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833Y1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33Y1
KR200469833Y1 KR2020130007033U KR20130007033U KR200469833Y1 KR 200469833 Y1 KR200469833 Y1 KR 200469833Y1 KR 2020130007033 U KR2020130007033 U KR 2020130007033U KR 20130007033 U KR20130007033 U KR 20130007033U KR 200469833 Y1 KR200469833 Y1 KR 200469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holder
camera modu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양섭
Original Assignee
우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양섭 filed Critical 우양섭
Priority to KR2020130007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의 앵글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의 전방에 반사판(30)이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30)에 반사된 영상이 카메라모듈(2)로 입력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C)를 눕힌 상태에서 자전거(B)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C)를 이용하여 자전거(B)의 전방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휴대단말기(C)를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하여야 하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달리, 휴대단말기(C)를 경사지게 자전거(B)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의 앵글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72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자전거나 오토바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B)나 오토바이의 핸들바(1)나 기타 다양한 프레임 부분에 고정되어, 휴대단말기(C)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휴대단말기(C)에는 카메라모듈(2)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A)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C)를 자전거(B) 또는 오토바이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을 이용하여 자전거(B) 또는 오토바이의 주행영상을 촬영 및 저장함으로써, 휴대단말기(C)를 자전거(B) 또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은 휴대단말기(C)의 후측면에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카메라모듈(2)을 이용하여 자전거(B)나 오토바이의 주행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C)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자전거(B)나 오토바이에 고정하여 카메라모듈(2)이 자전거(B)나 오토바이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야 함으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C)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휴대단말기(C)는 전면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조작을 하게 되는데, 휴대단말기(C)가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기(C)의 터치스크린의 영상을 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 역시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의 앵글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측면에 카메라모듈(2)이 구비된 휴대단말기(C)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C)를 다양한 물체에 고정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C)의 후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10)와, 상기 카메라모듈(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홀더(10)에 구비된 지지대(20)와, 상기 카메라모듈(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의 앵글을 방향변환하는 반사판(30)과,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홀더(10)를 다른 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30)은 상기 지지대(20)에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반사판(30)에는 반사판(30)을 각도조절하는 각도조절기구(3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홀더(1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기(C)에는 상기 카메라모듈(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하 반전시켜 실시간으로 휴대단말기(C)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휴대단말기(C)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편집프로그램(3)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더(1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에 대응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반사판(30)이 결합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20)의 전면과 측면에는 제1 및 제2 개구부(21,2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a)의 둘레부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전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21)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가 상기 개방부(21a)를 통해 상기 제1 개구부(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의 전방에 반사판(30)이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30)에 반사된 영상이 카메라모듈(2)로 입력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C)를 눕힌 상태에서 자전거(B)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C)를 이용하여 자전거(B)의 전방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휴대단말기(C)를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하여야 하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달리, 휴대단말기(C)를 경사지게 자전거(B)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배면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후측면에 카메라모듈(2)이 구비된 휴대단말기(C)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C)를 다양한 물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C)를 자전거(B)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후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10)와, 상기 카메라모듈(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홀더(10)에 구비된 지지대(20)와, 상기 카메라모듈(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된 반사판(30)과,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홀더(10)를 자전거(B)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홀더(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C)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후면판(11)과, 상기 후면판(11)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벽(12)으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C)를 측벽(12)의 사이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11)에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에 대응되도록 관통공(11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홀더(10)에 밀착되는 전면에는 상기 관통공(11a)에 대응되는 제1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측면에는 제2 개구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홀더(10) 후면판(11)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a)의 둘레부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결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0)는 전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21)가 상기 결합부(13)의 외측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3)의 후측단에는 상기 지지대(20)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턱(13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가 상기 결합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반사판(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개구부(22)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반사판(30)의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서, 카메라모듈(2)의 앵글을 방향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반사판(30)은 상기 지지대(2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사판(30)에는 반사판(30)을 각도조절하는 각도조절기구(32)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3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대(2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3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31) 중에서 일측의 힌지축(31)은 상기 지지대(2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각도조절기구(32)는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힌지축(31)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휠을 이용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0)에 휴대단말기(C)를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기구(32)를 회전시켜 상기 반사판(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2)의 앵글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자전거(B)의 핸들 등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C)에는 상기 카메라모듈(2)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하 반전시키는 영상편집프로그램(3)이 탑재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모듈(2)은 상기 반사판(30)에 반사된 영상을 촬영함으로, 상기 카메라모듈(2)에 촬영된 영상은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가 반전된, 즉, 좌우방향은 그대로인 반면 상하는 뒤집힌 형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을 그대로 저장할 경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할 때도 상하가 반전된 형태로 재생된다.
이때, 상기 영상편집프로그램(3)은 상기 카메라모듈(2)에 촬영된 영상을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반전시켜 휴대단말기(C)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휴대단말기(C)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홀더(10)를 자전거(B)의 핸들 등에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하고, 상기 홀더(10)에 휴대단말기(C)를 결합하여, 자전거(B)에 휴대단말기(C)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모듈(2)의 앵글이 자전거(B)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C)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모듈(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휴대단말기(C)를 자전거(B)의 주행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의 전방에 반사판(30)이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30)에 반사된 영상이 카메라모듈(2)로 입력됨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C)를 눕힌 상태에서 자전거(B)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C)를 이용하여 자전거(B)의 전방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휴대단말기(C)를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하여야 하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달리, 휴대단말기(C)를 경사지게 자전거(B)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반사판(30)은 상기 지지대(20)에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C)를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고정한 후, 이에 맞도록 상기 반사판(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카메라모듈(2)의 앵글방향이 자전거(B)의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홀더(10)가 정확히 자전거(B)나 오토바이의 전방을 향하지 않도록 결합될 경우, 상기 지지대(20)의 방향을 자전거(B)나 오토바이의 전방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자전거(B)의 핸들바(1)는 직선이 아닌 곡선을 이루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자전거(B)의 핸들바(1)에 상기 고정수단(40)을 결합할 경우, 홀더(10)와 휴대단말기(C)가 정확히 전방을 향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대(20)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반사판(30)이 정확히 전방을 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카메라모듈(2)이 자전거(B)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C)에는 상기 카메라모듈(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하반전시켜 실시간으로 휴대단말기(C)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휴대단말기(C)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편집프로그램(3)이 탑재됨으로,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카메라모듈(2)에 촬영된 영상을 정상상태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C)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홀더(10)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후면판(11)과, 상기 후면판(11)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벽(12)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홀더(1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자전거(B)나 오토바이의 핸들바(1)에 결합되는 클램프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수단(40)은 금속판을 U자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고정클립이나, 진공흡착패드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자전거(B)의 핸들바(1) 이외에, 오토바이 또는 차량의 각 부분, 운전자가 착용하는 모자나 헬멧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20)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지지대(20)의 제2 개구부(22)에는 서로 다른 형태의 렌즈(23)나 필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고정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20)에 형성된 제1 개구부(21)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3)가 상기 개방부(21a)를 통해 상기 제1 개구부(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방부(21a)는 상기 제1 개구부(21)에서 상기 제2 개구부(22)가 형성된 쪽방향, 즉, 도면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폭이 상기 결합부(13)의 지름에 비해 조금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가 상기 결합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를 하측으로 당겨 지지대(20)를 분리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3)의 하측에 위치된 지지대(20)를 상측으로 밀어, 지지대(20)를 상기 결합부(13)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지지대(20)를 상기 홀더(10)의 결합부(13)에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배수를 갖는 렌즈(23)가 구비된 지지대(20)나, 다양한 촬영용 필터가 구비된 지지대(20)를 선택하여 상기 홀더(10)의 결합부(13)에 결합함으로써,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영상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확대하거나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C. 휴대단말기 2. 카메라모듈
10. 홀더 20. 지지대
30. 반사판 40. 고정수단

Claims (5)

  1. 후측면에 카메라모듈(2)이 구비된 휴대단말기(C)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C)를 다양한 물체에 고정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C)의 후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10)와,
    상기 카메라모듈(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홀더(10)에 구비된 지지대(20)와,
    상기 카메라모듈(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의 앵글을 방향변환하는 반사판(30)과,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홀더(10)를 다른 물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홀더(1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30)은 상기 지지대(20)에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반사판(30)에는 반사판(30)을 각도조절하는 각도조절기구(3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C)에는 상기 카메라모듈(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하 반전시켜 실시간으로 휴대단말기(C)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휴대단말기(C)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영상편집프로그램(3)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C)의 카메라모듈(2)에 대응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반사판(30)이 결합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20)의 전면과 측면에는 제1 및 제2 개구부(21,2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더(10)의 후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a)의 둘레부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전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21)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가 상기 개방부(21a)를 통해 상기 제1 개구부(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20130007033U 2013-08-22 2013-08-2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69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33U KR200469833Y1 (ko) 2013-08-22 2013-08-2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33U KR200469833Y1 (ko) 2013-08-22 2013-08-2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833Y1 true KR200469833Y1 (ko) 2013-11-11

Family

ID=5074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033U KR200469833Y1 (ko) 2013-08-22 2013-08-22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181A1 (ko) * 2014-04-28 2015-11-05 (주)테크웍스플러스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카메라용 액세서리
KR101662974B1 (ko) * 2016-02-02 2016-10-06 주식회사 오픈잇 자전거용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
CN106487967A (zh) * 2016-10-25 2017-03-08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手机支架组件
KR102108650B1 (ko) 2018-11-21 2020-05-07 이민상 상단부 및 하단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291A (ko) * 2003-02-28 2004-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20120067022A (ko) * 2010-12-15 2012-06-25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291A (ko) * 2003-02-28 2004-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20120067022A (ko) * 2010-12-15 2012-06-25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181A1 (ko) * 2014-04-28 2015-11-05 (주)테크웍스플러스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카메라용 액세서리
KR101662974B1 (ko) * 2016-02-02 2016-10-06 주식회사 오픈잇 자전거용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
CN106487967A (zh) * 2016-10-25 2017-03-08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手机支架组件
KR102108650B1 (ko) 2018-11-21 2020-05-07 이민상 상단부 및 하단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33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8385004B2 (en) Accessory for portable imaging device
US10491785B1 (en)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USD677707S1 (en) Travel sized compact office camera apparatus with two independently adjustable cameras and an image preview screen
USD848516S1 (en) Electronic magnifier
US20090190026A1 (en) Pair of Spectacles with Miniature Camera
JP4443956B2 (ja) 額縁を兼ねる薄型映像設備用フレーム装置
EP1732311A1 (en) Image pickup device
USD607035S1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KR200469162Y1 (ko)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WO2010051684A1 (zh) 能随身观看视频影像的帽子
US20230324774A1 (en) Interconnect mechanisms for use with image capture devices and accessories
CN106020353A (zh) 显示器
US9722656B2 (en) Mobile device videography system
CN213342296U (zh) 一种手机屏幕放大装置
CN202535418U (zh) 一种可旋转的手机
KR101502227B1 (ko) 휴대폰 케이스
CN202488563U (zh) 摄像头和显示屏可旋转的摄像机
KR101167618B1 (ko) 접사렌즈조립체를 가지는 터치펜
CN214281551U (zh) 一种立体视频摄录装置
CN206848678U (zh) 一种用于电子设备的投影盒
KR102191004B1 (ko) 실물화상기
USD551228S1 (en) Display for computer
CN220064577U (zh) 采用钢化玻璃的摄影器材
JP3250462B2 (ja) ビューカメラを用いた撮影設備及びそれに用いるビューカメラ用ccdバックの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