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22U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22U
KR20080004522U KR2020070005706U KR20070005706U KR20080004522U KR 20080004522 U KR20080004522 U KR 20080004522U KR 2020070005706 U KR2020070005706 U KR 2020070005706U KR 20070005706 U KR20070005706 U KR 20070005706U KR 20080004522 U KR20080004522 U KR 200800045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ver
case
hinge portion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759Y1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20070005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75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배면을 감싸도록 테두리벽이 돌출형성된 배면 커버, 및 상기 배면 커버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케이스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케이스로부터 휴대폰을 분리하지 않고도 전화통화 또는 사진촬영 등의 사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케이스, 전면 커버, 배면 커버, 힌지부, 테두리벽, 고정수단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ase for mobile phon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바-타입 휴대폰이 안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폰 케이스 20 : 전면 커버
21 : 관통공 22 : 힌지축
30 : 배면 커버 30a : 테두리벽
30b : 이탈방지턱 31 : 축수용부
31a : 지지면 32 : 수용공
33 : 카메라홈 34 : 고정홈
40 : 흡착패드 41 : 흡착부
42 : 고정돌기 50 : 바-타입 휴대폰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타입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휴대폰이 커버의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커버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심미감을 향상시킨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휴대폰은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소형화로 인해 필수 소지품의 하나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고유기능인 통화 기능 이외에도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부가기능이 추가되면서 고가의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의 휴대폰을 긁힘, 흠집, 파손 등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거나, 휴대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며서 일종의 액세서리로도 활용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가 개발, 판매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크게 비닐이나 인조가죽 재질의 소프트 케이스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하드 케이스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소프트 케이스는 변색의 우려가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는 기능이 약하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하드 케이스가 보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하드 케이스도 여러 가지 종류로 나뉘어 지는데, 종래의 바-타입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고, 휴대폰 사용을 위해서는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야 하거나, 상,하부 커버로 구성된 케이스의 체결구조가 견고하지 못하고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배면을 감싸도록 테두리벽이 돌출형성된 배면 커버, 및 상기 배면 커버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와 관련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배면을 감싸도록 테두리벽이 돌출형성된 배면 커버, 및 상기 배면 커버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의 힌지부 상측 또는 배면 커버의 힌지부 상측에 휴대폰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면의 일측에 휴대폰의 좌우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의 힌지부는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면 커버의 힌지부는 배면 커버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대응되는 축수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면 커버에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수용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흡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구비된 금속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면 커버에 카메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면 커버와 전면 커버는 틸팅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바-타입 휴대폰이 안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0), 배면 커버(30) 및 흡착패드(40)를 포함하고, 바-타입(bar-type) 휴대폰(50)을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전면 커버(20)는 휴대폰(50)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얇은 판의 형상이고, 일측에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힌지축(22)이 구비된다.
이때, 전면 커버(20)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질도 사용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값이 싸고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전면 커버(20)의 일측에 원형의 관통공(21)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21)을 통하여 벨 소리나 버튼 조작음 등 휴대폰(50)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휴대폰(50) 전면의 조작부 중 일부를 조작할 수도 있다.
한편, 전면 커버(20)의 하단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힌지축(22)에 의해 배면 커버(30)가 전면 커버(20)에 힌지연결되는데, 이 배면 커버(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얇은 판에 일체로 상측과 좌우측에 테두리벽(30a)이 돌출 형성되고, 전술한 전면 커버(20)의 힌지축(22)에 대응되는 축수용부(31)가 배면 커버(30) 하단의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에 안착된 휴대폰(50)의 전면에 전면 커버(20)가 밀착되고 휴대폰(50)의 배면에 배면 커버(30)가 밀착된 상태, 통화 등 휴대폰(50)의 사용을 위해 전면 커버(20)가 휴대폰(50)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각도 회전하여 분리된 상태, 전면 커버(20)가 휴대폰(50)의 전면으로부터 회전하여 배면 커버(30)와 평행한 상태를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20)와 배면 커버(30)는 틸팅힌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전면 커버(20)와 배면 커버(30)는 각각의 상태에서 0˚, 90˚이상 180˚미만의 각도 중 어느 한 각도, 18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 커버(30)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질도 사용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값이 싸고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배면 커버(30)의 하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축수용부(31)의 상측에는 휴대폰(50)의 하단이 안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지지면(31a)이 형성되고, 휴대폰(50)의 두께에 상응하며, 하부는 라운드진 형태이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전술한 전면 커버(20)의 힌지축(22)과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나아가, 지지면(31a)의 일측에는 휴대폰(50)의 좌우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턱(30b)이 구비되는데, 이 이탈방지턱(30b)은 배면 커버(30)의 좌우측벽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전면 커버(20)에 지지면을 구비한 축수용부가 형성되고, 배면 커버(30)에 이에 대응되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배면 커버(30)의 중앙부가 원형으로 절개되어 수용공(32)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32)에는 후술하는 흡착패드(40)가 삽입되어 지지면(31a)에 안착된 휴대폰(50)의 배면에 흡착되고 휴대폰(5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흡착패드(40)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 탄성 재질의 원판형상으로서 돌출된 외주면을 가지고, 중앙부에는 인입된 흡착부(41)가 형성되어, 휴대폰(50)의 배면에 밀착시 흡착부(41)가 변형되면서 휴대폰(50)의 배면과 접촉되어 구획된 흡착패드(40)의 내부에서 진공압이 발생됨으로써 휴대폰(50)의 배면에 흡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흡착패드(40)에서 흡착부(41)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고정돌기(42)가 다수 형성된다.
또한, 배면 커버(30)의 배면에는 이 흡착패드(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34)이 수용공(32)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다. 이 고정홈(34)은 전술한 고정돌기(42)와 대응결합하는 것으로서, 고정돌기(42)가 고정홈(34)에 끼움결합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흡착패드(40) 대용으로 자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휴대폰(50)의 배면에는 착탈가능한 금속체가 구비되고, 자성체는 휴대폰(50)의 배면에 고정되며 수용공(32)을 통하여 휴대폰(50) 배면의 금속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이 자성체는 자석의 성질을 가진 물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 커버(30)에 수용공(32)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술한 흡착패드(40)나 자성체가 배면 커버(30)의 내측에 나사나 접착제 등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휴대폰(50)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배면 커버(30)의 일측이 사각형으로 절개되어 카메라홈(33)이 형성되는데, 이 카메라홈(33)은 휴대폰(5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디지털 사진촬영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위치와 형태는 휴대폰(50)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정해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타입 휴대폰 케이스(10)의 사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케이스(10)에 휴대폰(50)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배면 커버(30) 하단의 지지면(31a)에 휴대폰(50)의 하단을 안착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전면 커버(20)를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시켜 배면 커버(30)의 내측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휴대폰(50)의 하단을 지지면(31a)에 안착시키고 휴대폰(50)의 배면이 흡착패드(40)의 흡착부(41)에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휴대폰(50)을 가압한다.
이후, 휴대폰(50)이 흡착패드(4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20)를 상부로 회전시켜 휴대폰(50)의 전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보관한다.
한편, 전화 통화 등 휴대폰(50) 사용시에는 전면 커버(20)를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시켜 휴대폰(50)의 전면을 노출시킨 다음 사용하며, 케이스(10) 미사용시에는 휴대폰(50)을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흡착패드(40)로부터 휴대폰(50)의 배면을 분리한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의하면, 바-타입 휴대폰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케이스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케이스로부터 휴대폰을 분리하지 않고도 전화통화 또는 사진촬영 등의 사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심미감을 향상시킨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일측에 힌지부가 구비되고, 휴대폰의 배면을 감싸도록 테두리벽이 돌출형성된 배면 커버; 및
    상기 배면 커버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힌지부 상측 또는 배면 커버의 힌지부 상측에 휴대폰의 하단이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일측에 휴대폰의 좌우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힌지부는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면 커버의 힌지부는 배면 커버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대응되는 축수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에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수용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흡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구비된 금속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에 카메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와 전면 커버는 틸팅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070005706U 2007-04-06 2007-04-06 휴대폰 케이스 KR200443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06U KR200443759Y1 (ko) 2007-04-06 2007-04-06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06U KR200443759Y1 (ko) 2007-04-06 2007-04-06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22U true KR20080004522U (ko) 2008-10-09
KR200443759Y1 KR200443759Y1 (ko) 2009-03-11

Family

ID=4132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706U KR200443759Y1 (ko) 2007-04-06 2007-04-06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7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13B1 (ko)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13B1 (ko) * 2015-04-02 2016-07-22 정성길 개방각을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759Y1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5820B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殼體結構
US8944614B2 (en)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7830628B2 (en) Lens and display accessory for portable imaging device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US20140226062A1 (en)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4533379A (ja) 保護ケースおよび製造方法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79509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183278B1 (ko)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KR200421862Y1 (ko) 휴대형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130053681A (ko)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KR20044375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080095971A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61859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CN212696049U (zh) 一种多功能全包式手机保护套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102067337B1 (ko)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CN218416457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KR200481933Y1 (ko)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213522016U (zh) 一种具有滤光效果的手机保护壳
CN210225518U (zh) 一种摄像头防尘防水的手机保护壳
CN210327696U (zh) 一种隐藏式支架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