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878A -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878A
KR20110008878A KR1020090066424A KR20090066424A KR20110008878A KR 20110008878 A KR20110008878 A KR 20110008878A KR 1020090066424 A KR1020090066424 A KR 1020090066424A KR 20090066424 A KR20090066424 A KR 20090066424A KR 20110008878 A KR20110008878 A KR 20110008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door lock
digital doo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261B1 (ko
Inventor
고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Priority to KR102009006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록의 패닉기능을 이용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토록 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내측핸들(200)에 모티스를 원터치로 해정시키는 패닉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록(100)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200)은, 도어록(100)에 삽입되어 모티스(130)와 결합되는 샤프트(210); 상기 샤프트(210)와 축 결합되어 샤프트(210)를 회전조작하며, 상기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인 핸들부(220); 상기 핸들부(220)를 눌렀을 때는 샤프트(210)와 단락되고, 핸들부(220)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핸들부와 샤프트가 연결되게 하는 클러치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90066424
디지털, 도어록, 내측핸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의 패닉기능을 이용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토록 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가 키 패드(Key-pad), 전자 정보 키, 생체 정보 키 등을 이용하여 키 인증을 위해 입력한 정보가 기억된 정보와 일치하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Solenoid) 또는 전동 모터(Motor)를 작동시켜 잠금 장치를 해제한 후 도어록에 연결된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최근 들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고 가정뿐 아니라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을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100)은, 도어(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조작부(110)와 도어(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외측조작부(120) 및 도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잠금 및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모티스(Mortise, 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측조작부(110)와 외측조작부(120)에는 도어(10)의 개폐를 위한 내측핸들(111)과 외측핸들(121)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모티스(130)에는 데드볼트(Dead Bolt, 131)와 래치볼트(Latch Bolt, 132)가 설치된다.
내측조작부(110)에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구비되는 내측 회로기판(미도시)과,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미도시)와, 실내에서 데드볼트(1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 버튼(미도시)이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내측핸들(111)을 회전시키면 래치볼트(132)와 함께 데드볼트(131)도 함께 해정되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열림기능 즉 패닉 릴리스(Panic Release) 기능(이하, "패닉기능" 이라 한다)이 모든 디지털 도어록(100)에 구성되도록 법령화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100)에 구성된 모든 모티스(130)에는 패닉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내측조작부(110)에 개폐버튼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패닉기능에 의해서 비상 시 도어(10)를 신속하게 열고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외측조작부(120)에는 키입력부와 표시부 등이 설치되며, 내측조작부(110)의 내측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외측조작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측 회로기판이 설치된다. 키입력부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해정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수단으로서,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Keypad), 홍채나 지문 등의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생체정보 입력부, ID 코드가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내장한 전자 정보키로부터 키입력을 받는 전자 키 입력부와 같이 전자식으로 키 입력을 받는 키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전자식 키입력 수단 외에 기계식 키를 삽입할 수 있는 기계식 키 삽입부가 외측조작부(12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모티스(130)에 구비되는 래치볼트(132)는 내측핸들(111) 또는 외측핸들(121)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고, 데드볼트(131)는 솔레노이드(Solenoid) 또는 구동모터(Motor)에 의해 작동된다. 데드볼트(131)의 구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또는 구동모터는 내측조작부(110)에 구비되거나 모티스(130) 내에 구비된다. 최근에는 데드볼트(131)의 구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또는 구동모터를 모티스(130) 내에 구비하도록 하는 구성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시 당황한 대피자가 도어(10)를 신속하게 열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내측핸들(200)의 패닉기능을 역이용하여 외부인이 디지털 도어록(100)을 손쉽게 해정시켜 집안 내부로 침입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즉, 내측핸들(200)과 근접한 도어(10)의 일측에 도 2에서와 같이 드릴 등을 이용하여 구멍(11)을 뚫은 후, 이 구멍(11)을 통해 소정의 공구를 삽입하여 내측핸들(200)을 손쉽게 작동시켜 디지털 도어록(100)을 해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핸들을 디지털 도어록에 평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패닉기능을 이용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내측핸들에 모티스를 원터치로 해정시키는 패닉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은, 도어록에 삽입되어 모티스와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축 결합되어 샤프트를 회전조작하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인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를 눌렀을 때는 샤프트와 단락되고, 핸들부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핸들부와 샤프트가 연결되게 하는 클러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핸들부 측에 축결합되는 소경부와, 이 소경부의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모티스와 결합되는 대경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소경부의 단부에는 사각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이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는, 그 일단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샤프트의 소경부가 삽입되는 중공의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경에는 치합돌기 및 치함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치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부재는 일단면에 상기 치합돌기와 치합되는 상대 치합홈과 상기 치합홈과 치합되는 상대 치합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상대 치합부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사각축부에 끼움되는 사각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이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는 핸들부가 샤프트에 탄력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이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의 핸들부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인입 설치되는 마감캡과, 상기 개구부의 최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캡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에 따르면, 내측핸들을 회전시켜 디지털 도어록에 평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외부인이 내측핸들의 위치를 찾아 도어에 구멍을 천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설사 내측핸들의 위치를 알더라도 디지털 도어록에 구멍을 천공할 때에는 디지털 도어록에 탑재된 기본 기능인 도난 방지기능이 도어록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파손으로 인한 자체 경보가 작동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단락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과 내측핸들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핸들을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100)은, 내측조작부(110)에 구성된 내측핸들(200)의 핸들부(220) 설치방향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변경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내측핸들(200)은 샤프트(210)와, 핸들부(220)와, 클러치부재(230)와, 마감부재(24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샤프트(21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샤프트(210)는 도어록(100)의 모티스(130)와 결합되는 대경부(211)와, 상기 대경부(211)에 일체로 되고 대경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소경부(2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경부(212)의 상기 핸들부(220)를 향하는 단부에는 사각축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210)의 핸들부(220)를 향하는 최단부에는 후술될 스프링(후술함)이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부(214)가 구성된다.
다음, 상기 핸들부(220)는 바(bar) 형태의 핸들(221)과, 상기 핸들(221)의 상기 샤프트(210) 방향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슬리브(222)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222)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210)의 소경부(212)가 삽입되며, 슬리브(222)는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222)의 내부 소정부위에는 상기 클러치부재(23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기 위한 치합부(223)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합부(223)는 슬리브(222)의 내경방향을 따라 치합돌기(224)와 치합홈(225)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음, 상기 클러치부재(230)는 상기 슬리브(22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부재(230)는 그 중심부에 상기 샤프트(210)의 사각축부(213)에 끼움하기 위한 사각축홀(2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재(230)의 상기 치합부(223)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치합부(223)와 치합되기 위한 상대 치합부(232)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대 치합부(232)는 상기 치합돌기(224)와 치합되는 상대 치합홈(233)과, 상기 치합홈(225)과 치합되는 상대 치합돌기(234)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 마감부재(240)는 상기 슬리브(222)의 핸들부(220)측 개구부(222a)에 내입 설치되어 개구부(222a)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마감부재(240)는 상기 개구부(222a)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마감 캡(241)과, 상기 개구부(222a)의 최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캡(2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24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감캡(241)과 샤프트(210) 사이에는 스프링(250)이 개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50)은 마감캡(241)과 샤프트(210) 사이에 개입되어 있기는 하지만 마감캡(241)이 핸들(221) 내에 구속되어 있는 관계로 실질적으로는 핸들(221)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요소 들을 모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핸들부(220)의 슬리브(222) 말단과 대경부(211) 사이에는 얼마간의 여유간격(d)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220)는 상기 여유간격(d)의 범위 내에서 푸쉬할 수 있게 된다.
미 설명부호 (260)은 부싱으로서, 이 부싱은 상기 대경부(211)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어서 샤프트(210) 회전시 대경부(211)의 표면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핸들(221)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도어(10)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구멍을 통해 꼬챙이와 같은 침입도구를 이용하더라도 핸들(221)을 손쉽게 돌릴 수 없도록 함에 따라 보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핸들부(220)의 핸들(221)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로 부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21)을 도어(10)를 향해 누른다.
핸들(221)을 누르게 되면, 스프링(250)은 압축되고, 핸들(221) 및 슬리브(222)는 샤프트(210)의 소경부(212)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도어(10) 쪽으로 근접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슬리브(222)의 내부에 구성된 치합부(223)는 움직이지 않는 클러치부재(230)의 상대 치합부(232)로 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치합부(223)와 상대 치합부(232)가 이격됨에 따라 핸들부(220)의 구속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핸들부(22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핸들부(220)를 회전시킨 후(도 7 및 도 8에서는 핸들부를 하향으로 90°회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핸들부를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50)의 복구 탄성력에 의해 핸들부(220)는 누르기 전의 상태로 자동 후퇴되고, 이로 인해 이격되어 있던 치합부(223)와 상대 치합부(232)는 다시금 치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핸들부(220)의 각도를 변경시키게 되면, 도어(10)에 구멍을 뚫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꼬챙이와 같은 침입도구를 이용하여 핸들(221)을 돌리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방범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도어록과 내측핸들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디지털도어록과 내측핸들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과 내측핸들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핸들을 결합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를 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핸들부를 누른 상태도
도 7은 핸들부를 회전시킨 상태도
도 8은 도 7을 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00 : 도어록
110 : 내측조작부 200 : 내측핸들
210 : 샤프트 220 : 핸들부
230 : 클러치부재 240 : 마감부재
250 : 스프링 260 : 부싱

Claims (5)

  1. 내측핸들(200)에 모티스를 원터치로 해정시키는 패닉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록(100)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200)은, 도어록(100)에 삽입되어 모티스(130)와 결합되는 샤프트(210);
    상기 샤프트(210)와 축 결합되어 샤프트(210)를 회전조작하며, 상기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인 핸들부(220); 및
    상기 핸들부(220)를 눌렀을 때는 샤프트(210)와 단락되고, 핸들부(220)를 누르지 않았을 때는 핸들부와 샤프트가 연결되게 하는 클러치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10)는, 핸들부(220) 측에 축결합되는 소경부(212)와, 이 소경부(212)의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모티스(130)와 결합되는 대경부(2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소경부(212)의 단부에는 사각축부(2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20)는, 그 일단부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샤프트(210)의 소경부(212)가 삽입되는 중공의 슬리브(2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222)의 내경에는 치합돌기(224) 및 치함홈(225)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치합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부재(230)는 일단면에 상기 치합돌기(224)와 치합되는 상대 치합홈(233)과 상기 치합홈(225)과 치합되는 상대 치합돌기(234)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상대 치합부(232)가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사각축부(213)에 끼움되는 사각축홀(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22)의 내부에는 핸들부(220)가 샤프트(210)에 탄력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250)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22)의 핸들부(220)측 개구부(222a)를 밀폐하는 마감부재(240)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부재(240)는 상기 개구부(222a)에 인입 설치되는 마감캡(241)과, 상기 개구부(222a)의 최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캡(241)의 이탈을 방 지하는 스냅링(2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KR1020090066424A 2009-07-21 2009-07-21 디지털 도어록 KR10108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24A KR101086261B1 (ko) 2009-07-21 2009-07-21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24A KR101086261B1 (ko) 2009-07-21 2009-07-21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78A true KR20110008878A (ko) 2011-01-27
KR101086261B1 KR101086261B1 (ko) 2011-11-23

Family

ID=4361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424A KR101086261B1 (ko) 2009-07-21 2009-07-21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069A (zh) * 2019-07-02 2019-08-23 林旭文 把手转轴组合件及所应用的锁具
CN111021829A (zh) * 2019-12-09 2020-04-17 中航沈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民机舱门手柄离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64B1 (ko) 2012-01-03 2013-03-13 주식회사 아이레보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WO2013103205A1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KR101214002B1 (ko) 2012-01-03 2012-12-20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KR200470825Y1 (ko) 2012-12-18 2014-01-13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의 노브 축 연결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069A (zh) * 2019-07-02 2019-08-23 林旭文 把手转轴组合件及所应用的锁具
CN111021829A (zh) * 2019-12-09 2020-04-17 中航沈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民机舱门手柄离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261B1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858B2 (en) Lock subassembly
KR101086261B1 (ko) 디지털 도어록
US7948359B2 (en) Electronic security device
TWI816878B (zh) 鎖定總成及操作其之方法
US20170204636A1 (en) Lock Assembly Including Threaded Driv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2008138501A (ja) ドアロック装置
US6845641B2 (en) Remote-controlled door lock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US9797161B2 (en) Security door lock
JP6494500B2 (ja) 錠装置のベース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錠装置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US11459795B2 (en) Electric strike
US20240046725A1 (en) Manual electronic deadbolt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WO2017066838A1 (en) A lock cylinder
KR101700387B1 (ko) 슬라이딩 개폐 구조의 전자식 잠금 기기
KR20100067217A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US20220325557A1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insufficient locking behavior of an electronic lockset
WO2008147118A3 (en) Door lock device
KR200243733Y1 (ko) 카드키 도어록
SI24930A (sl) Ključavnica s cilindrični vložkom z električnim proženjem
CA3239165A1 (en) Blocking device for a closure element or a switching element
KR20230032566A (ko)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