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984B1 -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984B1
KR101945984B1 KR1020170044822A KR20170044822A KR101945984B1 KR 101945984 B1 KR101945984 B1 KR 101945984B1 KR 1020170044822 A KR1020170044822 A KR 1020170044822A KR 20170044822 A KR20170044822 A KR 20170044822A KR 101945984 B1 KR101945984 B1 KR 10194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ink
water
side wall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369A (ko
Inventor
하동웅
Original Assignee
하동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웅 filed Critical 하동웅
Priority to KR102017004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9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싱크대 사용 후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 배출 할 때, 음식물에 남은 물기가 낙수되어 싱크대나 주방의 바닥 등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기 제거 중 악취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하며, 싱크대의 구조 변경 내지 건조 장치 등의 추가 설치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배수구에 탈착되는 거름통 및 상기 거름통이 삽입되며 거름통의 메쉬부로 낙수된 물기가 저장되는 물기 저장부를 구비한 물받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FOOD COLLECTION APPARATUS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싱크대 사용 후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 배출 할 때, 음식물에 남은 물기가 낙수되어 싱크대나 주방의 바닥 등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기 제거 중 악취가 실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하며, 싱크대의 구조 변경 내지 건조 장치 등의 추가 설치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배수구에 탈착되는 거름통 및 상기 거름통이 삽입되며 거름통의 메쉬부로 낙수된 물기가 저장되는 물기 저장부를 구비한 물받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마련된 싱크대의 배수구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거르기 위한 거름통(또는 거름망)이 설치되어, 싱크대 사용 후 거름통을 배수구에서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만을 따로 분리수거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거름통을 자주 비워주지 않게 되면, 거름통 안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싱크대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싱크대 사용 후 거름통을 바로 비워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거나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통(또는 음식물 분리수거용 봉투) 등에 보관해야 한다.
그런데 거름통의 메쉬부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물기가 다량 배수되더라도, 사용 직후 거름통을 바로 분리하게 되면, 음식물에 남은 물기가 거름통 외부로 낙수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싱크대나 주방의 바닥이 더러워지기 쉽고, 이로 인한 악취 발생 염려가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는 싱크대 사용 후 일정 시간이 흘러 음식물에서 물기가 모두 빠지길 기다린 다음 거름통을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게 되는데, 음식점과 같이 화기의 사용이 계속되거나 무더운 여름철에는 거름통에서 음식물이 부패하기 쉬워 악취가 발생하거나 벌레가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81812호, 등록특허 제10-1674623호, 공개특허 제10-2016-0091063호, 등록특허 제10-1479873호 등과 같이, 싱크대 사용 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과 같은 종래의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는, 음식물의 완전한 물기 제거를 위한 건조 내지 분쇄 장치를 싱크대의 하부 수납공간에 추가 설치하거나, 또는 거름통 등에서 일회용 음식물 배출봉투 등을 추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데,
건조 내지 분쇄 장치의 추가 설치는 초기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배수구나 배수관 등의 싱크대 구조 변경이 수반되는 것이 보통이어서 부담이 크고, 싱크대의 하부 수납공간을 활용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거름통 등에 일회용 음식물 배출봉투 등을 추가하는 방식은, 거름통의 교체나 배수구의 구조 변경 내지 전용 음식물 배출봉투의 추가 구매 등이 필요하여 비용 부담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없고, 음식물 배출봉투의 교체가 번거로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싱크대 사용 후 분리한 거름통에서 물기가 낙수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기존에 사용 중이던 싱크대의 구조 변경 내지 별도의 장치를 추가할 필요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분리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싱크대의 배수구에 탈착되는 거름통과, 거름통이 삽입되어 거름통에서 낙수된 물기를 저장하는 물받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름통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음식물 쓰레기 일부가 거름통의 메쉬부에 끼어서 배출되지 않고 거름통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쉬부가 형성된 측벽부와 바닥부가 연결된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거름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물받이통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물받이통에 저장된 물기의 배출을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싱크대 사용 후 거름통을 바로 분리하여 물받이통에 삽입함으로써 거름통의 교체 사용이 편리하도록, 물받이통의 측벽부 일측에 싱크대의 개수대에 걸어지는 걸이부가 구비되고 물받이통의 측벽부 타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거름통을 물받이통에 결합 후 음식물의 물기를 제거하면서 보관할 때,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물받이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물받이통을 개폐하는 뚜껑에, 양방향 회전하도록 구비된 손잡이와, 플랜지부 내측에 구비되는 패킹과, 손잡이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 또는 수축하여 물받이통의 측벽부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물받이통의 측벽부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기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탈착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측벽부와 바닥부로 형성된 음식물 수거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메쉬부를 구비한 거름통; 및
상부가 개구되고 측벽부와 바닥부로 형성되어 상기 거름통이 삽입되면서 상기 메쉬부로 통과된 물기가 저장되는 물기 저장부를 구비한 물받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서,
상기 거름통은, 상기 메쉬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와 바닥부가 연결된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서,
상기 물받이통은, 측벽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싱크대의 개수대에 걸어지는 걸이부, 측벽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서,
상기 물받이통은, 상기 물기 저장부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는,
종래의 각종 싱크대용 음식물 건조 처리 장치 등과 다르게 싱크대의 구조 변경 내지 장치의 추가 설치 등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용 음식물 쓰레기 배출봉투 등의 추가 구매 역시 불필요하므로, 비용 부담이 적고,
거름통의 메쉬부, 특히 측벽부와 바닥부가 연결된 메쉬부의 모서리부에 음식물이 끼어서 거름통에서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받이통을 싱크대의 개수대에 걸어서 보관하여, 물받이통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물받이통에 저장된 물기의 배출을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싱크대 사용 후 거름통을 바로 분리하여 물받이통에 삽입함으로써 거름통의 교체 사용이 편리하고,
손잡이로 작동하는 기밀수단을 통해 뚜껑에 구비된 패킹의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물받이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밀성 보장을 위한 패킹이 뚜껑의 개폐를 간섭하지 않아 뚜껑의 개폐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받이통에 거름통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거름통, 물받이통, 뚜껑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거름통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름통, 물받이통, 뚜껑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받이통에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및 본 발명의 기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와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에 구비된 배수구(미도시)에 탈착되는 거름통(10)을 이용해 음식물의 물기를 완전하게 제거한 상태로, 음식물만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배수구에 탈착되는 거름통(10), 개구대 등에 걸어서 보관 가능한 물받이통(20), 상기 물받이통(20)을 개폐하는 뚜껑(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거름통(10)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탈착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측벽부와 바닥부로 형성된 음식물 수거부(11)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메쉬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쉬부(12)는, 다수개의 미세 구멍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수거부(11)로 투입된 음식물의 물기가 거름통(10) 외부로 빠져 배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측벽부의 하측 일부에 제1 메쉬(12a)가 구비되고, 바닥부 전체에 제2 메쉬(12b)가 구비되어, 하나의 메쉬부(12)를 형성한다.
물론 제1 메쉬(12a)는 측벽부 전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거름통(10)은, 양단이 측벽부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부(13)를 구비하여,
손잡이부(13)를 음식물 수거부(11) 내부로 회동시킨 상태로 거름통(10)을 배수구에 장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수거부(11)에 걸러지면서 물기가 상기 메쉬부(12)를 통과하여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배수구에서 거름통(10)을 빼내어 운반할 때, 손잡이부(13)를 음식물 수거부(11) 상부로 회동시켜 사용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거름통(10)은, 상기 음식물 수거부(11)를 덮으면서 탈착 가능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커버에는, 음식물 등이 음식물 수거부(11)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이밖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싱크대용 거름통과 대동소이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거름통(10)은, 메쉬부(12)를 통한 물기의 빠짐이 용이하면서 음식물이 메쉬부(1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메쉬(12a)의 구멍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제2 메쉬(12b)의 구멍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메쉬(12a)는 제2 메쉬(12b)보다 크기가 큰 일정 크기 이상의 구멍들로 형성되고, 제2 메쉬(12b)는 제1 메쉬(12a)보다 크기가 작은 일정 크기 이하의 구멍들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름통(10)은, 상기 메쉬부(12)가 형성되는 측벽부와 바닥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부(14)가 소정의 R 값을 갖도록 모따기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때 모서리부(14)에는 제2 메쉬(12b)들이 구비된다.
이렇게 거름통(10)의 모서리부(14)를 라운드지게 형성하면, 모서리부(14) 내측에 음식물이 끼지 않게 되어, 거름통(10)을 뒤집어 음식물을 버릴 때 모서리부(14)에 음식물 쓰레기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모서리부(14)에, 제2 메쉬(12b)들이 구비되면, 물기의 빠짐을 보장하면서도 음식물이 모서리부(14) 주위에 끼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메쉬부(12)는 일정 크기 이상의 통공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받이통(20)은, 개수대 등에 걸어서 보관하여, 거름통(10)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전에, 음식물에 남은 물기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측벽부와 바닥부로 형성되어 상기 거름통(10)이 삽입되면서 상기 메쉬부(12)로 통과된 물기가 저장되는 물기 저장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물받이통(20)은, 측벽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싱크대의 개수대에 걸어지는 걸이부(22), 측벽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3)를 포함한다.
따라서 거름통(10)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거름통(10)을 배수구에서 분리한 후 바로 물받이통(20)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물받이통(20)을 개수대에 걸어서 일정 시간동안 보관하게 되면, 거름통(10)의 음식물에 남은 잔존 물기가 메쉬부(12)를 통해 낙수되어 물기 저장부(21)로 저장되어 음식물에서 물기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물기가 제거된 거름통(10)을 물받이통(20)에서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통 등에 배출하고, 물받이통(20)의 물기는 개수대 등에 버리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보다 위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물받이통(20)을 걸이부(22)를 이용해 개수대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거름통(10)을 2개 이상 구비하게 되면 배수구와 물받이통(20)에 각 거름통(10)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싱크대의 정상적인 사용 및 거름통(10)의 물기 제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20)은, 측벽부와 바닥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부(24)가 소정의 R 값을 갖도록 모따기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모서리부(24)에 물기와 함께 빠진 이물질이 침전되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뚜껑(30)은, 상기 물기 저장부(21)의 상부 개구부를 덮으면서 탈착되는 것으로, 물기 제거 중에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물받이통(2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뚜껑(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에 손잡이(31)가 구비되고, 외측변을 따라 물받이통(20)의 측벽부 상부가 내삽되는 플랜지부(30a)가 하측으로 절곡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링 타입의 패킹(32)이, 뚜껑(30)의 플랜지부(30a) 내측 또는 물받이통(20)의 측벽부 상단에 구비되어,
뚜껑(30)을 닫았을 때, 상기 패킹(32)이 물기 저장부(21)를 기밀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뚜껑(30)에는 악취 제거를 위한 탈취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탈취수단은, 세라믹,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 황산염, 인삼염 등의 무기 화합물, 식물 건조 분말 등의 천연 유기물 등, 악취 제거 및 정화 가능한 물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뚜껑(30)의 하면에 폼 구조의 탈취부를 형성하여 탈취제 또는 탈취액이 저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밖에 탈취에 효과적인 다양한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패킹(32)이 뚜껑(30) 또는 물받이통(20)의 측벽부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면, 패킹(32)의 밀착을 통한 기밀 상태의 유지가 약할 수밖에 없고, 특히 뚜껑(30)을 반복적으로 개폐하여 사용할 경우 패킹(32)의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32)의 형상 변위를 통해 뚜껑(30)의 탈착을 쉽게 하면서도 패킹(32)의 기밀성 유지를 강화할 수 있는 기밀수단(S)을 도입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뚜껑(30)은,
상면 중앙에 양방향 회전하도록 구비된 손잡이(31),
플랜지부(30a) 내측에 구비되는 패킹(32) 및
상기 손잡이(31)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패킹(32)을 팽창시켜 상기 물받이통(20)의 측벽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31)를 타방향(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패킹(32)을 수축시켜 상기 물받이통(20)의 측벽부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기밀수단(S)을 포함한다.
우선 손잡이(31)는 하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1a)가 구비되어, 뚜껑(30)의 하면에 연결된 손잡이 결합부(30b)에서 양방향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이때 걸림돌기(31a)는 손잡이 결합공(도면부호 미표기) 둘레의 뚜껑(30) 하면에 걸려 손잡이(31)의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손잡이(31)는, 손잡이 결합부(30b)에서 승하강하도록 구비되며, 손잡이 결합부(30b)에 내장된 스프링(33)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수단(S)은,
상기 뚜껑(30)의 손잡이 결합부(30b)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31)가 걸림 결합되어 손잡이(31)와 동반 회전하는 회전체(34)와,
상기 회전체(34)와 지지대(36)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외측단이 상기 지지대(36)에 힌지 결합되고 내측단이 상기 회전체(34)에 연결되며, 중단부에 힌지부(35a)가 구비되어 힌지부를 축으로 일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제1 링크(35A)와 제2 링크(35B)로 이루어진 링크부재(35)와,
링 타입 부재로써, 내측면에 상기 제1 링크의 외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패킹(32)이 끼워지며, 원주(원 둘레)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 길이 가변형 지지대(36)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4)는 상기 걸림돌기(31a)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끼움공(34a)을 구비한 것으로, 손잡이 결합부(30b)에서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재(35)는, 제1 링크(35A)의 외측단이 상기 지지대(36)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링크(35B)의 내측단이 상기 회전체(34)의 외주면에 고정 연결되어, 회전체(34)가 일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부(35a)를 축으로 제1, 제2 링크(35A)(35B)가 펴지고, 회전체(34)가 타방향(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부(35a)를 축으로 제1, 제2 링크(35A)(35B)가 접힌다.
상기 지지대(36)는 종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끼움홈에 링 타입의 패킹(32)이 끼워지는 것으로, 뚜껑(30)의 하부에서 회전하지 않으면서 내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는 가이드에 의해 뚜껑(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36)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이루어져 원주 길이가 가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킹(32)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형성하는 상부분체(36A)와 하부분체(36B)에 각각 안내홈(36a)과 상기 안내홈(36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6b)가 구비되어, 상, 하부 분체(36A)(36B)가 서로 중첩되면서 지지대(36)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 하부 분체(36A)(36B)가 펴지면서 지지대(36)의 길이가 길어져, 결국 링 타입의 지지대(36) 전체의 크기(너비)가 축소되거나 확장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뚜껑(30)을 물받이통(20)에 닫은 후 손잡이(31)를 누르면, 스프링(33)이 압축되면서 걸림돌기(31a)가 손잡이 결합공을 통과하여 끼움공(34a)의 걸림부로 삽입되어 손잡이(31)가 회전체(34)에 걸림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31)를 일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30)의 가이드에 구속되어 회전 불가능한 지지대(36)로 인해, 회전체(34)만이 동반 회전하면서 접힌 상태의 링크부재(35)가 펴져, 지지대(36)의 원주 길이가 길어지면서 확장되며, 이로 인해 패킹(32)이 팽창하면서 물받이통(20)의 측벽부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손잡이(31)가 하강 후 일방향 회전한 상태에서는,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31a)가 손잡이 결합공 하부에 걸리면서 손잡이(31)와 회전체(34)가 모두 고정되며, 이때 완전하게 펼쳐진 링크부재(35)의 관절 구조가 패킹(32)이 수축되도록 작용하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패킹(32)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패킹(32)의 밀착이 물받이통(20) 내부를 기밀상태로 만들어 악취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반대로 손잡이(31)를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다시 타방향(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펼쳐진 링크부재(35)가 접혀, 지지대(36)의 원주 길이가 짧아지면서 축소되며, 이로 인해 팽창된 패킹(32)이 원 상태로 수축되면서 물받이통(20)의 측벽부 내측면에서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31)를 빼내면 걸림돌기(31a)가 걸림부에서 이탈하면서 뚜껑(3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뚜껑(30)이 분리된다.
이렇게 손잡이(31)가 상승 후 타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패킹(32)의 탄성력으로 인해, 링크부재(35)가 접힌 상태, 즉 지지대(36)가 축소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수축된 패킹(32)이 물받이통(20)에 접촉하지 않아 뚜껑(30)을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거름통 11 : 음식물 수거부
12 : 메쉬부 12a : 제1 메쉬
12b : 제2 메쉬 13 : 손잡이부
14 : 모서리부
20 : 물받이통 21 : 물기 저장부
22 : 걸이부 23 : 손잡이부
30 : 뚜껑 30a : 플랜지부
30b : 손잡이 결합부 31 : 손잡이
31a : 걸림돌기 32 : 패킹
33 : 스프링 34 : 회전체
34a : 끼움공 35 : 링크부재
35A, 35B : 링크 35a : 힌지부
36 : 지지대 36A, 36B : 분체
36a : 안내홈 36b : 가이드돌기
S : 기밀수단

Claims (4)

  1. 싱크대의 배수구에 탈착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측벽부와 바닥부로 형성된 음식물 수거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메쉬부를 구비한 거름통; 및
    상부가 개구되고 측벽부와 바닥부로 형성되어 상기 거름통이 삽입되면서 상기 메쉬부로 통과된 물기가 저장되는 물기 저장부를 구비한 물받이통;을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통은, 상기 물기 저장부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면 중앙에 양방향 회전하도록 구비된 손잡이(31),
    플랜지부(30a) 내측에 구비되는 패킹(32) 및
    상기 손잡이(3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패킹(32)을 팽창시켜 상기 물받이통(20)의 측벽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3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패킹(32)을 수축시켜 상기 물받이통(20)의 측벽부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기밀수단(S)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31)는, 손잡이 결합부(30b)에서 승하강하도록 구비되며, 손잡이 결합부(30b)에 내장된 스프링(33)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기밀수단(S)은,
    상기 뚜껑의 손잡이 결합부(30b)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31)가 걸림 결합되어 손잡이(31)와 동반 회전하는 회전체(34)와,
    상기 회전체(34)와 지지대(36)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외측단이 상기 지지대(36)에 힌지 결합되고 내측단이 상기 회전체(34)에 연결되며, 중단부에 힌지부(35a)가 구비되어 힌지부를 축으로 일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제1 링크(35A)와 제2 링크(35B)로 이루어진 링크부재(35)와,
    링 타입 부재로써, 내측면에 상기 제1 링크(35A)의 외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패킹(32)이 끼워지며, 원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 길이 가변형 지지대(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통은, 상기 메쉬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와 바닥부가 연결된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은, 측벽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싱크대의 개수대에 걸어지는 걸이부, 측벽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4. 삭제
KR1020170044822A 2017-04-06 2017-04-06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KR10194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822A KR101945984B1 (ko) 2017-04-06 2017-04-06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822A KR101945984B1 (ko) 2017-04-06 2017-04-06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69A KR20180113369A (ko) 2018-10-16
KR101945984B1 true KR101945984B1 (ko) 2019-02-08

Family

ID=6413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822A KR101945984B1 (ko) 2017-04-06 2017-04-06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55Y1 (ko) * 2004-07-08 2004-09-22 주식회사 성림그린 음식물 쓰레기통
JP2008030944A (ja) * 2006-07-31 2008-02-14 Hiroyuki Mori 三角コーナー、三角コーナーの保持具及び水切り袋の保持具
US20090025128A1 (en) 2006-05-25 2009-01-29 Jessica Chong Disposable sink drain str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55Y1 (ko) * 2004-07-08 2004-09-22 주식회사 성림그린 음식물 쓰레기통
US20090025128A1 (en) 2006-05-25 2009-01-29 Jessica Chong Disposable sink drain strainer
JP2008030944A (ja) * 2006-07-31 2008-02-14 Hiroyuki Mori 三角コーナー、三角コーナーの保持具及び水切り袋の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69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481B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4778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US20140338608A1 (en) Portable pet waste disposal device
KR1019459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9625B1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101364262B1 (ko) 거름망
KR101673382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0367280Y1 (ko)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통
KR101755217B1 (ko)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1729673B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KR200413055Y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장치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CN211244422U (zh) 一种用于老年男性的拐杖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JP3177358U (ja) キッチン排水口のゴミ受け用水切りネット固定器具
KR10166760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의 거름통 유닛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JPH1044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391941Y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20190086835A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