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258A -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1258A KR20130081258A KR1020130001747A KR20130001747A KR20130081258A KR 20130081258 A KR20130081258 A KR 20130081258A KR 1020130001747 A KR1020130001747 A KR 1020130001747A KR 20130001747 A KR20130001747 A KR 20130001747A KR 20130081258 A KR20130081258 A KR 201300812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chate
- food waste
- reservoir
- lower reservoir
- discharge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분리시키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이 형성된 상부 저장통과 상기 상부 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를 저장하는 하부 저수통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상하 결합 되고,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이 밀착판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재질이 갖고 있는 자체 탄성 변형 및 복원력에 의해 침출수가 한쪽 방향으로만 침출수를 흐르도록 개폐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관을 구성된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키지 않고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도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 쪽으로 역류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이 형성된 상부 저장통과 상기 상부 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를 저장하는 하부 저수통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상하 결합 되고,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이 밀착판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재질이 갖고 있는 자체 탄성 변형 및 복원력에 의해 침출수가 한쪽 방향으로만 침출수를 흐르도록 개폐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관을 구성된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키지 않고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도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 쪽으로 역류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분리시키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및 증가된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급증하는 생활 폐기물에 대한 처리 문제가 심각히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는 최근에 이르러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식생활 문화가 향상되어 식단이 풍부해지고 이로 인해 가정 및 일반 대중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물의 상당량이 소비되지 못하고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이의 매립 처리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이의 즉각적인 처리가 곤란하여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되고, 매립시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오수 등으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가정 및 일반 대중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별도 수거를 통해 발효처리하여 각종 비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하고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는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시 또는 운반 시에 쉽게 악취가 발생하고, 퇴비로의 발효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분리하여 수거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0012472호(2010. 12. 16. 공개) 등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 가능한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된 하나의 용기로 이루어져, 내통의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 즉 침출수만을 통과하도록 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내통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고 외통에는 침출수만을 저장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 즉 침출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용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대부분은 내통의 바닥면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 구멍이 항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즉,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해 수거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수거용기를 뒤집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출구멍이 항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거용기에 침출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분리된 상태에서 침출수를 제외한 음식물 쓰레기만을 버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침출수를 먼저 배출시킨 이후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려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거용기로부터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켜 처리하는 것을 깜박하고 잊어버리거나 또는 이것이 귀찮고 불결하며 냄새가 집안에서 발생 된다는 등의 다수의 이유에 의해 침출수를 각 가정에서 미리 배출시켜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들고 나와서 배출시키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는 그 제작된 의도와 달리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의해 수거용기 안에 고여 있는 침출수와 음식물 쓰레기가 동시에 버려짐에 따라 이를 처리할 때 수거 요원들의 불편이 더해짐은 물론 비위생적이고 불결하며 특히 소각 또는 퇴비로의 재활용 처리 시에 비용증가 등 종래의 문제점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한편,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나 양에 따라 처리 비용을 내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현재 부산, 전주 등 53개 지역(공통주택 기준)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기획 재정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실시 지역을 2012년 말까지 전국의 모든 도시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시에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무관하게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온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온 침출수를 따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를 사용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키지 않고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도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 쪽으로 역류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최근 실시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취지에 부합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 및 퇴비화 시에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이 형성된 상부 저장통과, 상기 상부 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일 측면에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 하부 저수통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저장통과 하부 저수통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상하 결합 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에 있어서,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시트로 상기 침출수 배출구멍이 형성된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중앙에 침출수 배출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침출수가 유입되는 침출수 유입구가 형성되는 밀착판과,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관상체로 상기 침출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밀착판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하단에 침출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전체로 침출수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침출수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침출수가 유입되면 침출수의 압력에 의해 내주면이 서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침출수 배출구가 개방상태를 이루고, 침출수 배출이 완료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침출수 배출구의 밀폐상태를 이루는 체크밸브관으로 구성된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관은 상기 침출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침출수 배출구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침출수 유입구로 침출수의 유입을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은 상기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밀착판은 상기 바닥면 전체에 걸쳐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침출수가 침출수 배출구멍 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저장통과 하부 저수통은 서로 나사 체결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체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는 상기 상부 저장통과 하부 저수통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저수통의 상단이 상기 밀착판을 상기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 측으로 가압 고정하다.
또한, 상기 하부 저수통에는 음식물 분리 수거용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하부 저수통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체크밸브관의 침출수 배출구 개폐의 용이성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는 사용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키지 않고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도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 쪽으로 역류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분리 수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에 의해, 즉 평상시 자체 탄성에 의해 오므라들고 있는 형상을 유지하는 체크밸브관과, 자체 하중에 의해 상부 저장통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에 의한 이중 구조로 침출수의 역류가 차단되어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침출수가 포함되지 않은 상은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게 되어 수거 요원들의 불편이 없음은 물론 위생적이고 특히 소각 또는 퇴비로의 재활용 처리 시에 소각 효율 및 퇴비로의 발효 효율이 향상되어 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저수통의 압력조절밸브를 통해 음식물 분리 수거용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즉 수거용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경우와 수거용기에 분리 수거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 따라 하부 저수통 내부의 압력을 서로 다르게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체크밸브관을 통해 하부 저수통으로의 침출수 배출의 용이함 및 하부 저수통에 저장된 침출수가 체크밸브관으로의 역류 방지 등과 같은 수거용기 취급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부 저장통과 하부 저수통 사이에 고정된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의 밀착판이 패킹의 역할을 함께하고 있어 별도의 고무 패킹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침출수로부터 나오는 악취가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가 결합된 전체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바라본 방향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로부터 분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바라본 방향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로부터 분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가 결합된 전체 결합 사시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및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상부 저장통(10)과,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 즉 침출수만이 수용되는 하부 저수통(20)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상하로 결합 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 저장통(10)은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측면(11)과 밀폐된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12)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측면(11)의 상부 개방부 측에는 상부 저장통(10)의 상단 일측과 힌지체결부(13a)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 체결부(13a)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는 뚜껑(13)이 설치된다.
뚜껑(13)의 일측면, 즉 힌지체결부(13a)가 형성된 뚜껑(13)의 반대편 면에는 상부 저장통(10)의 상단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측면플랜지(16)에 후크 결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뚜껑 잠금부(13b)가 구비된다.
상부 저장통(10)의 상단 양 측면에는 수거용기(100)를 용이하게 들고다닐 수 있도록 상부 저장통(10)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양단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용기 손잡이(14)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 저장통(10)의 일 측면에는 수거용기(10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 수거용기(100)를 용이하게 거꾸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 손잡이(15)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수분, 즉 침출수를 하부 저수통(2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구멍(11a)이 다수 형성된다.
이때, 침출수 배출구멍(11a)은 상부 저장통(10)으로부터 침출수를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 전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침출수 배출구멍(11a)은 바닥면(11)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뚫린 장방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를 바닥면(11) 가장자리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멍(11a)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바닥면(11)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저장통(10) 내부의 침출수가 자중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바닥면(11)의 가장자리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바닥면(11) 가장자리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멍(11a)으로 침출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 하부 저수통(20)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하부 저수통(20)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즉 침출수만이 분리되어 저장하는 용기로, 하부가 막혀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 형상으로 상부 저장통(10)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 저수통(20)의 일 측면에는 하부 저수통(20)에 고이는 침출수를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2)가 마련되고, 이 배출구(22)에는 배출구(22)의 구멍을 막는 마개(21)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마개를 개방함으로써 침출수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저수통(20)은 상부 저장통(10)에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부 저장통(10))의 측면(11) 하단에는 바닥면(11)이 형성된 위치보다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측면 연장부(12a)가 형성되고, 이러한 측면 연장부(12a)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 전체로 암나사부(17)가 형성된다. 이때, 측면 연장부(12a)은 하부 저수통(20)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할 수 있게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한편, 하부 저수통(20)의 상단 외주면에도 둘레 방향 전체로 수나사부(23)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은 하부 저수통(20)을 상부 저장통(10)의 측면 연장부(11a)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끼워서 또는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하부 저수통(20)의 수나사부(23)와 상부 저수통(10)의 암나사부(17)를 체결 방향 또는 체결 해제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에 손쉽게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상부 저장통(10)을 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하부 저수통(20)의 형상 역시 원통형 이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진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의 원통형의 형상을 갖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이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의 결합부위에 한하여서는 원통형으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만을 저장하는 상부 저장통(10)과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온 침출수만을 따로 분리하는 하부 저수통(20)이 상하로 결합 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100)에서, 사용자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키지 않고서 수거용기(10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버리는 경우에도 하부 저수통(20)에 수용된 침출수가 상부 저장통(10)으로 역류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30)가 구비된 것을 핵심 요지로 한다.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30)는 기본적으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형성된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11a)을 막으면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100)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부 저장통(10)에 있는 침출수가 상부 저장통(10)에서 하부 저수통(20) 측으로는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10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는 하부 저수통(20)에 있는 침출수가 하부 저수통(20)에서 상부 저장통(10)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30)는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밀착되는 밀착판(31)과, 이 밀착판(31)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재질이 갖고 있는 자체 탄성 변형 및 복원력에 의해 침출수가 한쪽 방향, 즉 상부 저장통(10)에서 하부 저수통(20)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침출수를 흐르도록 개폐를 단속하는 체크밸브관(32)으로 이루어진다.
밀착판(31)은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시트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형성된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11a)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갖으면서 바닥면(11)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그 중앙에는 침출수 배출구멍(11a)으로 배출된 침출수가 체크밸브관(32)으로 유입될 수 있게 길이기 긴 슬릿형태의 구멍이 뚫린 침출수 유입구(31a)가 형성된다.
이때, 밀착판(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부 저수통(20)의 상단 가장자리가 밀착판(31)의 가장자리를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 사이에 고정된다. 즉 밀착판(31)은 그 가장자리가 하부 저수통(20)의 상단과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물린 상태로 고정된다. 다시 말해, 밀착판(31)은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 사이에 그 둘레 방향 전체의 가장자리가 고정된 상태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분리 수거용기(100)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멍(11a) 통해 침출수가 밀착판(31) 측으로 배출되면 침출수의 자중에 의해 밀착판(31) 바닥면(11)과 일정 거리 이격되면서 침출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반면에, 분리 수거용기(10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는 밀착판(31)이 자중에 의해 밀착판(31)이 바닥면(11)와 완전히 밀착되어 침출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밀착판(31)의 재질을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로 제작하는 것은 고무 재질 자체의 유연성과 밀착성을 갖는 성질에 의해 침출수의 배출과 차단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판(31)이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의 결합 부위, 즉 맞닿은 부위에 개재됨으로써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의 결합 부위의 틈새 사이로 침출수의 악취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한편, 체크밸브관(32)은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관상체(管狀體), 즉 침출수가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 형상의 구조체로, 밀착판(31)의 침출수 유입구(31a)를 이루는 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밀착판(31)의 아래 방향, 즉 하부 저수통(20)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하단에 침출수가 배출되는 침출수 배출구(3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크밸브관(32)은 풍선의 구조에서 풍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구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체크밸브관(32)은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로 내부가 뚫린 상태로 그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다가 내부에 침출수가 유입되면 침출수의 압력에 의해 내주면이 서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이 되면서 하단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32a)의 개방상태를 이루고, 침출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어 침출수 배출구(32a)의 밀폐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 인해 체크밸브관(32)은 그 재질이 갖고 있는 자체 탄성 변형 및 복원력에 의해 침출수가 한쪽 방향, 즉 침출수 유입구(31a)에서 침출수 배출구(32a)의 한쪽 방향으로만 침출수가 흐를 수 있도록 개폐를 단속하게 된다.
이는 풍선 내부에 공기가 차 있는 경우에 풍선 내부의 공기 압력에 의해 공기 주입구가 벌어지면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나, 풍선 내부에 공기의 배출이 모두 완료되면 공기 주입구의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라들게 되는 원리와 같다.
즉, 밀착판(31)과 바닥면(11) 사이에 침출수가 유입되면 침출수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관(32)이 벌어지면서 침출수가 하부 저수통(20)으로 배출될 수 있으나, 침출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체크밸브관(31)의 자체 탄성에 의해 오므라들게 되어 밀폐되는 것과 같다.
이때, 체크밸브관(32)은 밀착판(31)과 바닥면(11) 사이에 침출수가 침출수 유입구(31a)로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침출수 배출구(32b)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출수 유입구(31a)로부터 침출수 배출구(32b)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즉 전체적으로 'V'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관(32)은 밀착판(31)은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로 일체로 성형된다. 체크밸브관(32)이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고무 재질 자체의 탄성력과 밀착성에 의해 침출수의 배출과 차단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부 저수통(20)에는 하부 저수통(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압력조절밸브(5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하부 저수통(200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체크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b) 개폐 용이성을 조절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수거용기(100)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경우에는 하부 저수통(20) 내부의 공기가 외부 대기로 통과될 수 있도록 압력조절밸브(50)를 개방(open) 상태로 조작하여 하부 저수통(20)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체크 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a)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이로 침출수 배출구(32a)로 침출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거용기(100)에 분리 수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는 하부 저수통(20) 내부를 외부 대기와 차단되게 압력조절밸브(50)를 닫힘(close) 상태로 조작하여 하부 저수통(20)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유지하여 압력을 높여 줌으로써 체크 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a)의 개방을 어렵게 하여 하부 저수통(20)에 수거된 침출수가 침출수 배출구(32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하부 저수통(20)에는 하부 저수통(20) 내부의 공기가 외부 대기로 통과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멍(25)이 형성되고, 압력조절밸브(50)는 상기 공기배출구멍(25)에 끼워지거나 빠지는 구조로 하부 저수통(20)에 체결된다. 압력조절밸브(50)가 공기배출구멍(25)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압력조절밸브(50)를 통해 공기배출구멍(25)이 닫힘 상태(close)를 유지하게 되며, 그리고 압력조절밸브(50)가 공기배출구멍(25)으로부터 어느 정도 빠지게 되면 공기배출구멍(25)이 개방(open)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밸브(50)는 일정 길이로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 형태의 구조물로 크게 몸체부(51), 노브(52) 및 걸림후크(5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51)는 공기배출구멍(25)에 끼워지는 것으로 공기배출구멍(25)의 개폐를 실질적으로 단속한다. 상기 노브(52)는 사용자가 압력조절밸브(50)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부(51)의 일단, 즉 몸체부(51)가 공기배출구멍(25)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저수통(20)의 외측에 위치하는 끝 부분에 몸체부(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걸림후크(52)는 압력조절밸브(50)를 개방 상태로 조절하는 경우에 몸체부(51)가 공기배출구멍(25)으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51)의 타단, 즉 몸체부(51)가 공기배출구멍(25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저수통(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끝 부분에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후크(52)가 형성된 몸체부(51)의 끝 부분과 걸림후크(52)의 일측에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홈 형태의 슬릿홈(54)이 몸체부(5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공개배출구(25)의 개방(open)을 위해 몸체부(51)를 하부 저수통(20)의 외측으로 후퇴시키면 공기배출구멍(25)과 슬릿홈(54) 간의 간격이 발생하고, 이 간격이 하부 저수통(20) 내부의 공기와 하부 저수(20)통 외부 공기(대기)가 서로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도 4b 참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의 사용 상태를 수거용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경우와, 분리 수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먼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용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 즉 상부 저장통(10)의 상부 개방부가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뚜껑(11)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 저장통(10)으로 넣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통(1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된 침출수는 하중에 의해 바닥면(11)으로 모이게 되고, 이중 바닥면(11)의 중앙에 모인 침출수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은 경사진 구조에 의해 바닥면(11) 가장자리 측으로 흘러 내려가면서, 바닥면 가장자리의 둘레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멍(11a)으로 배출된다.
상부 저장통(10)의 침출수가 침출수 배출구멍(11a)으로 배출되면서 바닥면(11)의 저면에 설치된 밀착판(31)으로 떨어지면서 침출수의 자중에 의해 밀착판(31)이 바닥면(11)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지면서 침출수가 밀착판(31)의 침출수 유입구(31a)로 유입되는 유로가 마련된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출수 밀착판(31)으로 떨어진 침출수가 밀착판(31)의 중앙에 마련된 침출수 유입구(31a)로 유입되면서, 체크밸브관(32)으로 통과하게 된다.
체크밸브관(32) 내부로 침출수가 흐르게 되면 침출수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관(32)의 내주면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그 직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하단에 마련된 침출수 배출구(32a)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침출수 유입구(31a)로 유입된 침출수는 체크밸브관(32) 내부를 통과하면서 하부 저수통(20)으로 유도된다.
이때, 압력조절밸브(50)의 개방(open)을 통해 하부 저수통(20)의 내부 압력을 외부 대기와 평형 상태로 유지하는 낮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체크 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a)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어 침출수가 침출수 배출구(32a)로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체크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a)로의 침출수 배출이 완료되면 체크밸브관(32)은 최초의 상태,즉 내주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체 탄성 복원되면서 침출수 배출구(32a)를 밀폐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에 음식물 쓰레기가 가득 차서 이를 버려야하는 경우에는 하부 저수통(20)의 일측에 마련된 마개(21)를 열고 침출수를 미리 배출시킨 후에 뚜껑(11)을 열고 분리 수거용기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 즉 상부 저장통(10)의 상부 개방부가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로 버리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침출수를 미리 배출하는 것이 귀찮아서 침출수를 미리 배출하지 않은 채로 분리 수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도, 체크밸브관(32)의 내주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침출수 배출구(32a)가 밀폐되어 있어 침출수 배출구(32a)으로 침출수가 유입되어 상부 저장통(10)으로 역류 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설혹, 분리 수거용기를 거꾸로 뒤집는 과정에서 침출수가 침출수 배출구(32a)으로 유입되더라도 밀착판(32)은 자중에 의해 바닥면(11)에 완전 밀착되어 있어 침출수가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에 형성된 침출수 배출구멍(11a)로 유입되는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있어 침출수 배출구멍(11a)으로 침출수가 유입되어 상부 저장통(10)으로 역류 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밸브(50)의 닫힘(close) 조절을 통해 하부 저수통(20)이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체크 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a)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하부 저수통(20)에 수거된 침출수가 침출수 배출구(32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부 저수통(20)에 저수된 침출수를 배출시키지 않고 분리 수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도 침출수가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에 의해 2단계로 나뉘어서 역류가 차단됨으로써 침출수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이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100 :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10 : 상부 저장통 11 : 바닥면
11a : 침출수 배출구멍 12 : 측벽
13 : 뚜껑 14 : 용기 손잡이
15 : 측면 손잡이 16 : 측면플랜지
17 : 용기 잠금부 20 : 하부 저수통
21 : 마개 22 : 배출구
23 : 끼움돌기 24 : 플랜지
30 :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 31 : 밸브판
31a : 차단판 31b : 밀착판
32 : 고정판 32a : 체결구멍
40 : 패킹 50 : 압력조절밸브
10 : 상부 저장통 11 : 바닥면
11a : 침출수 배출구멍 12 : 측벽
13 : 뚜껑 14 : 용기 손잡이
15 : 측면 손잡이 16 : 측면플랜지
17 : 용기 잠금부 20 : 하부 저수통
21 : 마개 22 : 배출구
23 : 끼움돌기 24 : 플랜지
30 :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 31 : 밸브판
31a : 차단판 31b : 밀착판
32 : 고정판 32a : 체결구멍
40 : 패킹 50 : 압력조절밸브
Claims (10)
-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13)이 설치되고 바닥면(11)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11a)이 형성된 상부 저장통(10)과,
상기 상부 저장통(10)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일 측면에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2)가 구비된 하부 저수통(20)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상하 결합 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100)에 있어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시트로 상기 침출수 배출구멍(11a)이 형성된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중앙에 침출수 배출구멍(11a)으로부터 배출되는 침출수가 유입되는 침출수 유입구(31a)가 형성되는 밀착판(31)과,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관상체로 상기 침출수 유입구(31a)로부터 상기 밀착판(31)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하단에 침출수 배출구(32a)가 형성되어 전체로 침출수가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침출수 유입구(31a)를 통해 내부로 침출수가 유입되면 침출수의 압력에 의해 내주면이 서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침출수 배출구(32a)가 개방상태를 이루고, 침출수 배출이 완료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침출수 배출구(32a)의 밀폐상태를 이루는 체크밸브관(32)으로 구성된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관(32)은 상기 침출수 유입구(31a)로부터 상기 침출수 배출구(32a)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침출수 배출구멍(11a)은 상기 상부 저장통 (10)의 바닥면(11)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밀착판(31)은 상기 바닥면(11) 전체에 걸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은 서로 나사 체결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역류방지 이중 밸브체(30)는 상기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저수통(20)의 상단이 상기 밀착판(31)을 상기 상부 저장통(10)의 바닥면(11) 측으로 가압 고정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통(10)과 하부 저수통(20)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유입구(31a)는 길이가 긴 슬릿구멍 형태로 상기 체크밸브관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수통(20)에는 하부 저수통(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체크밸브관(32)의 침출수 배출구(32b) 개폐의 용이성 여부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수통(20)에는 하부 저수통(20) 내부와 외부의 공기 연락 가능한 공기배출구멍(25)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50)는 상기 공기배출구멍(25)에 끼워지거나 또는 빠지는 형태로 공기배출구멍(25)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밸브(50)는 공기배출구멍(25)에 끼워지는 몸체부(51)와, 상기 몸체부(51)의 일단에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노브(52)와, 상기 몸체부(51)의 타단에 형성되어 몸체부(51)가 공기배출구멍(25)에 끼워진 상태에서 공기배출구멍(25)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리후크(5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51)와 상기 걸림후크(52)가 이어지는 부위의 일 측에는 연속적인 홈 형태의 슬릿홈(54)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압력조절밸브(50)를 하부 저수통(20)의 외측으로 후퇴시키는 경우에 상기 공기배출구멍(25)과 슬릿홈(54) 사이에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1943 | 2012-01-06 | ||
KR1020120001943 | 2012-01-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1258A true KR20130081258A (ko) | 2013-07-16 |
Family
ID=4899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1747A KR20130081258A (ko) | 2012-01-06 | 2013-01-07 |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125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414B1 (ko) * | 2015-04-24 | 2016-07-15 | 주식회사 에단 | 무수 소변기의 배출장치 |
CN108689038A (zh) * | 2018-03-23 | 2018-10-23 | 广州迪斯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智能型医废收集箱 |
-
2013
- 2013-01-07 KR KR1020130001747A patent/KR20130081258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414B1 (ko) * | 2015-04-24 | 2016-07-15 | 주식회사 에단 | 무수 소변기의 배출장치 |
CN108689038A (zh) * | 2018-03-23 | 2018-10-23 | 广州迪斯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智能型医废收集箱 |
CN108689038B (zh) * | 2018-03-23 | 2024-02-09 | 广州迪斯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智能型医废收集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30121923A1 (en) |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 |
EP0484156A1 (en) | Garbage processing device | |
CN210853838U (zh) | 一种市政防异味垃圾桶 | |
KR200447788Y1 (ko) | 음식물 쓰레기통 | |
KR101454109B1 (ko) | 침출수 역류방지 밸브체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용기 | |
KR20130081258A (ko) |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
US10414582B2 (en) | Trash receptacle for separating liquids and solids | |
CN211495435U (zh) | 一种家庭用分类垃圾桶 | |
CN209275377U (zh) | 内置垃圾袋的双层垃圾桶 | |
EP1498364B1 (en) | Apparatus for collection and disposal of dry waste, wet waste and the like | |
KR101378534B1 (ko) | 음식물 쓰레기통 | |
KR20130067804A (ko) |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 |
CN107600808A (zh) | 一种小区用残羹收集垃圾箱 | |
CN204713825U (zh) | 一种垃圾桶 | |
KR200367280Y1 (ko) |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통 | |
CN107934301A (zh) | 一种固液分离垃圾回收装置 | |
KR101544711B1 (ko) |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 |
CN211392530U (zh) | 一种厨房垃圾分类装置 | |
CN212150253U (zh) | 一种压缩式垃圾桶 | |
KR200262596Y1 (ko) |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 |
KR200380871Y1 (ko) | 음식물 쓰레기통 | |
KR200305770Y1 (ko) |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 |
KR19990068366A (ko) | 다기능쓰레기통 | |
KR102348790B1 (ko) |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 |
CN215704336U (zh) | 一种用于厨余垃圾的固液分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