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146B1 -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146B1
KR102071146B1 KR1020180126394A KR20180126394A KR102071146B1 KR 102071146 B1 KR102071146 B1 KR 102071146B1 KR 1020180126394 A KR1020180126394 A KR 1020180126394A KR 20180126394 A KR20180126394 A KR 20180126394A KR 102071146 B1 KR102071146 B1 KR 102071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ing
inlet
loading chamb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이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관 filed Critical 이재관
Priority to KR102018012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투입하는 경우 쓰레기통에 적재된 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쓰레기통의 내부에 확산된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유해 벌레의 생성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중공인 내부에 쓰레기가 적재되는 적재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와, 내부가 중공인 구 형상으로 상기 몸체 및 커버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 내측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가 내부로 유입 및 안착되도록 일측에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안착투입부와,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의 유입홀을 통해 상기 안착투입부의 내부에 쓰레기가 안착된 경우 상기 안착투입부의 유입홀을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안착투입부의 내부에 안착된 쓰레기를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로 배출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WASTEBASKET WITH SMELL INTERCEPTION FUNCTION}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쓰레기통의 내부에 담긴 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냄새를 방지하고, 쓰레기통의 내부에 담긴 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담거나 모아 두는 통을 지칭한다. 이러한 쓰레기통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중공인 내부에 쓰레기가 적재되는 적재챔버(11)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재챔버(11)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20)에는 몸체(1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쓰레기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몸체(10)의 상방을 개방한 뒤 적재챔버(11)의 내부에 쓰레기(T)를 투입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쓰레기(T)가 적재챔버(11)의 내부에 가득 찰 경우 비우게 된다. 이때, 몸체(10)의 적재챔버(11) 내부에는 기저귀, 휴지, 오물이 묻은 종이 및 비닐류 등과 같이 불에 타는 가연성 물질을 쓰레기(T)를 투입하게 된다. 예컨대, 음식물을 포장한 종이의 경우 종이에 음식물이 묻어있음으로 재활용쓰레기가 아닌 가연성물질로 분류되어 타는 쓰레기로 분리 배출 해야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적재챔버(11)에는 음식물 및 오물 등과 같이 냄새를 발산하는 찌꺼기가 묻은 쓰레기(T)가 적재됨으로 쓰레기(T)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적재챔버(11)의 내부에 확산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T)를 몸체(10)의 적재챔버(11) 내부에 투입하기 위하여 커버(2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몸체(1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되면 몸체(10)의 적재챔버(11) 내부에 쌓인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면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더욱이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 쓰레기(T)에 묻은 찌꺼기로부터 발산되는 냄새나 또는 기저귀로부터 발산되는 냄새가 공기 중에 확산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몸체(10)의 적재챔버(11) 내부에 쓰레기봉투를 설치하여 쓰레기(T)를 투입하고, 쓰레기봉투가 가득 찰 경우 쓰레기봉투를 적재챔버(11)로부터 이탈시켜 쓰레기(T)를 배출하게 되는데, 악취를 발산하는 쓰레기(T)가 투입될 경우 몸체(10)의 상부를 개방할 때마다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거나 또는 악취가 심할 경우 몸체(10)의 상부를 커버(20)로 폐쇄하여도 외부로 악취가 확산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더욱이 외부로 악취가 확산될 경우 날파리 및 바퀴벌레 등과 같은 유해 벌레가 쓰레기통 주위로 모이게 되어 비위생적인 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이나 심한 악취가 발산되는 쓰레기(T)가 몸체(10)의 적재챔버(11) 내부에 투입된 경우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줄이기 위하여 쓰레기봉투가 가득찬 상태가 아니더라도 쓰레기봉투를 적재챔버(11)로부터 이탈시켜 쓰레기(T)를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 쓰레기봉투를 자주 교체해야 됨으로 쓰레기봉투의 소비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악취가 심각할 경우 적재챔버(11)로부터 쓰레기봉투를 이탈시켜 쓰레기(T)를 배출하더라도 적재챔버(11)의 내부에 악취가 스며들어 지속적인 악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쓰레기봉투를 배출한 후 새로운 쓰레기봉투를 적재챔버(11)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쓰레기(T)를 적재챔버(11)의 내부에 투입하기 위하여 몸체(1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되면 적재챔버(11)의 내부에 스며든 악취가 확산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투입하는 경우 쓰레기통에 적재된 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쓰레기통의 내부에 확산된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유해 벌레의 생성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은, 상부가 개구되고, 중공인 내부에 쓰레기가 적재되는 적재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와, 내부가 중공인 구 형상으로 상기 몸체 및 커버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 내측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가 내부로 유입 및 안착되도록 일측에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안착투입부와,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의 유입홀을 통해 상기 안착투입부의 내부에 쓰레기가 안착된 경우 상기 안착투입부의 유입홀을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안착투입부의 내부에 안착된 쓰레기를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로 배출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봉투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반구 형상으로 하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의 봉투고정돌기 각각이 삽입되도록 봉투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의 하단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을 조작하여 일단을 회전시키는 조작손잡이와, 상기 안착투입부에 상기 조작손잡이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기 조작손잡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작손잡이 일단의 회전비를 높여 상기 안착투입부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회전모듈과, 상기 커버의 하단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조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커버의 하단 일측에 상기 조작손잡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조작손잡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손잡이 일단의 회전축 상에 결합되는 태양기어와, 각각이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태양기어의 외경 방향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유성기어 각각과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 각각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내치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투입부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홀이 상기 커버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이 상기 몸체의 적재첨버와 연통되도록 회전하며,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이 상기 커버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회전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투입부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홀이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이 상기 커버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이 상기 몸체의 적재첨버와 연통되도록 회전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일측이 상기 조작손잡이 일단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회전축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투입구가 개방되도록 회전하며,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회전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은, 안착투입부 및 조작부를 통해 몸체 및 커버 사이를 밀폐하면서 쓰레기를 몸체의 적재챔버로 투입함으로써, 쓰레기를 적재챔버의 내부에 투입 시 적재챔버에 적재된 쓰레기로부터 발산되는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유해 벌레의 형성을 차단함으로 위생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몸체의 봉투고정돌기와, 커버의 봉투고정홈을 통해 쓰레기봉투를 몸체의 적재챔버 내부에 설치한 경우 쓰레기봉투가 적재챔버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모듈을 통해 조작손잡이의 회전비를 높여 안착투입부의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 안착투입부에 안착된 쓰레기를 몸체의 적재챔버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조작손잡이의 작동범위를 감소시켜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을 통해 회전한 조작손잡이를 자동으로 회전 복귀시킴으로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챔버 내부로부터 확산되는 냄새를 안착투입부 및 개폐부재 각각을 통해 이중으로 차단하게 됨으로 쓰레기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몸체의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냄세로 인한 유해 벌레의 형성을 차단하여 위생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통 몸체의 상부를 커버로 폐쇄한 경우 몸체의 내부에 적재된 쓰레기로부터 냄새가 발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통 몸체의 상부를 개방한 경우 몸체의 내부에 적재된 쓰레기로부터 발산된 냄사가 외부 공기로 확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몸체, 커버, 안착투입부 및 조작부 각각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9는 도 4의 실시예 중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안착투입부의 작동 상태를 상세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5의 실시예 중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봉투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5의 실시예 중 커버의 하부 내주면에 봉투고정홈이 함몰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5의 실시예 중 쓰레기봉투를 몸체의 적재챔버 내부에 설치한 경우 쓰레기봉투가 몸체의 봉투고정돌기 및 커버의 봉투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5의 실시예 중 조작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 중 회전모듈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 중 회전모듈을 통해 조작손잡이의 회전비를 높여 안착투입부의 회전수가 증가되는 경우 조작손잡의 조작범위가 감소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19는 도 16의 실시예 중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안착투입부의 작동 과정을 상세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20은 도 16의 실시예 중 개폐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실시예를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3 내지 26은 도 20의 실시예 중 조작부의 작동에 따른 개폐부재 및 안착투입부의 작동 과정을 상세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커버(200), 안착투입부(300) 및 조작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도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중공인 내부에 쓰레기(T)가 적재되는 적재챔버(110)가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에는 쓰레기(T)를 담아 배출할 수 있는 쓰레기봉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쓰레기(T)에 묻은 음식물 잔해나 또는 오물이 몸체(100)의 내주면에 묻는 현상을 방지하여 쓰레기통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몸체(100)는 쓰레기봉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크기는 쓰레기(T)의 적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200)는 도 4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투입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커버(200)는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에 적재된 쓰레기(T)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몸체(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와 커버(2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몸체(100)의 상부 형상과, 커버(200)의 내주면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몸체(100)의 상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200)의 하부 내주면이 원통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에 쓰레기봉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쓰레기봉투가 적재된 쓰레기(T)의 하중에 의해 몸체(100)의 내부로 이탈하거나 또는 쓰레기봉투로 인해 몸체(100)의 상부와 커버(200)의 하부 내주면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쓰레기봉투에 적재된 쓰레기(T)로부터 발사되는 냄새가 몸체(100)의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봉투고정돌기(1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200)는 반구 형상으로 하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봉투고정돌기(120) 각각이 삽입되도록 봉투고정홈(220)이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를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쓰레기봉투가 몸체(100)의 봉투고정돌기(120)에 걸림되고, 커버(200)의 봉투고정홈(2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쓰레기봉투에 쓰레기(T)가 적재되어도 하중에 의해 몸체(100)의 내부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되고, 쓰레기봉투로 인한 몸체(100)의 상부와 커버(200)의 하부 내주면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쓰레기봉투에 적재된 쓰레기(T)로부터 발사되는 냄새가 몸체(100)의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안착투입부(300)는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구 형상으로 상기 몸체(100) 및 커버(200)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200) 내측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T)가 내부로 유입 및 안착되도록 일측에 유입홀(3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안착투입부(300)는 후술하는 조작부(400)에 의해 커버(200)의 내측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안착투입부(300)는 커버(200)의 투입구(210)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T)를 유입홀(310)로 받은 뒤 회전 구동하여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로 쓰레기(T)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안착투입부(300)가 회전하게 되면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내주면을 따라 폐쇄되면서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게 된다. 즉,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 직경이 클 경우 안착투입부(300)가 회전하게 되면 유입홀(310)의 일부가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고, 중단부가 커버(200)의 내주면에 의해 폐쇄되며, 타부가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는 구조가 됨으로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에 적재된 쓰레기(T)로부터 발산된 냄개가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을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은 안착투입부(300)가 회전 시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00) 및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동시에 연통되지 않도록 커버(200)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400)는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외측면에 상기 안착투입부(3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을 통해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내부에 쓰레기(T)가 안착된 경우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을 상기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300)를 회전시켜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내부에 안착된 쓰레기(T)를 상기 몸체(100)의 적재챔버(100)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조작부(40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은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조작부(400)를 통한 안착투입부(30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T)를 쓰레기통에 버리게 되면 쓰레기(T)가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통과해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에 안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안착투입부(30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도록 안착투입부(300)를 회전하게 되면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에 안착된 쓰레기(T)가 자중에 의해 몸체(100)의 적재챔버(11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후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과 커버(200)의 투입구(210)가 연통되어 쓰레기(T)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쓰레기(T)를 버리는 과정에서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에 적재된 쓰레기(T)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게 됨으로 사용자가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냄새로 인해 유해 벌레가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도록 조작부(4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안착투입부(300)의 회전 각도만큼 조작부(400)를 조작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8을 기준으로 안착투입부(300)가 도면상 180도 회전해야지만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조작부(400)를 안착투입부(300)의 회전각도인 180도 만큼 조작해야 됨으로 안착투입부(300)에 안착된 쓰레기(T)를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조작부(400)를 조작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조작부(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410), 회전모듈(420) 및 보조회전축(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손잡이(410)는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커버(200)의 하단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투입부(3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을 조작하여 일단을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안착투입부(300)의 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때, 조작손잡이(4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자 형상을 형성되어 세로변을 조작하여 가로변을 회전시키는 구조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회전모듈(420)은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투입부(300)에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기 조작손잡이(4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작손잡이(410) 일단의 회전비를 높여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즉, 회전모듈(420)은 증폭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조작손잡이(410)의 일단이 1회전할 경우 안착투입부(300)가 2회전하도록 조작손잡이(410)의 회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조회전축(430)은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하단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투입부(3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회전모듈(420)을 통해 조작손잡이(410)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안착투입부(300)를 회전 구동하게 됨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410)의 회전 각도가 작게 형성되어도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된 상태에서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도록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착투입부(300)에 쓰레기(T)를 버린 후 몸체(100)의 적재챔버(110)로 배출하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모듈(420)은 회전수를 증폭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관한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듈(420)은 상기 조작손잡이(4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손잡이(410) 일단의 회전축 상에 결합되는 태양기어(421)와, 각각이 상기 태양기어(42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태양기어(421)의 외경 방향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태양기어(42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422)와, 상기 안착투입부(300)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300)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유성기어(422) 각각과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422) 각각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내치기어(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회전모듈(420)은 조작손잡이(410)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안착투입부(300)를 회전시키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관하다.
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착투입부(300)에 쓰레기(T)를 버린 후 조작손잡이(410)를 조작하여 쓰레기(T)를 몸체(100)의 적재챔버(110)로 배출한 경우 다시 조작손잡이(410)를 조작하여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회전시켜야 됨으로 조작손잡이의 조작과정이 길어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작부(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하단 일측에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토션스프링(4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투입부(300)는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홀(310)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410)를 조작하는 경우 같이 상기 유입홀(310)이 상기 몸체(100)의 적재첨버(110)와 연통되도록 회전하며,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4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310)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회전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션스프링을 통해 조작손잡이(410)가 자동으로 회전 복귀하게 됨으로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410)가 조작되지 않은 경우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위치할 경우 쓰레기(T)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쓰레기(T)에 묻은 음식물이나 또는 오물에 의해 안착투입부(300)의 내주면이 오염되어 쓰레기(T)를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로 배출하더라도 안착투입부(300)의 내주면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또는 오물에 의해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착투입부(300)는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310)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410)를 조작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310)이 상기 몸체(100)의 적재첨버(110)와 연통되도록 회전하여 투입되는 쓰레기(T)가 안착되며,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4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310)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회전 복귀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즉, 조작손잡이(410)를 조작하지 않은 경우 안착투입부(300)의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지 않는 구조 즉, 안착투입부(300)의 타측이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폐쇄하도록 안착투입부(300)가 위치하게 됨으로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에 적재된 쓰레기(T)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착투입부(300)의 내주면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오물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착투입부(300)가 조작손잡이(4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안착투입부(300)의 외주면에 몸체(100)의 적재챔버(110) 내부에 적재된 쓰레기(T)의 음식물이나 오물이 오염되어 오염물에 의한 냄새가 외부로 확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20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일측이 상기 조작손잡이(410) 일단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회전축(430)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개폐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개폐부재(500)가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폐쇄하게 됨으로 안착투입부(300)의 외주면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또는 오물로부터 발사된 냄새가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개폐부재(500)는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폐쇄하도록 위치하고, 안착투입부(300)는 유입홀(310)이 몸체(100)의 적재챔버(110)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손잡이(410)를 조작하는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가 개방되도록 회전하며, 안착투입부(300)는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계속하여 조작손잡이(410)를 끝까지 조작하게 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가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완전 개방하고, 안착투입부(300)는 유입홀(310)이 커버(200)의 투입구(210)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T)를 안착투입부(300)의 내부에 투입한 후 상기 조작손잡이(410)의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개폐부재(500)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44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커버(200)의 투입구(210)를 폐쇄하도록 회전 복귀하게 되어 커버(200)의 투입구(210)가 밀폐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은 안착투입부(300)에 의해 몸체(100)와 커버(200) 사이가 밀폐되어 1차적으로 몸체(100)에 적재된 쓰레기(T)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개폐부재(500)를 통해 커버(200)의 투입구(210)가 외부 공기와 차단됨으로 2차적으로 쓰레기(T)로부터 발산된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적재된 쓰레기(T) 및 안착부재(300)가 쓰레기(T)로부터 오염된 이물질로부터 발산되는 냄새를 차단하게 됨으로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유해 벌레의 형성을 방지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 : 쓰레기
100 : 몸체
110 : 적재챔버 120 : 봉투고정돌기
200 : 커버
210 : 투입구 220 : 봉투고정홈
300 : 안착투입부 310 : 유입홀
400 : 조작부 410 : 조작손잡이
420 : 회전모듈 421 : 태양기어
422 : 유성기어 423 : 내치기어
430 : 보조회전축 440 : 토션스프링
500 : 개폐부재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되고, 중공인 내부에 쓰레기가 적재되는 적재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와, 내부가 중공인 구 형상으로 상기 몸체 및 커버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커버 내측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쓰레기가 내부로 유입 및 안착되도록 일측에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안착투입부와,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의 유입홀을 통해 상기 안착투입부의 내부에 쓰레기가 안착된 경우 상기 안착투입부의 유입홀을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를 회전시켜 상기 안착투입부의 내부에 안착된 쓰레기를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로 배출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봉투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반구 형상으로 하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의 봉투고정돌기 각각이 삽입되도록 봉투고정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의 하단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을 조작하여 일단을 회전시키는 조작손잡이와, 상기 안착투입부에 상기 조작손잡이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고정 결합되고, 상기 조작손잡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작손잡이 일단의 회전비를 높여 상기 안착투입부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회전모듈과, 상기 커버의 하단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투입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조회전축과, 상기 커버의 하단 일측에 상기 조작손잡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투입부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홀이 상기 몸체의 적재챔버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유입홀이 상기 커버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회전하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이 상기 몸체의 적재첨버와 연통되도록 회전 복귀하고,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일측이 상기 조작손잡이 일단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회전축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타단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투입구가 개방되도록 회전하며,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을 해제한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커버의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회전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루어진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조작손잡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손잡이 일단의 회전축 상에 결합되는 태양기어와,
    각각이 상기 태양기어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태양기어의 외경 방향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안착투입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안착투입부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유성기어 각각과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 각각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내치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26394A 2018-10-23 2018-10-23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KR102071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94A KR102071146B1 (ko) 2018-10-23 2018-10-23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394A KR102071146B1 (ko) 2018-10-23 2018-10-23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146B1 true KR102071146B1 (ko) 2020-01-29

Family

ID=6932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394A KR102071146B1 (ko) 2018-10-23 2018-10-23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1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85B1 (ko)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KR102408213B1 (ko) 2020-12-28 2022-06-10 이정혜 친환경 휴지통
KR20220120282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20220120270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004A (ja) * 1994-12-02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汚物収納容器
JP2007297116A (ja) * 2006-05-02 2007-11-15 Katsushi Kano プッシュオン蓋付き容器
US20090294446A1 (en) * 2008-06-02 2009-12-03 Dejulio Kelvin Ray Cover Apparatus
US20100187235A1 (en) * 2008-07-22 2010-07-29 Chen Jung Tsai Diaper disposal container
KR200458028Y1 (ko) * 2009-10-30 2012-01-16 최민준 재활용품 수거함
KR101127109B1 (ko) * 2009-07-01 2012-03-29 변상복 기능성 쓰레기통
CN202754369U (zh) * 2012-09-04 2013-02-27 英特卡机电(惠州)有限公司 防臭垃圾桶
KR101344481B1 (ko) * 2012-05-21 2013-12-23 (주)영진종합상사 쓰레기통 덮개
KR20140002739U (ko) * 2012-10-31 2014-05-09 송택영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JP2019093315A (ja) * 2017-11-17 2019-06-20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004A (ja) * 1994-12-02 1996-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汚物収納容器
JP2007297116A (ja) * 2006-05-02 2007-11-15 Katsushi Kano プッシュオン蓋付き容器
US20090294446A1 (en) * 2008-06-02 2009-12-03 Dejulio Kelvin Ray Cover Apparatus
US20100187235A1 (en) * 2008-07-22 2010-07-29 Chen Jung Tsai Diaper disposal container
KR101127109B1 (ko) * 2009-07-01 2012-03-29 변상복 기능성 쓰레기통
KR200458028Y1 (ko) * 2009-10-30 2012-01-16 최민준 재활용품 수거함
KR101344481B1 (ko) * 2012-05-21 2013-12-23 (주)영진종합상사 쓰레기통 덮개
CN202754369U (zh) * 2012-09-04 2013-02-27 英特卡机电(惠州)有限公司 防臭垃圾桶
KR20140002739U (ko) * 2012-10-31 2014-05-09 송택영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JP2019093315A (ja) * 2017-11-17 2019-06-20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85B1 (ko)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KR102408213B1 (ko) 2020-12-28 2022-06-10 이정혜 친환경 휴지통
KR20220120282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20220120270A (ko) * 2021-02-23 2022-08-3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WO2022182087A1 (ko) * 2021-02-23 2022-09-01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KR102524493B1 (ko) 2021-02-23 2023-04-20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처리장치
KR102567269B1 (ko) 2021-02-23 2023-08-14 김덕희 애완동물 용변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146B1 (ko)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쓰레기통
US5184574A (en) Cat litter box
WO2003089312A2 (en) Disposable cassette for incremental withdrawal of tubular plastic with malodor-counteractant capacity
JP6335177B2 (ja) ごみ、特におむつのための廃棄物装置
KR10085111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30044804A (ko) 악취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102398285B1 (ko)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CN109533706A (zh) 一种分类垃圾桶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CN108190313B (zh) 一种防臭生活垃圾桶
US20100200670A1 (en) Air freshener for garbage receptacles and method of use
CN109984660A (zh) 一种无水环保坐便器和无水环保的排泄物处理方法
CN109051446A (zh) 一种便于使用的家用垃圾桶
KR20080048618A (ko) 젖은 쓰레기용기
CN201095512Y (zh) 地下嵌入式隐形垃圾箱
KR20220047700A (ko) 탈취 음식물쓰레기통
KR20120008136A (ko) 쓰레기통의 연동형 덮개장치
CN215754460U (zh) 医用垃圾桶
CN218402047U (zh) 一种防臭垃圾桶
JP2020116355A (ja) サニタリーボックス
CN205381606U (zh) 一种自动盖合式分类垃圾桶
CN215324805U (zh) 一种户外多功能垃圾桶
CN214216983U (zh) 一种除臭防虫的家用垃圾箱
CN201566923U (zh) 踏板式防火垃圾箱
CN208616613U (zh) 一种除臭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