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92B1 -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92B1
KR102002392B1 KR1020140030540A KR20140030540A KR102002392B1 KR 102002392 B1 KR102002392 B1 KR 102002392B1 KR 1020140030540 A KR1020140030540 A KR 1020140030540A KR 20140030540 A KR20140030540 A KR 20140030540A KR 102002392 B1 KR102002392 B1 KR 10200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ctronic device
bent
portions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502A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보호 커버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 윈도우부를 구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굴곡에 따라서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보호 커버{PROTECTING COV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호 커버에 관한 발명으로 예컨데,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갤럭시텝, 아이패드 및 전자책 단말기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자 장치를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표시부, 안테나 장치,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래의 기능 외에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기능, 일정 관리, 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다양한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 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나 가방에 보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사용하고 있으나, 보관 및 휴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등 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호 커버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 윈도우가 구비된 전면 커버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를 착탈 결합시키는 후면 커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 커버는 외부 장식 기능과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는 단순 보호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등 휴대용 전자 장치의 휴대성 및 보관성, 사용자 편리성에 여러가지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보호 커버는 대부분 휴대하고 다닐때의 안전성 및 보호 기능을 강조된 것들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보호 커버의 전면 커버는 투명 윈도우의 크기가 클 경우 커버 내측에 카드 및 다른 부품들을 수납할 수 없는 특징이 있었다.(예컨데, 신용카드, 교통카드, 출입카드, 각종 카드, 지폐 및 종이류등)
더불어, 사용자가 표시부를 통해 DMB나 각종 앱을 이용한 동영상을 시청시 사용이 편리한 각도를 사용자의 손으로 맞추어서 시청해야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한 특징이 있었다.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자가 장기간 들고 시청시 불편함이 더욱 증가되었다.
결국, 보호 커버에 다양한 각종 카드 및 다른 부품을 수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동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하는 거치 기능을 부여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보호 커버의 사용에 따라서 굴곡되는 제 1, 2, 3 커버부를 구성함으로써, 커버부들의 어느 하나에 각종 카드, 종이류 및 다른 부품들(예컨대, 거울 부착등)을 수납 및 부착할 수 있고, 이로인해 보호 커버를 지갑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동영상 시청시 커버부들을 경사지게 거치시켜 거치대로 사용하여 동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굴곡에 따라서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함과 아울러 투명 윈도우부를 구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상기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는 수납부를 구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 윈도우부를 구비한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상기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보호 커버의 사용에 따라서 굴곡되는 제 1, 2, 3 커버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커버부들 중 어느 하나에 수납부를 구성하여 각종 카드, 지폐, 종이류 및 다른 부품들(예컨대, 거울 부착등)을 수납 및 부착할 수 있고, 이로인해 보호 커버를 지갑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동영상 시청시 커버부들을 경사지게 거치시켜 거치대로 사용하여 동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로인해 보호 커버의 사용 및 전자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3 커버부의 굴곡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모두 접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3 커버부에 구비된 카메라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모두 펼쳐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자석들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3 커버부의 굴곡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모두 접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2 커버부에 구비된 카메라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모두 펼쳐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자석들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 도 4에 도시됨)에 구비되는 보호 커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넷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PC, 갤랙시 탭 및 아이패드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엘씨디(LC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엘씨디(LC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표시부(2)는 동영상 시청 및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2)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의 표시부(2)의 적용예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전자 장치(1)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센서 전극(미도시 됨)과 구동 전극(미도시 됨)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표시부(2)에 터치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가로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센서 전극과 세로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구동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교차점에서 정전용량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특정 지점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3 커버부(40)의 굴곡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모두 접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1)의 카메라 렌즈(1a)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3 커버부(40)에 구비된 카메라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모두 펼쳐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1)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 커버(10)는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버부(20)는 후술하는 제 2 커버부(30)를 굴곡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커버부(3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구비된 표시부(2)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커버부(20)로부터 굴곡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커버부(3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에 표시되는 내용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투명 윈도우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커버부(40)는 상기 제 1 커버부(20)의 후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커버부(30)와 굴곡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3 커버부(40)는 수납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41)에는 각종 카드(70), 지폐 및 종이류들을 수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커버부는 지갑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종 카드(70), 지폐 및 종이류들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수납부(41)에 수납될 수 있는 다른 부품(3)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납부(41)에는 거울 부착 및 소형의 악세서리등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커버(10)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는 상기 제 3 커버부(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42)과 상기 제 1 커버부(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자석(21)의 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시켜 거치대로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1)의 동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를 자판용으로 사용할 있고, 이로인해 전자 장치(1)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42) 및 상기 거치 자석(21)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한 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경우 시청용 거치대로 사용되고,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를 자판용으로 할 경우 자판용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들 시청용 거치대 또는 자판용 거치대의 사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들은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서 다른 용도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 윈도우부(31)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모두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커버부(30)의 투명 윈도우부(31)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의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투명 윈도우부(31)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투명 윈도우부(31)에 외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기 투명 윈도우부(31)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을 터치하게 한다. 상기 전도체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되면, 센서 전극과 구동 전극에 의해 형성된 교차점의 정전 용량이 변하게 되어 터치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윈도우부(31)를 터치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2 커버부(20)(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커버부(20)(30)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 1 굴곡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커버부(30)(40)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3 커버부(30)(40)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 2 굴곡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커버부(20)에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커버부(20)를 상기 제 1 굴곡부(5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상기 제 2 커버부(30)를 대면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커버부(30)의 투명 윈도우부(31)는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대면된다. 상기 제 3 커버부(40)를 상기 제 2 굴곡부(6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1 커버부(20)의 후면에 대면시킨다.
이때, 도 3a와 같이, 상기 제 3 커버부(40)에는 전자 장치(1)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1a)를 개방시키는 카메라홀(4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커버부(40)가 상기 제 1 커버부(20)에 상기 제 2 굴곡부(60)에 의해 굴곡되어 대면되면, 상기 카메라홀(43)도 함께 굴곡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 렌즈(1a)에 개방시킨다.
이때, 도 3b와 같이, 상기 카메라홀(43)내에는 외부의 다른 부품(3)들을 착탈시키는 착탈 부재(43a)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홀(43)에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을 삽입하면,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에 형성된 착탈 돌기(3a)가 상기 착탈 부재(43a)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착탈 부재(43a)는 상기 착탈돌기(3a)와 억지끼움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착탈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은 탈부착 카메라 렌즈(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은 상기 탈부착 카메라 렌즈(1a)를 예들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은 상기 착탈 부재(43a)에 착탈가능한 다른 부품(3)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은 렌즈 보호 커버, 다양한 칼라의 보조 렌즈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펜(미도시 됨)과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부(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부(2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커버부(20)가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에 별도로 구비되던 배터리 커버의 부품이 필요없고, 이로인해 제품의 제조 비용 및 조립시간을 절감함을 물론, 전자 장치(1)를 슬림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10)의 구성 중 제 1, 3 커버부(20)(40)에 구비된 자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 및 도 5과 같이, 상기 보호 커버(10)는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닫을 경우, 상기 제 1 커버부(2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굴곡부(50)에 의해 굴곡시켜 투명 윈도우부(31)가 구비된 상기 제 2 커버부(30)를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굴곡부(6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3 커버부(40)를 상기 제 1 커버부(20)의 후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커버부(40)에 형성된 카메라홀(43)은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1a)와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즉,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1)의 카메라 모듈을 작동시켜 촬영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3 커버부(40)의 수납부(41)에는 각종 카드(70)를 수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41)에 각종 카드(70)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닫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3 커버부(40)를 상기 제 2 굴곡부(6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납부(41)에 수납된 카드(70)를 수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가 모두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커버부(30)의 투명 윈도우부(31)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다, 투명 윈도우부(31)를 터치하여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의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2, 3 커버부(30)(40)를 상기 제 1, 2 굴곡부(50)(60)에 의해 굴곡시킨다. 도 5와 같이, 상기 제 3 커버부(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42)을 상기 제 1 커버부(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자석(21)에 부착시켜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거치대로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를 바닥에 거치시킨다.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는 상기 거치대로 형성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거치대로 미사용할 경우, 상기 제 3 커버부(40)의 영구 자석(42)들과 상기 제 1 커버부(20)의 거치 자석(21)들을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3 커버부(20(40)는 상기 제 1, 2 굴곡부(50)(60)에 의해 다시 굴곡시켜 상기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서로 겹치게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보호 커버(미도시 됨)는 커버에 구비된 투명 윈도우(미도시 됨)의 크기가 클 경우 커버 내측에 카드 및 다른 부품들을 수납할 수 없고, 더불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미도시 됨)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시청시 사용자가 들고 손으로 맞추어서 시청해야함으로 사용상의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별도로 각종 카드(70; 도 4에 도시됨)를 수납할 수 있는 제 3 커버부(40)를 구성하고, 제 1, 2, 3 커버부(20)(30)(40)를 굴곡시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하여 거치대를 구성함으로써, 전자 장치(1; 도 6에 도시됨)의 동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 커버 및 전자 장치(1)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보호 커버(10; 도 4에 도시됨)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3 커버부(130)의 굴곡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10a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모두 접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2 커버부(120)에 구비된 카메라홀(12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모두 펼쳐서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 커버(100)는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버부(110)는 굴곡되어 후술하는 제 2 커버부(1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커버부(120)는 상기 제 1 커버부(110)의 후면에 대면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커버부(110)로부터 굴곡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2 커버부(120)는 수납부(121)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121)에는 각종 카드(70), 지폐 및 종이류들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21)는 상기 각종 카드(70), 지폐 및 종이류이외에 다른 부품(3)들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 3 커버부(13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에 표시되는 내용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투명 윈도우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커버부(13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커버부(120)와 굴곡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는 상기 제 3 커버부(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132)과 상기 제 1 커버부(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자석(111)의 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시켜 거치대로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1)의 동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를 자판용으로 사용할 있고, 이로인해 전자 장치(1)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구 자석(132) 및 상기 거치 자석(111)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한 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경우 시청용 거치대로 사용되고,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를 자판용으로 할 경우 자판용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들 시청용 거치대 또는 자판용 거치대의 사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들은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서 다른 용도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부(130)의 투명 윈도우부(131)는 상기 제 3 커버부(130)가 굴곡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의 전면에 위치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모두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 3 커버부(130)의 투명 윈도우부(131)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의 전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된다. 다시 말해,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에 외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을 터치하게 한다. 상기 전도체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되면, 센서 전극과 구동 전극에 의해 형성된 교차점의 정전 용량이 변하게 되어 터치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를 터치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9와 같이, 상기 제 3 커버부(130)는 후술하는 제 2 굴곡부(15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을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된 터치 스크린 패널(2)을 터치함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제 1, 2 커버부(110)(120)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커버부(110)(120)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 1 굴곡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커버부(120)(130)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3 커버부(120)(130)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 2 굴곡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커버부(110)에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커버부(110)를 상기 제 1 굴곡부(14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1 커버부(110)의 후면과 상기 제 2 커버부(120)의 전면을 대면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커버부(130)의 투명 윈도우부(131)는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대면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3 커버부(130)를 상기 제 2 굴곡부(15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의 전면에 대면시킨다.
이때, 도 10a와 같이, 상기 제 2 커버부(120)에는 전자 장치(1)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키는 카메라홀(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 장치(1)의 후면에 결합된 상기 제 1 커버부(110)가 상기 제 1 굴곡부(140)에 의해 굴곡되면, 상기 제 1 커버부(110)에 구비된 카메라 관통홀이 상기 카메라홀(122)에 대면되어 상기 전자 장치(1)의 카메라 렌즈을 개방시킨다. 상기 카메라 관통홀은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관통시켜 개방한다.
이때, 도 10b와 같이, 상기 카메라홀내에는 외부의 다른 부품(3)들을 착탈시키는 착탈 부재(122a)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홀(122)에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을 삽입하면,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에 형성된 착탈 돌기(2a)가 상기 착탈 부재(122a)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착탈 부재(122a)는 상기 착탈돌기(3a)와 억지끼움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착탈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3)은 탈부착 카메라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펜(미도시 됨)과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부(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부(11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장착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커버부(110)가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에 별도로 구비되던 배터리 커버의 부품이 필요없고, 이로인해 제품의 제조 비용 및 조립 시간을 절감함은 물론, 전자 장치(1)를 슬림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자석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 중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먼저, 도 12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100)는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모두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버부(110)는 상기 전자 장치(1)의 후면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커버부(110)를 상기 제 1 굴곡부(14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1 커버부(110)의 후면를 수납부(121)가 구비된 상기 제 2 커버부(120)의 전면과 대응되게 대면시킨다. 즉, 상기 제 1 커버부(110)를 상기 제 1 굴곡부(14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2 커버부(120)와 대면시키고, 투명 윈도우부(131)가 구비된 상기 제 3 커버부(130)를 상기 제 2 굴곡부(150)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전자 장치(1)의 전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8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표시되는 내용이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를 통해 표시된다. 더불어,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를 터치하여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를 터치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한다. 상기 투명 윈도우부(13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에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커버부(130)는 상기 제 2 굴곡부(15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먼저, 상기 제 3 커버부(130)를 상기 제 2 굴곡부(150)에 의해 회전하여 굴곡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제 1 커버부(110)를 상기 제 1 굴곡부(140)에 의해 회전하여 굴곡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커버부(130)에 구비된 영구 자석(132)을 상기 제 1 커버부(110)의 거치 자석(111)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켜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거치대로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를 바닥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1)를 거치시킨다. 사용자가 거치된 상기 전자 장치(1)의 표시부(2)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3 커버부(110)(120)(130)를 거치대로 미사용할 경우, 먼저 상기 제 1 커버부(110)의 거치 자석(111)들과 상기 제 3 커버부(130)의 영구 자석(132)들을 서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상기 제 1 커버부(110)는 상기 제 1 굴곡부(14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 2 커버부(120)에 대면되고, 상기 제 3 커버부(130)는 상기 제 2 굴곡부(15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 1 커버부(110)에 결합된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 전면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 3 커버부(130)의 투명 윈도우부(131)가 상기 전자 장치(1)의 터치 스크린 패널(2)의 전면에 대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보호 커버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장치 : 1 표시부 : 2
제 1 커버부 : 20, 110 제 2 커버부 : 30, 120
제 3 커버부 : 40, 130 투명 윈도우부 : 31, 131
수납부 : 41. 121 거치 자석 : 21,111
영구 자석 : 42, 132 제 1 굴곡부 : 50, 140
제 2 굴곡부 : 60, 150 카메라홀 : 43, 122
착탈 부재 : 43a, 122a

Claims (22)

  1.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굴곡에 따라서 경사지게 거치시키며,
    상기 제 1 커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2.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함과 아울러 투명 윈도우부를 구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상기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거치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커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엘씨디(LC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들 중 어느 하나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우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각종 카드, 지폐 및 종이류들을 수납하는 수납홈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부에는 상기 제 3 커버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부착 및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자석이 구비되는 보호 커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커버부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1 굴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3 커버부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2 굴곡부가 구비되는 보호 커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커버부에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키는 카메라홀이 더 형성되는 보호 커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홀내에는 외부의 다른 부품들을 착탈시키는 착탈 부재가 더 구비되는 보호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에 형성된 착탈돌기로부터 착탈되는 착탈홈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펜과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보호 커버.
  12. 삭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를 닫을 경우, 상기 제 1 커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커버부를 상기 제 1 굴곡부에 의해 굴곡시켜 투명 윈도우부가 구비된 상기 제 2 커버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 2 굴곡부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3 커버부를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2, 3 커버부를 상기 제 1, 2 굴곡부에 의해 굴곡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3 커버부에 구비된 영구 자석들을 상기 제 1 커버부의 거치 자석들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켜 제 1, 2 및 3 커버부를 거치대로 형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시키는 보호 커버.
  14.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부;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는 수납부를 구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 윈도우부를 구비한 제 3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커버부는 상기 제 1, 3 커버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거치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커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커버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우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각종 카드, 지폐 및 종이류들을 수납하는 수납홈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에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키는 카메라홀이 더 형성되는 보호 커버.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부에는 상기 제 3 커버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부착 및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자석이 구비되는 보호 커버.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2 커버부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1 굴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3 커버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3 커버부를 굴곡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 2 굴곡부가 구비되는 보호 커버.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홀내에는 외부의 다른 부품들을 착탈시키는 착탈 부재가 더 구비되는 보호 커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외부의 다른 부품에 형성된 착탈 돌기로부터 착탈되는 착탈홈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커버부를 닫을 경우, 상기 제 1 커버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커버부를 상기 제 1 굴곡부에 의해 굴곡시켜 상기 제 1 커버부의 후면를 수납부가 구비된 상기 제 2 커버부의 전면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 2 굴곡부에 의해 굴곡시켜 투명 윈도우부가 구비된 상기 제 3 커버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 3 커버부를 상기 제 1, 2 굴곡부에 의해 굴곡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3 커버부에 구비된 영구 자석들을 상기 제 1 커버부의 거치 자석들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켜 제 1, 2, 3 커버부를 거치대로 형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시키는 보호 커버.
KR1020140030540A 2014-03-14 2014-03-14 보호 커버 KR10200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540A KR102002392B1 (ko) 2014-03-14 2014-03-14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540A KR102002392B1 (ko) 2014-03-14 2014-03-14 보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02A KR20150107502A (ko) 2015-09-23
KR102002392B1 true KR102002392B1 (ko) 2019-07-23

Family

ID=5424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540A KR102002392B1 (ko) 2014-03-14 2014-03-14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153A (ko) * 2021-03-23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커버가 장착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713U (ko) * 2012-01-27 2013-08-06 김홍진 휴대폰 케이스
KR101377643B1 (ko) * 2012-06-28 2014-03-26 전선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200475167Y1 (ko) * 2013-02-25 2014-11-11 박진환 핸드폰 케이스 지갑
KR20130085401A (ko) * 2013-07-07 2013-07-29 이혜린 휴대폰 관측이 용이한 휴대폰 지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02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6627B (zh) 具有密封构件的电子设备
US9629268B2 (en) Mobile terminal
KR10252706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59379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3056963B1 (en) Wearable smart device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US9690330B2 (en) Mobile terminal
US9609099B2 (en) Mobile terminal
KR101469609B1 (ko) 이동단말 거치용 접이식 파우치
US20120293953A1 (en) Storage devic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US20210037666A1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20130095084A (ko) 이동 단말기
CN209748968U (zh) 保护壳以及具有该保护壳的电子设备
US9866661B2 (en) Deformable mobile terminal
KR20110025939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CN102387228A (zh) 移动终端及其壳体制造方法
WO2017179895A1 (ko) 보호 커버
KR102002392B1 (ko) 보호 커버
KR102086718B1 (ko)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102643355B1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102371463B1 (ko)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