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851A -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851A
KR20140122851A KR20130039797A KR20130039797A KR20140122851A KR 20140122851 A KR20140122851 A KR 20140122851A KR 20130039797 A KR20130039797 A KR 20130039797A KR 20130039797 A KR20130039797 A KR 20130039797A KR 20140122851 A KR20140122851 A KR 2014012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charg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효
Original Assignee
최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효 filed Critical 최상효
Priority to KR2013003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851A/ko
Publication of KR2014012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충전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로 공급하거나 타 기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 배면 및 측면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 배면에 보조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2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주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보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로 공급하는 충전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수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의 방전 때에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동종 또는 이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를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 기능을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고 충전기의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Charger for Acceptance Mobile Terminal and Second Battery}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충전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로 공급하거나 타 기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커지고 화질 및 밝기를 포함한 선명도가 개선되며 통신환경의 변화와 함께 송수신 데이터의 양이 커지고 있고,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요구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전력소모량이 많아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짧아 잦은 충전이 요구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에 충전기를 이용하여 교류전원(AC)이나 직류전원(DC)을 배터리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한 후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충전기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충전된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방전에 대비하여 예비 배터리나 충전기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별도의 배터리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지만 충전에 따른 비용의 지불과 배터리의 충전시간이 긴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151호(2000.09.15.공고)의 다모델 휴대 전화기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및 휴대전화의 거치대는 제조회사에 따른 모델명 사이즈 형상 및 모양이 상이한 다수개의 개인용 휴대폰을 하나의 충전기에 의해 공동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접속구와 충전 완료됨을 인신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다모델의 휴대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충전기에 의해 공용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형태가 충전기와 휴대전화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8997호(2001.11.09.공개)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는 휴대폰 충전기를 핸드폰 모델의 종류에 상관없이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전시키는 것으로, 다수개의 단자와 충전전압상태가 표시되는 LCD 표시부를 구비하여 다기종 휴대폰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전원이 공급되는 홀더에 휴대폰을 거치시키는 형태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693호(2011.09.21.공고)의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는 충전기와 휴대 단말기를 함께 휴대하고 다니면서 충전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충전기를 선택적으로 커버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휴대폰 커버본체의 외부에 락킹 홀 및 탄성돌기의 결합을 통해 보조배터리를 탈부착시키고, 하나의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2949호(2011.10.17.공고)의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는 보호커버로 이루어지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로, 휴대폰의 연결잭을 보호커버의 커넥터에 끼워 보호커버가 휴대폰을 보호하면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보호케이스 내에 충전기를 수납하고, 그 상부에 배치되는 휴대폰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151호(2000.09.15.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8997호(2001.11.09.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693호(2011.09.21.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2949호(2011.10.17.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방전에 대비하여 보조 배터리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 기종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보조 배터리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를 케이스에 일체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보호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 배면 및 측면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 배면에 보조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2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주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보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로 공급하는 충전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제어모듈에는 상기 제1수납부 내부 일측에 돌출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핀홀에 접속되는 핀잭과, 제2수납부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보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제어모듈은 외부의 제1커넥터와 접속된 제1연결단자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정류부와, 상기 전원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로 공급하거나 외부의 단말기로 제2연결단자를 통해 제2커넥터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출력부에서 주 배터리, 보조 배터리 또는 제2연결단자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 제어하고,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의 전압을 감시하며, 주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이동통신단말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충전제어부와, 상기 제1연결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전원정류부로 입력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충전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원출력부를 통해 주 배터리, 보조 배터리 또는 제2연결단자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및 상기 전원출력부에서 주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의 충전 중 또는 충전완료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주 배터리가 먼저 충전된 후에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제2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출력부에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로 공급하거나 보조 배터리에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제어모듈의 전원정류부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되, 연결단자는 5핀용 커넥터와 8핀용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수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의 방전 때에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동종 또는 이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를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 기능을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고 충전기의 기능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의 충전제어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충전기(1)는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수납함과 더불어 보조 배터리(32)를 수납하는 케이스(2)가 구비된다. 케이스(2)는 이동통신단말기(100) 배면 및 측면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수납부(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수납부(3) 배면에 보조 배터리(32)를 고정하는 제2수납부(4)가 형성된다. 케이스(2)는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고무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좋고, 다소 유연성을 갖는 것이 좋다. 제1수납부(3)는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수납부(4)에는 제1수납부(3)에 수납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주 배터리와 같은 보조 배터리(32)가 수납되거나 타 기종의 보조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배터리는 대용량의 배터리가 수납될 수도 있다.
충전제어모듈(7)은 케이스(2) 하부에 일체로 구성된다. 충전제어모듈(7)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내에 장착된 주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보조 배터리(32)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보조 배터리(32)의 충전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100)로 공급하는 것이다.
충전제어모듈(7)에는 제1수납부(3) 내부 일측에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형성된 핀홀(101)에 접속되는 핀잭(8)이 돌출 구비된다. 핀잭(8)은 제1수납부(3) 내측면에 돌출되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형성된 핀홀(10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핀홀(101)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따라 핀잭(8)의 위치가 결정될 것이다.
그리고 충전제어모듈(7)에는 제2수납부(4)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보조 배터리(32)의 접속단자(6)와 접촉되는 충전단자(5)가 구비된다. 충전단자(5)는 제2수납부(4) 내측면에 돌출되되, 보조 배터리(32) 일측에 구성된 접속단자(6)에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을 갖는 도전체가 돌출된 것이다. 충전단자(5)의 위치는 보조 배터리(32)의 접속단자(6)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제2수납부(4)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의 크기에 따라 보조 배터리(32)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 충전제어모듈(7)에는 외측으로 제1연결단자(12)와 제2연결단자(13)가 구비된다. 제1연결단자(12)는 외부에서 교류전원(AC)이나 직류전원(DC)이 공급되는 제1커넥터(10)가 접속되는 것이다. 제1연결단자(12)는 5핀(Pin), 예를 들어, 국내 제조사에서 제조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용 연결단자이거나 또는 8핀, 예를 들어, 국외 제조사에서 제조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용 연결단자에 핀잭(Pin Jack)이 구비된 커넥터가 연결되는 핀홀(Pin Hole)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연결단자(12)는 해당하는 핀잭의 핀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13)는 충전제어모듈(7)의 충전제어부(18)의 제어로 전원출력부(16)에서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정류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28)로 공급하거나 또는 보조 배터리(32)의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28)로 공급하는 것이다. 제2연결단자(13)는 5핀이나 8핀 등의 연결단자에 핀잭이 연결되는 핀홀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연결단자(26)는 충전제어모듈(7)을 통해 동종 또는 타 기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정류부(14)는 외부의 제1커넥터(10)와 접속된 제1연결단자(12)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주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정류하는 것이다. 즉 전원정류부(14)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주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정류한 후에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제2커넥터(28)로 충전전원을 공급하여 동종 또는 타 기종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충전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정류부(14)는 충전제어모듈(7)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제어부(18)는 전원출력부(16)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주 배터리와 더불어 보조 배터리 또는 제2연결단자(13)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 제어하는 것이다. 충전제어부(18)는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32)의 전압을 감시하여 주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이동통신단말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충전제어부(18)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주 배터리와 더불어 보조 배터리(32)를 충전할 때에 주 배터리가 먼저 충전된 후에 보조 배터리(32)가 충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충전제어부(18)는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전원출력부(16)에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28)로 공급하거나 보조 배터리(32)에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28)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전원스위치(20)는 제1연결단자(1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전원정류부(14)로 입력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스위치(20)는 충전제어모듈(7)에 연결되어 충전기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전원스위치(20)의 조작으로 충전제어모듈(7)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택스위치(22)는 충전제어부(18)에 연결되어 전원출력부(16)를 통해 주 배터리, 보조 배터리(32) 또는 제2연결단자(13)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선택하는 것이다. 즉 선택스위치(22)의 조작으로 충전제어모듈(7)의 제어에 의하여 주 배터리의 충전, 보조 배터리의 충전 또는 제2연결단자로 충전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표시부(24)는 전원출력부(16)에서 주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32)의 충전 중 또는 충전완료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24)는 충전 중이나 충전완료, 또는 방전상태나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외부로 충전전원의 공급 등 충전제어부(18)의 작동을 다양한 색으로 가시적인 표시를 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24)는 충전제어부(18)의 제어로 해당 상태의 점등이나 점멸을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가청할 수 있는 다양한 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는 케이스(2)의 제1수납부(3)에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수납하고, 케이스(2)의 제2수납부(4)에는 보조 배터리(32)를 수납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제1수납부(3)에 수납될 때에 제1수납부(3)에 돌출된 핀잭(8)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핀홀(101)에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1수납부(3) 상부 외주연은 이동통신단말기(100) 가장자리 상부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제1수납부(3)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수납부(4)에 삽입되는 보조 배터리(32)는 접속단자(6)가 제2수납부(4) 내측면에 돌출된 충전단자(5)와 접촉되도록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1수납부(3)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핀잭(8)에 핀홀(101)이 결합되면서 고정되고, 제2수납부(4)에는 보조 배터리(32)가 충전단자(5)에 접속단자(6)가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충전제어모듈(7)의 제1연결단자(12)에 제1커넥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스위치(20)를 온(On)시키면, 제1연결단자(12)를 거쳐 인가된 외부전원은 전원정류부(14)에서 정류된 후에 전원출력부(16)로 출력된다. 이때, 충전제어부(18)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주 배터리(30)와 제2수납부(4)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32)의 전압상태를 각각 감지한다. 그리고 충전제어부(18)는 선택스위치(22)의 입력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충전제어부(18)는 선택스위치(22)에서 주 배터리(30)의 충전, 보조 배터리(32)의 충전 또는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외부 연결기기의 충전 등의 선택이 있으면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충전제어부(18)는 선택스위치(22)의 별도 선택이 없을 경우에 주 배터리(30)로 전원출력부(16)에서 출력되는 충전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주 배터리(30)를 먼저 충전시키고, 주 배터리(30)의 충전이 완료되면 보조 배터리(32)가 충전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 충전제어부(18)는 선택스위치(22)의 선택과 더불어 제2연결단자(13)의 제2커넥터(28)를 통해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110)나 다른 연결기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출력부(16)에서 출력되는 충전전원이 제2연결단자(13)로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충전제어부(18)는 제1연결단자(12)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32)의 충전전원이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충전제어부(18)는 상기 해당하는 기능의 수행을 표시부(24)를 통해 가시적인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충전제어부(18)는 제1연결단자(12)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제2연결단자(13)를 통해 보조 배터리(32)의 충전전원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 즉 이동통신단말기(100)기 휴대중인 때에 주 배터리(30)가 방전되면, 충전제어부(18)는 보조 배터리(32)의 충전전원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주 배터리(30)의 충전과 예비전원으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32)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다른 이동통신단말기(110)로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충전기 2: 케이스 3: 제1수납부 4: 제2수납부 5: 충전단자 6: 접속단자 7: 충전제어모듈 10: 제1커넥터 12, 13: 제1연결단자 14: 전원정류부 16: 전원출력부 18: 충전제어부 20: 전원스위치 22: 선택스위치 24: 표시부 26: 제2연결단자 28: 제2커넥터 30: 주 배터리 32: 보조 배터리 100, 101: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6)

  1. 이동통신단말기 배면 및 측면 외측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수납부 배면에 보조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2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주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보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로 공급하는 충전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모듈에는 상기 제1수납부 내부 일측에 돌출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핀홀에 접속되는 핀잭과, 제2수납부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보조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충전단자가 포함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모듈은 외부의 제1커넥터와 접속된 제1연결단자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정류부와,
    상기 전원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로 공급하거나 외부의 단말기로 제2연결단자를 통해 제2커넥터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출력부에서 주 배터리, 보조 배터리 또는 제2연결단자로 출력되는 전원을 단속 제어하고,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의 전압을 감시하며, 주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가 되면 보조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이동통신단말기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충전제어부와,
    상기 제1연결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전원정류부로 입력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충전제어부에 연결되어 전원출력부를 통해 주 배터리, 보조 배터리 또는 제2연결단자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및
    상기 전원출력부에서 주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의 충전 중 또는 충전완료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주 배터리가 먼저 충전된 후에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제2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출력부에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로 공급하거나 보조 배터리에서 충전전원을 제2커넥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모듈의 전원정류부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되, 연결단자는 5핀용 커넥터와 8핀용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KR20130039797A 2013-04-11 2013-04-11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KR20140122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97A KR20140122851A (ko) 2013-04-11 2013-04-11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9797A KR20140122851A (ko) 2013-04-11 2013-04-11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851A true KR20140122851A (ko) 2014-10-21

Family

ID=5199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9797A KR20140122851A (ko) 2013-04-11 2013-04-11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8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7760A (zh) * 2016-05-13 2016-08-03 兴科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可装配备用电池的手机保护套及其制备工艺
KR20170000893U (ko) * 2015-08-25 2017-03-08 (주) 세노텍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868289B1 (ko) 2017-08-04 2018-06-15 신승민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180076507A (ko) * 2016-12-28 2018-07-06 최경훈 스마트폰 케이스
US10594352B2 (en) 2017-10-16 2020-03-17 Seung Min SHI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102202969B1 (ko) * 2020-01-02 2021-01-15 이동훈 다량의 지폐와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겸용 핸드폰 케이스
KR20210092411A (ko) * 2020-01-16 2021-07-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충전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보호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93U (ko) * 2015-08-25 2017-03-08 (주) 세노텍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CN105827760A (zh) * 2016-05-13 2016-08-03 兴科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可装配备用电池的手机保护套及其制备工艺
CN105827760B (zh) * 2016-05-13 2018-12-21 兴科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可装配备用电池的手机保护套及其制备工艺
KR20180076507A (ko) * 2016-12-28 2018-07-06 최경훈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68289B1 (ko) 2017-08-04 2018-06-15 신승민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10594352B2 (en) 2017-10-16 2020-03-17 Seung Min SHI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102202969B1 (ko) * 2020-01-02 2021-01-15 이동훈 다량의 지폐와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겸용 핸드폰 케이스
KR20210092411A (ko) * 2020-01-16 2021-07-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충전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851A (ko)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기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10199041A1 (en) Rechargeable battery product
EP1814015A1 (en) Multifunctional charger device
WO2009132193A2 (en) Portable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electronic devices
KR20130097954A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1441677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CN214204974U (zh) 电池用充电装置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JP2010110195A (ja) 携帯端末用ケース
KR20120124194A (ko)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10064401A (ko) 멀티 충전장치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CN209572135U (zh) 耳机充电仓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20080004844U (ko) 이동기기에 대한 휴대용 크레들 충전기
CN201804978U (zh) 智能手机的外置电池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JPH11155239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KR20150106296A (ko)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KR101520935B1 (ko)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다이어리 설치용 다용도 충전장치
CN217904617U (zh) 蓝牙耳机套装
KR20130104651A (ko)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보조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