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729A -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729A
KR20090060729A KR1020070127652A KR20070127652A KR20090060729A KR 20090060729 A KR20090060729 A KR 20090060729A KR 1020070127652 A KR1020070127652 A KR 1020070127652A KR 20070127652 A KR20070127652 A KR 20070127652A KR 20090060729 A KR20090060729 A KR 2009006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food waste
garbage
plat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엽
Original Assignee
백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엽 filed Critical 백승엽
Priority to KR102007012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0729A/ko
Publication of KR2009006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작업이 편리하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을 제공할 목적으로, 상기 수집통은, 싱크대(10) 내의 배수관(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용 구멍(25)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개방된 투입구(21) 및 배수구(23)와, 상기 투입구(21) 및 배수구(23)의 각 주연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턱(22) 및 제2턱(24)과, 상기 투입구(21)와 배수구(23)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내재된 플레이트(3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배출관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통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되, 상기 배출관(42)의 하단에 힌지(43)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44)과, 상기 힌지(43)에 축설되어 개폐판(44)이 탄성력으로 배출관(42) 하부를 폐쇄하게 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SINK GARBAGE CAN AND GARBAGE DISCHARGE PIPE OF HOUS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싱크대 내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에 저장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주택 내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관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 부엌 등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조리한 다음에는 과일 껍질, 생선뼈, 고기나 야채 등의 각종 찌꺼기 등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데, 최근 환경 보존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기타 일반 쓰레기와 별도로 분리 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음식물쓰레기 배출방법은 싱크대의 배수관 내에 망사 형태의 수집통을 설치하여 물을 드레인으로 배출시키고, 수집통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쓰레기는 각 세대원이 별도로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는 통에 부어서 배출하고 있다.
더욱 진보된 형태로서 공동주택의 경우, 국내특허 제 10-0241501호와 같이 각 가구별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분쇄수단에 의해 오물을 소 정의 규격으로 물과 혼합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각 가구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오물이 오수와 함께 혼합되어 개별배수관을 통하여 흘러 이송되어 중앙배수관으로 모아져 중앙수집탱크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단계와; 상기 이송단계에 의해 중앙수집탱크에 수집된 분쇄오물을 필터와 같은 여과장치에 의해 오수와 오물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와; 상기 여과분리단계에 의해 오수와 분리된 오물에 포함된 잔류수를 탈수수단에 의해 강제로 탈수하는 탈수단계와; 상기 탈수단계에 의해 탈수된 오물을 이송하여 수분을 건조시키거나 미생물에 의해 분해 소멸처리하는 최종처리단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처리하도록 함으로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앙 집중 수집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도록 한 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중앙처리부에 수집되는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양이 과다하여 처리 시간이 길고 여과기를 구비해야 하는 등, 처리비용과 시설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부에 수집되는 쓰레기는 가급적 오수를 제거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세대원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사용상 편리성과 청결이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세대의 가구 내에 별도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관을 마련하되, 싱크대 내에 설치된 수집통에서 물은 배수하고 음식물쓰레기만 수집할 수 있게 하고, 음식물쓰레기가 수집된 수집통을 가구 내에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작업이 편리하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은, 싱크대(10) 내의 배수관(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용 구멍(25)이 형성된 음식물쓰레기 수집통(20)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개방된 투입구(21) 및 배수구(23)와, 상기 투입구(21) 및 배수구(23)의 각 주연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턱(22) 및 제2턱(24)과, 상기 투입구(21)와 배수구(23)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내재된 플레이트(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상기 플레이트(30)의 주연에 수집통(20)의 내면과 접하도록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30)의 하단에 밀대와 결속되는 요홈(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30)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용 구멍(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옥내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6)이 형성되며 하부가 공동배출관(41)에 연결된 배출관(42)과, 상기 배출관(42)의 하단에 힌지(43)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44)과, 상기 힌지(43)에 축설되어 개폐판(44)이 탄성력으로 배출관(42) 하부를 폐쇄하게 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방식과 같이 싱크대 내에 설치된 배수관으로 물과 오물을 함께 버리면, 물은 드레인을 통해 배수되고 오물은 수집통에 수집되며, 이후 수집통을 싱크대에서 분리하여 가구 내에 마련된 배출관에 역방향으로 넣고 밀대를 밀면 수집통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플레이트가 배출관으로 오물을 밀어서 배출시키게 되는바, 이때 사용자는 수집통에서 오물을 비닐봉지와 같은 별도의 용기에 옮길 필요가 없게 되고, 또한 오물에 손을 댈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상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통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통이 주택의 옥내에 설치된 배출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집통(20)은 싱크대(10) 내에 설치된 배수관(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싱크대(10)는 본 발명의 수집통(20)을 위해 기존 방식에서 개조될 필요는 없고, 일반적인 싱크대(10)의 배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집통(20)은 가정 내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싱크대(10)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집통(20)은 물을 별도의 배수구를 통해서 배출하도록 된 싱크대에서 음식물쓰레기만 수집할 수 있게 하는 수집통(2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집통(20)은 상단이 개방된 투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1)의 주연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턱(22)이 형성된다. 또한 수집통(20)의 하단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3)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23)의 주연에도 내측으로 돌출된 제2턱(24)이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통(20)은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되는 것이라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통(20) 둘레 면에 물을 배수하기 위해 작은 구멍(25)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나, 만약 음식물쓰레기만 별도로 수집하는 일반적인 쓰레기통이라면, 둘레 면에 작은 구멍(25)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수집통(20) 내, 더욱 상세히는 상기 투입구(21)와 배수구(23) 사이에는 수집통(2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플레이트(30)가 수집통(20) 내에서 승/하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3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30)의 주연에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플랜 지(3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1)는 비교적 넓은 면적이 상기 수집통(20)의 내면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판상의 플레이트(30)가 승/하강 할때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0)는 하단에 요홈(32)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도 3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는 음식물쓰레기만 별도로 수집하는 용기인 경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판 형태로 될 수 있고,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이라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를 위한 구멍(33)이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둘레 면의 구멍(25)을 비롯하여 플레이트(20)의 구멍(33)은 수집통(2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수집통(20)이 배수관(11) 내에 설치된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싱크대(10) 상에서 설거지를 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물은 수집통(20)의 구멍(25)을 통해 배수되어 드레인(12)으로 배출되고, 만약 플레이트(30)에 구멍(33)이 형성된 경우라면, 플레이트의 구멍(33)을 통해서도 물이 배수되어 드레인(12)으로 배출된다.
물론, 음식물쓰레기는 수집통(20) 내에 저장되며,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수집통(20) 내에 저장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수집통(20)을 꺼내거나 이동시켜서 후술하는 배출관(42)까지 운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40)의 일측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 기 위한 공동 배출관(41)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동배출관(41)의 상단에는 통상적인 환풍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하단에는 각 층의 세대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상기 수집통(20)은 반드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각 층에서 버릴 수 있도록 마련된 공동주택의 시설에 적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옥내에서 직접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한 배출관(42)을 구비한 경우이면 상기 기재된 수집통(20)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배출관(42)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그 내경은 상기 수집통(20)의 외경 지름보다 다소 크게 하는데, 이는 수집통(20)을 쉽게 삽입하고 다시 빼낼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배출관(42)의 하단은 상기 공동배출관(41)에 연결되거나 혹은 음식물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는 통로와 직접 연결되고, 배출관(42)의 내면에는 상기 수집통(20)이 삽입되었을 때,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46)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하단 상부에는 힌지(43)를 축으로 회동 가능한 개폐판(44)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판(44)은 힌지(43)에 축설된 탄성수단인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배출관(42)의 하단을 폐쇄(점선 표시)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스프링(45)은 예컨대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관(42) 내에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저장된 수집통(20)을 거꾸로 하여 삽입하면, 자중에 의해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관(42)으로 배출되며, 또한 남아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핸들(51)을 구비한 밀 대(5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30)를 밀어 넣는다.
즉, 사용자가 핸들(51)을 잡은 상태에서 밀대(50)의 선단을 상기 플레이트(30)의 요홈(32)에 맞추어 밀어 넣으면, 플레이트(30)가 수집통(20) 내에서 하강하면서 수집통(20) 내에 남아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모두 하강시키며, 이때 밀대(50)의 미는 힘에 의해서 음식물쓰레기와 접하게 된 개폐판(44)이 회동하면서 배출관(42) 하단이 개방된다.
물론, 상기 플레이트(30)는 제1턱(22)과 접촉되면서 수집통(20)의 투입구(21) 이상으로 하강하지 않게 되어, 플레이트(30)가 수집통(20)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밀대(50)를 제거하면, 개폐판(44)은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출관(42)의 하단을 폐쇄하고, 따라서 공동배출관(41)에서의 악취가 배출관(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동배출관(41)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평상시 상기 배출관(42)의 입구 측을 막을 수 있는 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는 배출관(4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외경을 가지고, 상단에는 커버를 막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작은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둘레면에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실링재를 부가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싱크대(10)의 배수관(11) 상단을 막을 수 있도록 마련된 통상의 싱크대 뚜껑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첨부된 도면의 제한된 구조에 기하여 설명하였고, 또한 일부 도면을 생략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 구조와 그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기술된 기술사상에 의해서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적의 설계변경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경은 하기의 청구범위 내에 포함됨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통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통이 옥내의 배출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싱크대 11 : 배수관
20 : 수집통 21 : 투입구
23 : 배수구 25 : 수집통 구멍
30 : 플레이트 31 : 플랜지
32 : 요홈 33 : 플레이트 구멍
40 : 공동주택 41 : 공동배출관
42 : 각층 배출관 44 : 개폐판
45 : 스프링 46 : 걸림턱
50 : 밀대 51 : 핸들

Claims (7)

  1. 음식물쓰레기를 저장 가능한 수집통(20)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개방된 투입구(21) 및 배수구(23)와,
    상기 투입구(21) 및 배수구(23)의 각 주연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턱(22) 및 제2턱(24)과,
    상기 투입구(21)와 배수구(23)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내재된 플레이트(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의 주연에 수집통(20)의 내면과 접하도록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의 하단에 요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용 구멍(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20)의 둘레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용 구멍(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통.
  6. 상기 청구항 1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집통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배출관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통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배출관(42)과,
    상기 배출관(42)의 하단에 힌지(43)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44)과,
    상기 힌지(43)에 축설되어 개폐판(44)이 탄성력으로 배출관(42) 하부를 폐쇄하게 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42)의 상단 투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1020070127652A 2007-12-10 2007-12-10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20090060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652A KR20090060729A (ko) 2007-12-10 2007-12-10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652A KR20090060729A (ko) 2007-12-10 2007-12-10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729A true KR20090060729A (ko) 2009-06-15

Family

ID=4099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652A KR20090060729A (ko) 2007-12-10 2007-12-10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07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1640A (zh) * 2018-06-22 2018-09-18 江苏科技大学海洋装备研究院 多功能波浪能与水下养殖垃圾回收器
CN108943801A (zh) * 2017-09-18 2018-12-07 李明明 蔬果脱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3801A (zh) * 2017-09-18 2018-12-07 李明明 蔬果脱水装置
CN108541640A (zh) * 2018-06-22 2018-09-18 江苏科技大学海洋装备研究院 多功能波浪能与水下养殖垃圾回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481B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40980A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101673382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0662947B1 (ko) 싱크대의 음식쓰레기 간편 수거장치
KR10166760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의 거름통 유닛
KR20050076097A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100026542A (ko) 음식물 분리수거 통
JP2008542153A (ja) ごみ容器装置
CN220928077U (zh) 洗菜、洗碗及厨余垃圾收集一体化组合结构
KR20030577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102561575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80111866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수집용기의 체결구조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KR200333062Y1 (ko) 음식물 찌꺼기 수거망
CN217534055U (zh) 一种厨余垃圾分类及资源化处理装置
CN210392318U (zh) 一种餐饮用厨房收残台
KR20130002511A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100847074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
KR200486589Y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용 거치대
JPH0966276A (ja) 厨芥処理装置
KR20031580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113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