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90B1 -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 Google Patents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90B1
KR102348790B1 KR1020200095699A KR20200095699A KR102348790B1 KR 102348790 B1 KR102348790 B1 KR 102348790B1 KR 1020200095699 A KR1020200095699 A KR 1020200095699A KR 20200095699 A KR20200095699 A KR 20200095699A KR 102348790 B1 KR102348790 B1 KR 10234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unit
case
bin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호
Original Assignee
오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호 filed Critical 오승호
Priority to KR102020009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폐기되는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폐기될 음료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폐기될 음료가 전달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폐기될 음료에 포함된 건더기만 거르고 액체는 통과될수 있도록 형성된 거름부; 상기 거름부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음료만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DRINK-ONLY COLLECTION BIN AND RECYCLING WASTE SEPARATION BI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폐기되는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거리나 공원, 건물 안밖 등에 설치된 쓰레기통에 버려진 쓰레기로 인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 요구 및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테이크 아웃 문화의 발달로 인해 외부에서 걸어다니며 음료를 마시는 사람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테이크 아웃 음료 용기 내의 음료가 남김없이 비워지는 것이 아니라, 음료가 테이크 아웃 음료 용기 내에 남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대부분 음료가 테이크 아웃 용기와 분리되지 않은 채로 쓰레기통에 버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음료가 버려진 쓰레기통에는 하루살이, 초파리 등이 들끓게 되고,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며, 먹다남은 음료와 음료 용기를 일일이 분리해야 하는 등 청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지하철 역의 경우에는 박스나 신문지로 버려진 음료의 액체를 흡수하고자 하지만 흡수량에 한계가 있으며, 액체가 흡수된 후에도 냄새가 나서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1833136 B1 (2018.02.28.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기되는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폐기될 음료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폐기될 음료가 전달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폐기될 음료에 포함된 건더기만 거르고 액체는 통과될수 있도록 형성된 거름부; 상기 거름부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음료만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투입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제1결합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깔때기(funnel)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걸림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에 상기 투입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 리브는 상기 제1결합공의 외측에 걸쳐진다.
아울러, 상기 거름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액체 통과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거름부는 상기 투입부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소정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관통된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2걸림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공에 상기 거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 리브는 상기 제2결합공의 외측에 걸쳐진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 중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홈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부를 통과하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부의 직하방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터(caster)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측면은 개방되되 이 개방된 측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음료 전용 수거함, 플라스틱 수거함 및 종이류 수거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폐기될 음료가 케이스부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케이스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부와, 투입부로 투입된 폐기될 음료가 전달되도록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폐기될 음료에 포함된 건더기만 거르고 액체는 통과될수 있도록 형성된 거름부와, 거름부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음료만 저장될 수 있도록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음료에 포함된 건더기와 액체 상태의 음료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폐기되는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케이스로부터 거름부와 저장부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어 청소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하고, 저장부의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를 설치함으로써 저장부를 청소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어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케이스부에 투입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케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케이스부에 투입부, 거름부 및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거름부가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케이스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된 거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가이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거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거름부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투입부가 결합된 케이스부의 내부에 저장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거름부가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저장부가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을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1)은, 케이스부(10), 투입부(20), 거름부(30), 가이드 플레이트(40) 및 저장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부(10)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부(10)는 내구성과 내식성, 강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육면체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투입부(20)는 폐기될 음료가 케이스부(1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케이스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주로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콘(cone) 형태나 기타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입부(20)는 내구성과 내식성, 강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부(30)는 투입부(20)로 투입된 폐기될 음료가 전달되도록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폐기될 음료에 포함된 건더기만 거르고 액체는 통과될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0)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거름부(30)가 결합되어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저장부(50)는 거름부(30)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음료만 저장될 수 있도록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부(10), 투입부(20), 거름부(30), 가이드 플레이트(40) 및 저장부(5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3을 토대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케이스부에 투입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케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부(10)의 상면(11)에는 후술할 투입부(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원형의 제1결합공(11a)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부(10)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측면은 개방되되 이 개방된 측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15)이 설치된다.
이때, 개폐문(15)과 케이스부(10)에는 힌지부(15a)가 각각 형성되어 힌지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케이스부(10)에 개폐문(15)을 설치함으로써 후술할 거름부(30)와 저장부(50)를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고, 케이스부(10) 내부의 악취를 일부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외관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개폐문(15)은 케이스부(10)를 밀폐하는 경우 완전히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5b는 개폐문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이다.
아울러, 후술할 가이드 플레이트(40)가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케이스부(10)의 내면 중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홈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부(13)가 형성된다.
한편, 투입부(20)는 깔때기(funnel)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투입부(20)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걸림 리브(22)가 형성된다.
케이스부(10)의 상면(11)에 형성된 제1결합공(11a)에 투입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걸림 리브(22)는 제1결합공(11a)의 외측에 걸쳐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케이스부에 투입부, 거름부 및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거름부가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케이스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된 거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가이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거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거름부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거름부(3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외주면과 저면(36)에는 복수의 액체 통과 구멍(34)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거름부(30)는 투입부(20)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이러한 거름부(30)는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케이스부(10)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 플레이트(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40)에는 관통된 원형의 제2결합공(42)이 형성되고, 거름부(30)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2걸림 리브(32)가 형성되며, 제2결합공(42)에 거름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걸림 리브(32)는 제2결합공(42)의 외측에 걸쳐지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40)가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케이스부(10)의 내면 중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홈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부(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부(13)는 가이드 플레이트(40)가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라 케이스부(10)의 양측 내면에 각각 한 쌍으로 돌출 형성(위 아래에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의 사이(홈 부분)로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양단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투입부가 결합된 케이스부의 내부에 저장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거름부가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저장부가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에서 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저장부(50)는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거름부(30)를 통과하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거름부(30)의 직하방에 배치된다.
이때, 거름부(30)의 일부는 저장부(5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저장부(5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저장부(5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부(50)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터(caster)(52)가 설치된다.
이처럼 저장부(50)의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52)를 설치함으로써, 액체가 저장된 상당한 중량의 저장부(50)를 청소 장소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을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R)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음료 전용 수거함(1), 플라스틱 수거함(2) 및 종이류 수거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R)은 음료 전용 수거함(1), 플라스틱 수거함(2) 및 종이류 수거함(3)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 : 음료 전용 수거함
2 : 플라스틱 수거함
3 : 종이류 수거함
R :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10 : 케이스부
13 : 슬라이딩 결합부
15 : 개폐문
20 : 투입부
30 : 거름부
40 : 가이드 플레이트
50 : 저장부
52 : 캐스터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폐기될 음료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폐기될 음료가 전달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폐기될 음료에 포함된 건더기만 거르고 액체는 통과될수 있도록 형성된 거름부;
    상기 거름부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음료만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양측단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투입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깔때기(funnel)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걸림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에 상기 투입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 리브는 상기 제1결합공의 외측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액체 통과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상기 투입부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관통된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부의 상단 외주면 둘레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2걸림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공에 상기 거름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 리브는 상기 제2결합공의 외측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 중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홈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부를 통과하는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부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터(caster)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측면은 개방되되 이 개방된 측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개폐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전용 수거함.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음료 전용 수거함, 플라스틱 수거함 및 종이류 수거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20200095699A 2020-07-31 2020-07-31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Active KR10234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99A KR102348790B1 (ko) 2020-07-31 2020-07-31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99A KR102348790B1 (ko) 2020-07-31 2020-07-31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90B1 true KR102348790B1 (ko) 2022-01-07

Family

ID=7935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99A Active KR102348790B1 (ko) 2020-07-31 2020-07-31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136B1 (ko) 2016-07-22 2018-0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 폐기물 처리장치와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처리 가능 쓰레기통
CN209160575U (zh) * 2018-12-11 2019-07-26 曲晓明 一种废弃物储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136B1 (ko) 2016-07-22 2018-0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 폐기물 처리장치와 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처리 가능 쓰레기통
CN209160575U (zh) * 2018-12-11 2019-07-26 曲晓明 一种废弃物储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386B1 (en) Medical waste segregation apparatus with moveable floor
US5398838A (en) Rad recycle bin
US7290674B1 (en) Bifurcated trash bin
US20160251158A1 (en) Recycling Information Tool
US20080251519A1 (en) Waste Module
CA2660683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accumulating matters
WO2004009474A1 (en) Waste recycling bin
KR102348790B1 (ko) 음료 전용 수거함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 수거함
US5007581A (en) Garbage collection device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20180069163A (ko) 가정용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KR20160031313A (ko) 분리수거함
US10414582B2 (en) Trash receptacle for separating liquids and solids
KR200419918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08307599U (zh) 家用生活垃圾分类收集桶
KR20200087966A (ko) 음료수 분리가 저절로 돼는 쓰레기통
KR200314361Y1 (ko) 서랍형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KR20130081258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EP3313756A1 (en) A receptacle for recyclable waste
US20150238988A1 (en) Fitment for polymeric bag within fiber shell container
CN106976673B (zh) 一种环保垃圾箱
US20200002089A1 (en) Trash receptacle for separating liquids and solids
KR20240001442U (ko) 음료쓰레기 분리 배출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180087877A (ko) 의류함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