장된 스트랩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본체(2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를 이용해 스트랩을 고정하여, 변환 젠더(300)가 본체(200)와 분리된 경우에도 분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100: 커버
110: 측면부 111: 연결홀
120: 배면부 121: 결합홀
122: 오목홈 123: 카메라 홀
200: 본체 210: 제1 몸체
211: 제1 커넥터 212: 조작부
213: 표시부 220: 제2 몸체
221: 제1 결합돌기 222: 제2 결합돌기
223: 제2 커넥터 230: 배터리
240: 충전 모듈 300: 변환 젠더
310: 젠더 몸체 320: 제3 커넥터
330: 제4 커넥터 340: 젠더 커버

Claims (9)

  1. 내부에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과 배면을 각각 감싸는 측면부와 배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 및 배면부에 상기 모바일 기기가 적어도 일부 노출되는 연결홀 및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되, 상기 측면부와 접하는 제1 몸체,
    상기 배면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 모듈,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충전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커넥터 형태의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몸체의 배면에 형성된 암커넥터 형태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젠더 몸체;
    상기 젠더 몸체의 일단부로 돌출하며 상기 제2 커넥터에 삽입되는 수커넥터형태의 제 3 커넥터;
    상기 젠더 몸체의 일측부에 형성된 암커넥터 형태의 제4 커넥터;
    를 포함하는 변환 젠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환 젠더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젠더는 상기 젠더 몸체와의 힌지 결합을 통해 스윙하여 내측의 상기 제3 커넥터를 개폐하는 젠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젠더 커버는 완전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젠더 몸체의 일측에 지지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커버는 서로 다른 고정각을 갖도록 단속적으로 스윙하며, 상기 고정각에 따라 상기 본체의 거치 각도가 가변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일측으로 굴절된 고리형태의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2 몸체의 표면에 수직하게 돌출된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홀의 타측에 밀착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일단부에 형성된 카메라 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커버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홀이 외부로 노출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전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전압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는 제 1 구간과,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전류 공급량을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제 2구간으로 구분하여 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제 2 구간에서 적어도 한 번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류 공급의 변화량을 순간적으로 조절하여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전류 공급량의 감소 비율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류 공급의 변화량을 순간적으로 조절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일시적으로 전류 공급량이 주어진 최대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류 공급의 변화량을 순간적으로 조절하는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KR1020110008459A 2011-01-27 2011-01-27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KR10121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459A KR101219775B1 (ko) 2011-01-27 2011-01-27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459A KR101219775B1 (ko) 2011-01-27 2011-01-27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025A true KR20120087025A (ko) 2012-08-06
KR101219775B1 KR101219775B1 (ko) 2013-01-21

Family

ID=4687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459A KR101219775B1 (ko) 2011-01-27 2011-01-27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48B1 (ko) * 2013-01-08 2014-09-12 나도진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471071B1 (ko) * 2013-09-13 2014-12-1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N110012629A (zh) * 2019-04-15 2019-07-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电子设备及壳体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52B1 (ko) * 2005-10-24 201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개폐 장치
KR20100082812A (ko) * 2009-01-10 2010-07-20 정승용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48B1 (ko) * 2013-01-08 2014-09-12 나도진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471071B1 (ko) * 2013-09-13 2014-12-1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탈부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N110012629A (zh) * 2019-04-15 2019-07-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电子设备及壳体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775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0639B2 (en) Protecting case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US10069315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automatic sen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00317413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solar charger
US20100317412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US20100315041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with quick release feature
US20080123287A1 (en) Casing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030091894A1 (en) Mobile phone battery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437948B1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KR101764499B1 (ko) 배터리 내장형 핸드폰 케이스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219775B1 (ko)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KR101868289B1 (ko)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10594352B2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US10122194B2 (en) Input device stand and energy storage device
KR10217821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CN215264398U (zh) 一种智能手表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US10608579B1 (en) Foldable solar powered and rechargeable power bank with light emitting diodes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KR102266212B1 (ko) 휴대 단말기 충전용 케이블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