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401A - 멀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401A
KR20110064401A KR1020090120991A KR20090120991A KR20110064401A KR 20110064401 A KR20110064401 A KR 20110064401A KR 1020090120991 A KR1020090120991 A KR 1020090120991A KR 20090120991 A KR20090120991 A KR 20090120991A KR 20110064401 A KR20110064401 A KR 2011006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786B1 (ko
Inventor
김삼득
Original Assignee
김삼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득 filed Critical 김삼득
Priority to KR102009012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7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휴대통신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는, 다수개의 휴대 통신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기울기로 일면 또는 다수면에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각각 설치되며,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와 연결되어 충전하는 충전 단자;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다수개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각 충전 단자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휴대 통신 기기 내의 전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상태 감지부;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마다 설치되며,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포함한다.
휴대폰, 충전, 멀티, 충전상태, 표시

Description

멀티 충전장치{MULTI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멀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휴대통신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시장 또는 무선 통신 기기 시장은 무한한 잠제력을 가지고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작금에는 휴대폰 시장 자체가 포화상태에 이른 나라들도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재 우리나라도 역시 휴대폰의 보급이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러 휴대폰은 대다수의 사람들에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상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폰 등 휴대 통신 기기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수시로 충전작업이 요구되는 제품이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자신의 자동차,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별도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충전장치를 휴대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회사, 병원 등 다수의 인원들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장소에서 다수의 충전작업이 필요한 경우 충전작업에 대한 불편이 극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개의 휴대 통신 기기를 휴대폰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는, 다수개의 휴대 통신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기울기로 일면 또는 다수면에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각각 설치되며,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와 연결되어 충전하는 충전 단자;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다수개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각 충전 단자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휴대 통신 기기 내의 전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상태 감지부;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마다 설치되며,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전원 분배부와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상기 전선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 통신기기의 충전잭과 결합되는 회동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멀티 충전장치에는,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 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고 있는 탄성 권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충전단자의 사용시에 전선이 늘어지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는,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점착하여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는, 충전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또는 현재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멀티 충전장치에는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거치된 휴대 통신 기기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와 연결되며, 충전 중인 휴대 통신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알림음을 발생하는 알림음 발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에 즉각 알릴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에 의하면 다수개의 휴대폰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충전 중인 휴대폰의 현재 배터리 충전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표시하며, 더 나아가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충전단자(20), 정전압부(30), 전원 분배부(40), 충전 상태 감지부(50), 충전 상태 표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에 의하여 충전되는 휴대 통신 기기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PDA, PMP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1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형성되는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1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측에 5개씩 10개의 휴대통신기기 거치면(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정전압부(30), 전원분배부(40), 충전 상태 감지부(50), 충전 상태 표시부(60) 등의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이 본체(10)는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거치되는 휴대폰을 세울수 있는 빗면의 거치면(12)을 가지며, 하면은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놓일 수 있도록 넓은 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휴대통신 기기 거치면(12)에는 거치되는 휴대통신 기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점착 테이프(1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 테이프(14)는 충전되는 동안 휴대 통신기기를 부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점착 테이프(14)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부착력을 가지면서도 휴대통신기기를 분리할 경우 점착물질이 휴대폰으로 전사되지 않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즉, 우수한 부 착 특성을 가지면서도 휴대통신기기에 이물질이 전사되지 않는 실리콘 접착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 대현의 ST-9875 제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점착 테이프(14)는 부착 성능이 저하될 경우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면(1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충전단자(20)는 상기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12)마다 각각 설치되며,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와 연결되어 이를 충전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단자(20)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22) 및 회동 결합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선(22)은 후술하는 전원 분배부(40)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회동 결합구(24)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회동 결합구(24)는 실제로 휴대 통신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잭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이 수직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통신 기기에 따라서는 충전잭이 기기의 하면에 구비되거나 측면에 구비되는 등 그 설치위치가 상이하므로, 충전잭 설치위치에 무관하게 충전 단자(20)를 휴대통신 기기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회동 결합구(24)를 90°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에는 상기 충전단자(20)와 휴대통신 기기 사이에 별도의 중간 연결단자(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각 휴대폰 제조사에 따라 표준 충전단자 이외에 별도의 중간 연결단자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대비하여 별도의 중간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에는 상기 전선(22)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고 있는 탄성 권취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 권취부는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되되, 상기 충전단자(20) 별로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 탄성 권취부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선(22)을 항상 당겨서 감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결합구(24)를 당겨서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에 결합한 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 권취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선(22)이 팽팽하게 당겨지게되어 별도로 전선을 정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탄성 권취부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수철을 이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정전압부(3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90)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직류 전원은 예를 들어 DC5V, 5A의 크기를 가지고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부(40)는 상기 정전압부(30)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다수개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각 충전 단자(20)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예를 들어 충전단자(20)가 10개면, 각 충전단자에 DC5V, 500mA의 크기를 갖는 직류 전원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충전 상태 감지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단자(2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충전단자(20)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휴대 통신 기기 내의 전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이 충전상태 감지부(50)는 상기 충전단자(20)를 통하여 상기 휴대 통신 기기 내의 전지와 연결되어, 상기 전지 의 현재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더 나아가서 충전이 완료될 때가지의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12)마다 하측 또는 상측 전면 잘 보이는 곳에 설치되며,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충전상태 표시부(60)는 현재의 전지 충전상태를 LED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상기 충전상태 감지부(50)에서 계산된 충전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충전완료시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충전에 필요한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60)와 연결되며, 충전 중인 휴대 통신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알림음을 발생하는 알림음 발생부(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림음 발생부(80)는 충전중인 특정한 휴대통신 기기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알림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충전 완료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에는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1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거치된 휴대 통신 기기를 덮는 덮개(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덮개(70)는 거치된 휴대 통신 기기를 상기 점착 테이프(14)와 함께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충전 중인 휴대 통신 기기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70)는 충전 중인 휴대 통신 기기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동 힌지(72)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Claims (7)

  1. 다수개의 휴대 통신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기울기로 일면 또는 다수면에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다수의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각각 설치되며,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와 연결되어 충전하는 충전 단자;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다수개의 전원으로 분배하여 상기 각 충전 단자에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휴대 통신 기기 내의 전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상태 감지부;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마다 설치되며,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멀티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전원 분배부와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상기 전선의 말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 통신기기의 충전잭과 결합되는 회동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전선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고 있는 탄성 권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는,
    거치되는 휴대 통신 기기를 점착하여 고정하는 점착 테이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는,
    충전 완료시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휴대 통신 기기 거치면에 거치된 휴대 통신 기기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감지부와 연결되며, 충전 중인 휴대 통신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알림음을 발생하는 알림음 발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충전장치.
KR1020090120991A 2009-12-08 2009-12-08 멀티 충전장치 KR10108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991A KR101085786B1 (ko) 2009-12-08 2009-12-08 멀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991A KR101085786B1 (ko) 2009-12-08 2009-12-08 멀티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01A true KR20110064401A (ko) 2011-06-15
KR101085786B1 KR101085786B1 (ko) 2011-11-25

Family

ID=4439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991A KR101085786B1 (ko) 2009-12-08 2009-12-08 멀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7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31B1 (ko) * 2012-08-23 2013-03-04 강신만 태블릿 pc 충전함
WO2014030917A1 (ko) * 2012-08-24 2014-02-27 Cho Ho Seok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KR101508712B1 (ko) * 2014-04-14 2015-04-07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다중 배터리팩 충전장치
KR20150137207A (ko) * 2014-05-28 2015-12-0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컨테이너유닛
KR20210099373A (ko) * 2020-02-04 2021-08-12 (주)정인일렉텍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4Y1 (ko) * 2002-10-29 2003-02-14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멀티 휴대폰 충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31B1 (ko) * 2012-08-23 2013-03-04 강신만 태블릿 pc 충전함
WO2014030917A1 (ko) * 2012-08-24 2014-02-27 Cho Ho Seok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KR101508712B1 (ko) * 2014-04-14 2015-04-07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다중 배터리팩 충전장치
KR20150137207A (ko) * 2014-05-28 2015-12-0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쪼가리 고도지능객체 장치의 컨테이너유닛
KR20210099373A (ko) * 2020-02-04 2021-08-12 (주)정인일렉텍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블 도난방지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786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6936B2 (en) Rechargeable inductive charger
JP3148046U (ja) 携帯型給電装置
US20140203661A1 (en) Inductive power receiver having dual mode connecto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s
US20060028166A1 (en) Photovoltaic device
KR101620628B1 (ko) 헤드셋 무선충전 시스템
KR101085786B1 (ko) 멀티 충전장치
KR20100082348A (ko) 유도충전식 오디오기기
CN201570704U (zh) 带充电伸缩线的墙壁插座
US20100137038A1 (en) Interchangeable Docking Cradle
KR20140089972A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US20050219882A1 (en) Power converter with output voltage level indicating device
CN203456896U (zh) 一种折盖式无线充电移动电源
WO2012066407A1 (en) Multiple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08353009U (zh) 一种组合式多功能充电器
CN201797005U (zh) 苹果手机背夹式外挂电池
US200701233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mobile phone with conventional DC batteries
CN102157969A (zh) 一种便携式充电装置
KR20140037346A (ko) 태양전지 이용 휴대단말기 충전 거치대
CN210092924U (zh) 三合一充电装置
CN213402475U (zh) 一种具有支撑固定手机的移动电源
CN212486171U (zh) 一种便携收纳电源
CN208656109U (zh) 一种混合式无线充电插排
CN215185991U (zh) 一种具有手机支架功能的充电宝
CN103166286A (zh) 一种具有投影功能手机的专用手机伴侣及其应用
KR20190103846A (ko) 발전수단이 부착된 코드리스 무선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