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99Y1 -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99Y1
KR200262599Y1 KR2020010026629U KR20010026629U KR200262599Y1 KR 200262599 Y1 KR200262599 Y1 KR 200262599Y1 KR 2020010026629 U KR2020010026629 U KR 2020010026629U KR 20010026629 U KR20010026629 U KR 20010026629U KR 200262599 Y1 KR200262599 Y1 KR 200262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stic bag
food waste
decomposab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알렉스승현
Original Assignee
백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기 filed Critical 백인기
Priority to KR2020010026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99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해성 필터와, 이 필터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에 원형 또는 일자형 구멍을 다수개 형성된 분해성 비닐봉지를 이용하므로 필터내의 물기를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가 채워진 필터 또는 비닐봉투를 매립 또는 버린다해도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발효분해되어지는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물기가 통과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해성 필터(1)와, 이 필터(1)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에 원형 또는 일자형 구멍(3 : 4)을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분해성 비닐봉지(2, 2')가 구성되어, 이 비닐봉지(2, 2')에 분해성 필터(1)가 결합되어 걸이구(5) 또는 바구니(6)등에 고정 또는 분리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VINYL CASE OF FOOD AND DRINK WAST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해성 필터와, 이 필터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에 원형 또는 일자형 구멍을 다수개 형성된 분해성 비닐봉지를 이용하므로 필터내의 물기를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가 채워진 필터 또는 비닐봉투를 매립 또는 버린다해도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발효분해되어지는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에 관한 것이다.
보통, 쓰레기는 적절하게 처리및 처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생활공간을 더럽히고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의 보존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쓰레기는 생활폐기물, 각종 슬러지및 산업폐기물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 중 생활폐기물은 부엌찌꺼기및 일반 쓰레기등이며, 도시의 규모와 계절에 따라 다르다.
상기 부엌찌꺼기는 음식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과 식사후 버려지는 것으로 플라스틱, 헝겊, 나무, 가죽, 유리, 금속및 기타 물질들로서 가연성 물질과 불연성 물질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매일 발생된 음식물쓰레기를 보면 채소류가 대부분이고 그외에 육류및 어패류가 차지하고 있다.
일례로 먹고 남은 음식을 그대로 버린다면 비위생적인 처리로 인해 생활환경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고, 가정용 퇴비화 발효용기에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 발효제를 넣어 퇴비 원료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배출된 퇴비원료는 공동 수거용기로 수거및 운반하여 퇴비로 이용할 수 있다.
그래서, 각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를 주방에서 보관용기 또는 비닐봉지등을 이용하여 보관하였다가 공동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거나 쓰레기수거봉투에 넣어 버리곤 하였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하다보면, 문제가 되는 것은특성상 음식물내용물과 더불어 물기가 그대로 남아 있어 이동 또는 부주위 취급으로 인해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어 악취또는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다는 단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분해성 필터와 하단부의 다수구멍이 형성된 분해성 비닐봉지를 결합 사용하므로 필터내의 물기를 자연스럽게 외부로 빠지게 하고, 또 이미 개발된 걸이구및 바구니등에 손쉽게 장착/분리 가능하여 사용후 쓰레기가 채워진 필터 또는 비닐봉투를 매립 또는 버린다해도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발효분해시킬 수 있는 개량된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비닐봉지를 다른 형태로 도시해 놓은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를 사용하는 설치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를 사용하는 다른 설치상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바구니를 사용하는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필터 2, 2' : 비닐봉지
3 : 구멍 4 : 일자형 구멍
5 : 걸이구 6 : 바구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는, 물기가 통과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해성 필터(1)와, 이 필터(1)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에 원형 또는 일자형 구멍(3 : 4)을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분해성 비닐봉지(2, 2')가 구성되어, 이 비닐봉지(2, 2')에 분해성 필터(1)가 결합되어 걸이구(5) 또는 바구니(6)등에 고정 또는 분리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가 일정한 량으로 담겨지는 분해성 필터(1)와, 이 필터(1)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에 원형 구멍(3)을 다수개 형성된 분해성 비닐봉지(2)를 이용하게 되므로, 필터(1)내에 채워진 음식물 물기가 밑으로 모아져 비닐봉지(2)의 다수 원형 구멍(3)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후 음식물쓰레기가 채워진 필터(1) 또는 비닐봉투(2)를 매립 또는 버린다해도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발효분해되어져 자연친화적인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 분해성 필터(1)는 분해 비닐봉지(2)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와 형태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걸이구(5)나 바구니(6), 그리고 적재장소에 따라 적절히 만들 수 있으며, 색깔 또한 여러 가지중에서 선택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상기 분해성 필터(1)는 물기가 통과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고, 충만시 이를 빼내어 손으로 짜서 물기를 충분히 제거후 버릴 수 있다. 상기 분해성 비닐봉지(2)는 이 필터(1)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의 일정한 간격까지 원형 구멍(3)을 다수개로 배열 형성시키고 있고, 상단부로 양쪽의 체결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결합되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는 비닐봉지(2, 2')에 분해성 필터(1)가 결합되어 간편하게 주방 싱크대에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구(5) 또는 바구니(6)등에다 고정 또는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비닐봉지를 다른 형태로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고안의 비닐봉지(2')는 도 1 에 도시된 비닐봉지(2)와 다른 점으로 원형 구멍(3)대신에 일자형 구멍(4)이 형성되어 있어 물기가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적재된 것으로부터 원활히 물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외의 필터(1)나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걸이구(5)나 바구니(6)의 적용및 사용은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걸이구(5)나 바구니(6)는 주방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에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를 적용하여 원활한 물기배출과 차후 버린다해도 필터(1)및 비닐봉지(2, 2')가 분해성이므로 편리하게 사용및 분해시킬 수 있어 위생적이고 자연환경을 훼손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싱크에서 사용시 음식물쓰레기의 물기를 자연스럽게 배출 또는 2 차적으로 손으로 짜내므로 쓰레기량을 줄이면서 이동시 흘러내리는 물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는 여러 종류의 걸이구나 바구니등에 적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술적 요지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크기및 형태, 그리고 색깔로 변형하여 사용해도 좋다.

Claims (1)

  1. 물기가 통과되고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분해성 필터(1)와, 이 필터(1)가 넣어지고 하단부위에 원형 또는 일자형 구멍(3 : 4)을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분해성 비닐봉지(2, 2')가 구성되어, 이 비닐봉지(2, 2')에 분해성 필터(1)가 결합되어 걸이구(5) 또는 바구니(6)등에 고정 또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KR2020010026629U 2001-08-31 2001-08-31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KR200262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29U KR200262599Y1 (ko) 2001-08-31 2001-08-31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29U KR200262599Y1 (ko) 2001-08-31 2001-08-31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99Y1 true KR200262599Y1 (ko) 2002-03-18

Family

ID=7310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29U KR200262599Y1 (ko) 2001-08-31 2001-08-31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18B1 (ko) 2012-01-18 2014-11-18 강택현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그 거치대
KR101578787B1 (ko) 2015-01-29 2015-12-18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물체지지구조를 갖는 비닐봉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18B1 (ko) 2012-01-18 2014-11-18 강택현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그 거치대
KR101578787B1 (ko) 2015-01-29 2015-12-18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물체지지구조를 갖는 비닐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9773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use in a sink
KR200262599Y1 (ko)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KR100685446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JP2007204233A (ja) コーナー水切り袋支持具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RU2697771C1 (ru) Перфорированный мешок для кухонной мойки
JP2000319966A (ja) 流し台用ごみ収納かご
KR200213085Y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JP3141470U (ja) 重石付き生ゴミ用水切り容器
KR200355061Y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DE29515199U1 (de) Versiegelbarer Schalenbehälter aus Kunststoff mit Mehrzweckdeckel zum Abpacken von Lebensmitteln, insbesondere von Fischfeinkosterzeugnissen
GB2435607A (en) A kitchen bin frame
KR200276730Y1 (ko) 음식물 찌꺼기 수거용 봉지
KR920000878Y1 (ko) 쓰레기봉지 걸이대
KR890002110Y1 (ko) 일회용 비닐 휴지통
KR101955400B1 (ko) 쓰레기통
KR200367967Y1 (ko) 음식물 쓰레기통
JPH0527561Y2 (ko)
KR960001958Y1 (ko) 주방용 다용도 세척용기
KR200164897Y1 (ko) 음식물쓰레기건조용비닐봉지
CN2129272Y (zh) 家用垃圾筒
KR200210647Y1 (ko) 음식물쓰레기 물기제거봉투
KR200425994Y1 (ko) 바닥이 뚫려있는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