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62Y1 -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62Y1
KR200469162Y1 KR2020110010721U KR20110010721U KR200469162Y1 KR 200469162 Y1 KR200469162 Y1 KR 200469162Y1 KR 2020110010721 U KR2020110010721 U KR 2020110010721U KR 20110010721 U KR20110010721 U KR 20110010721U KR 200469162 Y1 KR200469162 Y1 KR 200469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flector
angle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457U (ko
Inventor
유정수
강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시드
Priority to KR2020110010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6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본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일측에 마련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를 상기 본체에 지지하는 반사부지지부와; 상기 반사부를 회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를 포함하여, 보행 중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반사부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 본체의 카메라 일측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부를 마련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여, 보행 중 이동 단말기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CAMERA MIRROR MODULE FOR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반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 본체의 카메라 일측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부를 마련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대중화면서, 보행 중에도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시각 및 청각기능이 이동 단말기에 집중되어 주변 환경을 인지하지 못하고 거리의 가로수나 전봇대 또는 옥외 설치용 광고물 등과 같은 장애물들에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위험을 알려주는 방법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들은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 한 카메라만 독립적으로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는 없으며,
대개의 경우 보행 중 이동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는 지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협소하여 사고 방지 효과가 없거나 매우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6-71908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7-21640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 본체의 카메라 일측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부를 마련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사부의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히 반사부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사부를 본체 또는 보호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본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일측에 마련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를 상기 본체에 지지하는 반사부지지부와; 상기 반사부를 회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를 포함하여, 보행 중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반사부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사부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수직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사부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사부의 회동을 구동하는 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본체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본체경사각을 감지하는 중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중력센서로부터 상기 본체의 본체경사각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가 설정된 촬영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촬영각이 지면에 수평하다고 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부가 상기 본체와 반사부경사각(θ :
Figure 112011095827614-utm00001
, α : 본체경사각)을 이루도록 상기 회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수직회동부 또는 수평회동부는 상기 반사부 일측 또는 상기 반사지지부 일측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회동축과, 상기 반사부 일측 또는 상기 반사지지부 일측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축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동구동부는 상기 반사부 일측에 마련된 추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부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부지지부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보호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
상기 반사부지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부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본체의 카메라 일측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반사부를 마련함으로써,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여, 보행 중 이동 단말기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의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히 반사부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를 본체 또는 보호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유닛의 구성블록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각도조절유닛에서 각도조절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1)은, 본체(110)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113)에서 촬영된 화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본체(110)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사부(10)와, 반사부지지부(20)와, 각도조절유닛(30)을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 말하는 '이동 단말기'는 후면에 화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나 iPad와 같은 태블릿PC 등 다양한 종류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반사부(10)는 반사에 의해 카메라(113)의 촬영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113)는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10)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 한, 카메라(113)만 독립적으로 촬영각도를 변경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0)를 통하여 카메라(113)의 촬영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사부(10)는 반사에 의하여 빛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부지지부(20)는 반사부(10)를 본체(110) 또는 보호케이스(50)에 지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1)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본체(110)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50)가 결합된 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이동 단말기(100)가 본체(110) 단독으로 사용될 때에는 반사부지지부(20)는 반사부(10)를 본체(110)에 지지하며, 보호케이스(5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반사부지지부(2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0)를 보호케이스(50)에 지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사부지지부(20) 자체가 보호케이스(50)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반사부지지부(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또는 보호케이스(5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1)을 반사부(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악세라리화 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반사부지지부(20)의 착탈방법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3)에 인접하여 부착 또는 삽입고정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상으로 클립화하여 끼움결합할 수도 있다.
각도조절유닛(30)은 반사부(10)를 회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본체(110)의 경사각도가 모두 다르며, 또한 동일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보행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반사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각도조절유닛(30)은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부(1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체(110)의 판면이 지면에 나란하다고 가정할 때, 반사부(10)는 도 6의 (b)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할 수도 있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평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에 각도조절유닛(30)은 수직회동부(31) 또는 수평회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수직회동부(31)는 반사부(10)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며, 수평회동부(33)는 반사부(10)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다.
즉, 보행 방향을 전방이라고 했을 때, 수직회동부(31)는 반사부(10)를 전방의 상하로 회동시키는 것이고, 수평회동부(33)는 반사부(10)를 전방에서 측방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직회동부(31) 또는 수평회동부(33)는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고, 2개가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0)의 수직회동 및 수평회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도조절유닛(30)은 보호케이스(50) 일측에 홈을 형성하면 마련되는 수용부(34b)와, 일단은 반사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홈에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드(34a)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반사부(10)를 원하는 주시방향으로 수평으로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수직방향으로의 회동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반사부(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의 (b)와 같이, 보호케이스(50)에 밀착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수직회동부(31) 또는 수평회동부(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한 막힌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행 방향에 상관없이 주시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향 및 높이의 촬영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도조절유닛(30) 반사부(10)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나, 회동구동부(35)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회동구동부(3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서보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동구동부(35)가 마련되는 경우에, 회동구동부(35)는 작동버튼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반사부(10)가 지면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동구동부(35)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본체(110)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마련된 중력센서(115))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도조절유닛(30)은 중력센서(115)로부터 본체(110)의 본체경사각(α)을 입력받아 카메라(113)가 설정된 촬영각(β)을 유지하도록 회동구동부(35)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구동부(35)와 본체(110) 내부의 중력센서(115)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지면에 대해 본체경사각(α) 만큼 경사를 이루는 경우, 제어부(37)는 중력센서(115)로부터 본체경사각(α)을 입력받아 설정된 촬영각(또는 촬영방향)이 구현될 수 있도록 반사부경사각(θ)을 연산한 다음, 회동구동부(35)를 작동시켜 반사부(10)가 연산된 반사부경사각(θ)이 될 때β까지 구동한다.
여기서, 현재 본체(110)와 반사부(10)가 이루는 각을 감지하는 각도센서(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반사부경사각(θ)의 연산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각(β)이 지면에 대해 수평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부(37)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반사부경사각(θ)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5827614-utm00002
.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1)은 회동구동부(35)의 구동을 위한 전원 및 중력센서(115)로부터의 본체경사각(α)에 관한 데이터를 본체(110)로부터 수신받아야 하므로, 이를 위해, USB케이블과 같은 데이터 및 전원 송수신 케이블에 의해 본체(110)와 접속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회동구동부(35)는 다른 방법으로도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회동구동부(35)는 반사부(10) 일측에 마련된 추(미도시)일 수 있다.
구체저으로 설명하면, 수직회동부(31) 또는 수평회동부(33)는 반사부(10) 일측 또는 반사부지지부(20) 일측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회동축(31a)과, 반사부(10) 일측 또는 반사부지지부(20) 일측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회동축(31a)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축수용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회동구동부(35)가 추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추는 자체의 무게 때문에 항상 지면을 향하게 되므로,추와 반사부(10)가 이루는 각도가 고정된 경우라면 추의 위치에 따라 반사부(10)가 따라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1 :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100 : 이동 단말기 110 : 본체
111 : 디스플레이부 113 : 카메라
115 : 중력센서
10 : 반사부 20 : 반사부지지부
30 : 각도조절유닛 31 : 수직회동부
31a : 회동축 31b : 축수용부
33 : 수평회동부 35 : 회동구동부
50 : 보호케이스

Claims (10)

  1. 본체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본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본체가 지면에 대해 이루는 본체경사각을 감지하는 중력센서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일측에 마련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를 상기 본체에 지지하는 반사부지지부와;
    상기 반사부를 회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과;
    상기 반사부의 회동을 구동하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여,
    보행중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도조절유닛이 상기 중력센서로부터 상기 본체경사각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가 설정된 촬영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구동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2. 본체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본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사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일측에 마련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를 지지하는 반사부지지부와;
    상기 반사부를 회동시켜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부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에 마련되어,
    보행중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반사부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주시하고자 하는 방향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사부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수직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사부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반사부의 회동을 구동하는 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촬영각이 지면에 수평하다고 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부가 상기 본체와 반사부경사각(θ :
    Figure 112013020097613-utm00003
    , α : 본체경사각)을 이루도록 상기 회동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10010721U 2011-12-02 2011-12-02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KR200469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21U KR200469162Y1 (ko) 2011-12-02 2011-12-02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721U KR200469162Y1 (ko) 2011-12-02 2011-12-02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57U KR20130003457U (ko) 2013-06-12
KR200469162Y1 true KR200469162Y1 (ko) 2013-10-08

Family

ID=5073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721U KR200469162Y1 (ko) 2011-12-02 2011-12-02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15A1 (ko) * 2014-04-04 2015-10-08 (주)닛시테크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KR101712554B1 (ko) * 2015-01-30 2017-03-06 주식회사 금산이엔지 태양열 집열장치
KR101662974B1 (ko) * 2016-02-02 2016-10-06 주식회사 오픈잇 자전거용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
KR200480648Y1 (ko) * 2016-02-24 2016-06-20 전명수 휴대 조명 케이스
KR102295194B1 (ko) * 2020-04-21 2021-08-27 주식회사 에이원크리에이션 전면카메라용 미러 장치
KR102518438B1 (ko) * 2021-05-04 2023-04-05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카메라 결합용 반사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1041A (ja) * 2001-09-18 2003-03-28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10109711A (ja) * 2008-10-30 2010-05-13 Kyocera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1041A (ja) * 2001-09-18 2003-03-28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10109711A (ja) * 2008-10-30 2010-05-13 Kyocera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57U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162Y1 (ko)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EP3049856B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194860A1 (en) Method of stereoscopic 3d image capture using a mobile device, cradle or dongle
US8798453B2 (en) Attachment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US9348198B1 (en) Mirrored photographing system
US20140313377A1 (en) In relation to a lens system for a camera
KR100778926B1 (ko) 휴대단말기의 회전 받침장치
US20100259619A1 (en) Hmd with elevated camera
US20130044257A1 (en) Mobile device with side-mounted camera module
US10191358B2 (en) Moving head projector system
JP4479818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CN105430131A (zh) 一种手机的角度可调式摄像头组件及手机
US20170366215A1 (en) I-Scope Cell Phone Smart Case Providing Camera Functonality
CN106293029B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摄像模组控制方法
US10027946B2 (en) Camera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CN102576237A (zh) 具有倾斜摄像机组件的便携式计算机
KR102241073B1 (ko) 이동 단말기
EP3086016A1 (en) Motorized camera holder
EP3358402A1 (en) Mirror for taking selfies
KR20170057574A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KR101903521B1 (ko) 포토존 사진 촬영 장치
US8622637B2 (en) Extendable-reach imaging apparatus
US7664388B2 (en) Device with a lens-rotation mechanism
KR101711433B1 (ko) 폴대를 이용하여 천정과 바닥에 고정이 용이한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US20150326764A1 (en) Extendable-reach imaging apparatus with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