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102B1 -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102B1
KR102111102B1 KR1020187017165A KR20187017165A KR102111102B1 KR 102111102 B1 KR102111102 B1 KR 102111102B1 KR 1020187017165 A KR1020187017165 A KR 1020187017165A KR 20187017165 A KR20187017165 A KR 20187017165A KR 102111102 B1 KR102111102 B1 KR 10211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ceiving cavity
main body
rear surface
flexib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441A (ko
Inventor
웨이빈 유
자오 청
위구이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공개하며,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본체에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며, 본체는 대향 설치된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수용 캐비티의 개구는 정면과 배면 사이에 위치하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고정부와 자유부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정면에 설치되고, 자유부는 수용 캐비티에 수용되거나 또는 배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고정부를 본체의 정면에 설치하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의 자유부는 자유롭게 구부러 질 수 있고, 또한 본체에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어, 자유부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배면에 맞붙거나 또는 수용 캐비티에 수용되어 수납을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단말의 휴대성을 향상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모바일 단말을 공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본 발명은 2015년 12월 29일에 제출한 발명 명칭이 "모바일 단말”이고 출원번호가 201511026170.8인 사전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술한 사전 출원의 내용은 인입의 방식으로 본 원본에 합병된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의 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발전 추세로 되었는 바, 기존 기술에서의 제조상은 모바일 단말의 사이즈를 계속 확대하는 것을 통해 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현한다. 모바일 단말의 사이즈가 점점 크게 변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하고, 모바일 단말의 휴대성을 낮춘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며,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본체에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는 대향으로 설치된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는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고정부와 자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유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배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며,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대향으로 설치된 정면과 배면 및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연결된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는 상기 측벽에 위치한다.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옆쪽으로부터 뻗어 나간 자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자유부는 구부러져 상기 측벽을 돌아 상기 배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캐비티에 넣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며, 설명된 하기의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중 일부일 뿐,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창조적인 노력을 기여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들에 따라 기타의 도면들을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이 수납 상태일 경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이 수납 상태일 경우의 다른 하나의 시각에서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이 사용 상태일 경우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이 사용 상태일 경우의 다른 하나의 시각에서의 개략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모바일 단말(100)은 임의의 통신 및 저장 기능이 있는 기기이며, 예를 들어, 태블릿 PC, 휴대폰, 전자책 리더기, 리모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 컴퓨터, 차량용 장치, 네트워크 TV, 웨어러블 장치 등 네트워크기능을이 구비한 스마트 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용어 "상”, "하”, "좌”, "우”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 지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에 따라 구성 및 동작해야 한다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바,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본체(1)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를 포함하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고정부(21)는 본체(1)의 정면(11)에 설치되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자유부(22)는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고, 또한 본체(1)에 수용 캐비티(15a)가 설치되어, 자유부(22)로 하여금 사용되지 않을 경우 구부러져 배면(12)에 맞붙거나 또는 구부러져 수용 캐비티(15a)에 수용되어 수납을 진행하는 바, 모바일 단말(100)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단말(100)의 휴대성을 향상한다.
실시예에서, 본체(1)는 직사각형의 구조 부재이다. 본체(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는 대향으로 설치된 정면(11)과 배면(12), 대향으로 설치된 상단면(13)과 하단면(14), 대향으로 설치된 2개의 측벽(15)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의 두께는 정면(11)과 배면(12)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고; 본체(1)의 길이는 상단면(13)과 하단면(14)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며; 본체(1)의 폭은 본체(1)의 2개의 측벽(15)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여기서, 본체(1)의 측벽(15)에는 수용 캐비티(15a)가 설치되며, 자유부(22)가 수용 캐비티(15a)에 바람직하게 용납될 수 있도록 당해 수용 캐비티(15a)와 자유부(22)의 사이즈는 같다.
본 실시예에서,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고정부(21)와 자유부(22)를 포함하며, 고정부(21)는 정면(11)에 설치되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본체(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유부(22)의 단부는 측벽(1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배면(12)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긴 직사각형이다.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길이는 정면(11), 배면(12)의 폭의 합보다 작아, 자유부(22)가 구부러져 배면(12)에 맞붙을 경우, 자유부(22)의 단부가 본체(1)에서 내뻗지 않도록 한다.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전기 신호를 주요하게 고정부(21)에 집적하여, 자유부(22)가 구부러지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 이해 할 수 있듯이,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본체(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사용자는 바로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를 터치하는 것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과 서로 인터랙션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유부(22)는 측벽(15)을 따라 구부러져 배면(12)에 맞붙을 수 있는 바, 자유부(22)가 구부러져 배면(12)에 맞붙을 경우, 사용자는 배면(12)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살펴볼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0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유부(22)를 구부려 수용 캐비티(15a)에 밀어 넣어 수납한다.
모바일 단말(100)의 풀스크린(full screen) 사용이 필요할 경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펼쳐진 상태에 처하여 큰 스크린을 형성하게 하며; 모바일 단말(100)을 사용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작은 스크린의 사용만 필요한 경우, 자유부(22)를 수용 캐비티(15a)에 수용하거나 또는 구부려 배면(12)에 맞붙여 설치하는 바, 모바일 단말(100)의 체적을 감소하고, 모바일 단말(100)의 휴대성을 향상한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지지판(3)을 더 포함하고, 지지판(3)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회전부(31)와 지지부(32)를 포함하며, 회전부(31)는 측벽(15)에 회전 연결되고, 지지부(32)는 배면(12)에 접촉된다.
지지판(3)을 증설하는 것을 통해,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큰 스크린의 사용 즉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완전히 펼쳐질 경우, 지지판(3)의 지지부(32)에 지지될 수 있고, 자유부(22)의 누름에 대하여 지지하는 힘을 구비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누름 감도를 향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15)은 하나의 바형(bar-type)의 노치가 설치되어, 회전부(31)가 측벽(15)에 회전 연결될 경우, 지지부(32)가 측벽(15)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가지런함을 더 향상한다. 당해 바형의 노치는 수용 캐비티(15a)의 개구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바형의 노치와 수용 캐비티(15a)의 개구는 각각 정면(11)과 배면(12)에 근접한다. 바형의 노치는 본체(1)의 길이의 방향을 따라 2개의 그루브 벽이 순차적으로 마주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그루브 벽에 각각 회전 홀이 구비된다.
회전부(31)는 기둥형이고, 회전부(31)의 축방향을 따라 대향으로 설치된 양측에 각각 회전축이 돌출 설치되고, 회전부(31)가 2개의 회전축을 통해 각각 2개의 회전 홀에 회전 연결되어, 회전부(31)와 측벽(15)의 회전 연결을 구현한다. 즉 지지판(3)의 회전축은 본체(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여, 지지부(32)와 배면(12) 사이에 0~180도의 개폐 각도를 구비하도록 한다.
지지판(3)이 사용될 경우, 배면(12)에 상대하여 지지부(32)를 180도 회전하여,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자유부(22)가 지지부(32)에 맞붙게 하여, 자유부(22)에 대한 누름에 대하여 지지하는 힘을 가지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누름 감도를 향상한다.
지지판(3)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지지부(32)를 회전하여, 지지부(32)가 배면(12)에 맞붙게 되어, 모바일 단말(100)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단말(100)의 휴대성을 향상한다.
선택적으로, 배면(12)에는 오목부(12a)가 설치되고, 지지부(32)가 배면(12)과 접촉할 경우, 지지부(32)는 오목부(12a)에 용납된다.
배면(12)에 오목부(12a)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지지부(32)가 배면(12)에 맞붙을 경우, 오목부(12a)에 용납될 수 있어, 모바일 단말(100)의 평탄도를 더 향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면(12)과 지지부(32)가 맞붙은 위치에 오목부(12a)를 설치한다. 오목부(12a)가 정면(11)으로부터 배면(12)까지의 방향을 따른 두께는 지지부(32)의 두께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같아, 지지부(32)가 회동하여 배면(12)에 맞붙도록 한 후, 이때의 배면(12)은 가지런한 평면으로써, 모바일 단말(100)의 평탄도를 향상한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연결 부재는 오목부(12a)에 설치되고, 제2 연결 부재는 지지부(32)에 설치되며, 지지부(32)가 오목부(12a)에 맞붙을 경우, 제2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된다.
연결 어셈블리를 증설하는 것을 통해, 지지판(3)이 본체(1)에 수납될 경우, 본체(1)와의 연결이 더욱 안정하도록 할 수 있어, 모바일 단말(100)의 신뢰성을 향상한다.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2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에 자성에 의해 흡인되어 붙는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부재는 철이고, 제1 연결 부재는 오목부(12a)에 설치되고, 측벽(15)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제2 연결 부재는 자석이며, 제2 연결 부재는 지지부(32)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지부(32)의 단부에 근접하고, 지지부(32)가 오목부(12a)를 접근할 경우, 연결 어셈블리 사이에 흡인되어 붙는 힘이 생겨, 제2 연결 부재가 제1 연결 부재에 자성에 의해 흡인되어 붙도록 하여, 지지판(3)이 본체(1)에 수납될 경우, 본체(1)와의 연결이 더욱 안정적일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다. 지지판(3)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연결 어셈블리 사이의 자성에 의해 흡인되어 붙는 힘만 극복하여 지지부(32)를 회전하기만 하면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에 스냅-핏 연결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촬영 모듈(4)이 본체(1)에 설치되고,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와 같은 측에 위치한다
촬영 모듈(4)을 본체(1)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이 하나의 촬영 모듈(4)을 이용하여 셀카와 경물을 찍는 수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촬영 모듈(4)은 본체(1)에 설치되며, 이해 할 수 있는 바로는, 촬영 모듈(4)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21)의 정면(11)에 설치될 수 있어, 고정부(21)와 같은 측에 위치한다. 이해 할 수 있는 바로는, 촬영 모듈(4)은 배면(1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자유부(22)가 배면(12)에 맞붙을 경우, 자유부(22)와 같은 측이다.
선택적으로, 촬영 모듈(4)은 정면(11)에 설치된다. 여기서, 정면(11)에는 촬영홀이 설치되고, 촬영홀은 상단면(13)에 접근하며, 촬영 모듈(4)은 촬영홀에 설치된다. 모바일 단말(100)로 셀카를 진행할 경우, 정면(11)이 사용자를 향하여, 셀카 조작을 하도록 하고; 모바일 단말(100)로 경물을 찍을 경우, 배면(12)이 사용자를 향하고, 또한 자유부(22)를 구부려 배면(12)에 맞붙이거나 또는 지지부(32)에 맞붙이고, 배면(12)에 대해 조작을 진행하여 경물을 찍는 조작을 진행하도록 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촬영 모듈(4)은 배면(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보호 부재는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에 설치되며, 보호 부재는 본체(1)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예에서,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는 대향하는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포함하고, 고정부(21)의 내측 표면은 정면(11)과 연결된다. 외측 표면은 디스플레이하고 터치하는 면이다. 선택적으로, 보호 부재 재질은 실리카겔이다. 한층의 얇은 실리카겔을 내측 표면에 코딩하여,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경도를 더 향상하여,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지나치게 연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신뢰성을 향상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는 얇은 강철편일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00)의 풀스크린 사용이 필요할 경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펼쳐진 상태에 처하여 큰 스크린을 형성하게 하며, 지지판(3)을 사용하여, 배면(12)에 상대하여 지지부(32)를 180도 회전하여,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자유부(22)가 지지부(32)에 맞붙을 수 있도록 하여, 자유부(22)에 대한 누름에 대하여 지지하는 힘을 가지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눌름 감도를 향상한다.
모바일 단말(100)을 사용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작은 스크린의 사용만 필요한 경우, 자유부(22)를 수용 캐비티(15a)에 수용하거나 또는 구부려 배면(12)에 맞붙이는 것으로 설치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단말(100)의 휴대성을 향상한다.
모바일 단말(100)로 셀카를 진행할 경우, 정면(11)이 사용자를 향하여, 셀카 조작을 하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100)로 경물을 찍을 경우, 배면(12)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고, 또한 자유부(22)를 구부려 배면(12)에 맞붙이거나 또는 지지부(32)에 맞붙이고, 배면(12)에 대해 조작을 진행하여 경물을 찍는 조작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고정부(21)를 본체(1)의 정면(11)에 설치하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자유부(22)가 자유롭게 구부려질 수 있고, 또한 본체(1)에 수용 캐비티(15a)를 설치하여, 자유부(22)로 하여금 사용되지 않을 경우 구부러져 배면(12)에 맞붙거나 또는 구부러져 수용 캐비티(15a)에 수용되어 수납을 진행하는 바, 모바일 단말(100)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단말(100)의 휴대성을 향상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또 지지판(3)을 증설하는 것을 통해,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의 큰 스크린의 사용 즉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2)가 완전히 펼쳐질 경우, 지지판(3)의 지지부(32)에 지지될 수 있어, 자유부(22)에 대한 누름에 대하여 지지하는 힘을 구비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누름 감도를 향상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또 배면(12)에 오목부(12a)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지지부(32)가 배면(12)에 맞붙을 경우, 오목부(12a)에 용납될 수 있어, 모바일 단말(100)의 평탄도를 더 향상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또 연결 어셈블리를 증설하는 것을 통해, 지지판(3)이 본체(1)에 수납될 경우, 본체(1)와의 연결이 더욱 안정적일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신뢰성을 향상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또 촬영 모듈(4)을 본체(1)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이 하나의 촬영 모듈(4)을 이용하여 셀카와 경물을 찍는 수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인 바, 반드시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은 전제하에서, 약간의 개선과 윤색을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선과 윤색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 간주된다.

Claims (20)

  1.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는 대향 설치된 정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는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고정부와 자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유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배면에 접촉되며,
    상기 자유부가 상기 수용 캐비티에 용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캐비티와 상기 자유부의 사이즈는 같으며,
    상기 본체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는 상기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회전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측벽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면에 회전 접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배면과 접촉할 경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에 용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연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오목부에 용납될 경우,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은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와 같은 측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0. 삭제
  11.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본체와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대향으로 설치된 정면과 배면 및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연결된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는 상기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플랙서블 스크린 어셈블리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옆쪽으로부터 뻗어 나간 자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자유부는 구부러져 상기 측벽을 돌아 상기 배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 캐비티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캐비티에 넣어지며,
    상기 자유부가 상기 수용 캐비티에 용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캐비티와 상기 자유부의 사이즈는 같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한쪽은 상기 측벽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자유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연결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측벽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면에 회전하여 접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대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연결된 상단면과 하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바형의 노치가 설치되고, 상기 바형의 노치는 상기 상단면에서 상기 하단면까지의 방향을 따라 마주하여 설치된 2개의 그루브 벽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2개의 그루브 벽에 회전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그루브 벽에 각각 회전 홀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는 기둥형이며, 상기 회전부의 축방향을 따라 대향으로 설치된 양측에 각각 회전축이 돌출 설치되고, 2개의 상기 회전축은 각각 2개의 상기 회전 홀에 회전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정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오목부에 용납되는 것,
    상기 정면으로부터 상기 배면까지의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7. 삭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2개의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그 중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연결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오목부에 상기 지지부를 안정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정면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20. 삭제
KR1020187017165A 2015-12-29 2016-12-29 모바일 단말 KR10211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1026170.8 2015-12-29
CN201511026170.8A CN105554192B (zh) 2015-12-29 2015-12-29 一种移动终端
PCT/CN2016/113034 WO2017114463A1 (zh) 2015-12-29 2016-12-29 一种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41A KR20180086441A (ko) 2018-07-31
KR102111102B1 true KR102111102B1 (ko) 2020-05-15

Family

ID=5583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165A KR102111102B1 (ko) 2015-12-29 2016-12-29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432764B2 (ko)
EP (1) EP3376741B1 (ko)
JP (1) JP6717943B2 (ko)
KR (1) KR102111102B1 (ko)
CN (1) CN105554192B (ko)
WO (1) WO2017114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4192B (zh) * 2015-12-29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6210298A (zh) * 2016-07-01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与控制装置
CN108133668B (zh) * 2017-12-29 2021-05-11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基板的制备方法、基板及终端
CN108198516B (zh) * 2018-02-23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102255469B1 (ko) 2018-03-06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445897B (zh) * 2018-05-04 2024-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829184A (zh) * 2018-06-06 2018-11-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
CN109391713A (zh) * 2018-12-20 2019-02-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WO2021015330A1 (ko) * 2019-07-23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438337B (zh) * 2020-03-23 2023-06-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终端及移动终端
CN113825328B (zh) * 2020-06-19 2023-07-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12628277B (zh) * 2020-12-25 2022-02-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405A1 (en) * 2011-07-06 2013-01-10 Rothkopf Fletcher R Flexible display devices
JP2014531796A (ja) * 2011-09-02 2014-11-27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拡大可能なモバイル装置
CN104967713A (zh) * 2015-07-13 2015-10-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磁体吸合的柔性屏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226A (ja) * 1999-12-27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7149557B2 (en) * 2003-05-12 2006-12-1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ndable display
US8174628B2 (en) * 2006-01-06 2012-05-08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unit, display method,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946586B1 (ko) * 2008-02-19 2010-03-12 정관선 대형화면을 구비하는 무선단말기
TWI441116B (zh) *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KR101474447B1 (ko) * 2008-07-07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BRPI0916013A2 (pt) * 2008-11-24 2015-11-03 Sang-Kyu Ryu "dispositivo de exibição flexível para terminal portátil"
US8294843B2 (en) * 2010-03-19 2012-10-23 Balboa Instruments, Inc. Waterproof touch screen panel with protective film
CN201742451U (zh) * 2010-06-12 2011-02-09 苏州安可信通信技术有限公司 数码产品折叠屏结构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US9383775B2 (en) * 2012-02-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WO2014087951A1 (ja) * 2012-12-05 2014-06-12 Saito Takashi 表示装置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US9294597B2 (en) * 2013-01-25 2016-03-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CN203632709U (zh) 2013-10-09 2014-06-04 冯振华 软屏折叠式手机
US9229481B2 (en) * 2013-12-20 2016-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216674B1 (ko) 2014-02-10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0047B1 (ko) *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4378467A (zh) * 2014-12-15 2015-02-25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104916231B (zh) * 2015-06-25 2018-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05554192B (zh) * 2015-12-29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405A1 (en) * 2011-07-06 2013-01-10 Rothkopf Fletcher R Flexible display devices
JP2014531796A (ja) * 2011-09-02 2014-11-27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拡大可能なモバイル装置
CN104967713A (zh) * 2015-07-13 2015-10-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磁体吸合的柔性屏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8626A (ja) 2018-12-27
EP3376741A1 (en) 2018-09-19
US10652376B2 (en) 2020-05-12
EP3376741B1 (en) 2021-03-10
US20180359344A1 (en) 2018-12-13
WO2017114463A1 (zh) 2017-07-06
US20190364141A1 (en) 2019-11-28
EP3376741A4 (en) 2019-04-17
CN105554192A (zh) 2016-05-04
US10432764B2 (en) 2019-10-01
KR20180086441A (ko) 2018-07-31
CN105554192B (zh) 2018-07-06
JP6717943B2 (ja)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102B1 (ko) 모바일 단말
CN111758082B (zh) 包括可移动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EP3196977B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CN110582804B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KR2019008630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CN108322571B (zh) 一种移动终端
KR20210076492A (ko) 유격 보상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CN110622104A (zh) 以多角度支撑的电子设备
US20120147573A1 (en) Mobile terminal
US20150103483A1 (en) Detach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8881539A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20180037791A (ko) 플렉시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010442A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7359412A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JP2019047481A (ja) 携帯型デバイス
KR20120067022A (ko)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21014538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6976579U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05742896A (zh) 电子装置
KR200472923Y1 (ko) 네비게이션의 메모리카드 커넥터 설치구조
KR1020563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122880A (ko) 이동 단말기
TWI414169B (zh) 可攜式電子裝置
JP2007300190A (ja) 電子機器
KR20100045318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