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004B1 -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004B1
KR102191004B1 KR1020190052452A KR20190052452A KR102191004B1 KR 102191004 B1 KR102191004 B1 KR 102191004B1 KR 1020190052452 A KR1020190052452 A KR 1020190052452A KR 20190052452 A KR20190052452 A KR 20190052452A KR 102191004 B1 KR102191004 B1 KR 10219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ead
connection part
groov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738A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주)오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맥스 filed Critical (주)오맥스
Priority to KR102019005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00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통해 읽어드린 영상을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관절암부의 높은 자유도를 보장하고, 다관절암부를 수납부에 수납 시, 다관절암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물화상기{VISUAL PRESENTER}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통해 읽어드린 영상을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실물화상기는 프로젝터, 모니터와 연결된 PC, TV 등과 연결하여 여러가지 자료(그림, 사진, 책, 사물, 생물, 슬라이드, OHP필름, 지도)를 영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실물화상기에 대한 특허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46218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실물화상기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접철식으로 설치되는 하부 스탠드부 및 상부 스탠드부와, 상부 스탠드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특허문헌 1의 실물화상기는 상, 하부 스탠드부를 펼친 상태에서 카메라부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 하부 스탠드부를 접어 베이스부의 상부에 안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실물화상기는 하부 스탠드부가 베이스에 고정설치된 베이스 관절부에 힌지 결합되므로, 상, 하부 스탠드부의 수평 회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시 베이스부 자체를 돌려서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 하부 스탠드부가 접철시, 카메라부와, 상부 스탠드부의 측면 및 상, 하부 스탠드부를 연결하는 스탠드 관절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카메라부와, 상부 스탠드부의 측면 및 상, 하부 스탠드부를 연결하는 스탠드 관절체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46218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관절암부의 높은 자유도를 보장하고, 다관절암부를 수납부에 수납 시, 다관절암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실물화상기는,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다관절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암부는, 상기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 상기 제1암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암; 및 상기 제2암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부가 구비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다관절암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 시, 상기 제2암이 상기 제1암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상기 제1, 2암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암수납홈; 및 상기 암수납홈의 전방에 위치하여 그 후방이 상기 암수납홈의 전방과 연통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관절암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 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홈의 개구 방향이 상기 몸체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헤드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암이 상기 암수납홈에 수납 시, 상기 제2암은 상기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상기 제1암의 상부에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수납홈은, 상기 암수납홈의 바닥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갖으며, 상기 포스트가 설치되는 포스트설치영역; 상기 포스트설치영역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가 상기 포스트설치영역의 상부와 연통되고, 그 내부에 상기 포스트가 위치하고, 그 후방이 상기 암수납홈의 전방과 연통되며,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수납홈에 수납 시, 상기 헤드의 타측면이 그 내부에 형성된 안착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안착영역; 및 상기 헤드안착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하부가 상기 헤드안착영역의 상부와 연통되고, 전방에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수납홈에 수납 시, 그 내부에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헤드삽입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관절암부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제1암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2암과 상기 헤드를 연결하는 제3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포스트의 제1-1연결부 및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1연결부 및 상기 제1-2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암의 제1-3연결부 및 제1-4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1 내지 제1-4연결부를 연결하는 제1힌지축; 상기 제1-3연결부와 상기 제1-4연결부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게재부재; 상기 제1-1연결부와 상기 제1-3연결부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1스프링; 및 상기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4연결부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1암의 제2-1연결부의 삽입홈 및 상기 제2암의 제2-2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1연결부와 상기 제2-2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축; 및 상기 제2-2연결부와 제2볼트헤드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2힌지축이 삽입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제2암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힌지축; 및 그 타단에 삽입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고리에 상기 제3힌지축이 삽입되어 그 타단이 상기 제2암에 연결되고, 그 일단이 상기 헤드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1연결부와 제1-1볼트헤드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3스프링; 및 상기 제1-2연결부와 제1-2볼트헤드 사이에 개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4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연결부는 상기 제1-3연결부에서 상기 제2암 방향으로 연장된 선 및 상기 제1-4연결부에서 상기 제2암 방향으로 연장된 선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손가락홈; 및 상기 헤드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중앙에 상기 손가락홈과 연통되되 상기 손가락홈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 커버구멍이 구비된 손가락홈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렌즈홈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렌즈; 및 상기 렌즈홈과 연통되는 캡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수납홈은,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수납홈에 수납 시, 상기 헤드의 타측면이 그 내부에 형성된 안착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안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단턱의 전방에는 상기 보호캡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보호캡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실행정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물화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관절암부의 수납 상태에서 제1, 2암 및 헤드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헤드가 암수납홈에 수납될 때, 헤드의 타측면에 구비된 카메라부가 암수납홈 내부에 수납되므로, 카메라부의 파손을 완전히 방지할 뿐만 아니라, 렌즈홈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에 스프링을 게재함으로써, 다관절암부의 접힘 및 펼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제1암, 제2암 및 헤드의 무게에 의해 제1암 및 제2암이 쳐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2연결부가 제1-3연결부에서 제2암 방향으로 연장된 선 및 제1-4연결부에서 제2암 방향으로 연장된 선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제2암이 다관절암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크게 치우치지 않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다관절암부의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가 실행정보 및 영상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함에 따라, 실물화상기에 전원버튼을 누르는 것 만으로도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기기를 별도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몸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관절암부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다관절암부의 포스트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는 도 1의 헤드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
도 6(b)는 도 1의 헤드의 타측면을 도시한 도.
도 7은 도 1의 다관절암부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다관절암부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다관절암부만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제1암커버 및 제2암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포스트커버, 제1암커버, 제2암커버 및 헤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다관절암부를 펼쳤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
도 12는 사용자가 손가락홈에 손가락을 넣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다관절암부를 수납부에서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화상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관절암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다관절암부의 포스트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1의 헤드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6(b)는 도 1의 헤드의 타측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도 1의 다관절암부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다관절암부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다관절암부만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제1암커버 및 제2암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포스트커버, 제1암커버, 제2암커버 및 헤드를 제거한 상태에서 다관절암부를 펼쳤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사용자가 손가락홈에 손가락을 넣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다관절암부를 수납부에서 꺼내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화상기(10);와, 수납부(200)가 구비된 몸체(100)와, 몸체(100)에 설치되며,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다관절암부(300);와, 외부기기(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부(미도시)에 전력이 공급되면,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실행정보 및 카메라부(3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실물화상기(1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체(100)
몸체(100)에는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되는 수납부(200)가 구비된다.
수납부(200)는 몸체(100)의 상면 및 전방면 중 일부를 개구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수납부(200)는 몸체(100)의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파여지고, 몸체(100)의 전방 중 일부를 개구하는 홈 형상을 갖는다
몸체(100)의 상면에는 몸체(100)의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경사면(110)의 각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암(320, 330)이 암수납홈(210)에 수납 시, 제2암(330)이 제1암(320)의 상부에 접혀져 있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또는, 제1, 2암(320, 330)이 암수납홈(210)에 수납 시) 제2암(330)의 일측면은 경사면(110)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에 위치해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경사면(110)의 각도 및 제2암(330)의 수납 각도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제2암(330)의 일측면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제2암(330)이 수납부(200)의 암수납홈(210)에 완전히 삽입되어 수납된다. 따라서,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제2암(330)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몸체(100)의 좌측면의 하부에는 USB포트(120)가 구비된다.
USB포트(120)는 전원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USB포트(120)에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모바일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다.
몸체(100)의 상면의 좌측에는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조작부(130)는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버튼과, 카메라렌즈(352)를 줌인하는 줌인버튼과, 카메라렌즈(352)를 줌아웃하는 줌아웃버튼과, 카메라렌즈(352)를 통해 피사체를 오토포커싱하는 오토포커싱버튼과, 카메라렌즈(352)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사진으로 찍는 캡쳐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하부에는 하부홈(140)이 구비되며, 이러한 하부홈(140)에는 외부기기와 유선케이블로 연결되는 접속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200)
수납부(200)는,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제2암(330)이 제1암(320)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제1, 2암(320, 330)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암수납홈(210);과, 암수납홈(210)의 전방에 위치하여 그 후방이 암수납홈(210)의 전방과 연통되고, 몸체(100)의 전방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226)가 형성되며,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카메라부(350)의 렌즈홈(351)의 개구 방향이 몸체(1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헤드(34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헤드수납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암수납홈(210)은 다관절암부(300)가 접혀져 수납부(200)에 수납 시, 제1, 2암(320, 33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1, 2암(320, 330)이 암수납홈(210)에 삽입될 때, 제2암(3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320)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암(320)은 제1암(320)의 타측면이 암수납홈(210)의 바닥면, 즉, 몸체(1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수납되며, 제2암(330)은 제2암(330)의 일측면이 암수납홈(210)의 바닥면, 즉, 몸체(1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수납된다.
다시 말해, 제1, 2암(320, 330)이 암수납홈(210)에 삽입되어 수납 시, 제2암(330)이 제2힌지부(370)에 의해 회전되어 접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제2암(330)의 일측면이 제1암(320)의 타측면과 서로 마주보게 된다.
암수납홈(210)은 그 전방이 헤드수납홈(220)의 전방과 연통되어 있다.
헤드수납홈(220)은 다관절암부(300)가 접혀져 수납부(200)에 수납 시, 헤드(34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포스트(31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헤드수납홈(220)은 암수납홈(210)의 전방에 위치한다. 헤드수납홈(220)의 후방은 암수납홈(210)의 전방과 연통된다.
헤드수납홈(220)은 몸체(100)의 전방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226)가 형성된다. 이 경우, 개구부(226)는 헤드삽입영역(223)에 위치한다.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헤드(340)는 카메라부(350)의 렌즈홈(351)의 개구 방향이 몸체(1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헤드수납홈(220)에 삽입되어 수납된다.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350)의 렌즈홈(351)은 헤드(340)의 타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고, 헤드(340)는 헤드(340)의 타측면이 몸체(1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헤드수납홈(220)에 삽입되어 수납되므로, 헤드(340)는, 헤드(340)의 카메라부(350)의 렌즈홈(351)의 개구 방향이 몸체(1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헤드수납홈(220)에 삽입되어 수납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배치로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삽입되어 수납됨에 따라, 헤드(340)의 카메라부(3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카메라부(350)의 파손이 방지되고, 렌즈홈(351)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헤드수납홈(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납홈(210)의 바닥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갖으며, 그 바닥면에 형성된 설치홈에 포스트(310)가 설치되는 포스트설치영역(221);과, 포스트설치영역(221)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가 상기 포스트설치영역(221)의 상부와 연통되고, 그 내부에 포스트(310)가 위치하고, 그 후방이 암수납홈(210)의 전방과 연통되며,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헤드(340)의 타측면이 그 내부에 형성된 안착단턱(224)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안착영역(222);과, 헤드안착영역(222)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하부가 헤드안착영역(222)의 상부와 연통되고, 전방에 개구부(226)가 구비되며,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그 내부에 헤드(340)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헤드삽입영역(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설치영역(221)은 포스트설치영역(2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설치홈(미도시)에 포스트(310)가 설치됨으로써, 포스트(31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포스트설치영역(221)의 바닥면은 암수납홈(210)의 바닥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갖는다. 따라서, 포스트설치영역(221)은 암수납홈(210)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포스트설치영역(221)은 암수납홈(210)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헤드안착영역(222)은 포스트설치영역(221)에 설치된 포스트(310)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헤드(340)의 타측면이 안착되는 기능을 한다.
헤드안착영역(222)은 포스트설치영역(221)의 상부에 위치하고, 헤드안착영역(222)의 하부는 포스트설치영역(221)의 상부와 연통된다.
헤드안착영역(222)의 후방은 암수납홈(210)의 전방과 연통된다. 따라서, 전술한 포스트설치영역(221)과 헤드안착영역(222)의 상, 하 구분은 암수납홈(21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구분지을 수 있다.
헤드안착영역(222)의 내부에는 안착단턱(224)이 형성된다.
안착단턱(224)은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헤드(340)의 타측면이 안착단턱(224)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헤드(340)를 안착하는 기능을 한다.
안착단턱(224)의 전방에는 보호캡단턱(225)이 형성된다.
보호캡단턱(225)은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카메라부(350)의 보호캡(353)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보호캡단턱(225)은 보호캡(353)의 타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부분이 안착되는 기능을 한다.
위와 같이,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헤드안착영역(222)에 헤드(340)가 안착됨에 따라,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될 때, 다관절암부(300)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유지시켜줄 수 있어, 다관절암부(300)의 수납이 안정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헤드삽입영역(223)은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헤드(34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헤드삽입영역(223)은 헤드안착영역(222)의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안착영역(222)의 하부가 헤드안착영역(222)의 상부와 연통된다.
헤드삽입영역(223)은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에 수납 시, 헤드삽입영역(223) 내부에 헤드(340)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삽입영역(223)의 내부 넓이는 헤드의 넓이와 유사한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헤드삽입영역(223)에 헤드(340)가 삽입될 때, 헤드삽입영역(223)과 헤드(340) 사이에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헤드삽입영역(223)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개구부(226)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위와 같이, 개구부(226)가 구비됨에 따라,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헤드(340)의 헤드수납홈(220)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관절암부(300)가 펼쳐져 수납부(200)에서 꺼내질 때, 헤드(340)가 헤드수납홈(220)으로부터 쉽게 꺼내질 수 있다.
다관절암부(300)
이하, 다관절암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다관절암부(300)는 몸체(100)에 설치되며,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수납부(200)에 수납된다.
다관절암부(300)는 헤드(340)의 위치를 변화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다관절암부(300)의 헤드(340)에 구비된 카메라부(350)를 통해 피사체의 촬영을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다관절암부(300)는, 도 1, 도 4,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310)와, 포스트(31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320);과, 제1암(32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암(330);과, 제2암(33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부(350)가 구비된 헤드(340);와, 포스트(310)와 제1암(320)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360);와, 제1암(320)과 제2암(330)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370);와, 제2암(330)과 헤드(340)를 연결하는 제3힌지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다관절암부(3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1암(320)의 일측면은 도 7을 기준으로 제1암(320)의 하면일 수 있고, 제1암(320)의 타측면은 도 7을 기준으로 제1암(320)의 상면일 수 있다. 이는,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시, 제1암(320)의 상하가 반전되어 수납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암(330)의 일측면은 도 7을 기준으로 제2암(330)의 상면일 수 있고, 제2암(320)의 타측면은 도 7을 기준으로 제2암(330)의 상면일 수 있다.
또한, 헤드(340)의 일측면은 도 7을 기준으로 헤드(340)의 상면일 수 있고, 헤드(340)의 타측면은 도 7을 기준으로 헤드(340)의 상면일 수 있다.
포스트(310)
포스트(310)는 몸체(100)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포스트(310)는 전술한 포스트설치영역(221)에 설치되며, 포스트설치영역(221)의 내부 및 헤드안착영역(22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포스트(310)는, 도 4,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베이스(311);와, 포스트베이스(311)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프레임(312);과, 포스트(310)를 덮는 포스트커버(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베이스(311)는, 포스트설치영역(22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삽입되어 몸체(100)와 포스트(31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포스트프레임(312)은 포스트베이스(311)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포스트(310)가 몸체(100)에 설치 시, 포스트프레임(312)이 포스트베이스(31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포스트(310)의 수평 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포스트(310)의 수평 방향 회전으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헤드(34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관절암부(300)를 통한 헤드(340)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헤드(340)의 높은 자유도가 보장되며, 이로 인해, 헤드(340)의 카메라부(350)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포스트커버(313)는 포스트프레임(312) 및 제1힌지부(360)의 일부를 덮어 포스트프레임(312) 및 제1힌지부(36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포스트프레임(312)의 일단에는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가 구비된다.
포스트프레임(312)의 일단은 도 11에서 다관절암부(300)를 펼쳤을 때, 제1암프레임(321)을 향하는 방향이다. 다시 말해, 포스트프레임(312)의 일단은 도 11을 기준으로 전방 방향이다.
따라서,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는 포스트프레임(312)에서 도 11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는 도 11을 기준으로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 각각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멍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됨으로써, 포스트프레임(312)과 제1암프레임(321)이 연결된다. 따라서, 포스트(310)와 제1암(320)이 제1힌지부(3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310)가 몸체(100)에 설치되면,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는 몸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암(320)
제1암(320)은 포스트(31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암(320)의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1힌지부(36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1암(320)은, 도 4,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프레임(321);과, 제1암프레임(321)을 덮는 제1암커버(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암커버(323)는 제1암프레임(321), 제1힌지부(360)의 일부 및 제2힌지부(370)의 일부를 덮어 제1암프레임(321), 제1힌지부(360) 및 제2힌지부(37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제1암프레임(321)의 일단에는 제1암편심단부(332) 및 제2-1연결부(326)가 구비되며, 제1암프레임(321)의 타단에는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가 구비된다.
제1암프레임(321)의 일단은 도 11에서 다관절암부(300)를 펼쳤을 때, 제2암프레임(331)을 향하는 방향이고, 제1암프레임(321)의 타단은 포스트프레임(312)을 향하는 방향이다. 다시 말해, 제1암프레임(321)의 일단은 도 11을 기준으로 전방 방향이고, 제1암프레임(321)의 타단은 도 11을 기준으로 후방 방향이다.
따라서,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는 제1암프레임(321)에서 도 11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는 도 11을 기준으로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 각각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멍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됨으로써, 제1암프레임(321)과 포스트프레임(312)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암(320)과 포스트(310)이 제1힌지부(3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1연결부(326)는 제1암프레임(321)의 일단에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1암편심단부(332)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도 11을 기준으로, 제2-1연결부(326)는 제1암프레임(321)의 전방에 구비되어 형성되는 제1암편심단부(332)에 구비된다.
제2-1연결부(326)의 삽입홈(미도시)은 도 11의 좌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에는 제2힌지축(371)이 삽입되며, 이를 통해, 제1암프레임(321)과 제2암프레임(331)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암(320)과 제2암(330)이 제2힌지부(3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암프레임(321)의 제1암편심단부(332)는 도 1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암편심단부(332)는 후술할 제2-2연결부(334)보다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제2암(330)
제2암(330)은 제1암(32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암(330)의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2힌지부(37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2암(330)은, 도 4,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암프레임(331);과, 제2암프레임(331)을 덮는 제2암커버(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암커버(333)는 제2암프레임(331), 제2힌지부(370)의 일부 및 제3힌지부(380)의 일부를 덮어 제2암프레임(331), 제2힌지부(370) 및 제3힌지부(38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제2암프레임(331)의 일단에는 제2암편심단부(332)가 구비되며, 제2암프레임(331)의 타단에는 제2-2연결부(334)가 구비된다.
제2암프레임(331)의 타단은 도 11에서 다관절암부(300)를 펼쳤을 때, 제1암프레임(321)을 향하는 방향이고, 제2암프레임(331)의 일단은 타단의 반대 방향이다. 다시 말해, 제2암프레임(331)의 일단은 도 11을 기준으로 전방 방향이고, 제2암프레임(331)의 타단은 도 11을 기준으로 후방 방향이다.
따라서, 제2-2연결부(334)는 제2암프레임(331)에서 도 11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2연결부(334)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멍에 제2힌지축(371)이 삽입됨으로써, 제1암프레임(321)과 제2암프레임(331)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암(320)과 제2암(330)이 제2힌지부(3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암프레임(331)의 일단에는 제2암편심단부(33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제2암프레임(331)의 제2암편심단부(332)는 도 1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암편심단부(332)는 후술할 제3연결부(382)보다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헤드(340)
헤드(340)는 제2암(330)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헤드(340)의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3힌지부(38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헤드(340)는, 도 1, 도 4,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40)에 구비되는 카메라부(350);와, 헤드(34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손가락홈(341);과, 헤드(34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중앙에 손가락홈(341)과 연통되되 손가락홈(341)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 커버구멍(343)이 구비된 손가락홈캡(3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350)는 헤드(340)에 구비된다.
카메라부(350)는, 헤드(34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렌즈홈(351);과, 렌즈홈(351)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렌즈(352);와, 렌즈홈(351)과 연통되는 캡구멍(미도시)이 구비되며, 헤드(34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보호캡(3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렌즈홈(351)은 헤드(34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렌즈홈(351)의 개구 방향은 헤드(340)의 타측면을 향하게 형성된다.
카메라렌즈(352)는 렌즈홈(351) 내부에 삽입되며, 이러한 카메라렌즈(352)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렌즈(352)는 제어부와 연결되며, 이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때,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보호캡(353)은 헤드(340)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보호캡(353)에는 렌즈홈(351)과 연통되는 캡구멍이 구비된다. 따라서, 보호캡(353)이 설치되어도, 캡구멍 및 렌즈홈(351)을 통해 카메라렌즈(352)를 통한 피사체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캡(353)은 렌즈홈(351)을 보호하여, 렌즈홈(351)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렌즈(352)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보호캡(353)은 렌즈홈(351)의 주변부에 설치된다.
손가락홈(341)은 헤드(34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손가락홈캡(342)는 헤드(34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손가락홈캡(342)의 중앙에는 손가락홈(341)과 연통되되 손가락홈(341)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 커버구멍(343)이 구비된다.
위와 같은 손가락홈(341) 및 손가락홈캡(342)의 구성으로 인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홈(341)에 손가락(F)을 넣어 헤드(340)를 수납부(200)로부터 용이하게 꺼내, 다관절암부(300)를 통한 헤드(340)의 위치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손가락홈캡(342)의 커버구멍(343)의 넓이는 손가락홈(341)의 넓이보다 작으므로, 손가락(F)이 커버구멍(343)의 주변부에 있는 손가락홈캡(342)에 의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손가락(F)을 이용하여 다관절암부(300)를 수납부(200)로부터 쉽게 꺼내 펼칠 수 있다.
제1힌지부(360)
제1힌지부(360)는 포스트(310)와 제1암(320)을 연결하며, 힌지구조를 통해, 제1암(320)이 제1힌지축(36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제1힌지부(360)는, 도 4,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310)의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와,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암(320)의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에 삽입되어, 제1-1 내지 제1-4연결부(314, 315, 324, 325)를 연결하는 제1힌지축(361);과, 제1-3연결부(324)와 제1-4연결부(325)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되는 게재부재(364);와, 제1-1연결부(314)와 제1-3연결부(324)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되는 제1-1스프링(362);과, 제1-2연결부(315)와 상기 제1-4연결부(325)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되는 제1-2스프링(363);과, 제1-1연결부(314)와 제1-1볼트헤드(366)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되는 제1-3스프링(미도시);과, 제1-2연결부(315)와 제1-2볼트헤드(367) 사이에 개재되며, 그 내부에 제1힌지축(361)이 삽입되는 제1-4스프링(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힌지축(361)은 포스트(310)의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 각각에 형성된 구멍과, 제1암(320)의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제1-1 내지 제1-4연결부(314, 315, 324, 325)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암(320)은 제1힌지축(36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3연결부(324) 및 제1-4연결부(325)는 제1-1연결부(314) 및 제1-2연결부(315) 사이에 배치된다.
게재부재(364)는 제1-3연결부(324)와 제1-4연결부(325) 사이에 게재된다.
게재부재(364)의 내부에는 제1힌지축(361)이 삽입된다.
제1-1스프링(362)은 제1-1연결부(314)와 제1-3연결부(324) 사이에 게재된다.
제1-1스프링(362)의 내부에는 제1힌지축(361)이 삽입된다.
제1-1스프링(362)은 탄성력이 좌우 방향, 즉, 제1-1연결부(314)와 제1-3연결부(324) 방향으로 작용한다.
제1-2스프링(363)은 제1-2연결부(315)와 제1-4연결부(325) 사이에 게재된다.
제1-2스프링(363)의 내부에는 제1힌지축(361)이 삽입된다.
제1-2스프링(363)은 탄성력이 좌우 방향, 즉, 제1-2연결부(315)와 제1-4연결부(325) 방향으로 작용한다.
제1-3스프링은 제1-1연결부(314)와 제1-1볼트헤드(366) 사이에 게재된다.
제1-3스프링의 내부에는 제1힌지축(361)이 삽입된다.
제1-3스프링은 탄성력이 좌우 방향, 즉, 제1-1연결부(314)와 제1-1볼트헤드(366) 방향으로 작용한다.
제1-4스프링은 제1-2연결부(315)와 제1-2볼트헤드(367) 사이에 게재된다.
제1-4스프링의 내부에는 제1힌지축(361)이 삽입된다.
제1-4스프링은 탄성력이 좌우 방향, 즉, 제1-2연결부(315)와 제1-2볼트헤드(367) 방향으로 작용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1힌지부(360)는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1-1볼트헤드(366), 제1-3스프링, 제1-1연결부(314), 제1-1스프링(362), 제1-3연결부(324), 게재부재(364), 제1-4연결부(325), 제1-2스프링(363), 제1-2연결부(315), 제1-4스프링, 제1-2볼트헤드(367) 순으로 배치된다.
제1힌지부(360)는 제1-1스프링(362), 제1-2스프링(363), 제1-3스프링 및 제1-4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힌지축(361)의 길이 방향, 즉, 도 11의 좌우방향으로 각 스프링들의 탄성력이 작용됨으로써, 제1힌지부(360)는 높은 정지마찰력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동안 다관절암부(300)를 접거나 펼치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헤드(340), 제2암(330) 및 제1암(320)의 무게에 의해 제1암(320)이 쳐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힌지부(360)의 경우, 제1암(320)에 제2암(330) 및 헤드(340)가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힌지부(360)의 힌지구조가 양측에서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힌지부(360)가 헐거워져, 제1암(320)이 쳐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1볼트헤드(366) 및 제1-2볼트헤드(367)를 설치할 때, 제1-1볼트헤드(366), 제1-3스프링, 제1-1연결부(314), 제1-1스프링(362), 제1-3연결부(324), 게재부재(364), 제1-4연결부(325), 제1-2스프링(363), 제1-2연결부(315), 제1-4스프링, 제1-2볼트헤드(367)의 사이 사이에 발생되는 정지마찰력을 측정하면서, 제1-1볼트헤드(366) 및 제1-2볼트헤드(367)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힌지부(360)이 적절한 정지마찰력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1힌지부(360)에 의한 제1암(320)의 수직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게재부재(364)와 제1-3연결부(324) 사이 및 게재부재(364)와 제1-4연결부(325) 사이 각각에는 와셔(미도시)가 게재될 수도 있다.
제2힌지부(370)
제2힌지부(370)는 제1암(320)과 제2암(330)을 연결하며, 힌지구조를 통해, 제2암(330)이 제2힌지축(37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제2힌지부(370)는, 도 4,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320)의 제2-1연결부(326)의 삽입홈 및 제2암(330)의 제2-2연결부(334)에 삽입되어 제2-1연결부(326)와 제2-2연결부(334)를 연결하는 제2힌지축(371);과, 제2-2연결부(334)와 제2볼트헤드(373)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제2힌지축(371)이 삽입되는 제2스프링(3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힌지축(371)은 포스트(310)의 제2-1연결부(326)의 삽입홈과, 제2-2연결부(334)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제2-1연결부(326)와 제2-2연결부(334)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2암(330)은 제2힌지축(37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힌지축(371)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2연결부(334)는 제1암(320)의 제1-3연결부(324)에서 제2암(330) 방향으로 연장된 선 및 제1-4연결부(325)에서 제2암(330) 방향으로 연장된 선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2-2연결부(334)가 제1-3연결부(324)에서 제2암(330) 방향으로 연장된 선 및 제1-4연결부(325)에서 제2암(330) 방향으로 연장된 선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제2암(330)이 다관절암부(300)의 중심축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크게 치우치지 않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다관절암부(300)의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스프링(372)은 제2-2연결부(334)와 제2볼트헤드(373) 사이에 게재된다.
제2스프링(372)의 내부에는 제2힌지축(371)이 삽입된다.
제2스프링(372)은 탄성력이 좌우 방향, 즉, 제2-2연결부(334)와 제2볼트헤드(373) 방향으로 작용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1힌지부(360)는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2볼트헤드(373), 제2스프링(372), 제2-2연결부(334), 제2-1연결부(326) 순으로 배치된다.
제2힌지부(370)는 제2스프링(372)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2힌지축(371)의 길이 방향, 즉, 도 11의 좌우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됨으로써, 제1힌지부(360)는 높은 정지마찰력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동안 다관절암부(300)를 접거나 펼치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제2암(330) 및 헤드(340)의 무게에 의해 제2암(330)이 쳐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힌지부(370)는 제2볼트헤드(373)를 설치할 때, 제2볼트헤드(373), 제2스프링, 제2-2연결부(334), 제2-1연결부(326)의 사이 사이에 발생되는 정지마찰력을 측정하면서, 제2볼트헤드(373)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힌지부(370)이 적절한 정지마찰력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부(370)에 의한 제2암(330)의 수직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2연결부(334)와 제2-1연결부(326) 사이에는 와셔(미도시)가 게재될 수도 있다.
제2힌지부(370)의 경우, 제2암(330)에 헤드(340)만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힌지부(360)의 힌지구조와 달리, 하나의 연결부, 즉, 제2-2연결부(334)만으로 제2힌지축(371)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더라도, 제2암(330)의 쳐짐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제3힌지부(380)
제3힌지부(380)는 제2암(330)과 헤드(340)를 연결하며, 힌지구조를 통해, 헤드(340)가 제3힌지축(38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제3힌지부(380)는, 도 4,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암(33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힌지축(381);과, 그 타단에 삽입고리(383)가 구비되며, 삽입고리(383)에 상기 제3힌지축(381)이 삽입되어 그 타단이 제2암(330)에 연결되고, 그 일단이 헤드(340)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3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힌지축(381)은 제3연결부(382)와 제2암(33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세하게는, 제2암(330)의 제2암프레임(331)의 일단에 형성된 제2암편심단부(332)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3힌지축(381)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3힌지축(381)은 제3연결부(382)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고리(383)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3연결부(382)와 제2암프레임(331)이 제3힌지축(381)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헤드(340)는 제3힌지축(38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3연결부(382)는 제3연결부(382)의 일단이 헤드(340)와 연결되며, 제3연결부(382)의 타단이 제3힌지축(381)과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제3연결부(382)의 타단에는 삽입고리(383)가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고리(383)에 제2암프레임(331)의 제2암편심단부(332)에 설치된 제3힌지축(381)이 삽입됨으로써, 제3연결부(382)와 제2암(330)이 서로 연결된다.
삽입고리(383)는 제3힌지축(381)을 원주 방향으로 감쌈으로써, 제3힌지축(381)을 삽입고리(383) 내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 경우, 삽입고리(383)는 제3연결부(382)의 타단을 도구를 통해 제3힌지축(381)에 감싸게 하고, 상기 도구를 통해 제3힌지축(381)의 중심점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삽입고리(383)로의 제3힌지축(381)의 삽입을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구를 통해 제3연결부(382)의 타단을 제3힌지축(381)을 감싸도록 찝어 삽입고리(383)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제3힌지축(381)을 삽입고리(383) 내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위와 같이, 도구를 통해 삽입고리(383)를 가압하여 삽입고리(383)와 제3힌지축(381)을 연결함으로써, 제3힌지부(380)는 높은 정지마찰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동안 다관절암부(300)를 접거나 펼치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헤드(340)가 헤드(340)의 무게에 의해 쳐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는 카메라부(350)의 카메라렌즈(352), 전원부, 접속부, 무선통신부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에 여러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외부기기와 제어부와의 연결은, 유선케이블에 의해 외부기기가 접속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무선 통신수단에 의해 무선통신부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기기와 제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에 전력의 공급은 전원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는 전원케이블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거나, 실물화상기(10)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실행정보 및 카메라부(3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속부 및 유선케이블에 의해 외부기기와 실물화상기(10)가 연결되고, 전원버튼의 구동에 의해 전원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실행정보 및 카메라부(3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접속부 및 유선케이블을 통해 외부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실행정보를 수신받은 외부기기는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자동적으로 실행시키게 되고, 실행된 소프트웨어는 제어부를 통해 송신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실물화상기(10)와 외부기기가 무선에 의해 연결될 경우, 무선통신수단 및 무선통신부에 의해 외부기기와 실물화상기(10)가 연결되고, 전원버튼의 구동에 의해 전원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실행정보 및 카메라부(3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수단 및 무선통신부을 통해 외부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외부기기는 PC, TV, 프로젝터 등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기기일 수 있으며, 무선통신수단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실행정보 및 영상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함에 따라, 실물화상기(10)에 전원버튼을 누르는 것 만으로도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부(3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기기를 별도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물화상기(1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물화상기(10)의 다관절암부(300)가 수납부(200)에 수납 시, 제1, 2암(320, 330)은 암수납홈(210)에 완전히 삽입되어 수납되고, 헤드(340) 또한, 헤드수납홈(220)에 완전히 삽입되어 수납된다. 따라서, 제1, 2암(320, 330) 및 헤드(3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1, 2암(320, 330)은 암수납홈(210)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2암(330)의 타측면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헤드(340) 또한, 헤드수납홈(220)에 완전히 삽입되어 헤드(340)의 일측면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물화상기(10)는 종래의 실물화상기와 달리, 다관절암부(300)의 수납 상태에서 제1, 2암(320, 330) 및 헤드(34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340)가 암수납홈(210)에 수납될 때, 헤드(340)의 타측면에 구비된 카메라부(350)가 암수납홈(210) 내부에 수납되므로, 카메라부(350)의 파손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다관절암부(300)의 구성으로 인해, 다관절암부(300)의 접힘 및 펼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제1암(320), 제2암(330), 헤드(340)가 각각의 무게에 의해 쳐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관절암부(300)가 접혀져 수납부(200)에 수납될 때, 제1암(320)의 암수납홈(210)의 바닥면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암수납홈(210)의 바닥면의 후방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은 제1힌지부(360)를 덮는 제1암커버(323)와 제2암커버(333)의 곡선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선부로 인해, 제1암(320)이 암수납홈(210)의 바닥면에 안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관절암부(300)가 접혀져 수납부(200)에 수납될 때, 제2암(330)과 제1암(320)이 맞닿는 부분, 즉, 제2암커버(333)의 타측면과 제1암커버(323)의 일측면이 맞닿는 부분에 커팅을 하여, 제2암(330)이 제1암(320)의 상부에 용이하게 맞닿아 접혀 있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실물화상기
100: 몸체 110: 경사면
120: USB포트 130: 조작부
140: 하부홈
200: 수납부
210: 암수납홈 220: 헤드수납홈
221: 포스트설치영역 222: 헤드안착영역
223: 헤드삽입영역 224: 안착단턱
225: 보호캡단턱 226: 개구부
300: 다관절암부
310: 포스트 311: 포스트베이스
312: 포스트프레임 313: 포스트커버
314: 제1-1연결부 315: 제1-2연결부
320: 제1암 321: 제1암프레임
322: 제1암편심단부 323: 제1암커버
324: 제1-3연결부 325: 제1-4연결부
326: 제2-1연결부
330: 제2암 331: 제2암프레임
332: 제2암편심단부 333: 제2암커버
334: 제2-2연결부
340: 헤드 341: 손가락홈
342: 손가락홈캡 343: 커버구멍
350: 카메라부 351: 렌즈홈
352: 카메라렌즈 353: 보호캡
360: 제1힌지부 361: 제1힌지축
362: 제1-1스프링 363: 제1-2스프링
364: 게재부재 366: 제1-1볼트헤드
367: 제1-2볼트헤드
370: 제2힌지부 371: 제2힌지축
372: 제2스프링 373: 제2볼트헤드
380: 제3힌지부 381: 제3힌지축
382: 제3연결부 383: 삽입고리
F: 손가락

Claims (10)

  1.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접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다관절암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관절암부는,
    상기 몸체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암;
    상기 제1암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암; 및
    상기 제2암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카메라부가 구비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상기 헤드를 수납부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손가락홈; 및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중앙에 상기 손가락홈과 연통되되 상기 손가락홈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 커버구멍이 구비된 손가락홈캡;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헤드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렌즈홈; 및
    상기 렌즈홈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다관절암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 시, 상기 제2암이 상기 제1암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로 상기 제1, 2암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암수납홈; 및
    상기 암수납홈의 전방에 위치하여 그 후방이 상기 암수납홈의 전방과 연통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관절암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 시, 상기 렌즈홈의 개구 방향이 상기 몸체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헤드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암이 상기 암수납홈에 수납 시, 상기 제2암은 상기 경사면과 같은 각도로 상기 제1암의 상부에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수납홈은,
    상기 암수납홈의 바닥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갖으며, 상기 포스트가 설치되는 포스트설치영역;
    상기 포스트설치영역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가 상기 포스트설치영역의 상부와 연통되고, 그 내부에 상기 포스트가 위치하고, 그 후방이 상기 암수납홈의 전방과 연통되며,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수납홈에 수납 시, 상기 헤드의 타측면이 그 내부에 형성된 안착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안착영역; 및
    상기 헤드안착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하부가 상기 헤드안착영역의 상부와 연통되고, 전방에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수납홈에 수납 시, 그 내부에 상기 헤드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헤드삽입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암부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제1암을 연결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을 연결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2암과 상기 헤드를 연결하는 제3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포스트의 제1-1연결부 및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1연결부 및 상기 제1-2연결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암의 제1-3연결부 및 제1-4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1 내지 제1-4연결부를 연결하는 제1힌지축;
    상기 제1-3연결부와 상기 제1-4연결부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게재부재;
    상기 제1-1연결부와 상기 제1-3연결부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1스프링; 및
    상기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4연결부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1암의 제2-1연결부의 삽입홈 및 상기 제2암의 제2-2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1연결부와 상기 제2-2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힌지축; 및
    상기 제2-2연결부와 제2볼트헤드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2힌지축이 삽입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제2암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힌지축; 및
    그 타단에 삽입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고리에 상기 제3힌지축이 삽입되어 그 타단이 상기 제2암에 연결되고, 그 일단이 상기 헤드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1연결부와 제1-1볼트헤드 사이에 게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3스프링; 및
    상기 제1-2연결부와 제1-2볼트헤드 사이에 개재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4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2연결부는 상기 제1-3연결부에서 상기 제2암 방향으로 연장된 선 및 상기 제1-4연결부에서 상기 제2암 방향으로 연장된 선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렌즈홈과 연통되는 캡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수납홈은,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수납홈에 수납 시, 상기 헤드의 타측면이 그 내부에 형성된 안착단턱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안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단턱의 전방에는 상기 보호캡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보호캡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실행정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KR1020190052452A 2019-05-03 2019-05-03 실물화상기 KR10219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52A KR102191004B1 (ko) 2019-05-03 2019-05-03 실물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52A KR102191004B1 (ko) 2019-05-03 2019-05-03 실물화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738A KR20200127738A (ko) 2020-11-11
KR102191004B1 true KR102191004B1 (ko) 2020-12-14

Family

ID=7345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52A KR102191004B1 (ko) 2019-05-03 2019-05-03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0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30Y1 (ko) * 2005-05-27 2005-08-17 주식회사 코맥스 화상시청기의 좌우 전후 회전식 힌지 및 힌지장치
KR200462189Y1 (ko) * 2012-04-13 2012-08-29 주식회사 씨엔디솔루션스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KR101302968B1 (ko) * 2012-07-23 2013-09-03 주식회사 삼성에스디피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
CN204678006U (zh) * 2015-05-04 2015-09-30 徐先平 一种便捷式易收纳的计算机摄像头
JP2017118225A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エルモ社 書画カメ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30Y1 (ko) * 2005-05-27 2005-08-17 주식회사 코맥스 화상시청기의 좌우 전후 회전식 힌지 및 힌지장치
KR200462189Y1 (ko) * 2012-04-13 2012-08-29 주식회사 씨엔디솔루션스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KR101302968B1 (ko) * 2012-07-23 2013-09-03 주식회사 삼성에스디피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
CN204678006U (zh) * 2015-05-04 2015-09-30 徐先平 一种便捷式易收纳的计算机摄像头
JP2017118225A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エルモ社 書画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738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0717T3 (es) Cámara de video
EP0671849A1 (en) Tiltable, rotatable and detachable LCD viewfinder
CN104747887A (zh) 一种自拍杆
KR101109583B1 (ko) 홀더부가 개폐되는 촬상장치
US20160295173A1 (en) Digital camcorder angle display viewer device with an add-on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omponents thereof
KR100743685B1 (ko)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CN204829205U (zh) 一种自拍杆
KR102191004B1 (ko) 실물화상기
WO2010051684A1 (zh) 能随身观看视频影像的帽子
CN207133509U (zh) 智能眼镜
KR200469833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4330462B2 (ja) 液晶機器用遮光フード
KR101034570B1 (ko) 자체 조명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US20230152673A1 (en) Multi-support accessory with integrated power supply for image capture devices
JP6754816B2 (ja) 書画カメラ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CN210978175U (zh) 折叠机构和多相机装置
CN205071066U (zh) 移动终端后壳和移动终端
JP2004078048A (ja) カメラ
KR101502227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187429Y1 (ko) 폴더형 디지털 카메라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CN214281551U (zh) 一种立体视频摄录装置
JP3894902B2 (ja) 拡大読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