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680B1 - 모듈형 배터리 - Google Patents

모듈형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680B1
KR102292680B1 KR1020190142885A KR20190142885A KR102292680B1 KR 102292680 B1 KR102292680 B1 KR 102292680B1 KR 1020190142885 A KR1020190142885 A KR 1020190142885A KR 20190142885 A KR20190142885 A KR 20190142885A KR 102292680 B1 KR102292680 B1 KR 10229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binding
termina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148A (ko
Inventor
윤인식
박정민
김성열
유제욱
박신우
박성인
김종찬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2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e.g. quick releas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2End pieces with two or mor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모듈형 배터리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터리는, 블럭구조의 하우징 일측에 외부 전력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단자가 형성되고, 하우징 타측에 전력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단자가 형성되며, 외부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 전력 충전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 단자부; 상기 충전단자부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3단자가 형성되며, 내부에 충전 단자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변압한 후, 전력 저장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저장부를 충전시키는 전력 충전부; 상기 전력 충전부의 일측에 결속되고, 전력 충전부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내부에 저장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 출력부에 제공하는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전력 저장부의 타측에 장착되고, 전력출력을 위한 출력포트를 결속할 수 있는 구조이며, 전력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포트에 전달하여 전력을 외부로 제공하는 전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형 배터리 {Module Type Battery}
본 발명은 모듈형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호환성이 뛰어나 여러가지의 출력포트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스마트기기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해당 스마트기기의 사용 가능 시간을 늘리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자 사이에서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의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처음에는 구매 시 처음부터 용량이 큰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거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여분의 배터리를 구매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방법은 여분의 배터리를 구매해야 하는 단점과, 보유중인 스마트기기가 많은 경우에 모든 종류의 배터리를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배터리 교환 시에는 필연적으로 스마트기기의 전원이 오프 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연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해당 작업을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스마트기기의 경향인 배터리와 기기의 일체형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여분의 배터리 자체가 없다는 문제점도 추가로 발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사용자들은 스마트기기의 전지 용량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사용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휴대하는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도 1 참조) 상기한 휴대용 배터리는 미리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한 후, 스마트기기의 배터리가 많이 소모되었을 때 별도의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직접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휴대용 배터리는 스마트기기의 충전 중에 스마트기기의 전원을 내리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과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하나의 휴대용 배터리로 모두 충전할 수 있는 범용성 등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요소가 많아 빠르게 시장을 넓혀나갔다.
그러나 휴대용 배터리 역시 배터리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전에 충전을 해야하는 과정이 필수이다. 따라서 휴대용 배터리도 전원 코드로 별도 충전을 해야 하나, 전원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사용하는 스마트기기를 우선하여 충전하기 때문에 우선 순위에서 밀리며, 상기와 같은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휴대용 배터리의 충전을 잊어버리는 일이 잦아 사용할 때 최대 용량을 충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다양한 사양의 충전 아답터, 케이블, 전원 코드, 연결 포트와 호환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0777호 (2017년 10월 12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호환성이 뛰어나 여러가지의 출력포트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듈형 배터리는, 블럭구조의 하우징 일측에 외부 전력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단자가 형성되고, 하우징 타측에 전력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단자가 형성되며, 외부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 전력 충전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 단자부; 상기 충전단자부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2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3단자가 형성되며, 내부에 충전 단자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변압한 후, 전력 저장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저장부를 충전시키는 전력 충전부; 상기 전력 충전부의 일측에 결속되고, 전력 충전부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내부에 저장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 출력부에 제공하는 전력 저장부; 및 상기 전력 저장부의 타측에 장착되고, 전력출력을 위한 출력포트를 결속할 수 있는 구조이며, 전력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포트에 전달하여 전력을 외부로 제공하는 전력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의 제1단자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전력 충전부에 형성된 제3단자와 대응되는 구조의 제1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충전부의 제3단자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전력 충전부에 형성된 제1단자와 대응되는 구조의 제2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충전부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1결속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 저장부의 일측에는 전력 충전부의 제1결속 돌기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1결속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속 돌기에는 전력 저장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속 홈에는 전력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부의 일측에는 전력 출력부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2결속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 출력부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의 제2결속 돌기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2결속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속 돌기에는 전력 출력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속 홈에는 전력 저장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속 돌기는 제1결속 홈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충전부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1결속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 저장부의 일측에는 전력 충전부의 제1결속 돌기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1결속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저장부의 일측에는 전력 출력부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2결속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 출력부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의 제2결속 돌기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2결속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속 돌기는 제1결속 홈 및 제2결속 홈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2결속 돌기는 제1결속 홈 및 제2결속 홈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속 돌기, 제1결속 홈 및 제2결속 홈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속 돌기, 제1결속 홈 및 제2결속 홈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출력부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를 결속할 수 있는 돌출형 구조의 출력포트 결속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포트의 일측에는 출력포트 결속레일과 결속될 수 있는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포트의 타측에는 전력 출력부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포트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출력포트 결속레일과 결속홈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출력부의 일측면에는 전력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량 및 전력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형 배터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충전 단자부, 전력 충전부, 전력 저장부 및 전력 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호환성이 뛰어나 여러가지의 출력포트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배터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결속 돌기, 제1결속 홈, 제2결속 돌기, 제2결속 홈을 각각 전력 충전부, 전력 저장부 및 전력 출력부에 형성함으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손쉽고 자유롭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배터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출력포트 결속레일을 전력 출력부의 일측에 형성하고, 다양한 사양의 출력포트를 출력포트 결속 레일에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에 전력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호환성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휴대용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듈형 배터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모듈형 배터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배터리(100)는, 특정 구조의 충전 단자부(110), 전력 충전부(120), 전력 저장부(130) 및 전력 출력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단자부(110)는 블럭구조의 하우징 구조로서, 하우징 구조의 일측에 외부 전력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단자(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타측에 전력 충전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단자(112)가 형성되며, 외부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 전력 충전부(12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력 충전부(120)는 충전 단자부(110)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전력 충전부(120)의 일측에 제2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3단자(121)가 형성되며, 내부에 충전 단자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변압한 후, 전력 저장부(1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저장부(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충전부(120)의 상부면에 다양한 사양의 포트(125, 126)를 장착하여, 충전 단자부(110)와 전력 충전부(120)만의 조합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력 저장부(130)는 전력 충전부(120)의 일측에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전력 충전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내부에 저장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 출력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출력부(140)는 전력 저장부(130)의 타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출력을 위한 출력포트(150)를 결속할 수 있는 구조이며, 전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포트(150)에 전달하여 전력을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단자부(110)의 제1단자(111)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전력 충전부(120)에 형성된 제3단자(121)와 대응되는 구조의 제1결속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충전부(120)의 제3단자(121)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전력 충전부(120)에 형성된 제1단자(111)와 대응되는 구조의 제2결속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충전부(120)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130)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1결속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저장부(130)의 일측에는 전력 충전부(120)의 제1결속 돌기(123)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1결속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속 돌기(123)에는 전력 저장부(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결속 홈(131)에는 전력 충전부(12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저장부(130)의 일측에는 전력 출력부(140)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2결속 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130)의 제2결속 돌기(133)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2결속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속 돌기(133)에는 전력 출력부(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속 홈(141)에는 전력 저장부(13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속 돌기(133)는 제1결속 홈(131)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제1결속 돌기(123)는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이고, 이와 동시에, 제2결속 돌기(133)는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1결속 돌기(123),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24, 132, 1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속 돌기(133),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34, 132, 1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전기적 접속단자(124, 132, 134, 142)의 구조를 USB 접속 단자 구조로 구성할 경우, 전기적 접속단자를 직접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전력 저장부(130)를 추가하여 전체 모듈형 배터리(100)를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력 저장부(130)를 생략하고 충전 단자부(110)-전력 충전부(120)-전력 출력부(140)-출력포트(150)의 구성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저장부(130), 전력 출력부(140)를 생략하고, 충전 단자부(110)-전력 충전부(120)의 구성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150)를 결속할 수 있는 돌출형 구조의 출력포트 결속레일(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포트(150)의 일측에는 출력포트 결속레일(143)과 결속될 수 있는 결속홈(151)이 형성되어 손쉽고 안정적인 결속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출력포트 결속레일(143)과 결속홈(15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포트(150)의 타측에는 전력 출력부(140)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포트(152)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면에는 전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력량 및 전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력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144)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형 배터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충전 단자부(110), 전력 충전부(120), 전력 저장부(130) 및 전력 출력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호환성이 뛰어나 여러가지의 출력포트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배터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결속 돌기(123), 제1결속 홈(131), 제2결속 돌기(133), 제2결속 홈(141)을 각각 전력 충전부(120), 전력 저장부(130) 및 전력 출력부(140)에 형성함으로써, 배터리의 용량을 손쉽고 자유롭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배터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출력포트 결속레일(143)을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에 형성하고, 다양한 사양의 출력포트를 출력포트 결속 레일에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에 전력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호환성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듈형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모듈형 배터리
110: 충전 단자부
111: 제1단자
112: 제2단자
113: 제1결속홈
114: 결속구조
120: 전력 충전부
121: 제3단자
122: 제2결속홈
123: 제1결속 돌기
124: 전기적 접속단자
125: 포트
126: 포트
127: 결속구조
130: 전력 저장부
131: 제1결속 홈
132: 전기적 접속단자
133: 제2결속 돌기
134: 전기적 접속단자
140: 전력 출력부
141: 제2결속 홈
142: 전기적 접속단자
143: 출력포트 결속레일
144: 디스플레이장치
150: 출력포트
151: 결속홈
152: 포트
153: 포트

Claims (10)

  1. 블럭구조의 하우징 일측에 외부 전력 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단자(111)가 형성되고, 하우징 타측에 전력 충전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단자(112)가 형성되며, 외부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 전력 충전부(120)에 전력을 전달하는 충전 단자부(110);
    상기 충전 단자부(110)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2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3단자(121)가 형성되며, 내부에 충전 단자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기설정된 전압으로 변압한 후, 전력 저장부(1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저장부(130)를 충전시키고, 상부면에 다양한 사양의 포트(125,126)가 장착되는 전력 충전부(120);
    상기 전력 충전부(120)의 일측에 결속되고, 전력 충전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내부에 저장하며,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 출력부(140)에 제공하는 전력 저장부(130); 및
    상기 전력 저장부(130)의 타측에 장착되고, 전력출력을 위한 출력포트(150)를 결속할 수 있는 구조이며, 전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포트(150)에 전달하여 전력을 외부로 제공하는 전력 출력부(140);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단자부(110)의 제1단자(111)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전력 충전부(120)에 형성된 제3단자(121)와 대응되는 구조의 제1결속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 충전부(120)의 제3단자(121)가 형성된 일측면에는, 전력 충전부(120)에 형성된 제1단자(111)와 대응되는 구조의 제2결속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전력 충전부(120)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130)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1결속 돌기(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 저장부(130)의 일측에는 전력 충전부(120)의 제1결속 돌기(123)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1결속 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 저장부(130)의 일측에는 전력 출력부(140)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돌출구조의 제2결속 돌기(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에는 전력 저장부(130)의 제2결속 돌기(133)와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만입구조의 제2결속 홈(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속 돌기(123)는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2결속 돌기(133)는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과 조립되어 결속될 수 있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이며,
    상기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150)를 결속할 수 있는 돌출형 구조의 출력포트 결속레일(1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포트(150)의 일측에는 출력포트 결속레일(143)과 결속될 수 있는 결속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포트(150)의 타측에는 전력 출력부(140)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포트(15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출력포트 결속레일(143)과 결속홈(15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배터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 돌기(123),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24, 132, 1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속 돌기(133), 제1결속 홈(131) 및 제2결속 홈(141)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적 접속단자(134, 132, 1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배터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출력부(140)의 일측면에는 전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력량 및 전력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력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14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배터리.
KR1020190142885A 2019-11-08 2019-11-08 모듈형 배터리 KR10229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885A KR102292680B1 (ko) 2019-11-08 2019-11-08 모듈형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885A KR102292680B1 (ko) 2019-11-08 2019-11-08 모듈형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48A KR20210056148A (ko) 2021-05-18
KR102292680B1 true KR102292680B1 (ko) 2021-08-23

Family

ID=7615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885A KR102292680B1 (ko) 2019-11-08 2019-11-08 모듈형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1797A1 (en) * 2017-10-31 2019-05-02 Gemtek Technology Co., Ltd. Power bank with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311U (ko) * 2012-08-24 2014-03-05 조호석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KR20170110777A (ko) 2016-03-24 2017-10-12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다용도 휴대용 배터리 충전 모듈
KR20180010114A (ko) * 2016-07-20 2018-01-30 김융 조립이 가능한 보조배터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1797A1 (en) * 2017-10-31 2019-05-02 Gemtek Technology Co., Ltd. Power bank with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48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20319487A1 (en) Integrated Battery Backup and Charging for Mobile Devices
US20140042969A1 (en) Multi-source power adapter
US20130193911A1 (en) Motion-actuated portable charger
US20110199041A1 (en) Rechargeable battery product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US20130069583A1 (en) Power module for portable devices
KR20050120874A (ko) 모바일 차저
US20150037618A1 (en) Protecting case
CA2800513A1 (en) Power module for portable devices
US20090079392A1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nding unit
US20140159639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TWM513505U (zh) 行動電源及其保護殼
KR20140077349A (ko) 휴대폰에 연결 가능한 유에스비 메모리
KR101868289B1 (ko)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292680B1 (ko) 모듈형 배터리
US7623352B2 (en) Power supply and speakerphone for handheld devices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JP2011182566A (ja) 充電源装置
TWM510586U (zh) 擴充裝置與具有其之保護殼
KR101219775B1 (ko) 모바일 기기 충전 및 거치대
CN209881874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CN208226591U (zh) 一种移动电源
KR20160102678A (ko) 휴대형 다기능 충전 배터리팩
KR101483780B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