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871Y1 -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871Y1
KR200380871Y1 KR20-2005-0002319U KR20050002319U KR200380871Y1 KR 200380871 Y1 KR200380871 Y1 KR 200380871Y1 KR 20050002319 U KR20050002319 U KR 20050002319U KR 200380871 Y1 KR200380871 Y1 KR 200380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water
food was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식
Original Assignee
서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식 filed Critical 서희식
Priority to KR20-2005-0002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9Integral supplemental sealing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 침출수, 오수등(이하 "배출수"라 함)을 음식물에서 자연스런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차단하며, 분리된 배출수와 음식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것으로 종래에 밀폐가 견고하지 않아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지 못하고, 배출수의 양을 외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음식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쓰레기통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의 밀폐가 견고하여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배출수와 배출수가 분리된 음식물의 처리가 쉽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중앙에 일정량의 배출수를 담수시킬 있도록 담수부를 형성하고, 상부를 개방시킨 후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악취차단홈을 형성한 집수용기와, 상기 집수용기의 악취차단홈에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 내주연에 단턱을 형성한 원통형의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하부 내주연에 형성한 단턱에 가장자리가 걸쳐지고, 다수개의 여과공을 형성한 여과판과, 상기 탈수통의 내주연을 따라 여과판의 상부에 삽입하고, 외주연에 일정경사(α)를 갖게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하며, 내부에 일정량의 액상물질을 수납시킬 수 있게 공간부를 형성한 후 상기 공간부에 액상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가능 한 마개를 구비한 누름통과, 상기 탈수통의 상단부에서 끼워져 결합하고, 내측에 밀폐홈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홈의 내측에 밀폐돌조를 형성한 밀폐뚜껑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 {A food dustbin}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 침출수, 오수등(이하 "배출수"라 함)을 음식물에서 자연스런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쓰레기통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차단하며, 분리된 배출수와 음식물의 처리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생활의 발전으로 단위 면적당 인구가 증가하게 됨으로서 많은 량의 음식이 소비되고 그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대부분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많은 량의 수분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 및 중량을 가중시키게 되고, 운반 및 폐기처리가 곤란하여 그대로 폐기 처리하는 경우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로 인하여 주변 토양은 물론 지하수 및 주변 하천까지 오염시키고, 악취가 발생됨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해 대대적으로 홍보 및 단속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장치 및 기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시중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은 하부에 배출수를 담수할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덮어주는 뚜껑과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걸쳐지게 안착되어 수분을 걸러주는 거름망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배출수와 부패시 발생되는 부패가스 등의 악취를 쉽게 차단하지 못하고, 배출수를 버리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고, 거름망을 들어낸 후에 배출수를 배출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 배출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배출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2000년 등록실용신안 191889호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가 제시되었고, 이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인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 하우징;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온 침출수만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여과망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최하단부에 배치된 제1 체결부재; 상기 침출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침출수 처리부;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침출수 처리부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쌍을 이루는 제2 체결부재; 상기 침출수를 임시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침출수 처리부의 저면을 이루는 침출수 저장부; 및 상기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침출수 저장부에 연결된 침출수 배출구로 구성하여 내부에서 발생된 침출수를 배출이 용이하게 하였으나, 단순히 침출수가 배출되는 즉시 배출구로 배출되고, 배출구에 별도의 마개를 형성한다 하더라도 사용이 불편함과 더불어 침출수의 배출 후에 밀폐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더욱더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는 다른 형태로 2001년 등록실용신안 252510호 "음식물 쓰레기 수분제거를 위한 용기"가 제시되었고, 이는 오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오수를 분리하며 보관토록 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보관용 용기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내입되어 재치되는 걸름망의 크기를 작게 하여 용기와 거름망의 사이로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여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를 덮개 되는 뚜껑을 형성하여 거름망을 들어내지 않고도 용기 하부에 모인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용기와 뚜껑을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밀폐가 견고하지 않아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적재된 음식물에서 배출수의 분리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배출수의 양을 외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을 개방한 후 내부에 걸름망을 들어 내고 배출수의 양을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배출수를 분리한 음식물의 처리가 거름망을 들어낸 후에 거름망을 뒤집어야 함으로 음식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처리되는 음식물의 양에 비해 수분제거를 위한 용기의 부피가 커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쓰레기통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뚜껑의 밀폐가 견고하여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함에 있다.
또한, 음식물에서의 배출수의 분리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만족스런 분리가 되도록 하고, 배출수가 분리된 음식물의 처리가 간단하여 늘 청결한 주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중앙에 일정량의 배출수를 담수시킬 있도록 담수부를 형성하고, 상부를 개방시킨 후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악취차단홈을 형성한 집수용기와, 상기 집수용기의 악취차단홈에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 내주연에 단턱을 형성한 원통형의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의 하부 내주연에 형성한 단턱에 가장자리가 걸쳐지고, 다수개의 여과공을 형성한 여과판과, 상기 탈수통의 내주연을 따라 여과판의 상부에 삽입하고, 외주연에 일정경사(α)를 갖게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하며, 내부에 일정량의 액상물질을 수납시킬 수 있게 공간부를 형성한 후 상기 공간부에 액상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가능 한 마개를 구비한 누름통과, 상기 탈수통의 상단부에서 끼워져 결합하고, 내측에 밀폐홈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홈의 내측에 밀폐돌조를 형성한 밀폐뚜껑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하부에 집수용기(10)와, 상기 집수용기(1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하는 탈수통(20)과, 상기 탈수통(20)의 내측에 걸쳐지게 끼워지는 여과판(30)과, 상기 여과판(30)의 상부에 위치되게 탈수통(20)에 끼워지고 일정한 하중을 갖게 하는 누름통(40)과, 상기 탈수통(2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밀폐뚜껑(50)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통(100)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일 예로 도시한 것이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원형 이외에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용기(10)는 내부중앙에 일정량의 배출수를 적어도 100cc 이상 20000cc이하로 담수시킬 있도록 담수부(11)를 형성하고, 상부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개방시킨 후 개방된 입구 테두리(12)를 따라 요입시켜 악취차단홈(12a)을 형성한다.
또한, 집수용기(10)는 모아진 배출수의 양을 식별이 가능하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재의 재질로 형성하거나, 어느 일부분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인서트 사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수용기(10)의 테두리(12)에 형성한 악취차단홈(12a)의 외측에는 1~5㎝ 높게 안내돌조(12b)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탈수통(20)의 하단부(21)가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악취차단홈(12a)에 고이는 배출수가 넘치지 않고 집수용기로 모아지도록 한다.
상기 탈수통(20)은 원통형 또는 사각 통형으로 형성하여 집수용기(10)의 악취차단홈(12a)에 하단부(21)가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 내주연에 단턱(22)을 형성하며 외주연에는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게 손잡이(23)를 형성한다. 이 손잡이는 평소에는 일반쓰레기봉투의 손잡이부분을 걸어두기에 편리하도록 설계하며, 또한 음식물쓰레기 봉투를 탈수통에 뒤집어 씌운 후 탈수통을 거꾸로 들어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담기에 충분한 강도 및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수통(20)의 내주연에 형성한 단턱(22)은 후술하는 여과판(30)의 외주연이 걸쳐질 수 있게 한다.
또한, 탈수통(20)은 적재된 음식물의 양을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재의 재질로 형성하거나, 어느 일부분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인서트 사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판(30)은 탈수통(20)의 내주연에 형성한 단턱(22)에 가장자리가 걸쳐지게 원형의 올록볼록 가장자리로 향하는 요철이 있는 판형태로 형성하고, 단면형상에서 중앙이 상부를 향하는 아치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아치형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여과공(3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판(30)을 아치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부에 적재되는 음식물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포시킴과 동시에 배출수의 배출이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고, 중앙의 여과공(31)과 가장자리로 향하는 올록볼록한 표면의 요철은 물을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지에 거꾸로 쏟아 부을 때 잘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여과판(30)의 중간부분에 여과공이 없는 이유는 누름판과 함께 음식물쓰레기의 공기접촉을 최소화하여 부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며, 여과공(31)을 가장자리에 중점배치하는 이유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수가 배출됨으로서 배출수가 탈수통(20)의 내벽면을 타고 하단부(21)까지 흘러내려 집수용기(10)의 악취차단홈(12a)을 채워주게 됨으로서 기밀성을 갖게 되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틈새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누름통(40)은 탈수통(20)의 상부에서 끼워지되, 상기 여과판(30)의 상부에 적재되는 음식물을 일정한 하중으로 가압하여 탈수 시킬 수 있게 내부에 일정량의 액상물질을 수납시켜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공간부(41)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41)에 액상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 가능한 마개(42)를 구비한다.
이때 누름통(40)의 외주연은 수직하는 중심축에서 3~10°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부 평면에는 일정폭과 깊이로 요입시킨 후 양측을 연결하여서 되는 손잡이(43)를 형성한다.
여기서 누름통(40)의 내부에 공간부(41)를 형성하여 액상물질을 수납시키는 이유는 액상물질을 충분히 주입하여 적정한 하중을 갖게 함으로서 탈수통(20)의 내부에 음식물을 가압하여 탈수시킴과 동시에, 액상물질을 악취제거제 또는 향수등을 공간부에 충분히 주입하여 악취제거제 또는 향수등에 의해 향기가 잘 퍼지도록 함으로서 후술하는 밀폐뚜껑(50)을 개방후에 상쾌한 냄새를 제공하거나 향긋한 냄새를 제공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41)에 삽입하는 액상물질은 물, 악취제거제, 향수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통(40)은 음식물을 가압함으로서 탈수시키면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탈수통(2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거나 2mm 이하의 틈새만을 갖도록 형성하여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게 한다.
상기 밀폐뚜껑(50)은 상기 탈수통(20)의 상단부에 끼워지게 내측에 밀폐홈(51)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홈(51)의 내측에 밀폐돌조(52)를 형성하여 밀폐 효율을 높이며, 외주연에는 뚜껑의 개폐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항아리 장독뚜껑 같은 손잡이(53)를 형성한다. 이때 손잡이(53)는 평소에는 일반쓰레기봉투나 재활용쓰레기를 모으는 비닐봉투 등을 의 손잡이부분을 걸어두기에 편리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밀폐뚜껑(50)의 바깥쪽이 길은 것은 내부에 생긴 악취 등이 뚜껑을 열때 직접 얼굴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가스를 포집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통(100)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투명창(54)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용기(10)의 하부에 일정량의 배출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13)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13)에는 필요시 배출수를 개폐 가능하게 밸브(14)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배출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집수용기(14)에 일정량의 배출수가 차게 되면, 육안으로 확인한 후 밸브(14)를 열어 배출시켜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요인이 되는 배출수가 배출되게 됨으로서 더욱 쾌적한 주방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탈수통 내부에 삽입하는 누름통에 악취제거제 또는 향수등으로 된 액상물질을 채워 일정한 중량을 갖게 함과 동시에 향기를 내어 쾌적한 주방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수를 담수하는 집수용기와 탈수통을 분리 형성함으로서 배출수와 배출수가 분리된 음식물을 처리시 배출수는 집수용기만을 탈착하여 처리하거나, 밸브를 개방시켜 줌으로서 배출수의 처리가 용이하고, 배출수가 분리된 음식물은 탈수통 내부에 걸쳐지게 설치된 여과판만 들어내면 원통형상이 되어 내부에 음식물 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집수용기와 탈수통을 분리 형성함으로서 발생되는 악취를 집수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악취차단홈을 형성하고, 상기 악취차단홈에 물 또는 배출수로 채워줌으로서 밀폐가 확실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집수용기와 탈수통을 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형성하거나 일부분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함으로서 내부에 적재된 음식물과 배출수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쓰레기통
10 : 집수용기 11 : 담수부 12 : 테두리
12a : 악취차단홈 12b: 안내돌조 13 : 배출구
14 : 밸브 20 : 탈수통 21 : 하단부
22 : 단턱 23 : 손잡이 24 : 투명창
30 : 여과판 31 : 여과공 40 : 누름통
41 : 공간부 42 : 마개 43 : 손잡이
50 : 밀폐뚜껑 51 : 밀폐홈 52 : 밀폐돌조
53 : 손잡이 54 : 투명창

Claims (5)

  1. 음식물의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내부중앙에 일정량의 배출수를 담수시킬 있도록 담수부(11)를 형성하고, 상부를 개방시킨 후 개구부의 테두리(12)를 따라 악취차단홈(12a)을 형성한 집수용기(10)와;
    상기 집수용기(10)의 악취차단홈(12a)에 하단부(21)가 끼워져 결합하고, 하부 내주연에 단턱(22)을 형성한 원통형의 탈수통(20)과;
    상기 탈수통(20)의 하부 내주연에 형성한 단턱(22)에 가장자리가 걸쳐지고, 다수개의 여과공(31)을 형성한 여과판(30)과;
    상기 탈수통(20)의 내주연을 따라 여과판(30)의 상부에 위치되게 삽입하고, 외주연에 일정경사(α)를 갖게 상협하광형태로 형성하며, 내부에 일정량의 액상물질을 수납시킬 수 있게 공간부(41)를 형성한 후 상기 공간부(41)에 액상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개폐가능 한 마개(42)를 구비한 누름통(40)과;
    상기 탈수통(20)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하고, 내측에 밀폐홈(51)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홈(51)의 내측에 밀폐돌조(52)를 형성한 밀폐뚜껑(5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10)와 탈수통(20)은 내부에 배출수 및 음식물의 적재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각각 상하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명창(15),(2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10)는 일정량의 배출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13)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13)에는 필요시 배출수를 개폐 가능하게 밸브(14)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30)은 단면형상에서 중앙이 상부를 향하는 아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아치형의 가장자리에 여과공(41)을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통(40)의 외주연은 수직하는 중심축에서 3~10°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부 평면에는 일정폭과 깊이로 요입시킨 후 양측을 연결하여서 되는 손잡이(4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5-0002319U 2005-01-26 2005-01-26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80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319U KR200380871Y1 (ko) 2005-01-26 2005-01-26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319U KR200380871Y1 (ko) 2005-01-26 2005-01-26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871Y1 true KR200380871Y1 (ko) 2005-04-08

Family

ID=4368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319U KR200380871Y1 (ko) 2005-01-26 2005-01-26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8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65Y1 (ko) * 2014-06-05 2015-03-05 강철 음식물 쓰레기 용기
KR20180047357A (ko) * 2016-10-31 2018-05-10 안철환 투명 무동력 무교반 소형 음식물 쓰레기 호기성 발효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65Y1 (ko) * 2014-06-05 2015-03-05 강철 음식물 쓰레기 용기
KR20180047357A (ko) * 2016-10-31 2018-05-10 안철환 투명 무동력 무교반 소형 음식물 쓰레기 호기성 발효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0871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358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US8157106B2 (en) Garbage container with protected drain
KR200367280Y1 (ko)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0172613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30067804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KR20150001245U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KR200328814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40002739U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100665464B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통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164394B1 (ko)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KR100225389B1 (ko)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409833Y1 (ko) 물기제거와 악취 누출이 방지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통
CN210000960U (zh) 一种具有预处理功能的垃圾桶
CN211914943U (zh) 一种垃圾干湿分离机用排水装置
KR20021974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CN218490510U (zh) 一种垃圾分类容器
KR20130081258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CN216995974U (zh) 一种防臭型玻璃钢垃圾桶
CN213263951U (zh) 一种家用固液分离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