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746B1 -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746B1
KR102003746B1 KR1020190031001A KR20190031001A KR102003746B1 KR 102003746 B1 KR102003746 B1 KR 102003746B1 KR 1020190031001 A KR1020190031001 A KR 1020190031001A KR 20190031001 A KR20190031001 A KR 20190031001A KR 102003746 B1 KR102003746 B1 KR 10200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panel
fixed
hinge bracket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대화
Original Assignee
주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화 filed Critical 주대화
Priority to KR102019003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테블릿 등 스마트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기기가 놓여지는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커버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테두리면에서 회동 가능한 보호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내부 중앙에는 스마트기기를 고정시킨 가동체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체는 베이스패널의 평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되, 일정한 피치 간격으로 이동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SMART DEVICE CASE FOR SECURITY}
본 발명은 스마트폰, 테블릿 등 스마트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을 제3자의 시선을 차단함과 더불어 스마트기기의 보호 등의 다양한 편의성을 가지는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기기의 등장은 인간의 사회생활을 획기저으로 변화시켰다. 스마트기기는 과거 특정한 장소에서만 이루어질수 밖에 없던 일들의 공간적 제한 요소들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인간의 거의 모든 생활이 공간적 제한 없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컨대 과거 은행이나 PC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송금업무는 지하철, 버스안 등 어디에서나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는 그 사용범위가 상호간의 통화나 문자 등의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을 넘어서 웹 서핑, 영화감상이나 독서, 케임 등의 문화 및 여가활동, 문서 열람 및 작성 등의 업무활동 등 일상생활의 전반을 아우른다. 아울러 스마트기기의 사용 연령도 어린이, 청소년 뿐만 아니라 노년층까지도 폭넓게 사용하고 있으며, 2018년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율은 70%를 넘어섰다. 따라서 버스, 지하철 등의 공공장소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게임 등의 오락은 물론 다양한 일을 처리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보편적인 사용은 이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기는 하나, 다른 한편으로 그 주변의 불특정 다수인도 그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쉽게 바라볼 수 있어 그 내용에 관한 보안상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림판을 구비시켜 보안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스마트기기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은 가림판의 작동상태가 사용자의 손동작에 의해 변화되는 등 불안정한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10-1929518호의 멀티기능을 가진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개발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10-1929518호의 스마트기기 케이스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를 거치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패널(210)과 수용패널(220)로 구성되는 패널부(20)와, 상기 패널부(2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부(4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40)에는 360도 회전작동 가능한 가림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부(20)에는 스마트기기를 네면의 각 방향으로 일부 수평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패널(220)의 거치면(224)의 상면에는 가이드슬릿(225)이 구비되고, 스마트기기가 부착되는 슬라이딩부(30)에는 제2스크류(325)의 머리부(325a)돌출시켜 상기 가이드슬릿(225)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하 좌우의 네면 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거치면(224)의 상면에는 센터고정요홈(226a)과 내민고정요홈(226b)을 구비시키고, 슬라이딩부(30)의 가동판(320B)의 저면에 위치고정돌기(322)를 구비시켜 스마트기기의 정위치 및 내민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한 상기의 등록특허공보 10-1929518호의 스마트기기 케이스는, 사용자가 사용행태에 적합하도록 스마트기기를 상하 좌우의 모든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어 사용상에 아무런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가림패널로 주변 사람들이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쳐다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도 스마트기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는 슬라이딩부(30)가 거치면(224)의 상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만큼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어 휴대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스마트기기의 인출정도를 최대로 하지 아니하는 경우(예컨대 자판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하부로 인출시키는 정도와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부로 인출시키는 정도가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인출되는 정도를 달리 할 수 있다)에는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지 않고 변화되는 등 불안정한 상태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가림패널의 사용시 정지시킨 각도의 지속적인 유지가 쉽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 통상적인 스마트기기 케이스는 스마트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를 닫은 경우 그 커버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잠금단추를 구비시키며, 이러한 잠금단추의 돌출을 피하기 의하여 상기 커버에 자석 또는 빨판을 부착시켜 커버의 열림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자석은 스마트기기의 기능 일부를 저하시키고며, 스마트기기 화면에 부착하는 빨판 역시 커버의 내면을 미려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빨판으로 인해 커버와 스마트기기 화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한다.
KR 10-2015-00067555 A KR 10-1929518 B1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슬림화를 구현하고, 스마트기기의 인출정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호패널의 사용시 설정한 각도가 쉽게 변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한 멀티기능을 가진 스마트기기 케이스 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기기가 놓여지는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커버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테두리면에서 회동 가능한 보호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내부 중앙에는 스마트기기를 고정시킨 가동체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체는 베이스패널의 평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되, 일정한 피치 간격으로 이동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가동체는 베이스패널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나, 베이스패널에는 베이스패널보다 두께가 얇은 센터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센터패널에 십자형상으로 관통된 이동안내구를 형성시킨 후, 상기 이동안내구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동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가지는 이동안내구의 이동면에 일정한 피치 간격으로 정지요부를 형성시키고, 가동체중 이동면에 접하여 이동하는 가동본체에 탄성고정부를 설치하되, 상기 탄성고정부에 상기 정지요부에 대응하도록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정지철부를 구비시킨 탄성편을 설치하여, 가동체가 피치단위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패널 테두리면의 모서리에는 보호패널이 회동하는 방향으로 고정힌지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보호패널 중 상기 베이스패널의 테두리면에 접하는 면에는 고정대가 고정 설치되어 회동힌지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힌지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힌지브라켓과 회동힌지브라켓의 사이와 회동힌지브라켓과 고정대의 사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고정힌지브라켓은 제1봉삽입구가 형성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제1봉삽입구의 형상이 변화되는 제1고정링으로 이루어지고, 회동힌지브라켓은, 회동본체와, 상기 회동본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면서 제1봉삽입구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삽입봉과, 상기 회동본체의 타측에 제2봉삽입구가 형성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제2봉삽입구의 형상이 변화되는 제2고정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대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봉삽입구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삽입봉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봉삽입구는 베이스패널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이고, 제1삽입봉은 회동본체를 베이스패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웠을 때 베이스패널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봉삽입구는 회동본체를 베이스패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웠을 때 베이스패널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이고, 제2삽입봉은 보호패널을 덮었을 때 베이스패널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제1고정링과 제2고정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분할슬릿을 형성하여 제1삽입봉 내지 제2삽입봉의 형상변형을 위한 탄성변형이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회동수단과 관련하여 상기의 것과는 달리 제1,2봉삽입구와 제1,2삽입봉을 원형형상으로 구성시키고, 이들 제1,2봉삽입구의 각 내면과 제1,2삽입봉의 각 외면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의 톱니를 구비시키며, 상기 제1,2봉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2고정링에 분할슬릿을 구비시켜 보호패널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톱니의 체결에 의해 그 각도가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가 피치 단위로 인출 및 고정되게 하므로, 인출정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파지없이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보호패널의 기능이 작동될 때, 즉 수직으로 세워져 보안기능을 할 때, 또는 경사지게 세워져 거치기능을 할 때, 또는 스마트기기를 덮어 보호기능을 할 때, 제1,2봉삽입구와 이에 삽입된 제1,2삽입봉 사이에 회동을 방지하는 큰 힘이 작용되므로 설정된 각 회전각도가 쉽게 변하지 않게 되므로 스마트기기 사용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패널을 덮었을 때 고정돌기와 고정요홈에 의해 고정힌지브라켓과 회동힌지브라켓 사이와, 회동힌지브라켓과 고정대 사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보호패널이 덜썩거리지 않도록 상기 보호패널의 내면에 흡착판 등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하며, 자석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기기의 기능이 저하될 우로도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내부의 패널을 상하에서 바라복 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스마트기기를 장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일 구성인 베이스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스마트기기를 이동시키는 가동체를 설치한 상태를 상하부에서 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가동체를 분해 및 결합시킨 각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본 발명의 회동수단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본 발명의 회동수단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회동수단의 일 구성인 고정힌지브라켓의 각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회동수단의 일 구성인 회동힌지브라켓의 각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회동수단의 일 구성인 고정대의 각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고정힌지브라켓과 회동힌지브라켓 사이의 작동관계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호패널의 사용예에 따른 회동수단의 상태에 관한 각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여기에서의 스마트기기라 함은 휴대가 가능한 IT기기를 총괄하는 용어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뿐만 아니라 넷북, 노트북도 포함되며, 스마트폰의 경우도 화면을 접을 수 있는 폴더형 스마트폰 역시 이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이하 '스마트기기 케이스'라 한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스마트기기를 장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케이스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가 놓여지는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의 후면에 부착되는 커버패널(1) 및, 베이스패널(2)의 테두리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타인이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훔쳐 보는 것을 방지하게 하거나, 화면이 책상에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스마트기기를 받쳐주거나, 부주의에 의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스마트기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보호패널(7)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베이스패널(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베이스패널(2)에 스마트기기를 이동시키는 가동체(4)를 설치한 상태를 상하부에서 각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가동체(4)를 분해 및 결합시킨 각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케이스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 위에 거치된 스마트기기를 여러방향으로 자유롭게 인출 및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패널(2)의 내부 중앙에는 스마트기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로 함께 이동하는 가동체(4)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패널(2)에는 가동체(4)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구(31)가 베이스패널(2)을 관통하도록 관통되어 구비된다. 이동안내구(31)는 스마트기기를 인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므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일자형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방향에 대한 선택을 자유롭게 하여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십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동안내구(31)가 상하좌우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동안내구(31)는 가동체(4)에 직접 접하여 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양 측의 이동면(312)과 가동체(4)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선단의 정지면(31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체(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중앙에 위치한 가동본체(41)와 상기 가동본체(41)의 상부에 위치한 거치편(440) 및 상기 가동본체(41)의 하부에 위치한 이탈방지편(430)으로 이루어진다.
가동본체(41)는 이동안내구(31)의 이동면(312)에 접하여 이동하는 것으로서 몸체부(410)와 탄성고정부(420)로 이루어진다.
거치편(440)은 상기 가동본체(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를 거치 고정시켜 가동체(4)의 이동에 따라 스마트기기가 인출 및 복귀되도록 한다.
이탈방지편(430)은 상기 가동본체(41)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동본체(41)가 상기 이동안내구(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베이스패널(2)과 그 하부의 커버패널(1) 사이에는 이탈방지편(430)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441)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안내구(31)는 베이스패널(2)에 직접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베이스패널(2)은 이탈방지편(430)이 이동하는 범위와 그 외의 부분에 대하여 각 두께를 달리할 필요가 있게 된다. 즉 이탈방지편(430)의 이동공간(441) 형성을 위해 이탈방지편(430)이 이동하는 범위에서의 베이스패널(2)은 그 두께를 그 외의 부분보다 얇게 구성시켜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의 중앙부분을 따내고 그 공간에 이동안내구(31)가 구비된 센터패널(3)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센터패널(3)의 두께를 베이스패널(2)보다 얇게 구성시킴으로써 센터패널(3)과 커버패널(1)의 상면 사이에 이탈방지편(430)의 이동공간(44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센터패널(3)에 관통 구비되는 이동안내구(31)는 일자형일 수도 있으나, 십자형상으로 구성시켜 가동체(4)로 하여금 이동안내구(31)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용자의 편의에 유리한 것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이동안내구(31)가 구비된 센터패널(3)을 별도로 구비시킨 경우에는 베이스패널(2) 자체에 단차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제작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의 평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가동체(4)는 일정한 피치(p) 간격으로 이동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예컨대,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스마트기기 케이스로부터 일부만 인출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최대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마트기기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일부 인출된 스마트기기와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함께 잡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가동체(4)가 일정한 피치(p) 간격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가동체(4)가 이동하는 방향을 가지는 이동안내구(31)의 이동면(312)에는 정지요부(312a)가 일정한 피치(p)간격으로 구비되고, 가동체(4)의 탄성고정부(420)에는 상기 정지요부(312a)에 탄성 삽입되는 정지철부(421a)가 동일한 피치(p)간격으로 구비된 탄성편(421)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동본체(41)의 몸체부(410) 모서리 부분에 탄성고정부(420)가 설치되는 데, 상기 몸체부(410) 모서리 부분에는 고정슬릿(411)이 구비되고, 탄성고정부(420)에는 탄성편(421)의 양 단부와 연결된 고정편(42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422)이 고정슬릿(411)에 끼워짐으로써 탄성고정부(420)가 몸체부(410)의 모서리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탄성편(421)은 몸체부(410) 모서리의 수직한 2면 모두에 형성되어 고정편(422)과 함께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의 탄성편(421)은 하나만으로도 이동안내구(31)의 서로 수직인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이동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슬릿(411)은 ㄴ자 단면의 형상을 가지고, 그 전면에는 탄성공간(4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공간(412)은 탄성편(421)의 후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인출 또는 복귀시키고자 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밀어줄 때, 즉 가동체(4)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탄성고정부(420)의 탄성편(421)이 상기 탄성공간(412)내로 후퇴하기 때문에 가동체(4)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9, 10은 베이스패널(2)의 테두리면에서 보호패널(7)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 회동수단의 각 실시예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상기 회동수단은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 테두리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힌지브라켓(5)과, 보호패널(7)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71) 및, 이들 고정힌지브라켓(5)과 고정대(71)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힌지브라켓(6)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힌지브라켓(5)은 베이스패널(2) 테두리면의 모서리에 보호패널(7)이 회동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각 모서리에는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힌지브라켓(5)이 위치하게 된다.
고정대(71)는 보호패널(7)중 베이스패널(2)의 테두리면에 접하는 면에만 위치하며, 보호패널(7)의 회동축으로 작용한다.
회동힌지브라켓(6)은 고정대(71)와 고정힌지브라켓(5) 사이를 매개하여 이들을 연결하면서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의 사이와 회동힌지브라켓(6)과 고정대(71) 사이에서 각각 독립적인 회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호패널(7)의 다양한 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에서는 도 9의 제1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15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회동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도 11은 고정힌지브라켓(5)에 관한 각 실시예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회동힌지브라켓(6)에 관한 각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은 고정대(71)에 관한 각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14는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 사이의 작동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도 15는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 사이 및, 회동힌지브라켓(6)과 고정대(71) 사이의 상기한 작용관계를 이용하여 보호패널(7)을 사용하는 예의 각 단면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베이스패널(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힌지브라켓(5)은, 제1봉삽입구(51)가 형성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제1봉삽입구(51)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고정링(5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고정링(52)은 재질 자체가 충분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앙에 분할슬릿(s)을 형성시켜 제1봉삽입구(51)가 탄성력으로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링(52)의 외측면에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힌지브라켓(6)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회동방지턱(53)과 제2회동방지턱(54)이 각 구비될 수 있다. 제1회동방지턱(53)은 회동힌지브라켓(6)이 도 14의 (a)에서와 같이 상향 세워진 상태에서 더 이상 스마트기기쪽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하며, 제2회동방지턱(54)은 회동힌지브라켓(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14의 (a)에 대하여 180도로 위치한 후 더 이상 스마트기기쪽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회동방지턱(53,54)에 접한 회동힌지브라켓(6)이 회동가능한 방향으로도 쉽게 회동하지 않도록, 제1고정링(52)에는 제1,2회동방지턱(53,54)으로부터 후술하는 회동힌지브라켓(6)의 회동본체(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된 제1,2고정턱(55,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고정턱(55,56)은 제1,2회동방지턱(53,54)과는 달리 충분한 힘을 가하면 회동힌지브라켓(6)이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2고정턱(55,56)의 양면은 경사면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2회동방지턱(53,54) 및 제1,2고정턱(55,56)을 대신하여 도 11의 (b)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링(52)의 외측면에 고정돌기(a)를 구비시키고, 이에 대응하도록 도 12의 (b)에서와 같이 회동힌지브라켓(6)의 회동본체(61)에 고정요홈(b)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회동힌지브라켓(6)은 상기 베이스패널(2)의 제1고정링(52)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으로서, 회동본체(61)와 상기 회동본체(6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링(52)에 삽입되는 제1삽입봉(62)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1고정링(52)에 삽입된 제1삽입봉(62)은 체결볼트(62b)에 의해 제1고정링(5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제1삽입봉(62)은 그 내부에 상기 체결볼트(62b)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62a)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힌지브라켓(5)의 제1봉삽입구(51)와 회동힌지브라켓(6)의 제1삽입봉(62)은 그 내경 및 외경을 상호 대응하는 타원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보호패널(7)이 특정 각도, 예컨대 보안을 위해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게 하거나, 스마트기기를 책상에 경사지게 거치시키거나, 스마트기기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덮어주는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불측의 힘에 의해 그 설정된 보호패널(7)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링(52)이 탄성력을 가지면서 타원형상의 제1봉삽입구(51)를 형성시키고, 제1삽입봉(62) 역시 외경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이들의 각 장축과 단축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이면 서로를 간섭하여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또 이들의 각 장축과 각 단축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서로를 압착하기 때문에 이 역시 회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이들의 각 장축과 각 단축이 90도가 되기전 까지는 도 14의 (c)에서와 같이 서로 어긋난 각도가 증가하면 할 수록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의 하중이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회동힌지브라켓(6)이 도 14의 (c)에서 도시한 45도의 각도를 넘어서 회동하게 되면 제1삽입봉(62)에 가해진 힘이 점차 줄어들게 되어 스마트기기의 하중에 의해 더 뉘어질 여지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삽입봉(62)의 외면과 제1고정링(51)의 내면에도 고정돌기(a)와 고정요홈(b)을 각 구비시킴으로써 45도로 거치시킨 스마트기기가 그 하중에 의해 더 뉘어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의 작용관계는, 회동힌지브라켓(6)과 고정대(71)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일측에 제1삽입봉(62)이 구비된 회동힌지브라켓(6)의 회동본체(61) 타측에는, 제2봉삽입구(64)가 형성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제2봉삽입구(64)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링(63)이 구비된다.
아울러 고정대(71)의 양 단부에도 상기 제2봉삽입구(64)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삽입봉(72)이 구비된다. 물론 고정대(71)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제2삽입봉(72)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봉삽입구(64)와 제2삽입봉(72) 역시 그 내경 및 외경을 상호 대응하는 타원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 사이에 의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 사이 및, 회동힌지브라켓(6)과 고정대(71) 사이의 상기한 작용관계는 보호패널(7)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제1봉삽입구(51)의 타원형상은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제1삽입봉(62)의 외경은 회동본체(61)를 베이스패널(2)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웠을 때를 기준으로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회동힌지브라켓(6)에 구비되는 제2봉삽입구(64) 역시 제1삽입봉(62)과 동일한 방향의 타원형상을 가진다. 즉 제2봉삽입구(64)는 회동본체(61)를 베이스패널(2)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웠을 때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봉삽입구(64)에 삽입되는 고정대(71)의 제2삽입봉(72)은 그 타원의 외경이 보호패널(7)을 덮었을 때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2봉삽입구(64)의 상현(회동힌지브라켓이 위치한 한 방향의 현을 말한다)에는 보호패널(7)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널회동방지턱(65a)이 구비된 제1돌출부(65)가 구비되고, 제2봉삽입구(64)의 하현 방향에 제2돌출부(66)가 구비되어, 보호패널(7)을 덮었을 때 제1,2돌출부(65,66) 사이에 보호패널(7)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2돌출부(66)는 제1돌출부(65)와는 달리 보호패널(7)을 열고자 하여 충분한 힘을 가하면 보호패널(7)이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5의 (a)에서와 같이 보호패널(7)이 스마트기기를 덮고 있을 때는 제1,2봉삽입구(51,64)의 각 타원과 제1,2삽입봉(62,72)의 각 타원이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스마트기기로부터 보호패널(7)이 쉽게 열리지 않게는 되나, 이들 타원은 탄성변형되는 것이므로 그 탄성력의 정도에 따라 보호패널(7)이 다소 덜썩거리게 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제2삽입봉(72)의 외면과 제2고정링(63)의 내면에도 고정돌기(a)와 고정요홈(b)을 각 구비시켜 제2삽입봉(72) 자체의 회전을 고정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제1,2돌출부(65,66)와 함께 작용하여 보호패널(7)이 덜썩거리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보호패널(7)의 사용예에 따른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 사이 및, 회동힌지브라켓(6)과 고정대(71) 사이의 상기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의 (a)는 스마트기기를 보호패널(7)로 덮었을 때 회동수단의 각 구성들이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봉삽입구(51)와 이에 삽입된 제1삽입봉(62)의 각 장,단축이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2봉삽입구(64)와 제2삽입봉(72)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각 장,단축이 위치한 경우이다.
도 15의 (b)는 스마트기기의 양측면으로 보호패널(7)을 세워 보안기능을 할 때 회동수단의 각 구성들이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도 15의 (a)와 비교하여 제2봉삽입구(64)에 삽입된 제2삽입봉(72)은 동일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봉삽입구(51)에 삽입된 제1삽입봉(62)은 90도로 회전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제1삽입봉(62)이 90도로 회전하게 되면, 제1삽입봉(62)의 장축이 제1봉삽입구(51)의 단축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을 가진 제1봉삽입구(51)의 단축길이가 제1삽입봉(62)의 장축길이만큼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봉(62)을 가압하여 제1삽입봉(62)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서로 대향하여 세워진 보호패널(7)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지도록 제1봉삽입구(51)와 제1삽입봉(62)의 각 장,단축을 동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봉삽입구(64)의 단축방향으로 제2삽입봉(72)의 장축이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5의 (c)는 보호패널(7)을 스마트기기의 하부로 회동시켜 거치대로 사용할 때 회동수단의 각 구성들이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삽입봉(72)을 180도로 회전시켜 완전히 펼쳐놓아 고정시키고, 제1봉삽입구(51)에 삽입된 제1삽입봉(62)을 수직선 기준으로 45도 이내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사만큼 회전시킨 것이다. 스마트기기가 45도로 거치되면 제1삽입봉(62)의 외면과 제1고정링(51)의 내면에 각 구비된 고정돌기(a)와 고정요홈(b)이 결합되면서 스마트기기의 하중에 의해 더 뉘어짐 없이 그 경사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지금까지 제1실시예의 회동수단을 기준으로하여 각 구성들간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였으나, 도 10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작동관계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제1실시예에서는 제1,2봉삽입구(51,64)와 제1,2삽입봉(62,72)를 각 타원형상으로 구비시키고, 제1,2삽입봉(62,72)로 하여금 제1,2봉삽입구(51,64)의 형상이 탄성변형되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고정력이 발생되도록 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톱니(k1,k2,k3,k4)의 체결방식에 의해 이들 사이에 고정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2봉삽입구(51,64)와 제1,2삽입봉(62,72)은 원형형상을 가지며, 이들의 각 내면과 외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의 톱니(k1,k2,k3,k4)가 구비된다. 아울러 제1,2봉삽입구(51,64)를 형성하는 제1,2고정링(52,63)에는 분할슬릿(s)이 구비된다. 따라서 보호패널(7)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제1,2삽입봉(62,72)에 충분한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분할슬릿(s)이 벌어지면서 제1,2삽입봉(62,72)이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력을 제거하면 벌어진 제1,2고정링(52,63)의 복원력에 의해 분할슬릿(s)의 간극이 원상태로 좁아지면서 제1,2삽입봉(62,72)을 물어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호패널(7)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2돌출부(65,66)와 고정돌기(a) 및 고정요홈(b) 등의 구성을 더 구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커버패널 2; 베이스패널
3; 센터패널 4; 가동체
5; 고정힌지브라켓 6; 회동힌지브라켓
7; 보호패널 31; 이동안내구
41; 가동본체 51; 제1봉삽입구
52; 제1고정링 53; 제1회동방지턱
54; 제2회동방지턱 55; 제1고정턱
56; 제2고정턱 61; 회동본체
62; 제1삽입봉 62a; 암나사
62b; 체결볼트 63; 제2고정링
64; 제2봉삽입구 65; 제1돌출부
65a; 패널회동방지턱 66; 제2돌출부
71; 고정대 72; 제2삽입봉
311; 정지면 312; 이동면
312a; 정지요부 410; 몸체부
411; 고정슬릿 412; 탄성공간
420; 탄성고정부 421; 탄성편
421a; 정지철부 422; 고정편
430; 이탈방지편 440; 거치편
441; 이동공간 a; 고정돌기
b; 고정요홈 s; 분할슬릿
p; 피치 k1,k2,k3,k4; 톱니

Claims (10)

  1. 스마트기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기기가 놓여지는 베이스패널(2)과, 베이스패널(2)의 후면에 부착되는 커버패널(1) 및, 베이스패널(2)의 테두리면에서 회동 가능한 보호패널(7)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패널(2)의 내부 중앙에는 십자형상으로 관통된 이동안내구(31)가 형성되고 스마트기기를 고정시킨 가동체(4)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체(4)는 베이스패널(2)의 평면에서 이동안내구(31)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하되, 일정한 피치(p) 간격으로 이동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에 설치되며,
    가동체(4)가 이동하는 방향을 가지는 이동안내구(31)의 이동면(312)에는 정지요부(312a)가 일정한 피치(p)간격으로 구비되고,
    가동체(4)는 상기 이동면(312)에 접하여 이동하는 가동본체(41)와, 가동본체(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를 거치 고정시키는 거치편(440) 및, 가동본체(41)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동본체(41)가 상기 이동안내구(31)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4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본체(41)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탄성고정부(420)로 이루어지고,
    탄성고정부(420)에는 상기 정지요부(312a)에 탄성 삽입되는 정지철부(421a)가 동일한 피치(p)간격으로 구비된 탄성편(42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패널(2)에는 베이스패널(2)보다 두께가 얇은 센터패널(3)이 설치되고,
    센터패널(3)에는 십자형상으로 관통된 이동안내구(31)가 형성되며,
    가동체(4)는 상기 이동안내구(31)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410)의 모서리 부분에는 고정슬릿(41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슬릿(411)의 전면에는 탄성공간(412)이 형성되고,
    탄성고정부(420)에는 탄성편(421)의 양 단부와 연결된 고정편(42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422)이 고정슬릿(411)에 끼워짐으로써 탄성고정부(420)가 몸체부(410)의 모서리에 고정설치되며,
    가동체(4)를 이동시키고자 할때 탄성고정부(420)의 탄성편(421)이 상기 탄성공간(412)내로 후퇴하여 가동체(4)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패널(2) 테두리면의 모서리에는 보호패널(7)이 회동하는 방향으로 고정힌지브라켓(5)이 고정 설치되고, 보호패널(7) 중 상기 베이스패널(2)의 테두리면에 접하는 면에는 고정대(71)가 고정 설치되어 회동힌지브라켓(6)을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힌지브라켓(5)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힌지브라켓(5)과 회동힌지브라켓(6)의 사이와 회동힌지브라켓(6)과 고정대(71)의 사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힌지브라켓(5)은 제1봉삽입구(51)가 형성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제1봉삽입구(51)의 형상이 변화되는 제1고정링(52)으로 이루어지고,
    회동힌지브라켓(6)은, 회동본체(61)와, 상기 회동본체(6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면서 제1봉삽입구(51)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삽입봉(62)과, 상기 회동본체(61)의 타측에 제2봉삽입구(64)가 형성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제2봉삽입구(64)의 형상이 변화되는 제2고정링(63)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대(71)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봉삽입구(64)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삽입봉(7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삽입구(51)는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이고, 제1삽입봉(62)은 회동본체(61)를 베이스패널(2)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웠을 때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삽입구(64)는 회동본체(61)를 베이스패널(2)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웠을 때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이고, 제2삽입봉(72)은 보호패널(7)을 덮었을 때 베이스패널(2)의 수평면 방향으로 장지름을 가지는 타원형상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링(52)과 제2고정링(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할슬릿(s)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10. 제6항에 있어서,
    제1,2봉삽입구(51,64)와 제1,2삽입봉(62,72)은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1,2봉삽입구(51,64)의 각 내면과 제1,2삽입봉(62,72)의 각 외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의 톱니(k1,k2,k3,k4)가 구비되며, 상기 제1,2봉삽입구(51,64)를 형성하는 제1,2고정링(52,63)에는 분할슬릿(s)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KR1020190031001A 2019-03-19 2019-03-19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KR10200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01A KR102003746B1 (ko) 2019-03-19 2019-03-19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001A KR102003746B1 (ko) 2019-03-19 2019-03-19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746B1 true KR102003746B1 (ko) 2019-07-25

Family

ID=6746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001A KR102003746B1 (ko) 2019-03-19 2019-03-19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7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04B1 (ko) * 2013-11-05 2015-02-17 김창호 반지와 결합이 가능한 휴대전화기 케이스 어셈블리
KR20150067555A (ko) 2013-12-10 2015-06-18 유현종 스마트 기기의 정보 보안 기능을 갖는 보호케이스
KR101641913B1 (ko)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70101066A (ko) * 2016-02-26 2017-09-05 전대형 액세서리를 구비한 핸드폰용 보호케이스
KR101929518B1 (ko) 2018-08-21 2018-12-14 주대화 멀티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04B1 (ko) * 2013-11-05 2015-02-17 김창호 반지와 결합이 가능한 휴대전화기 케이스 어셈블리
KR20150067555A (ko) 2013-12-10 2015-06-18 유현종 스마트 기기의 정보 보안 기능을 갖는 보호케이스
KR101641913B1 (ko)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70101066A (ko) * 2016-02-26 2017-09-05 전대형 액세서리를 구비한 핸드폰용 보호케이스
KR101929518B1 (ko) 2018-08-21 2018-12-14 주대화 멀티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59531B (zh)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20060237495A1 (en) Carr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186660A1 (en) Portable computer
WO2018157593A1 (zh) 摄像增稳固定装置
CN107071096B (zh) 连接件、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20060218750A1 (en) Biaxial hinge device of electrical equipment
WO2008056640A1 (fr) Panneau supérieur du bureau et bureau avec le panneau supérieur de bureau attaché sur celui-ci
US20150121761A1 (en) Safety door
PT1267576E (pt) Telefone portátil com câmara
KR101929518B1 (ko) 멀티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 케이스
BRPI0317877B1 (pt) Mecanismo de abertura com auto-operação para utilização em um dispositivo eletrônico de mão
JPH05242040A (ja) 手書き入力機能付き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装置
US821400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display
KR102003746B1 (ko) 보안용 스마트기기 케이스
KR200391340Y1 (ko)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KR101782332B1 (ko) 양방향 회동 개폐 타입 전선 덕트 조립체
JP2009088668A (ja) 携帯機器
US5588259A (en) Supporting arm with locking means for a hinged panel
US6286966B1 (en) Pc-eye rear view dual mirror assembly with convex mirror
TW200934947A (en) Handle for door
CN212183577U (zh) 一种夹持式手机支架
CN215871521U (zh) 一种可支撑手机的手机壳
CN213313306U (zh) 拉伸装置
CN111163191A (zh) 一种手机的折叠装置
CN207816100U (zh) 一种防弹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