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364B1 -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364B1
KR101243364B1 KR1020120000540A KR20120000540A KR101243364B1 KR 101243364 B1 KR101243364 B1 KR 101243364B1 KR 1020120000540 A KR1020120000540 A KR 1020120000540A KR 20120000540 A KR20120000540 A KR 20120000540A KR 101243364 B1 KR101243364 B1 KR 10124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haft
cam member
drive
ke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류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2000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364B1/ko
Priority to PCT/KR2012/011147 priority patent/WO201310320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쇠에 의한 인증방식으로 해정되는 기계식 해정 구조가 전자식 도어락의 동축선 상으로 연결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와 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문의 내부에 설치된 모티스를 구동시켜 문을 개방하거나 잠기게 하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모티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축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은 열쇠가 삽입되어 인증되면 회동하는 키 실린더; 상기 키 실린더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키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캠이 캠면으로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장착턱이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축에 결합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재의 일부는 구동모터에 기어연결되어 전자적 인증으로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캠부재의 직선이동으로 상기 회전판에 상기 캠부재가 연결 및 단락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과 상기 손잡이는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Assembly of electronic Doorlock having mechanical un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쇠에 의한 인증방식으로 해정되는 기계식 해정 구조가 전자식 도어락의 동축 선상(coaxial line)으로 연결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도어락은 도어의 외부에 마련된 키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거나 또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여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락은 조작하기 간편하고 해정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어서 근래 들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은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본체(10),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20), 및 도어(D)에 내장되고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4)를 갖는 모티스(30)를 구비한다.
외측본체(10)는 다수의 버튼(12)과, 안전키(도시하지 않음)를 접촉시킬 수 있는 접촉부(1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내측본체(20)는 제어보드(22)와, 제어보드(2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4)와, 구동모터(24)의 동력을 전달받아 모티스(30)의 데드볼트(32)를 구동시키는 샤프트장치(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샤프트장치(26)는 한 쌍의 베벨기어(28a,28b)에 의해 구동모터(24)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락에 의하면, 먼저, 도어(D)의 외측에서 버튼(12)을 조작하거나 또는 안전키를 외측본체(10)의 접촉부(14)에 접촉시켜 신호를 입력시킨다.그러면, 내측본체(20)의 제어보드(22)는 입력된 신호가 인증된 신호인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인증된 신호이면, 제어보드(22)는 구동모터(24)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구동모터(24)가 작동됨에 따라 구동모터(24)의 구동력은 한 쌍의 베벨기어(28a, 28b)를 거쳐 샤프트장치(26)에 전달되고, 동력이 전달된 샤프트장치(26)는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도어(D)의 내측으로 운동시켜 록킹된 도어(D)를 해정한다. 한편, 종래의 도어락은 도어(D)의 내측에서 수동으로 데드볼트(32)를 조작할 수 있는 기계식 해정방식의 데드볼트 수동 조작 장치(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수동 조작 장치(40)는 샤프트장치(26)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 노브(42)와, 구동모터(24)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내측본체(20)에 설치되는 푸시버튼(44)으로 구성된다. 특히, 푸시버튼(44)은 제어보드(22)에 설치된 텍트 스위치(tact switch; 22a)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제어보드(22)로 하여금 구동모터(24)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보드(22)는 텍트 스위치(22a)가 눌려짐에 따라 구동모터(24)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동 조작 장치(40)에 의하면, 도어(D)의 내측에서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42)를 수동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샤프트장치(26)가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작동시키며, 데드볼트(32)가 작동됨에 따라 도어(D)를 수동으로 록킹시키거나 해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내측몸체(20)의 푸시버튼(44)을 누르면, 푸시버튼(44)은 제어보드(22)의 텍트 스위치(22a)를 누르게 되고, 텍트 스위치(22a)가 눌려짐에 따라 제어보드(22)는 구동모터(24)를 작동시키며, 구동모터(24)가 작동됨에 따라 샤프트장치(26)가 회전운동하면서 데드볼트(32)를 작동시킨다. 결국, 데드볼트(32)가 작동됨에 따라 도어(D)가 수동으로 록킹되거나 해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에 설치된 수동 조작 장치(40)는 도어락의 손잡이 축과 별도의 구동축이 형성된 구조(도어락 본체에 2개의 작동 축이 형성된 구조)로서 작동편의성이 떨어지고 설치공간이 비대해져 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열쇠에 의한 인증방식으로 해정되는 기계식 해정 구조가 전자식 도어락의 동축선 상으로 연결되어 작동의 편의성과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와 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문의 내부에 설치된 모티스를 구동시켜 문을 개방하거나 잠기게 하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모티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축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은 열쇠가 삽입되어 인증되면 회동하는 키 실린더; 상기 키 실린더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키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캠이 캠면으로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말단에 형성된 장착턱이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축에 결합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재의 일부는 구동모터에 기어연결되어 전자적 인증으로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캠부재의 직선이동으로 상기 회전판에 상기 캠부재가 연결 및 단락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과 상기 손잡이는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캠부재는, 상기 모티스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와 연동되는 회동체가 삽입된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의 선단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지지되고 선단에 제1캠면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장착턱이 형성된 제1캠, 및 상기 제1캠의 제1캠면에 대응되는 제2캠면이 형성된 제2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캠과 상기 키 실린더는 제3캠을 매개로 연결되며, 제3캠의 선단에는 상기 키 실린더의 키축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제3캠의 말단에는 상기 제2캠과 맞물리는 클러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캠의 말단에는 샤프트축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축에는 외주면을 따라 베벨기어가 형성된 구동기어부(17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기어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해정구조와 전자식 해정구조를 하나의 구동축을 통해 구현할 수 있어서 기존의 2축 방식(기계 인증 및 전자 인증을 위한 구동방식)의 해정구조보다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서 외측본체의 구동축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연결튜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연결튜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클러치 단락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클러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서 외측본체의 구동축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연결튜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연결튜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구동축(100a; 도 5 참조)의 클러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외측본체(100)에는 외측 손잡이(150)가 장착되고, 이 외측 손잡이(150)의 축은 구동축(100a; 도 5 참조)으로 연결되어 외측 손잡이(150)의 회전력으로 구동샤프트(132)를 회동하여 회동체(160; 도 5 참조)를 구동(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동체(160)는 도어락의 모티스(미도시)의 데드볼트 및/또는 래치볼트와 연동되는 매개체이다. 이에 따라 회동체(160)가 회전되는 것으로 데드볼트 및/또는 래치볼트가 모티스에서 인출됨으로써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 상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외측 손잡이(150)와 구동축(100a; 도 5 참조)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측 손잡이(150)의 내부로는 열쇠로 인증가능하도록 키 실린더(140)가 삽입된다. 이때 키 실린더(140)의 선단으로는 커버링(169)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손잡이(150)는 외측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측 손잡이(150)와 외측본체(100)의 연결영역에는 오링(111)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키 실린더(140)는 연결튜브(130; 도 3 참조)에 연결되어 연결튜브(130) 내부의 캠구조에 의해 연결 및 단락됨으로써 구동샤프트(13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즉, 구동샤프트(132)의 회전은 회동체(160)를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데드볼트 및/또는 레치볼트의 작동제어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연결튜브(130)는 튜브본체(130a), 제1캠(137), 제2캠(138), 제3캠(139)이 서로 맞물려서 캠부재(130b)를 형성한다. 특히 이 캠부재(130b)의 제1캠(137)은 구동샤프트(132)와 연결되어 회전판(134)과 연결되는데, 이 회전판(134)은 튜브본체(130a)의 말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외측 손잡이(150; 도 2 참조)가 회전되면 외측 손잡이(150)와 연결된 연결튜브(130)의 회전판(134)이 회전될 수 있다.
연결튜브(13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키 실린더(140)의 말단에는 키축(141)이 형성되고, 이 키축(141)은 제3캠(139)의 홈(139a)에 삽입되고, 제2캠(138)과 밀착된 제3캠(139)의 클러치면(139b)을 통해 제2캠(138)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캠(138)에는 전방에 돌기(133a)가 형성되어 상기 제3캠(139)의 클러치면(139b)과 일정각도에서 서로 맞물려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2캠(138)에는 샤프트축(133)이 형성되어, 이 샤프트축(133)은 내측 손잡이(미도시)에 연결되어 노브의 회동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제2캠(138)의 말단면에는 제2캠면(138a)이 형성되고, 제1캠(137)의 선단에는 제2캠(138)의 제2캠면(138a)과 대응되는 제1캠면(137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장착턱(137b; 도 5 참조)이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특히 제1캠(137)은 구동샤프트(132)의 선단에 스프링(136)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전방으로 가압된 상태를 이루며, 제1캠(137)의 장착턱(137b; 도 5 참조)이 구동샤프트(132)의 선단에 형성된 장착단(132a)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구동샤프트(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키를 키 실린더(140)에 삽입시켜 회전시키면 제3캠(139)의 클러치면(139b)이 돌기(133a)에 맞물려 회전되고 제1캠면(137a)과 제2캠면(138a)이 서로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어 제1캠(137)을 구동샤프트(132) 측으로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된 제1캠(137)은 스프링(13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구동샤프트(132)의 장착단(132a)에 삽입되고 더 나아가 회전판(134)의 연결홈(135; 도 4 참조)에 삽입되어 클러치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회전판(134)에는 걸림턱(131)이 형성되어 튜브본체(130a; 도 4 참조)의 말단에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걸림턱(131)은 도 2와 같이 토션 스프링(120)의 선단에 연결되어 일정각도로 회동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튜브(130; 도 3 참조)는 외측 손잡이(150; 도 2 참조)의 연결축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15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연결튜브(130)의 회전판(134; 도 4 참조)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캠부재(130b)가 회전판(134)의 연결홈(135)에 클러치 연결되는 것으로 외측 손잡이(150)의 회전력은 구동샤프트(132)에 전달되고 이를 통해 회동체(160; 도 5 참조)를 구동시킬 수 있어 모티스의 잠금 및 해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외측 손잡이(150; 도 2 참조)의 잠금 및 해정구조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에 캠부재(130b; 도 4 참조)를 도입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전자식 도어락 구조를 부가하였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연결튜브(130; 도 4 참조)의 제2캠(138)의 샤프트축(133)의 말단에는 구동기어부(170)가 장착된다. 이 구동기어부(170)의 외주연을 따라 베벨기어(171)가 형성되어 구동모터(M)의 선단 기어부와 기어맞춤됨으로써 구동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기어(170)가 회전되고 이를 통해 제2캠(138)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외부본체(100; 도 2 참조)에서 전자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가 구동모터(M)를 작동시켜 구동기어부(17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샤프트축(133)을 통해 연결된 제2캠(138)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캠(137)을 직선방향으로 이동(캠면; 137a, 138a을 따라 제1캠이 이동; 도 4 참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캠(137)이 이동하면 도 7과 같이 제1캠(137)의 장착턱(137b)이 구동샤프트(132)의 장착단(132a)을 지나 회전판(134)의 연결홈(135; 도 4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클러치 연결상태(도 7의 상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150)를 회동시켜 문을 개방시킬 수가 있다(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모티스 내로 인입시켜 잠금 해제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동축(100a; 도 5 참조)의 클러치 연결 및 단락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클러치 단락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의 클러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우선 도 6과 같이 열쇠 또는 전자적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생태에서는 제1캠(137)의 장착턱(137b)이 회전판(134)의 연결홈(135; 도 4 참조)에서 이탈된 상태를 이룬다(클러치 단락상태).
반면, 열쇠를 통해 기구적으로 클러치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키 실린더(140)에 열쇠를 삽입하여 키 실린더(140)가 회전(통상 270도 이상)하면 제3캠(139)의 클러치면(139b; 도 4 참조)을 따라 제2캠(138)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캠(138)이 회전하면 양측의 캠면(137a,138a; 도 4 참조)를 통해 연결된 제1캠(137)이 캠면(137a,138a)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어 스프링(136)을 수축시키면서 회전판(134)의 연결홈(135; 도 4 참조)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캠(137)의 장착턱(137b)이 회전판(134)의 연결홈(135)에 삽입되는 것으로 클러치 연결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 연결상태를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150; 도 2 참조)를 회동시키는 회전력이 제1캠(137)과 연결된 구동샤프트(132)로 전달(즉 일체로 같이 회동)되어 외측 손잡이(150)와 같이 회전되고, 연결튜브(130; 도 2 참조)의 구동샤프트(132)에 연결된 회동체(160)를 회전시킴으로써 모티스에서 데드볼트 및 레치볼트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전자적 인증 방식으로 해정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구동모터(M의 회전력으로 구동기어부(170)를 회동시키고 구동기어부(170)에 연결된 샤프트축(133)이 회전되어 제2캠(138)이 제1캠(137)을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판(134)의 연결홈(135; 도 4 참조)에 제1캠(137)의 장착턱(137b)을 삽입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즉, 구동모터(M)를 통해 직접 제2캠(138)을 구동시켜 제1캠(137)을 전후진 시킴으로써 클러치의 연결 및 단락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식 해정구조와 전자식 해정구조를 하나의 구동축(100a; 도 5 참조)을 통해 구현할 수 있어서 기존의 2축 방식(기계 인증 및 전자 인증을 위한 구동방식)의 해정구조보다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외측본체 110: 키패드
120: 토션 스프링 130: 연결튜브
131: 걸림턱 132: 구동샤프트
133: 샤프트 축 140: 키 실린더
141: 키축 150: 외측 손잡이
169: 커버링 170: 구동기어
171: 베벨기어

Claims (4)

  1. 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100)와 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문의 내부에 설치된 모티스를 구동시켜 문을 개방하거나 잠기게 하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모티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구동축(100a)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100a)은 열쇠가 삽입되어 인증되면 회동하는 키 실린더(140); 상기 키 실린더(140)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키 실린더(140)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캠이 캠면(137a,138a)으로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캠부재(130b); 상기 캠부재(130b)의 말단에 형성된 장착턱(137b)이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는 연결홈(135)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축에 결합된 회전판(1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재(130b)의 일부는 구동모터(M)에 기어연결되어, 전자적 인증으로 상기 구동모터(M)가 작동되면 상기 캠부재(130b)가 회전되어 상기 캠부재(130b)를 직선이동시키고, 상기 캠부재(130b)의 직선이동으로 상기 회전판(134)에 상기 캠부재(130b)가 연결 및 단락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100a)과 상기 손잡이가 서로 연동되거나 서로 단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130b)는,
    상기 모티스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와 연동되는 회동체(160)가 삽입된 구동샤프트(132),
    상기 구동샤프트(132)의 선단에 스프링(136)을 통해 탄성지지되고 선단에 제1캠면(137a)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장착턱(137b)이 형성된 제1캠(137), 및
    상기 제1캠(137)의 제1캠면(137a)에 대응되는 제2캠면(138a)이 형성된 제2캠(1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138)과 상기 키 실린더(140)는 제3캠(139)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제3캠(139)의 선단에는 상기 키 실린더(140)의 키축(141)이 삽입되는 홈(139a)이 형성되고, 제3캠(139)의 말단에는 상기 제2캠(138)과 맞물리는 클러치면(139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138)의 말단에는 샤프트축(133)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축(133)에는 외주면을 따라 베벨기어(171)가 형성된 구동기어부(17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부(170)에는 상기 구동모터(M)가 기어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KR1020120000540A 2012-01-03 2012-01-03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KR10124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540A KR101243364B1 (ko) 2012-01-03 2012-01-03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PCT/KR2012/011147 WO2013103205A1 (ko) 2012-01-03 2012-12-20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540A KR101243364B1 (ko) 2012-01-03 2012-01-03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364B1 true KR101243364B1 (ko) 2013-03-13

Family

ID=4818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540A KR101243364B1 (ko) 2012-01-03 2012-01-03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79B1 (ko) 2016-03-15 2016-06-17 정예리 도어 락 자동 조립 시스템
CN108979336A (zh) * 2018-08-21 2018-12-11 广州第吉尔智能系统制造有限公司 一种同轴双向智能锁离合机构
KR102546202B1 (ko) 2021-12-21 2023-06-21 주식회사 라온아이오티 가압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도어락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969A (ja) * 1993-12-13 1995-10-03 Corbin Russwin Inc リバーシブル錠組立体
KR101086261B1 (ko) 2009-07-21 2011-11-23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969A (ja) * 1993-12-13 1995-10-03 Corbin Russwin Inc リバーシブル錠組立体
KR101086261B1 (ko) 2009-07-21 2011-11-23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79B1 (ko) 2016-03-15 2016-06-17 정예리 도어 락 자동 조립 시스템
CN108979336A (zh) * 2018-08-21 2018-12-11 广州第吉尔智能系统制造有限公司 一种同轴双向智能锁离合机构
CN108979336B (zh) * 2018-08-21 2023-10-13 亚萨合莱(广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同轴双向智能锁离合机构
KR102546202B1 (ko) 2021-12-21 2023-06-21 주식회사 라온아이오티 가압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도어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002B1 (ko)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JP635277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20100212381A1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CA2888694A1 (en) Method for correctly mounting an electronic door lock on a left-handed or right-handed door
KR101243364B1 (ko)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US20210002928A1 (en) Out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US10597909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CN110616967A (zh) 锁舌的锁定与解锁机构及具有该机构的全自动锁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TWI627337B (zh) 電子鎖及其離合機構
CN107250474B (zh) 门锁装置
KR101410865B1 (ko)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KR200438979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101168417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212590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066949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20042553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101369400B1 (ko) 도어락의 손잡이 축 연결을 위한 구동조립체
KR101595853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322308B1 (ko) 썸턴 클러치 구조체
GB2445419A (en) Lock assembly
KR100543866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CN114753722B (zh) 锁具及其连动模块与锁定模块
KR200444841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371503B1 (ko) 도어락의 손잡이 축 연결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