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121B1 - 압축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압축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121B1
KR101095121B1 KR1020090075041A KR20090075041A KR101095121B1 KR 101095121 B1 KR101095121 B1 KR 101095121B1 KR 1020090075041 A KR1020090075041 A KR 1020090075041A KR 20090075041 A KR20090075041 A KR 20090075041A KR 101095121 B1 KR101095121 B1 KR 10109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rbage
pressing plate
opening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530A (ko
Inventor
김일강
Original Assignee
김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강 filed Critical 김일강
Priority to KR102009007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1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된 쓰레기봉투를 버리기 위해 쓰레기통 내에서 쓰레기봉투를 압축된 상태로 묶을 수 있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은, 상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개방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단부를 고정하는 봉투고정수단과, 상기 개방부에 출입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압착판은 상기 개방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상면에 걸린 상태가 발생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압축, 압착판, 봉투고정수단, 쓰레기통, 걸림

Description

압축쓰레기통{A compressible waste basket}
본 발명은 압축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된 쓰레기봉투를 버리기 위해 쓰레기통 내에서 쓰레기봉투를 압축된 상태로 묶을 수 있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전국 각 시, 군에서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별도의 쓰레기봉투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봉투는 유료로 판매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한정된 쓰레기봉투에 더 많은 쓰레기를 넣기 위하여 억지로 밀어 넣는 경우가 많으나, 그러한 압축이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쓰레기봉투의 소재가 얇은 비닐로 제작되어 쉽게 찢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중에는 쓰레기의 압축이 가능한 다양한 쓰레기통이 판매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압축 가능한 쓰레기통은 쓰레기봉투에 내통을 삽입하고, 내통이 삽입된 쓰레기봉투를 외통에 끼운 후 사용하고 덮개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압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쓰레기봉투에 삽입되어 있던 내통을 들어내게 되면 내통에 붙어있거나 접해있는 쓰레기가 함께 딸려 올라오게 되므로 압축되어 있던 쓰레기가 부풀어 오르거나 쓰레기봉투 밖으로 쓰레기가 넘쳐 흘러 버리는 문제가 또한 발생한다.
한편, 기존의 쓰레기통은 쓰레기통의 높이와 삽입되는 쓰레기봉투의 높이가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쓰레기통의 최대 용량 이상의 쓰레기를 추가로 채워 넣을 수가 없는 문제점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또한, 쓰레기봉투를 버리기 위하여 쓰레기봉투의 상부를 묶을 때에도 쓰레기가 계속 압축되어 있어야 하나, 쓰레기봉투를 묶는 과정에서 압축되어 있던 쓰레기가 복원되면서 쓰레기봉투를 묶는 과정이 힘이 들고 압축효과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통 내에서 쓰레기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쓰레기봉투를 편리하게 묶을 수 있는 압축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의 용량 이상으로 쓰레기가 담기더라도 쓰레기를 압착하여 수용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쓰레기봉투를 사용할 수 있는 압축쓰레기통의 제공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압축쓰레기통의 제공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은, 상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개방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단부를 고정하는 봉투고정수단과, 상기 개방부에 출입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압착판의 판체가 수평으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판체의 평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본체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하도록 상기 개방부의 개방면의 형상과 상기 압착판의 판체의 형상이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압축쓰레기통에는, 상기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되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압착판이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통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은, 상기 봉투고정수단이 상기 상부통체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개방부의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를 고정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은, 상기 압착판에 그것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봉체를 더 형성하고, 상기 압착판의 상부에는 상기 봉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걸림판을 더 형성하며, 상기 걸림판은 상기 봉체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통체를 통과할 수 있는 각도와 통과할 수 없는 각도가 모두 발생하는 형상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압축쓰레기통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가 주통체와 상기 주통체를 덮는 본체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덮개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개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쓰레기통은 상기 주통체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작은 용량의 쓰레기봉투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통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통체와 상기 본체덮개부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주통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쓰레기통은 상기 상부통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의 방향으로 확대되는 깔대기 모양의 보조투입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축쓰레기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착판이 압축쓰레기통의 상면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이상 부풀게 되는 쓰레기를 압착판이 계속해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축 효율을 높일 수가 있고, 더 이상 쓰레기를 수용할 수 없어 쓰레기봉투를 묶어야 할 때는 상부통체를 분리시켜 쓰레기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두 손으로 편리하게 쓰레기봉투를 묶을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압축쓰레기통은 상부통체를 구비하여 쓰레기봉투 이상의 쓰레기가 담기더라도 압착판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쓰레기봉투 내로 압축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쓰레기봉투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규격화된 쓰레기봉투의 크기에 따라 보조통체를 더 끼워 넣음으로써 쓰레기봉투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단면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압축쓰레기통은 본체(100)와 상기 본 체(100)를 덮는 본체덮개부(130)와 쓰레기봉투를 고정하기 위한 봉투고정수단(210)과 쓰레기의 수용률을 높이기 위한 상부통체(200) 그리고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예컨대 일체의 원통형상이거나 2~3등분으로 분할가능한 원통형상이며 그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본체덮개부(130)는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이 경우, 본체(100)의 하부가 개방됨으로써 쓰레기봉투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와 분리시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본체덮개부(130)는 중심부에 개방부(135)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와 대응되도록 원판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그 외측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본체끼움홈(115)을 형성시키고, 상기 본체끼움홈(115)의 내부에는 공간돌기(114)가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의 공기배출을 돕는다. 이는 본체끼움홈(115)의 폭이 끼워지는 본체의 두께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고, 이러한 구성은 더 많은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의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그 작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개방부(135)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10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 즉 상향으로 돌출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봉투고정수단(210)은 상기 돌출부(137)와 후술하는 상부통체(200)에 형성되는 끼움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37)와 끼움 홈(230) 사이에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주변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돌출부(137)를 상기 끼움홈(230)에 끼움으로써 쓰레기봉투가 고정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부통체(200)도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쓰레기봉투를 보다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부(137)의 외측둘레를 따라 고무밴드나 케이블타이(400)로써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주변 단부를 묶어둘 수 있는데, 그러한 고무밴드나 케이블타이(400)가 단독으로 상기 봉투고정수단(210)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통체(2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형이며, 그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도록 끼움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23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상부덮개부(20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통체(200)는 상기 개방부(135)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덮개부(205)가 상기 본체덮개부(130)의 상단을 덮음으로써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나와 있는 쓰레기봉투의 단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한다.
상기 압착판(300)에는 그 판체의 평면에 수직인 봉체(310)와 그 끝에 형성되는 손잡이(350)가 부가되어 있다. 상기 압착판(300)은 상기 개방부(135) 및 상부통체(200)에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상기 상부통체(200)의 단면적보다 약간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압착판(300)의 단면적이 상부통체(200)의 단면적과 같게 되면 압착판(300)이 상부통체(200)를 통과할 때 쓰레기봉투 내부의 공기 배출이 어려워 압착판(300)의 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통체(200)와 개방부(135) 및 압착판(300)을 타원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는 개방부(135)를 통해 압착판(300)이 내부로 들어간 후에 소정의 각도로 변경 시 상기 본체덮개부(130)에 걸려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쓰레기가 압착된 상태에서 쓰레기봉투를 묶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압착판(300)의 형상은 상기 개방부(135)를 통해 내부로 들어간 후에 소정의 각도로 변경 시 상기 본체덮개부(130)에 걸려 빠져나올 수 없는 형상이라면 상기 개방부(135)와 압착판(300)은 어떤 형태든지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개방부가 정사각형일 경우, 압착판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하거나, 개방부가 직사각형일 경우, 압착판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소정각도로 압착판을 돌리면 개방부에 걸린 상태가 발생되는 형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체(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내부에 쓰레기봉투를 집어넣어 안착시킨다. 이 때,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단부 즉, 묶음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개방부(135)의 상측에서 잘 펼친 후 상부통체(200)를 덮는다.
도3의 (b)는 상부통체(2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부통체(200)를 덮음으로써 상기 상부통체(200) 외측의 끼움홈(230)과 개방부 상측의 돌출부(137)로 이루어지는 봉투고정수단(210)이 쓰레기봉투의 단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상부통체(200)를 장착하는 과정 전에 상기 돌출부(137)의 외측둘레를 따라 고무밴드나 케이블타이(400)를 사용하여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주변 단부를 묶어 둠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를 보다 확실히 고정할 수 있 다. 쓰레기봉투가 고정되면 그 상태에서 사용이 이루어지고 상부통체(200)에 차오를 때까지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다.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체(200)에 쓰레기가 충분이 쌓이면 압착판(300)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압착한다. 이 압착과정은 사용 중 수시로 반복될 수 있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압착판(300)을 이용하여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끼움홈(115)의 폭이 본체의 두께보다 약간 넓어 상기 본체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으므로(도2의 확대도 참조) 쓰레기봉투가 팽창하여 쓰레기봉투와 본체(100) 사이의 공간에 있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쓰레기봉투가 본체(10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는 도2의 확대도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체끼움홈(115)의 양측면과 그것에 끼워지는 본체(100)의 측면에 유격이 발생함과 함께 본체끼움홈(115)에는 공간돌기(114)가 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100)의 상단과 본체끼움홈(115)의 골(바닥)이 접하지 않도록 공간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쓰레기가 더 많이 압착되어 쓰레기봉투의 부피가 본체의 용량을 초과하더라도, 상기 본체덮개부(130)가 쓰레기봉투의 팽창력에 의해 들어 올려 지기 때문에 본체의 용량이 조금 작아도 쓰레기봉투의 최대용량으로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도3의 (d)는 쓰레기봉투를 묶기 전에 내부의 쓰레기를 압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압착판(300)을 쓰레기통 내부로 밀어넣어 쓰레기를 압착한 상태에서 압착판(30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덮개부(130)에 상기 압착판(300)이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도3의 (e)는 쓰레기를 압착한 상태에서 쓰레기봉투를 한번 묶고 압착판(300)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압착판(300)이 본체덮개부(130)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통체(200)를 분리하게 되면 쓰레기봉투의 묶음부가 드러난다. 통상, 쓰레기봉투에는 4개의 묶음부가 있으므로 상기 압착판(300)이 압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2개의 묶음부를 서로 묶고, 나머지 2개의 묶음부는 남겨둔 상태에서 묶지 않은 부분에 생기는 여유공간을 이용해 상기 압착판(300)을 좌우로 비집어가며 빼낸다.
그 후 도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묶음부가 묶임으로써 압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2개의 묶음부를 마저 묶어서 본체(100)에서 쓰레기봉투를 배출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단면도로서 보조통체(120)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덮개부(130)와 봉투고정수단(210)과 상부통체(200)와 압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통형의 주통체(110)와 상기 주통체(110)를 받치는 받침부재(150)가 조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통체(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 예컨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덮개부(130)와 받침부재(150)는 상기 주통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주통체(110)과 조립된다. 물론, 제작, 운송 또는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상기 주통체(110)를 상부만 개방된 통형상으로 하거나, 2~3등분으로 분할 제작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덮개부(130)와 받침부재(150)는 각각 그 둘레를 따라 주통체끼움홈(115,11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덮개부(130)의 주통체끼움홈(115)은 제1실시예의 본체끼움홈(115)과 동일하다.
도5에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주통체(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보조통체(120)가 더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덮개부(130)에는 소정간격으로 보조통체끼움홈(115′)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받침부재(150)에도 상기 보조통체끼움홈(115′)과 대향하는 위치에 받침홈(116′)을 더 형성시킨다. 상기 각 보조통체끼움홈(115,115′) 내부에도 도2에 도시된 공간돌기(114)를 설치하여 쓰레기봉투의 팽창 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격을 형성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받침부재(170)을 더 포함한다. 이는 쓰레기봉투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길이 또한 짧아질 것이므로 그것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150)에 적재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보조받침부재(170)는 보조받침홈(173)과 보조받침돌기(175)를 포함함으로써 도5와 같이 보조통체(120)의 내부에서 복수의 보조받침부재(170)가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봉투가 작아서 쓰레기봉투의 하단과 측면이 상기 받침부재(150)와 주통체(110)에 닿지 않는 경우 상기 보조통체(120)와 보조받침부재(170)를 내부에 더 삽입하여 쓰레기봉투의 크기에 대응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착판(300)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착판(300)에 부가된 봉체(310)에 그 봉체가 삽입되는 중공관 형상의 걸림봉(330)이 장착되고, 상기 걸림봉(330)의 하측에 압착판(300)의 상면을 덮는 걸림판(335)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봉(330)의 상측에는 조정홈(390)이 형성되고, 상기 봉체(310)에는 상기 조정홈(390)에 삽입되는 조정돌기(37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조정홈(390)은 상기 걸림판(335)이 상기 상부통체(200)에 걸리는 각도로 조정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조정돌기(370)가 90°나 180°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판(335)과 압착판(300)은 그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판(300)이 상부통체(200)의 상단을 막고 상기 걸림판(335)을 상부통체(200)에 걸리도록 회전시키면 상부통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쓰레기봉투의 크기에 맞는 보조통체(120) 및 보조받침부재(170)를 추가 로 결합한다. 예컨대 주통체(110)가 20리터 용량의 쓰레기봉투에 적합한 크기일 때 10리터 용량의 쓰레기봉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주통체(110) 외에도 그 내부에 10리터 용량에 적합한 보조통체(120)와 보조받침부재(170)를 삽입하고, 5리터 용량의 쓰레기봉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리터 용량에 적합도록 보조통체(120)와 보조받침부재(170)를 삽입한다. 이 후엔 전술했던 도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체(200)에 차오를 때까지 쓰레기를 투입하고 압착판(300)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압착한다.
쓰레기통의 사용 중에는 상기 걸림판(335)을 봉체(31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도5에 도시된 걸림판(335)의 상태 및 도6의 하측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상태와 같이, 상부통체(200)를 통과할 수 없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상부통체(200)의 상측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걸림판(335)의 아래에 있는 압착판(300)이 상부통체(200)를 막은 상태에서 뚜껑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 후 투입된 쓰레기가 더 이상 압착 및 수용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도3의 (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했던 과정을 따라 쓰레기를 배출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상부덮개부(205)를 변형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변형된 상부덮개부(205′)에는 본체덮개부(130)와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홈(20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08)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38)를 본체덮개부(130)의 상면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덮개부(205′)와 본체덮개부(1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사용 중 상기 상부덮개부(205′)가 쉽게 탈락되는 일이 없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부(205′)를 본체덮개부(130)로부터 분리 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덮개부(205′)의 측면에 오목한 요(凹)부(206)를 형성한다. 상기 요부(206)를 형성함으로써 한손으로 상기 상부통체(200)을 잡고 한손으로는 상기 요부(206)에 손가락을 넣어 본체덮개부(130)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상부통체(200)를 흔들어 들어내면 상부통체(200)에 결합된 상기 상부덮개부(205′)를 분리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상부통체(200)의 상단에 보조투입구(500)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투입구(500)는 깔대기와 같은 형상으로 상부통체(200)에 결합됨으로써 쓰레기의 투입구를 확대시켜 쓰레기의 투입이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압축쓰레기통에서 투입구의 역할을 하고 있는 상부통체(200)의 단면적이 제한을 받게 되므로[이는 압축판(300)이 본체덮개부(130) 즉, 상기 상부통체(200)의 하단에서 걸린 상태가 발생하도록 상부통체(200)를 제작하고, 상기 상부통체(200)의 단면적과 비슷한 크기로 만들어지는 압축판(300)의 크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를 한번 묶은 후에 여유 공간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상기 압축판(3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상부통체(200)의 단면적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 투입구를 넓히는 보조투입구를 별도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보조투입구(500)는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확대되는 깔대기 모양의 테이퍼부(510)와 테이퍼부(510) 하단에서 상기 상부통체(200)의 상부에 끼움되는 고정부(520) 및 상기 상부통체(200)의 상단에 걸려 상기 고정부(520)의 깊이가 제한되는 단턱(525)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투입구(500)의 상측에는 덮개(530)가 필요 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투입구(500)에 덮개(530)가 설치된 경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압착판(300)이 뚜껑의 역할을 하도록 보조하기 위한 걸림판(335)은 그 설치가 불필요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쓰레기통의 단면도
도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판 및 걸림판의 단면도 및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상부덮개부를 변형한 구조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보조투입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주통체
120 : 보조통체 114 : 공간돌기
115 : 본체끼움홈(주통체끼움홈) 115′: 보조통체끼움홈
116 : 받침홈 116′: 받침홈
130 : 본체덮개부 135 : 개방부
137 : 돌출부 138 : 결합돌기
150 : 받침부재 170 : 보조받침부재
173 : 보조받침홈 175 : 보조받침돌기
200 : 상부통체 205,205′ : 상부덮개부
206 : 요부 208 : 결합홈
210 : 봉투고정수단 230 : 끼움홈
300 : 압착판 310 : 봉체
330 : 걸림봉 335 : 걸림판
350 : 손잡이 370 : 조정돌기
390 : 조정홈 500 : 보조투입구
510 : 테이퍼부 520 : 고정부
525 : 단턱 530 : 덮개

Claims (8)

  1. 상측에 개방부(135)가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개방부(135)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쓰레기봉투의 입구측 단부를 고정하는 봉투고정수단(210)과,
    상기 개방부(135)에 출입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압착판(300)의 판체가 수평으로 상기 개방부(135)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판체의 평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본체(100)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하도록 상기 개방부(135)의 개방면의 형상과 상기 압착판(300)의 판체의 형상이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35)에 착탈 가능하되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압착판(300)이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통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고정수단(210)은,
    상기 상부통체(200)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230)과,
    상기 개방부(135)의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137)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37)가 상기 끼움홈(23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쓰레기봉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300)에는 그것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봉체(310)를 더 형성하고,
    상기 압착판(300)의 상부에는 상기 봉체(3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걸림판(335)을 더 형성하며,
    상기 걸림판(335)은 상기 봉체(310)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통체(200)를 통과할 수 있는 각도와 통과할 수 없는 각도가 모두 발생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주통체(110)와 상기 주통체(110)를 덮는 본체덮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덮개부(130)의 소정 위치에 상기 개방부(1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체(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작은 용량의 쓰레기봉투를 설치하 기 위한 보조통체(1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체(110)와 상기 본체덮개부(130)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주통체(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체(2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의 방향으로 확대되는 깔대기 모양의 보조투입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쓰레기통
KR1020090075041A 2009-08-14 2009-08-14 압축쓰레기통 KR10109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41A KR101095121B1 (ko) 2009-08-14 2009-08-14 압축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41A KR101095121B1 (ko) 2009-08-14 2009-08-14 압축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30A KR20110017530A (ko) 2011-02-22
KR101095121B1 true KR101095121B1 (ko) 2011-12-16

Family

ID=4377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041A KR101095121B1 (ko) 2009-08-14 2009-08-14 압축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7193A (zh) * 2019-11-18 2020-02-21 苏州溪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压缩自动打包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30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1783B1 (en) Receptacle with cinch to grasp a portion of a liner
KR200490961Y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US8844435B2 (en) Compression-type wastebasket
KR101079199B1 (ko) 일회용 봉투를 내장하는 개량형 쓰레기통
KR101095121B1 (ko) 압축쓰레기통
KR200489080Y1 (ko)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KR200462063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쓰레기통
KR20110025280A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KR200446629Y1 (ko) 압착용 쓰레기봉투 거치대
KR200252552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 압착 쓰레기통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452636Y1 (ko) 조립식 쓰레기통
KR200414110Y1 (ko) 쓰레기 압착기
KR200454578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 쓰레기통
KR200414434Y1 (ko) 쓰레기 압착기
KR200425905Y1 (ko) 편리한 쓰레기통
KR20070078039A (ko) 쓰레기 압착기
KR20090006490U (ko) 압축 가능한 밑이 없는 쓰레기통
KR200484052Y1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KR200419917Y1 (ko) 압축쓰레기통
US20050189284A1 (en) Removable sieve device for a dry food dispenser
KR20130093904A (ko) 압축판이 구비되는 종량제봉투 맞춤형 쓰레기통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KR20120003934U (ko) 압축 뚜껑이 구비되어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