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39U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 Google Patents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39U
KR20140002739U KR2020120009931U KR20120009931U KR20140002739U KR 20140002739 U KR20140002739 U KR 20140002739U KR 2020120009931 U KR2020120009931 U KR 2020120009931U KR 20120009931 U KR20120009931 U KR 20120009931U KR 20140002739 U KR20140002739 U KR 20140002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ray
residual
lower portion
was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택영
홍경의
Original Assignee
송택영
홍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택영, 홍경의 filed Critical 송택영
Priority to KR2020120009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739U/ko
Publication of KR20140002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잔반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곡률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몸체의 회전 곡률을 따라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낙하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수관이 형성된 잔반 수거함;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잔반 수거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잔반으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트레이;상기 오수트레이와 오수관 사이에 연결된 오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Food waste box for family use}
본 고안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잔반)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집중된 대도시에서 매일 다량으로 나오는 쓰레기의 수거처리 문제는 현대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정 내 부엌 등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한 다음에는 과일 껍질, 생선뼈, 고기나 야채 등의 각종 찌꺼기 등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데, 최근 환경 보존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기타 일반 쓰레기와 별도로 분리 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싱크대의 거름망을 통해 수분이 걸러지면, 싱크대로부터 거름망을 분리하여 별도의 플라스틱 통에 모아 두었다가 플라스틱 통에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모아지면 정해진 장소에 배치된 차량 수거용 공동 수거함에 버려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플라스틱 통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은 외통(10)과, 외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걸러주는 내통(20)과, 상기 외통(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30)로 구성된다.
외통(10)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외관을 구성하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외통(10)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1)가 설치된다.
그리고, 내통(20)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외통(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내통(20)의 하단부에는 내통(20)의 둘레를 따라 오수가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통공(21)이 형성된다.
이때, 통공(21)을 통해 배수된 오수는 외통(10)의 저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20)와 외통(10) 간에는 서로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3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며, 외통(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덮개(30)의 저면 둘레에는 외통(10)의 개구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즉, 외통(10)의 개구부 테두리에 덮개(30)의 결합홈이 안착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내부가 차폐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3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음식물 쓰레기가 차게 되면, 별도로 제공된 음식물 쓰레기 공동 수거함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된다.
이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덮개(30)를 개방하고 외통(10)으로부터 내통(20)을 분리하여 통공(21)을 통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공동 수거함에 버리게 된다.
이후, 외통(10)에 수용된 오수는 별도의 장소에 버려 처리하게 된다.
이로써,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내통(2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 수거함에 버리는 과정에서 내통(20)을 외통(10)으로부터 꺼내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외통(10)으로부터 내통(20)을 꺼내지 않고, 외통(10)만을 뒤집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경우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내통(20)도 저절로 분리되므로 반드시 외통(10)으로부터 내통(20)을 꺼내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려야 했던 것이다.
물론, 외통(10)으로부터 내통(2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내통(20)을 잡은 상태로 외통(10)을 뒤집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역시 내통(20)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이지 못한 점은 마찬가지이다.
둘째, 덮개(30), 내통(20), 외통(10) 모두가 쉽게 분리되는 구성이므로, 관리에 대한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덮개(30)가 쉽게 분리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통(20)에 음식물 쓰레기가 과하게 수용된 경우 덮개(3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어려워 상기한 문제가 쉽게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가 베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세척하더라도 덮개(30)가 분리되면 악취가 새어나와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셋째, 덮개(30)와 외통(10) 간에 패킹과 같은 씰링 구성이 없으므로, 악취가 새어나와 집안에서의 생활 및 이동 간에 타인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2543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잔반을 수용하고 있는 내통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통을 뒤집어 잔반의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곡률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몸체의 회전 곡률을 따라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낙하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수관이 형성된 잔반 수거함;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잔반 수거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잔반으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트레이;상기 오수트레이와 오수관 사이에 연결된 오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잔반 수거함 중 오수관의 상부에는 잔반 거름 메시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오수트레이를 감싸는 커버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써,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곡률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몸체의 회전 곡률을 따라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낙하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수관이 형성된 잔반 수거함;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잔반 수거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결합되며, 배출공을 통해 낙하되는 잔반을 수용하는 두루마리 비닐을 포함하는 비닐 박스;상기 비닐박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트레이;상기 오수트레이와 상기 오수관 사이에 연결된 오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몸체의 내부에 잔반을 수용하고 있는 잔반 수거함이 축 결합됨으로써, 몸체의 외측에 설치된 핸들을 회전하여 상기 잔반 수거함을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거꾸로 뒤집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잔반 수거함 내부의 잔반은 별도의 수거함 또는 하방에 설치된 두루마리 비닐로 투입됨으로써, 사용자는 잔반을 손에 묻히지 않고 처리할 수 있어 잔반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잔반 수거함 내부에 수용된 잔반으로부터 발생한 오수는 오수관을 통해 오수유로를 거쳐 별도의 오수트레이로 배수된다.
이에 따라, 오수에 대한 처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잔반 수거함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줄어들어 가정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전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은 잔반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100)와, 잔반 수거함(200)과, 핸들(300)과, 오수 트레이(400)와, 오수유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외관을 구성하며, 잔반 수거함(20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감싸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몸체(100)는 잔반 수거함(200)의 회전 반경을 위한 내부 공간을 구성하며, 잔반 수거함(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면에서 봤을 때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의 상부에는 잔반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며, 몸체(100)의 하부에는 배출공(120)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의 투입구(110)에는 뚜껑(111)이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부에는 배출공(120) 둘레를 따라 커버(1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커버(130)는 후술하는 오수 트레이(400)가 결합되는 부위이며, 몸체(100)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커버(130)는 하방을 향해 개구되며, 개구된 부위를 통해 오수 트레이(40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커버(130)의 저면에는 오수트레이(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돌기(140)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40)는 커버(13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부(141)와, 이 연장부(141)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연장부(141)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걸림부(142)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상부에는 몸체(10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H)가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내측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베어링(B)이 설치된다.
한 쌍의 베어링(B)은 잔반 수거함(200)의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베어링(B)은 서로 일직선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핸들(300)이 잔반 수거함(200)과 축 결합될 수 있도록 축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잔반 수거함(200)은 사용자가 잔반에 손을 대지 않고 위생적으로 잔반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하며, 몸체(100)의 내부에 축 결합된다.
잔반 수거함(200)의 전면과 후면은 각각 상기 베어링(B)에 축 결합됨으로써, 상기 잔반 수거함(200)은 베어링(B)을 중심으로 축과 함께 몸체(1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잔반 수거함(200)은 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잔반이 수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잔반 수거함(200)의 상부에는 잔반 수거함(200) 내부와 통하는 낙하구(210)가 형성되며, 잔반 수거함(200)의 하부에는 잔반의 오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오수관(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낙하구(210)는 몸체(100)의 투입구(110)에 대응되며, 오수관(120)은 잔반 수거함(200)의 내부와 통하게 형성된다.
이때, 오수관(120)은 잔반 수거함(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잔반 수거함(200)의 내부에는 잔반 거름 메시(230)가 더 설치됨이 바람하다.
잔반 거름 메시(230)는 잔반 수거함(200)의 내부로 투입된 잔반을 거르고 잔반으로부터 발생한 오수만 오수관(220)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오수관(220)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함이데, 잔반 거름 메시(230)는 잔반 수거함(200)의 내부 중 오수관(2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핸들(300)은 잔반 수거함(2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핸들(300)은 잔반 수거함(200)과 베어링(B) 사이에 결합된 축(S)에 결합된다.
즉, 핸들(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S)이 회전을 하게 되며 축(S)에 고정된 잔반 수거함(200)이 몸체(10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오수트레이(400)는 잔반 수거함(200) 내에서 발생한 오수를 수용하며, 커버(130)의 내부에 결합된다.
오수트레이(400)는 커버(1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40)에 걸려 결합되며, 오수트레이(40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40)에 대응되는 결합홈(410)이 형성된다.
결합홈(410)은 걸림부(142)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출입부(411)와, 출입부(411)에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부(14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구속부(4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수트레이(400)는 서랍 형태로 구성되어 오수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오수트레이(400)의 상부에는 통공(420)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420)은 오수유로(500)가 연결되는 부위이다.
즉, 오수유로(500)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오수트레이(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부위인 것이다.
다음으로, 오수유로(500)는 잔반 수거함(200)에서 발생한 오수가 오수트레이(400)로 이송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잔반수거함(200)의 오수관(220)과 오수 트레이(400)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오수유로(500)는 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된 관체(510)와, 관체(51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520)로 구성된다.
관체(510)는 오수트레이(400)와 오수관(220) 사이의 관로를 형성하되, 잔반수거함(200)의 회전시 오수관(220)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관체(510)는 몸체(100)의 내측면에 잔반 수거함(200)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호(arc) 형태로 구성되며, 관체(510)에는 관체(510)의 곡률을 따라 가이드공(511)이 형성된다.
가이드공(511)은 잔반수거함(200)의 오수관(220)이 배치되는 부위로서, 잔반수거함(200)의 회전시 오수관(220)은 가이드공(511)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연결부(520)는 관체(510)와 오수트레이(400)를 연결하며, 관체(510)의 관로를 오수트레이(400)의 내부로 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부(520)는 오수트레이(400)의 통공(420)에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100)의 내부에 잔반수거함(2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B) 상에 축 결합시킨다.
이때, 잔반수거함(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오수관(220)은 오수유로(500)를 구성하는 관체(510)의 가이드공(511)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오수트레이(400)를 몸체(100)의 커버(130)에 형성된 결합돌기(140)에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돌기(140)의 걸림부(142)는 오수트레이(400)의 결합홈(410)을 형성하는 출입부(411)에 삽입된 후, 사용자가 오수트레이(400)를 이동시킴에 따라 결합홈(410)의 구속부(412)에는 결합돌기(140)의 걸림부(142)가 배치된다.
이때, 걸림부(142)의 직경은 구속부(41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므로, 결합돌기(140)로부터 오수트레이(400)가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즉, 잔반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뚜껑(111)을 열어 몸체(100)의 투입구(110)를 개방시킨다.
이때, 잔반수거함(200)의 낙하구(210)는 몸체(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투입구(110)를 통해 잔반을 잔반 수거함(200)의 내부로 투입시킨다.
이때, 투입구(110) 및 낙하구(210)를 통해 투입된 잔반은 잔반 수거함(200) 내부의 잔반 거름 메시(230)에 안착된다.
이때, 잔반으로부터 발생된 오수는 자연 낙하되어 잔반 거름 메시(230)를 통해 잔반 수거함(200)의 바닥면에 떨어지며, 상기 오수는 오수관(220)을 통해 배수된다.
이때, 오수는 오수관(220)을 통해 오수유로(500)를 구성하는 관체(510)로 배수된 후, 연결부(520)를 통해 하방의 오수트레이(400)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잔반 처리가 지속됨에 따라, 잔반수거함(200)의 내부는 잔반으로 인해 포화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잔반을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 처리함에 버리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결합돌기(140)로부터 오수트레이(400)를 분리한다.
오수트레이(400)의 분리 과정은 오수 트레이(400)의 결합과정과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이후, 오수트레이(400)가 분리되면,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120)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사용자는 오수트레이(400)의 오수를 별도의 장소에 버려 처리하고, 몸체(100)를 들고 음식물 쓰레기 공동 처리함에 가져다 댄 후, 핸들(300)을 돌려 잔반수거함(200)을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잔반수거함(2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오수관(220)은 오수유로(500)의 가이드공(511)을 따라 가이드 됨으로써 잔반수거함(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오수관(220)으로부터 떨어지는 잔량의 오수 역시 오수유로(500)의 관체(510)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몸체(100)의 내부가 더렵혀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잔반수거함(200)의 잔반은 뒤집혀진 낙하구(210)를 통해 낙하되는데, 상기 낙하구(210)는 몸체(100)의 배출공(120)에 대응됨에 따라, 잔반은 배출공(120)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공동 처리함으로 버려지게 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잔반 처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잔반이 사용자의 신체에 묻는 일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잔반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잔반수거함(200)으로부터 잔반의 배출이 모두 완료되면, 잔반수거함(200)을 원위치시키고, 결합돌기(140)에 오수트레이(400)를 결합시킴으로써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이용한 잔반 처리가 모두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잔반수거함(200)에 잔반이 모이면,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들고 나가 음식물 쓰레기 공동 처리함에 버리게 되는데, 이와는 다르게 잔반을 일정량 비닐봉투에 더 모아두었다가 비닐봉투를 처리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은 몸체(100)와, 잔반 수거함(200)과, 핸들(300)과, 비닐박스(600)와, 오수트레이(400)와, 오수유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와, 잔반수거함(200)과, 핸들(300)로 구성된 조립체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상부를 구성한다.
이때, 커버(130)의 수용공간에는 오수트레이(400)가 설치되지 않고, 빈공간으로 제공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비닐박스(600)의 상부가 결합된다.
비닐박스(600)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커버(130)의 수용공간에 결합된다.
비닐박스(600)는 케이스(610)와, 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된 두루마리 비닐 카트리지(620)를 포함한다.
케이스(610)는 비닐 박스(6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610)의 일면에는 도어(611)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도어(611)는 케이스(61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610)의 내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단턱(612)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612)은 후술하는 두루마리 비닐 카트리지(620)가 결합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두루마리 비닐 카트리지(620)는 잔반수거함(200)으로부터 낙하된 잔반을 수용하며, 케이스(610)의 단턱(612)에 결합된다.
이때, 두루마리 비닐의 개구부는 몸체(100)의 배출공(120)에 대응된다.
이러한 구성의 케이스(610)와 두루마리 비닐 카트리지(620)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2-0003149", "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0-0006760"에 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오수트레이(400)는 몸체(100)의 잔반수거함(200)에서 발생한 오수를 수용하며, 케이스(6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오수트레이(400)와 케이스(610) 간에 결합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오수트레이(400)가 케이스(6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오수유로(500)는 잔반수거함(200)에서 발생된 오수가 오수트레이(400)로 배수되는 관로를 형성한다.
오수유로(500)는 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된 관체(510)와, 관체(51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520)로 구성된다.
이때, 관체(510)는 잔반수거함(200)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호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체(510)에는 오수관(220)이 배치되는 가이드공(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520)는 관체(510)와 오수트레이(400)를 연결하며, 관체(510)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오수트레이(400)에 형성된 통공(420)을 통해 오수트레이(400)의 내부에 통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비닐박스(600)의 내측 하부에 오수트레이(40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비닐박스(6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케이스(61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612)에 두루마리 비닐 카트리지(62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비닐박스(600)의 상단부를 커버(130)의 수용공간에 결합시킨다.
이때, 두루마리 비닐의 개구부는 몸체(100)의 배출공(120)에 대응된다.
그리고, 오수유로(500)를 구성하는 연결부(520)의 하단부는 오수트레이(400)의 통공(420)을 통해 오수트레이(4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즉, 잔반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뚜껑(111)을 열어 몸체(100)의 투입구(110)를 개방시킨다.
이때, 잔반수거함(200)의 낙하구(210)는 몸체(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투입구(110)를 통해 잔반을 잔반 수거함(200)의 내부로 투입시킨다.
이때, 투입구(110) 및 낙하구(210)를 통해 투입된 잔반은 잔반 수거함(200) 내부의 잔반 거름 메시(230)에 안착된다.
이때, 잔반으로부터 발생된 오수는 자연 낙하되어 잔반 거름 메시(230)를 통해 잔반 수거함(200)의 바닥면에 떨어지며, 상기 오수는 오수관(220)을 통해 배수된다.
이때, 오수는 오수관(220)을 통해 오수유로(500)를 구성하는 관체(510)로 배수된 후, 연결부(520)를 통해 하방의 오수트레이(400)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잔반 처리가 지속됨에 따라, 잔반수거함(200)의 내부는 잔반으로 인해 포화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잔반을 두루마리 비닐에 버리게 되는데, 이를 위해, 핸들(300)을 돌려 잔반수거함(200)을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잔반수거함(2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오수관(220)은 오수유로(500)의 가이드공(511)을 따라 가이드 됨으로써 잔반수거함(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오수관(220)으로부터 떨어지는 잔량의 오수 역시 오수유로(500)의 관체(510)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몸체(100)의 내부가 더렵혀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잔반수거함(200)의 잔반은 뒤집혀진 낙하구(210)를 통해 낙하되는데, 상기 낙하구(210)는 몸체(100)의 배출공(120)에 대응됨에 따라, 잔반은 배출공(120)을 통해 두루마리 비닐의 내부로 버려지게 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잔반 처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잔반이 사용자의 신체에 묻는 일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잔반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잔반수거함(200)으로부터 잔반의 배출이 모두 완료되면, 잔반수거함(200)을 원위치시킨다.
이후, 지속적인 잔반처리로 인해 두루마리 비닐의 내부가 포화되면, 비닐박스(600)의 도어(611)를 열어 두루마리 비닐의 상부를 묶어 배출시킴으로써 잔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은 잔반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잔반이 묻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잔반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뚜껑을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잔반수거함의 회전을 통해 배출공으로 잔반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잔반의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투입구
120 : 배출공 130 : 커버
140 : 결합돌기 200 : 잔반수거함
210 : 낙하구 220 : 오수관
230 : 잔반 거름 메시 300 : 핸들
400 : 오수트레이 410 : 결합홈
420 : 통공 500 : 오수유로
510 : 관체 520 : 연결부
600 : 비닐박스 610 : 케이스
620 : 두루마리 비닐 카트리지
H : 손잡이 B : 베어링
S : 축

Claims (6)

  1.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곡률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몸체의 회전 곡률을 따라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낙하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수관이 형성된 잔반 수거함;
    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잔반 수거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잔반으로부터 발생된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트레이;
    상기 오수트레이와 오수관 사이에 연결된 오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반 수거함 중 오수관의 상부에는 잔반 거름 메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오수트레이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커버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연장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연장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걸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수트레이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걸려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은 걸림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출입부와, 상기 연장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구속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로는,
    잔반수거함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는 호(arc) 형태의 관로를 형성하며, 몸체의 내측면에 설치된 관체와,
    상기 관체와 오수트레이 사이에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관체에는 관체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어 잔반수거함의 회전시 오수관에 대한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6.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곡률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몸체의 회전 곡률을 따라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낙하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수관이 형성된 잔반 수거함;
    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잔반 수거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결합되며, 배출공을 통해 낙하되는 잔반을 수용하는 두루마리 비닐을 포함하는 비닐 박스;
    상기 비닐박스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며,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트레이;
    상기 오수트레이와 상기 오수관 사이에 연결된 오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20120009931U 2012-10-31 2012-10-3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1400027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31U KR20140002739U (ko) 2012-10-31 2012-10-3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31U KR20140002739U (ko) 2012-10-31 2012-10-3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39U true KR20140002739U (ko) 2014-05-09

Family

ID=5244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31U KR20140002739U (ko) 2012-10-31 2012-10-31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73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46B1 (ko) * 2018-10-23 2020-01-29 이재관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KR20220120270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KR20220120282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46B1 (ko) * 2018-10-23 2020-01-29 이재관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KR20220120270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KR20220120282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WO2022182087A1 (ko) * 2021-02-23 2022-09-01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40980A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CN107934301A (zh) 一种固液分离垃圾回收装置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KR20130112595A (ko) 외장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3055Y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장치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050076097A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66971B1 (ko) 음식물 쓰레기 통
KR20041076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8481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잔반함
KR200481812Y1 (ko) 음식물 분리 수거통이 결합된 싱크볼 조립체
CN206407428U (zh) 一种家居用垃圾桶
CN216637651U (zh) 滤液垃圾桶
KR20080111866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수집용기의 체결구조
KR1019459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수거 장치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2007005308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33062Y1 (ko) 음식물 찌꺼기 수거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