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085Y1 -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085Y1
KR200213085Y1 KR2020000024086U KR20000024086U KR200213085Y1 KR 200213085 Y1 KR200213085 Y1 KR 200213085Y1 KR 2020000024086 U KR2020000024086 U KR 2020000024086U KR 20000024086 U KR20000024086 U KR 20000024086U KR 200213085 Y1 KR200213085 Y1 KR 200213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food
food waste
tr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억
Original Assignee
신재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억 filed Critical 신재억
Priority to KR2020000024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085Y1/ko

Link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 양측면에 복수의 거취대가 설치된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의 거취대에 각각 거취되며 바닥면에 배수망이 설치된 음식물 채반과, 상기 보관함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음식물 채반으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수집하는 물받이와, 상기 보관함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채반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정에서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때까지 또는 지정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일 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A BOX FOR SCRAPS OF FOOD}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지연시키고 동시에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요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상당량은 음식 쓰레기이며, 그 중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분이 제거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어 많은 환경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조례를 보면, 공포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집, 운반 및 재활용 촉진을 위하여 먹고 난 남은 음식물은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철저하게 분리하여 수거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 실천 방법으로 각 가정마다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 수거가 가능한 특정일 까지 가정에 보관을 하였다가 배출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러기에는 우리의 음식물 특성상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리된 것이라 보관 시 일반 쓰레기 봉투나 밀폐된 쓰레기통에 보관하면 쉽게 부패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들어있는 쓰레기 봉투를 일정량까지 채우기 위하여 묶여있는 쓰레기 봉투를 반복적으로 개방하면 부패된 악취가 심하게 나게되어 쾌적한 실내가 요구되는 집안에서는 보관 관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악취는 송풍기로 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 양측면에 복수의 거취대가 설치된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의 거취대에 각각 거취되며 바닥면에 배수망이 설치된 음식물 채반과, 상기 보관함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음식물 채반으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수집하는 물받이와, 상기 보관함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채반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관함 12, 12' : 본체
14, 14a : 도어 13 : 힌지
15 : 손잡이 16 : 자석
17 : 부착판 18 : 공기 유입공
20 : 음식물 채반 22 : 배수망
24 : 거취대 30 : 물받이
40 : 송풍기 50, 60 : 수납공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10)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캐비넷 형상으로, 본체(12)와 그 전면부를 차지하는 도어(14)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어(14)의 일측 상하부에는 본체(12)와 연결된 힌지(13)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4)의 전면부에는 원형의 손잡이(15)가 위치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적당한 위치에 다수개의 부착판(17)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착판(17)의 재질은 자석에 부착 가능한 금속재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도어(14)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공(18)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2)의 내부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14)의 부착판(17)이 고정되는 자석(16)이 설치되며, 본체(12)의 내측면에는 거취대(24)가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거취대(24)에는 각각 음식물 채반(20)이 거취되고, 음식물 채반(20)의 바닥면은 배수망(2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1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면이 개방된 물받이(30)가 설치되고, 물받이(30)는 적층된 음식물 채반(20)에서 떨어지는 음식물 수분을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크기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보관함(10)의 내부 후면 상부에는 보관함(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4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음식물 보관함의 실시예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상술한 일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는, 보관함(10)의 본체(12') 길이를 하방으로 연장 형성하고, 그 연장부에 일반 쓰레기가 들어있는 쓰레기 봉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50)은 도어(14a)에 의해 개폐되고, 도어(14a) 후면에는 부착판(17)이 설치되며, 상기 부착판(17)과 대응되는 수납공간(50) 내측면에는 자석(16)이 설치되고, 도어(14a)의 하부에는 공기 유입공(18)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2') 물받이(30)는 음식물 채반(20)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수용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본체(12') 내면에 설치된 거취대(24)에 거취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일반 쓰레기가 들어있는 쓰레기 봉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50)은 본체(12)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보관 공간의 옆에 수납공간(6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어(14)를 개방시킨 다음, 본체(12) 내부에 거취된 복수의 음식물 채반(20) 중 아래에 위치하는 음식물 채반(20)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채반(20)에 차례로 수납한 후 도어(14)를 닫는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된 음식물 채반(20)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었던 수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망(22)을 통하여 바닥면에 마련된 물받이(30)에 떨어지게 되고, 송풍기(40)의 구동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송풍기(40)의 구동에 따라서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공(18)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음식물 채반(20)들을 차례로 통과한 후,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40)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입공(18)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지연시키게 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때까지 또는 지정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일 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관함(10)의 설치 장소는 뒤쪽 다용도실 창쪽이 적당하며, 아파트나 주택 신축시에는 싱크대 옆의 한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의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은 일반 쓰레기가 들어있는 쓰레기 봉투를 함께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실내를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에 의하면, 가정에서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때까지 또는 지정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일 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 양측면에 복수의 거취대가 설치된 보관함과, 상기 보관함의 거취대에 각각 거취되며 바닥면에 배수망이 설치된 음식물 채반과, 상기 보관함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음식물 채반으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수집하는 물받이와, 상기 보관함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채반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에 다수의 외부 공기 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에 일반 쓰레기가 들어있는 쓰레기 봉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KR2020000024086U 2000-08-25 2000-08-25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KR200213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86U KR200213085Y1 (ko) 2000-08-25 2000-08-25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86U KR200213085Y1 (ko) 2000-08-25 2000-08-25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085Y1 true KR200213085Y1 (ko) 2001-02-15

Family

ID=7308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086U KR200213085Y1 (ko) 2000-08-25 2000-08-25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0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305A (en) Compost and dry storage enclosure apparatus
US5090785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US6138558A (en) Trash and recycling center
US20060283929A1 (en) Pedal actuated waste disposal bin
WO2006120718A1 (en) Method for the provisional storage of waste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and apparatus thereof
KR100900781B1 (ko) 주방가구에 장착되는 쓰레기 수거함
US6354441B1 (en) Waste disposal and manager system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WO1992007494A1 (en) Inset element for cupboards
KR100685446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13085Y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
US9682817B2 (en) Organic waste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00009956U (ko) 다용도 신발장
CN2345510Y (zh) 一种保洁垃圾箱
KR200388247Y1 (ko) 쓰레기 수납통이 설치된 가구
KR200262599Y1 (ko) 음식물쓰레기 비닐봉지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CN210619130U (zh) 一种便于垃圾分类的垃圾柜
GB2435607A (en) A kitchen bin frame
JPH0975152A (ja) 生ごみ等用冷凍庫
KR200252430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JP2812020B2 (ja) 生ごみ収納装置
KR200324871Y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200337129Y1 (ko) 음식물쓰레기통
JP3006994U (ja) キッチン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