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022A -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022A
KR20120067022A KR1020100128409A KR20100128409A KR20120067022A KR 20120067022 A KR20120067022 A KR 20120067022A KR 1020100128409 A KR1020100128409 A KR 1020100128409A KR 20100128409 A KR20100128409 A KR 20100128409A KR 20120067022 A KR20120067022 A KR 2012006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de
angle lens
camera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환
임종훈
Original Assignee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022A/ko
Publication of KR2012006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6Non-metallic fasten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블랙박스 장치 대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는 광각렌즈가 장착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의 시야각을 넓혀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A MOUNTING DEVICE OF A MOBILE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블랙박스 장치 대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는 광각렌즈가 장착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의 시야각을 넓혀줄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차량용 블랙박스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였다. 스마트폰에는 기본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움직임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블랙박스용 어플리케이션은 차량 전면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움직임 센서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 충격을 받거나 혹은 급히 핸들을 틀면 하면 동영상을 저장하고 종료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는 사고 시점의 영상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폰들의 카메라 시야각은 약 60 또는 45도에 불과하여 차량에 설치할 경우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하지 못해 실제 사고 영상을 촬영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블랙박스 전용으로 개발된 장치 이외의 장치들 네비게이션, 노트북 등에 어플리케이션을 깔아서 블랙박스 대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모두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로 사용되는 스마트폰 등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광각렌즈; 및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로 사용되는 스마트폰 등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시야각을 넓혀서 이동 단말기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의 거치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의 거치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한 시야각 확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커버가 덮힌 경우의 시야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각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각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0)와 거치대(10)에 이동 단말기(20)를 거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등 카메라가 장착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1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를 거치하는 거치부(11+13), 상기 거치부(11+13)의 상기 이동 단말기(20)의 카메라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광각렌즈(12), 및 상기 거치부(11+13)를 지지하는 지지부(14+15)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 단말기(20)에는 카메라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동 단말기(20)의 뒷면에 카메라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이동 단말기(20)는 전면의 대부분을 터치 스크린이 차지하는 소위 터치폰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네비게이션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주행 감시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시의 주변 영상을 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에 움직임 센서를 장착하여, 움직임 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이 감지된 때 이전 및 이후의 소정 시간, 예컨대 충격이 감지된 때를 기준으로 전후 1분 간의 영상을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10)는 이동 단말기(20)를 거치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거치부(11+13)는 이동 단말기(20)를 거치하는 구성 요소로서, 플레이트(11)와 고정부(13)로 구성된다. 플레이트(11)는 광각렌즈(12)가 장착될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등 일정 강도를 갖는 임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20)와 동일한 크기 또는 약간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는 이동 단말기(20)를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1과 같이 이동 단말기(20)의 상하부분을 잡아줌으로써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킨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레이트(11)는 뼈대만 있는 프레임 형상일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2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를 상하에서 고정시키는 구조 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고정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며,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외에도, 빨판이나 접착식으로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키는 구조도 사용할 수 있다.
광각렌즈(12)는 이동 단말기(20)가 거치부(11+13)에 거치되었을 때, 이동 단말기(20)의 카메라가 닿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1)의 개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광각렌즈(12)로는 일반 카메라의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사용되는 광각렌즈 또는 블랙박스 장치에 사용되는 광각렌즈 등 공지된 임의의 광각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14+15)는 거치부(11+13)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연결부(14)와 밀착부(15)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4)는 막대 형상으로서, 일정한 강도 및 유연성을 갖고 거치부(11+13)와 밀착부(15)를 연결시킨다. 밀착부(15)는 차량 내부의 운전자의 전면 부근에 접착 고정되어, 연결부(14) 및 거치부(11+13)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착부(15)는 일정 강도로 연결부(14) 및 거치부(11+13)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임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빨판이 사용되었다. 빨판 이외에도 접착판, 나사를 사용하는 구조 등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사용되는 임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지부(14+15) 외에도 이동 단말기(20)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의 거치 방법을 나타낸다. 도 2와 같이, 이동 단말기(20)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대(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거치부(11+13)는 지지부(14+15)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과 도 2의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한 시야각 확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거치대(10)와 이동 단말기(20)의 결합 상태를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기(20)의 상면측 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동 단말기(20)의 상면에는 이어폰 삽입구(22) 등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카메라(21)가 배치되어 있다. 설명을 위해 고정부(13) 등의 기타 구성 요소는 생략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에 이동 단말기(20)가 장착된다. 이 때, 카메라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21)에 해당하는 위치에 거치대(10)의 광각렌즈(12)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b)와 같이 거치대(10)와 이동 단말기(20)가 밀착되면 카메라(21)의 시야각(A1)은 광각렌즈(21)에 의해 확대되며, 카메라(21)는 광각렌즈가 없을 때보다 넓은 시야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커버(30)가 덮힌 경우의 시야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최근의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에는 커버 또는 범퍼를 씌워서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며, 이 경우 이동 단말기(20)의 카메라(21)와 광각렌즈(21)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대(10)에 커버(30)를 씌운 이동 단말기(20)를 거치시키면, 이동 단말기(20)의 카메라(21)는 커버(30)의 개구부(31)와 광각렌즈(12)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 때, 카메라(21)와 광각렌즈(12)의 거리(d2)는 도 3의 (b)의 거리(d1)에 비해 멀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카메라(21)의 시야각(A2)은 도 3의 (b)보다 좁아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와 같이 거치대(10)에 장착된 광각렌즈(12)를 플레이트(11)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10)의 플레이트(11)의 개구부에 나사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될 광각렌즈(12)의 외벽에도 나사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광각렌즈(12)를 상기 개구부에 나사를 돌리듯이 회전시키면 광각렌즈(12)가 플레이트(11)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에 커버가 사용되는 경우, 광각렌즈(12)를 회전시켜 광각렌즈(12)와 이동 단말기(20)의 카메라 간의 거리를 좁히고, 커버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는 광각렌즈(12)와 이동 단말기(20) 간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10)의 플레이트(11)의 개구부에 나사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외벽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원통형 소켓(15)을 삽입할 수 있다. 광각렌즈(12)는 상기 원통형 소켓(16) 내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소켓(16)을 상기 플레이트(11)의 개구부에 나사를 돌리듯이 회전시키면 원통형 소켓(16) 및 광각렌즈(12)가 플레이트(11)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광각렌즈(12)가 장착된 원통형 소켓(16)을 플레이트(11)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각렌즈와 카메라(12)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10 : 거치대 11 : 플레이트
12 : 광각렌즈 13 : 고정부
14 : 연결부 15 : 밀착부
20 : 이동 단말기 21 : 카메라
22 : 이어폰 삽입구

Claims (5)

  1.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광각렌즈; 및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렌즈는 상기 거치부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내벽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각렌즈는 외부에 나사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광각렌즈는 상기 개구부의 나사돌기와 결합되는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내벽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각렌즈는 외벽에 나사 돌기가 형성된 원통형 소켓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의 나사돌기는 상기 원통형 소켓의 나사돌기와 결합되는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플레이트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시야각 확대용 거치대.
KR1020100128409A 2010-12-15 2010-12-15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2006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09A KR20120067022A (ko) 2010-12-15 2010-12-15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09A KR20120067022A (ko) 2010-12-15 2010-12-15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022A true KR20120067022A (ko) 2012-06-25

Family

ID=4668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409A KR20120067022A (ko) 2010-12-15 2010-12-15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02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33Y1 (ko) * 2013-08-22 2013-11-11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103707821A (zh) * 2012-10-08 2014-04-09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车载固定支架
KR200474960Y1 (ko) * 2012-10-26 2014-10-27 차우-런 창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의 커버
US9473607B2 (en) 2013-12-26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KR101714275B1 (ko) 2015-12-14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KR20210001339U (ko) * 2019-12-06 2021-06-16 (주)케이웍스 도로촬영용 스마트폰의 차량 내 장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7821A (zh) * 2012-10-08 2014-04-09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车载固定支架
KR200474960Y1 (ko) * 2012-10-26 2014-10-27 차우-런 창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의 커버
KR200469833Y1 (ko) * 2013-08-22 2013-11-11 우양섭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9473607B2 (en) 2013-12-26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Mobile phone holder for vehicle
KR101714275B1 (ko) 2015-12-14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US10017126B2 (en) 2015-12-14 2018-07-10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based extendable smart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KR20210001339U (ko) * 2019-12-06 2021-06-16 (주)케이웍스 도로촬영용 스마트폰의 차량 내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022A (ko)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102111102B1 (ko) 모바일 단말
US8760569B2 (en) External lens device and portable eletronic device using same
US10705311B2 (en) Integrated structure of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er mechanisms
JP6412864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284742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TWI553396B (zh) Optical unit with vibration correction function
US20180259787A1 (en)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5357614B2 (ja) 撮影用光学装置
US8698964B2 (en) Televis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lide support mechanism
CN108322571B (zh) 一种移动终端
US10484580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11863694B2 (en) Mobile terminal
JP6625413B2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この像振れ補正装置を適用した撮像装置
JP6460745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US876739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285926A1 (en) Televis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19114301A1 (zh) 双摄模组及电子设备
JP6182359B2 (ja) 光学ユニット
JP6173695B2 (ja) 光学ユニット
CN110099197A (zh) 摄像头组件以及电子设备
CN203410382U (zh) 一种车载装置安装支架
US8436605B2 (en) Televis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306132A1 (en) Lens barre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201508699A (zh) 行車記錄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