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289B1 -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289B1
KR101868289B1 KR1020170134034A KR20170134034A KR101868289B1 KR 101868289 B1 KR101868289 B1 KR 101868289B1 KR 1020170134034 A KR1020170134034 A KR 1020170134034A KR 20170134034 A KR20170134034 A KR 20170134034A KR 101868289 B1 KR101868289 B1 KR 10186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uxiliary battery
case
terminal
si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민 filed Critical 신승민
Priority to KR102017013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289B1/ko
Priority to CN201721564326.2U priority patent/CN207460255U/zh
Priority to US15/823,438 priority patent/US105943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함 형태의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에 위치하여,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 및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고, 이동단말기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보조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통신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 가능한 단말기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 한계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통상 이동단말기의 사용 중 방전된 배터리는 외부의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되거나, 방전된 배터리를 탈거 후 별도의 충전장치를 이용해 완충된 배터리로 교체 장착된다. 그러나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는 배터리 분리 교체를 할 수가 없어 유무선 충전기 또는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단말기 충전 단자에 연결해 수시로 충전하는 것 외에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47570호에서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전화기의 구동시간을 연장하는 내용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당해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장착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전화기의 구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보호케이스를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54605호에서는 휴대단말기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중 휴대전화기에 탈부착되는 내부면 상부에 보조배터리와 전원 출력단자를 배치해 휴대전화기의 구동시간을 연장하는 내용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당해 발명은 배터리 교체시 여전히 단말기 본체의 뒷면 플레이트를 분해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22851호는 휴대단말기 배면 및 측면 외측을 감싸는 보호케이스에 보조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단말기에 보호케이스를 착용 및 결합하기 전에 먼저 케이스의 수납부에 보조배터리를 수납하여야 하고, 보조배터리의 교체를 위해서는 보호케이스를 단말기로부터 우선 탈거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KR 10-1247570 B1 KR 10-1554605 B1 KR 10-2014-0122851 A1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본체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이동단말기로부터 보호케이스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장착 가능한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함 형태의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에 위치하여,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 및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는, 상기 보조배터리 외측에 노출 형성된 단자와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는,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케이블의 일측 선단부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1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측 선단부에 위치한 보조배터리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2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케이블은, 과전류가 상기 이동단말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과전류시 상기 보조배터리와 상기 이동단말기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릴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릴레이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감지부 및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기 내부 배터리의 완충시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부는, 기 설정된 충전기준값과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값을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되, 상기 전원릴레이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충전기준값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는 상기 하측 프레임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는 고정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은,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단부 및 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단부 각각에 형성된 제1 길이연장가이드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는 상기 하측 프레임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는 고정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좌측 프레임의 일 위치에 형성된 제1 절단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 위치에 형성된 제2 절단부 각각에 형성된 제2 길이연장가이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되,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개방된 상기 커버는 기울어진 상기 이동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와 분리된 부속물로 존재하되, 상기 커버의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를 향하여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는, 이동단말기 본체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이동단말기로부터 보호케이스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호케이스를 이동단말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손쉽게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보조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연결케이블에 포함된 전원릴레이모듈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거나, 또는 이동단말기 완충시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이동단말기에 지속 공급되지 않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별도의 사용자입력수단을 통한 입력에 의해 충전기준값이 설정되거나 변경됨으로써, 상기 충전기준값에 따라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이동단말기에 제한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보호케이스의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크기는 가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보조배터리를 보호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케이스의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를 바닥에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도 2에 도시한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위치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위치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에 보조배터리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정면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에 이동단말기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에 연결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에 보조배터리가 장착되는 모습과 보조배터리가 연결케이블를 통해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 각각은 도 9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이 연결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무선충전모듈이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크기 이동단말기(400)를 감싸 보호하는 함 형태의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와,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배면 외측에 위치하여, 보조배터리(3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정면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에는 이동단말기(400)가 장착될 수 있고, 배면에 위치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에는 보조배터리(4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가 보호케이스를 이동단말기(400)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보조배터리(300)를 탈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는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이동단말기(400)를 수용하여 감쌈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400)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내측면에는,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400)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에 장착된 상기 이동단말기(400)의 외부단자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는 상기 이동단말기(400)의 외부단자의 접속 단자의 모양이나 핀의 수, 배치 등에 상응하여 그 모양이나 핀의 수, 배치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에 장착된 상기 이동단말기(400)는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단말기(400)의 외부단자에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를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기(400)를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에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는 플라스틱, 금속, 합금, 탄소섬유 및 목재 등으로 이뤄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400)의 외부단자는 이동단말기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각종 확장 장치들(USB 데이터 통신, 리모콘, 이어셋, 컴포지트 비디오 출력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구비된 것을 가리킨다.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는 내부 수용 공간에 보조배터리(30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에 장착된 보조배터리(300)가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는 상기 보조배터리(300)를 밀착하여 감싸거나,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상측 단부의 일부는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내측면에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에 장착된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외부단자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는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외부단자의 모양이나 핀의 수, 배치 등에 상응하여 그 모양이나 핀의 수, 배치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금속, 합금, 탄소섬유 및 목재 등으로 이뤄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배터리(300)가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에 밀착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에 장착하는 보조배터리(300)는 외부단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와 다르게 경질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는 상기 보조배터리(300) 외측에 노출 형성된 외부단자와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핀은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외부단자를 향해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외부단자를 향해 돌출되되 탄성력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표면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접촉 돌기를 가진 단자이거나, 포고핀(pogo pin)과 같은 실린더 형태의 스프링 핀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 간에는 연결케이블(2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배터리(300)의 전력이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결케이블(230)은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케이블(230)의 일측 선단부 및/또는 타측 선단부 각각은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 및/또는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케이블(230)의 일측 선단부 및/또는 타측 선단부 각각에는 이동단말기측 커넥터(미도시) 및/또는 보조배터리측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케이블(230)은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 및/또는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와 탈장착 가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케이블(230)이 일측 선단부에 이동단말기측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측 커넥터가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와 전기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외측면에는 제1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221)(도 6 참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221)를 매개로 상기 이동단말기측 커넥터와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케이블(230)이 타측 선단부에 보조배터리측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측 커넥터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와 전기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외측면에는 제2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미도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를 매개로 상기 보조배터리측 커넥터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케이블(230)은 통상 사용되는 도선과 같은 것일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케이블(230)은 전원릴레이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배터리(300)의 구현형태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300)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이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전원릴레이모듈(240)은 상기 보조배터리(300)에서 출력된 전력에 대하여 이동단말기(400)에 입력되는 정격 전압 및/또는 전류에 맞게 정압 및/또는 정류하기 위해 정압회로 및/또는 정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300)로부터 출력된 과전류가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공급되어 상기 이동단말기(400)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은 과전류가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공급되지 않도록 과전류시 상기 보조배터리(300)와 상기 이동단말기(400)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은 상기 이동단말기(400)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감지부(미도시)와,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기(400) 내부 배터리의 완충시 상기 보조배터리(300)와 상기 이동단말기(400)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어부는 기 설정된 충전기준값과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기준값과 상기 감지된 전압값이 동일하거나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상기 보조배터리(300)와 상기 이동단말기(400)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준값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은 상기 이동단말기(40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40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충전기준값은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이 상기 이동단말기(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및/또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의 통신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400)의 외부단자와 상기 연결케이블(230)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무선의 통신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400)와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일 예로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은 상기 충전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과 같은 사용자입력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을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충전기준값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입력수단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에 설치되거나 상기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0) 또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일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릴레이모듈(240)은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완충 여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점등할 수 있는 충전램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에 무선충전모듈이 연결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무선충전모듈이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220)는 무선충전모듈(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충전모듈(250)은 자기유도나 자기공진 방식과 같은 무선전력송신 방식에 의해 이동단말기(100)에 장착된 배터리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무선충전모듈이면 족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그 형태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응되고 얇은 두께를 가져,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에 이동단말기(400)의 장착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모듈(250)에 의한 무선전력이 보조배터리(300)를 향하여 송신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내측 저면 및/또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내측 저면에는 자성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차폐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듈(250) 역시 상기 연결케이블(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케이블(230)의 이동단말기측 커넥터와 탈장착 가능하도록 제3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배터리는 그 크기가 이동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또는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크기는 가변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하기와 같은 수단에 따를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도 2에 도시한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배면에 위치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상측프레임(204), 하측프레임(205), 좌측프레임(202)과 우측프레임(201)을 포함하여,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상하측프레임(204, 205)과 또 다른 한 쌍의 좌우측프레임(201, 202) 중 적어도 한 쌍을 복수로 나누고, 분할된 각 부분프레임 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연장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는 상기 하측프레임(205)의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가 위치한 부분의 주변 프레임의 저면(프레임과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배면)은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와 접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가 보호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프레임(202)은 하측프레임(205)의 타단부(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210)가 위치하지 않은 단부) 및 이 위치와 대응하여 마주하는 상측프레임(204)의 타단부 각각에 형성된 제1 길이연장가이드(203a, 203b)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길이연장가이드(203a, 203b)는 상측프레임(204)을 이루는 두 제1 부분상측프레임(204a)과 제2 부분상측프레임(204b) 사이, 그리고 하측프레임(205)을 이루는 두 제1 부분하측프레임(205a)과 제2 부분하측프레임(205b)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좌측프레임(202)이 상기 제1 길이연장가이드(203a, 203b)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길이연장가이드(203a, 203b)는 상기 좌측프레임(202)과 상기 우측프레임(201)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져, 상기 좌우측프레임(201, 202)이 상기 보조배터리(300)와 밀착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프레임(204)은 좌측프레임(202)의 일 위치에 형성된 제1 절단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201)의 일 위치에 형성된 제2 절단부 각각에 형성된 제2 길이연장가이드(206a, 206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길이연장가이드(206a, 206b)는 좌측프레임(202)을 이루는 두 제1 부분좌측프레임(202a)과 제2 부분좌측프레임(202b) 사이, 그리고 우측프레임(201)을 이루는 두 제1 부분우측프레임(201a)과 제2 부분우측프레임(201b)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측프레임(204)이 상기 제2 길이연장가이드(206a, 206b)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절단부의 위치는 상기 제1 절단부의 위치와 마주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2 길이연장가이드(206a, 206b)도 상기 제1 길이연장가이드(203a, 203b)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측프레임(204)과 상기 하측프레임(205) 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져, 상기 상하측프레임(204, 205)이 상기 보조배터리(300)와 밀착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에 도시한 실시예와 도 3b에 도시한 실시예의 조합으로 프레임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프레임(204)은 제1 부분상측프레임(204a)과 제2 부분상측프레임(204b)으로 나누어지고, 하측프레임(205)는 제1 부분하측프레임(205a)과 제2 부분하측프레임(205b)으로 나누어지되, 나누어진 각 프레임은 제1 길이연장가이드(203a, 203b)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 좌측프레임(202)은 제1 부분좌측프레임(202a)과 제2 부분좌측프레임(202b)으로 나누어지고, 우측프레임(201)는 제1 부분우측프레임(201a)과 제2 부분우측프레임(201b)으로 나누어지되, 나누어진 각 프레임은 제2 길이연장가이드(206a, 206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배면 중 일측 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는 프레임(201~204)에 의해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므로, 이동단말기(400)가 장착된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돌출형성된 프레임(201~204)은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를 지지함으로써, 이동단말기(400)의 화면이 사용자의 시선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단말기(400)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는 상기 보조배터리(300)가 수용되는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소정 각도로 개방된 커버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이동단말기(4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와 분리된 부속물로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 및/또는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는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크걸이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걸이부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배터리 수용공간 내 보조배터리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가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는 경우, 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 및/또는 이동단말기용 케이스(100)는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후크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홈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가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200)의 배터리 수용공간 내 보조배터리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101: 카메라창
200: 보조배터리용 케이스 201: 우측프레임
201a: 제1 부분우측프레임 201b: 제2 부분우측프레임
202: 좌측프레임 202a: 제1 부분좌측프레임
202b: 제2 부분좌측프레임 203a, 203b: 제1 길이연장가이드
204: 상측프레임 204a: 제1 부분상측프레임
204b: 제2 부분상측프레임 205: 하측프레임
205a: 제1 부분하측프레임 205b: 제2 부분하측프레임
206a, 206b: 제2 길이연장가이드 210: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220: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 221: 제1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
230: 연결케이블 240: 전원릴레이모듈
250: 무선충전모듈 300: 보조배터리
400: 이동단말기

Claims (12)

  1. 이동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함 형태의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에 위치하여,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 및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과전류가 상기 이동단말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과전류시 상기 보조배터리와 상기 이동단말기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릴레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릴레이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감지부; 및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을 근거로 상기 이동단말기 내부 배터리의 완충시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충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어부는, 기 설정된 충전기준값과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압값을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되,
    상기 전원릴레이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충전기준값이 설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는,
    상기 보조배터리 외측에 노출 형성된 단자와 직접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는,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케이블의 일측 선단부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1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측 선단부에 위치한 보조배터리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2 연결케이블측 접촉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이동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함 형태의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에 위치하여,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 및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제공되고,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는 상기 하측 프레임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는 고정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은,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단부 및 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단부 각각에 형성된 제1 길이연장가이드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9. 이동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함 형태의 이동단말기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에 위치하여,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 및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측 접촉단자와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제공되고,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측 프레임, 하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배터리측 접촉단자는 상기 하측 프레임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는 고정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좌측 프레임의 일 위치에 형성된 제1 절단부 및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 위치에 형성된 제2 절단부 각각에 형성된 제2 길이연장가이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일측 단부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되, 상기 이동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 외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개방된 상기 커버는 기울어진 상기 이동단말기를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보조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와 분리된 부속물로 존재하되, 상기 커버의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를 향하여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용 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0170134034A 2017-08-04 2017-10-16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86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34A KR101868289B1 (ko) 2017-08-04 2017-10-16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N201721564326.2U CN207460255U (zh) 2017-10-16 2017-11-21 移动终端用保护壳
US15/823,438 US10594352B2 (en) 2017-10-16 2017-11-27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205 2017-08-04
KR20170099205 2017-08-04
KR1020170134034A KR101868289B1 (ko) 2017-08-04 2017-10-16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289B1 true KR101868289B1 (ko) 2018-06-15

Family

ID=6262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34A KR101868289B1 (ko) 2017-08-04 2017-10-16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2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21B1 (ko) 2018-09-12 2019-11-08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카드결제용 코드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151793B1 (ko) * 2019-06-13 2020-09-03 이종윤 보조배터리 고정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203220B1 (ko) * 2020-07-22 2021-01-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휴대 기기의 웨어러블 운용을 위한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70B1 (ko) 2011-02-24 2013-03-26 김남철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 보호케이스
KR20140122851A (ko) 2013-04-11 2014-10-21 최상효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KR101554605B1 (ko) 2013-05-16 2015-09-22 주식회사 애니모드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US20160118861A1 (en) * 2014-10-24 2016-04-28 Mark Joseph Gabriel Power generation us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US9461493B2 (en) * 2012-05-25 2016-10-04 Incipio, Llc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KR20160003706U (ko) * 2015-04-17 2016-10-26 정경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70B1 (ko) 2011-02-24 2013-03-26 김남철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 보호케이스
US9461493B2 (en) * 2012-05-25 2016-10-04 Incipio, Llc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
KR20140122851A (ko) 2013-04-11 2014-10-21 최상효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KR101554605B1 (ko) 2013-05-16 2015-09-22 주식회사 애니모드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US20160118861A1 (en) * 2014-10-24 2016-04-28 Mark Joseph Gabriel Power generation us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KR20160003706U (ko) * 2015-04-17 2016-10-26 정경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21B1 (ko) 2018-09-12 2019-11-08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카드결제용 코드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151793B1 (ko) * 2019-06-13 2020-09-03 이종윤 보조배터리 고정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203220B1 (ko) * 2020-07-22 2021-01-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휴대 기기의 웨어러블 운용을 위한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89B1 (ko)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00005030U (ko)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휴대 단말장치 케이스
US20120147536A1 (en) Cas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921510A (zh) 手表型耳机组件
KR20170043866A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120094728A1 (en) Attachable battery pack for intelligent cell phone
KR100800779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US10594352B2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CN214315338U (zh) 一种手机壳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KR101508601B1 (ko) 다기능 벨트
KR101561069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US20050170866A1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KR101219775B1 (ko)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0342564Y1 (ko) 버클폰
JP3168386U (ja) 携帯端末の充電用アダプタ装置
CN111093420A (zh) 内置辅助电池的便携式终端保护套
KR101561050B1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 거치대
KR102292680B1 (ko) 모듈형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