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040B1 -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040B1
KR101888040B1 KR1020150178241A KR20150178241A KR101888040B1 KR 101888040 B1 KR101888040 B1 KR 101888040B1 KR 1020150178241 A KR1020150178241 A KR 1020150178241A KR 20150178241 A KR20150178241 A KR 20150178241A KR 101888040 B1 KR101888040 B1 KR 10188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food waste
container body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567A (ko
Inventor
이정미
장용희
Original Assignee
이정미
장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장용희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15017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2Groove or hollow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57U-shaped or inverted 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68U-shaped or inverted U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용기몸체부가 수납되는 적재대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게 마련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표시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필요한 만큼 조립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적재대에 다수의 용기를 적재가능하며, 적재대로부터 용기를, 용기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Functional food bin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용기몸체부가 수납되는 적재대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게 마련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표시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필요한 만큼 조립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적재대에 다수의 용기를 적재가능하며, 적재대로부터 용기를, 용기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버려지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는 대충 물기를 제거한 후 비닐봉투나 수거통 등에 담아두었다가 외부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등에 버리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에 의해 부패되고, 부패로 인한 악취와 각종 벌레 및 세균 번식 등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각종 식품재료의 조리 부스러기나 먹다 남은 것에서 유래하는 전분, 단백질, 유지류, 섬유류 등의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수분이 많아 소각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많아지고, 소각시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현재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지 않고 동물들의 사료로 사용하게 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는 시간에 따른 부패의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동물들의 사료에 사용할 때는 통상 많은 항생제를 섞어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부패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여 악취 발생 억제는 물론이고 사료 등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냉각 보관 방법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냉각보관하기 위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321호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보관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체, 일단이 상이 용기본체에 담기게 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에 매립되며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냉동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분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쓰레기의 견인수단인 끈부재를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얼려 함께 처분하도록 하거나, 생분해성 소재의 이형필름을 용기본체의 내벽과 음식물쓰레기 사이에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끈부재 또는 이형필름을 계속적으로 준비하고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확인할 수 없어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미흡한 단점도 있었다.
KR 20-0478321 (등록번호) 2015.09.11. KR 10-1447854 (등록번호) 2014.09.29. KR 10-0861501 (등록번호) 2008.09.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용기몸체부가 수납되는 적재대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게 마련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부에 월일을 표시하고 슬라이더바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만큼 조립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적재대에 다수의 용기를 적재가능하고, 상기 용기가 잘 보이는 틀로 이루어진 상기 적재대로부터 상기 용기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면이 다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고, 용기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아 비틀고 일측의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슬라이딩되며 버릴 수 있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외측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한 내측 오목부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부(110)와, 상기 용기몸체부(110)를 덮는 덮개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111)의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절곡되지 아니하고, 그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는 그 가장자리에 형성되면서 상기 테두리부(112)를 내측으로 삽설하는 패킹테두리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1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부(112)는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끝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테두리부(112a)와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의 단부에 연이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외측테두리부(112b)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와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 각각 대향되는 내측패킹부(121a)와 외측패킹부(121b)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부(112)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121)의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형성되는 내측상부볼록부(A)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내측하부볼록부(B)가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는 용기 외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형성되는 외측상부볼록부(C)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외측하부볼록부(D)가 이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는 상기 내측상부볼록부(A)와 상기 내측하부볼록부(B)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는 내측상부오목부(a)와 내측하부오목부(b)가 형성 구비되고, 또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는 상기 외측상부볼록부(C)와 상기 외측하부볼록부(D)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는 외측상부오목부(c)와 외측하부오목부(d)가 형성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용기몸체부(110)는 외부에 돌기(113)가 형성되고,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11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0)는 양측면에 상기 돌기(113)가 내삽되는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122)가 돌출형성되고, 상부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바(1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덮개부(120)의 일측 테두리에는 월(月)이 표시되고 그 반대측 테두리에는 일(日)이 표시되도록 하는 달력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바(130)는 상기 덮개부(120)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덮개부(120)에 표시된 월, 일을 알리는 숫자를 가리키게 마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더바(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3)의 일측이 넓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123)의 내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리브(123a)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바(130)가 빠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은 사각의 틀로 이루어져 모서리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수납판(210)과,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21)가 상, 하부에 돌출형성된 다리(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판(210)과 다리(220)가 결합되며 다단으로 적층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된 용기몸체부(110)가 다수로 수납되는 적재대(200)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용기몸체부가 수납되는 적재대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게 마련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은 상기 덮개부에 월일을 표시하고 슬라이더바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은 필요한 만큼 조립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적재대에 다수의 용기를 적재가능하고, 상기 용기가 잘 보이는 틀로 이루어진 적재대로부터 상기 용기를 쉽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면이 다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고,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비틀어 일측의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가 슬라이딩되며 빠져나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과 음식물쓰레기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냉동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담지되는 용기에 절곡된 부분이 없어 음식물쓰레기가 붙어 있지 않아, 슬라이딩되며 버려져도 용기에 남아있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상태도 및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의 용기몸체부와 덮개부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의 요부 확대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몸체부 및 덮개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이 적재대에 적재된 상태의 사시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다중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부(110)와,
상기 용기몸체부(110)를 덮는 덮개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111)의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그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는 그 가장자리에 형성되면서 상기 테두리부(112)를 내측으로 삽설하여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내용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패킹테두리부(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하부면은 동그란 원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용기몸체부(110)의 하부면이 다중으로 오목하게라고 기재된 부분에서 오목이란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내부에서 보면 하부로 오목하게 파여 있는 것을 뜻하고,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외부에서 보면 하부로 돌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테두리부(112)는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끝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테두리부(112a)와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의 단부에 연이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외측테두리부(112b)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와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 각각 대향되는 내측패킹부(121a)와 외측패킹부(121b)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패킹부(121a)는 상기 덮개부(120)의 끝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패킹부(121b)는 상기 내측패킹부(121a)의 단부에서 연이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112)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형성되는 내측상부볼록부(A)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내측하부볼록부(B)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는 용기 외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형성되는 외측상부볼록부(C)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외측하부볼록부(D)가 이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는 상기 내측상부볼록부(A)와 상기 내측하부볼록부(B)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는 내측상부오목부(a)와 내측하부오목부(b)가 형성 구비되고, 또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는 상기 외측상부볼록부(C)와 상기 외측하부볼록부(D)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는 외측상부오목부(c)와 외측하부오목부(d)가 형성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내용물이 수용된 상기 용기몸체부(110)에 상기 덮개부(120)를 눌러 덮어주게 되면,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에 형성된 이중 볼록형상의 상기 내측상,하부볼록부(A,B)가 각각 상기 덮개부(120)의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 형성되는 상기 내측상,하부오목부(a,b)에 서로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 형성된 이중 볼록형상의 상기 외측상,하부볼록부(C,D)가 각각 상기 덮개부(120)의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상,하부오목부(c,d)에 서로 밀착되면서 패킹되어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저장물이 밀봉되도록 하여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용기몸체부(110)에 상기 덮개부(120)가 덮혀질 때 상기 테두리부(112)에 상기 패킹테두리부(121)가 삽설되어 상기와 같이 상부와 하부 2중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용기의 기밀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는 모서리에 돌출부(124)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몸체부(110)로부터 열기 쉽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돌출부(12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모서리 중에서 한 모서리에만 있거나, 둘 또는 네 모서리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부(110)는 외부에 돌기(113)가 형성되고,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11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0)는 양측면에 상기 돌기(113)가 내삽되는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122)가 돌출형성되고, 상부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바(130)가 설치된다.
상기 돌기(113)는 상기 덮개부(120)의 체결부(122)를 끼울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122)는 반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113)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몸체부(110)로부터 덮개부(120)를 열 때는 체결부(122)를 아래쪽으로 당긴 후 공간을 확보하면서 쉽게 열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용기몸체부(110)를 덮개부(120)로 밀폐시켰을 때는 상기 덮개부(120)가 들리지 않는 안전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몸체부(110)는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1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1)의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일측면의 경사가 더 완만하게 마련되는바,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공간부(111)에 냉동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상기 손잡이(114)를 잡고 비틀어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공간부(111)로부터 분리시켜 떼어지게 하여 경사가 더 완만한 측면방향으로 기울여서 음식물 쓰레기가 슬라이딩되며 용기몸체부(110)로부터 빠져나오게 하고, 용기 내측에 절곡된 부분이 없어 용기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111)는 음식물 쓰레기가 냉동되며 상기 용기몸체부(110)에 붙지 않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기 덮개부(120)에는 일측 테두리에는 월(月)이 표시되고 그 반대측 테두리에는 일(日)이 표시되도록 하는 달력기능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바(130)는 상기 덮개부(120)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두 개가 마련되며, 상기 덮개부(120)에 표시된 월, 일을 알리는 숫자를 가리키도록 가리키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바(1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3)의 일측이 넓게 마련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23)의 내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리브(123a)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바(130)가 가이드홈(123)의 넓은 일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리브(123a)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바(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오목부(131)가 형성되어 손가락 끝을 오목부(131)에 넣고 슬라이더바(130)를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거나, 손가락이 걸리도록 돌기를 형성시켜 슬라이더바(130)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용기몸체부(110)에 보관하고, 상기 덮개부(120)를 덮어 밀폐시키되, 상기 슬라이더바(130)의 오목부(131)에 손가락 끝을 넣고 상기 슬라이더바(130)를 가이드홈(123)에서 이동시켜 월, 일을 표시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오래 냉동실에 보관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실에 적재해 두었다가 버릴 때에는 상기 덮개부(120)가 용기몸체부(11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20)가 들리지 않도록 용기몸체부(110)의 손잡이(114)를 잡고 비튼 후 상기 용기몸체부(11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가 깨지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으로 쏟아버리게 마련되어 비닐봉지 등에 담아둔 일반 음식물 쓰레기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에 냉동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는 부패가 방지되므로 사료 등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틀로 이루어져 상, 하부의 모서리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수납판(210)과,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21)가 상, 하부에 돌출형성된 다리(220)로 이루어지는 적재대(2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납판(210)과 다리(220)가 결합되며 다단으로 적층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된 용기몸체부(110)가 다수로 수납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적재대(200)는 상기 수납판(210)이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의 틀로 이루어지되, 내측에 세로 기둥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수납판(210)의 상, 하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끼움홈(211)에 끼움돌기(221)가 끼워져 다리(220)에 의해 일정 높이를 가지는 적재대(200)로 이루어져 수납판(210)에 수납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적재대(200)는 사각의 틀을 제외한 부분이 투명재질의 소재인 프라스틱 등으로 제조되어 내부가 보이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용기몸체부(110)와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된 용기몸체부(110)가 수납되는 적재대(200)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게 마련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나 세균으로부터 주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상기 덮개부(120)에 월일을 표시하고 슬라이더바(130)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된 날짜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필요한 만큼 조립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적재대(200)에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을 적재가능하고, 상기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이 잘 보이는 틀로 이루어진 적재대(200)로부터 상기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을 쉽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면이 다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111)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고,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114)를 잡아 비틀고 상기 공간부(111)의 일측의 완만하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몸체부(110)로부터 냉동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꺼내고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0 :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110 : 용기몸체부 111 : 공간부
112 : 테두리부 112a: 내측테두리부
112b: 외측테두리부
A:내측상부볼록부 B:내측하부볼록부
C:외측상부볼록부 D:외측하부볼록부
113 : 돌기 114 : 손잡이
120 : 덮개부 121 : 패킹테두리부
121a: 내측패킹부 121b:외측패킹부
a:내측상부오목부 b:내측하부오목부
c:외측상부오목부 d:외측하부오목부
122 : 체결부 123 : 가이드홈
124 : 돌출부
130 : 슬라이더바 131 : 오목부
200 : 적재대
210 : 수납판 211 : 끼움홈
220 : 다리 221 : 끼움돌기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를 냉동보관하기 위한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100)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이 외측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돌출된 외측 돌출부와 상기 외측 돌출부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한 내측 오목부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부(110)와,
    상기 용기몸체부(110)를 덮는 덮개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111)의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절곡되지 아니하고, 그 경사도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는 그 가장자리에 형성되면서 상기 테두리부(112)를 내측으로 삽설하는 패킹테두리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부(1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12)는 상기 용기몸체부(110)의 끝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테두리부(112a)와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의 단부에 연이어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외측테두리부(112b)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와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 각각 대향되는 내측패킹부(121a)와 외측패킹부(121b)로 형성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12)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테두리부(112a)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121)의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형성되는 내측상부볼록부(A)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내측하부볼록부(B)가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외측테두리부(112b)에는 용기 외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에 형성되는 외측상부볼록부(C)와 하부측에 형성되는 외측하부볼록부(D)가 이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패킹테두리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내측패킹부(121a)에는 상기 내측상부볼록부(A)와 상기 내측하부볼록부(B)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는 내측상부오목부(a)와 내측하부오목부(b)가 형성 구비되고, 또 상기 외측패킹부(121b)에는 상기 외측상부볼록부(C)와 상기 외측하부볼록부(D)에 각각 대응되어 밀착되는 외측상부오목부(c)와 외측하부오목부(d)가 형성 구비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부(110)는 외부에 돌기(113)가 형성되고, 상부의 양측에 손잡이(11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0)는 양측면에 상기 돌기(113)가 내삽되는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122)가 돌출형성되고, 상부면의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바(130)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120)의 일측 테두리에는 월(月)이 표시되고 그 반대측 테두리에는 일(日)이 표시되도록 하는 달력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바(130)는 상기 덮개부(120)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덮개부(120)에 표시된 월, 일을 알리는 숫자를 가리키게 마련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사각의 틀로 이루어져 모서리에 끼움홈(211)이 형성되는 수납판(210)과,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21)가 상, 하부에 돌출형성된 다리(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판(210)과 다리(220)가 결합되며 다단으로 적층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된 용기몸체부(110)가 다수로 수납되는 적재대(200)가 구비되는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150178241A 2015-12-14 2015-12-14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10188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41A KR101888040B1 (ko) 2015-12-14 2015-12-14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41A KR101888040B1 (ko) 2015-12-14 2015-12-14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67A KR20170070567A (ko) 2017-06-22
KR101888040B1 true KR101888040B1 (ko) 2018-08-13

Family

ID=5928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41A KR101888040B1 (ko) 2015-12-14 2015-12-14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0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655A (ko) * 2018-08-28 2020-03-09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099953B1 (ko) * 2018-10-12 2020-04-13 전규리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220105695A (ko) 2021-01-20 2022-07-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취 및 탈수 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통
KR20230033865A (ko) * 2021-09-02 2023-03-09 (주)셀텍월드 하향 도킹형 음식물 저장용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03Y1 (ko) * 2018-06-27 2019-01-25 이영규 냉장고용 냉동 잔반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554A (ja) * 2001-09-07 2003-03-11 Yamaha Livingtec Corp ダストボックスワゴン
KR100604397B1 (ko) * 2001-11-29 2006-07-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슬라이더, 재밀폐가능한 체결구 및 램프를 구비한 트랙을 포함하는 용기
WO2011032260A1 (en) * 2009-09-19 2011-03-24 Jennifer Macewan Flexible organic waste receptacle
KR200474222Y1 (ko) * 2012-12-18 2014-08-29 김성수 보관된 음식물의 보관날짜를 표시하는 날짜표시장치가 형성된 보관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501B1 (ko) 2007-04-27 2008-10-02 김대중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
KR101447854B1 (ko) 2014-03-31 2014-10-10 (주)워터풀 악취가 없고 음식물쓰레기 처리후 잔재가 없는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478321Y1 (ko) 2015-04-17 2015-09-17 전형우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554A (ja) * 2001-09-07 2003-03-11 Yamaha Livingtec Corp ダストボックスワゴン
KR100604397B1 (ko) * 2001-11-29 2006-07-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슬라이더, 재밀폐가능한 체결구 및 램프를 구비한 트랙을 포함하는 용기
WO2011032260A1 (en) * 2009-09-19 2011-03-24 Jennifer Macewan Flexible organic waste receptacle
KR200474222Y1 (ko) * 2012-12-18 2014-08-29 김성수 보관된 음식물의 보관날짜를 표시하는 날짜표시장치가 형성된 보관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655A (ko) * 2018-08-28 2020-03-09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115357B1 (ko) * 2018-08-28 2020-06-05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099953B1 (ko) * 2018-10-12 2020-04-13 전규리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220105695A (ko) 2021-01-20 2022-07-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취 및 탈수 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통
KR20230033865A (ko) * 2021-09-02 2023-03-09 (주)셀텍월드 하향 도킹형 음식물 저장용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47162B1 (ko) 2021-09-02 2023-06-26 (주)셀텍월드 하향 도킹형 음식물 저장용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67A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40B1 (ko)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EP1667541B1 (en) Snuff-box lid
US20070215624A1 (en) Self air evacuating system
US20160137411A1 (en) Trash can with bag dispenser
DK178956B1 (en) Transport container having an identification carrier
US20150099044A1 (en) Container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KR101764846B1 (ko) 사용일이 표기된 다중 밀폐기능을 갖는 기밀용기
KR101306572B1 (ko) 반찬용기 보관케이스
JP4178324B2 (ja)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KR102115357B1 (ko)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20130115424A (ko) 보관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200391632Y1 (ko) 다기능 랩커터박스
KR101326136B1 (ko)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KR200406737Y1 (ko) 포장용 에어캡 백
KR102077551B1 (ko)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KR101174655B1 (ko) 김치냉장고의 수납체 이동 장치
CN213677676U (zh) 一种水果保鲜储存盒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200259232Y1 (ko) 확대 렌즈를 갖는 밀폐용기
CN109855343B (zh) 冰箱
KR100433183B1 (ko) 음식물 보관용 용기
CN208790232U (zh) 一种便捷开盖式烟盒
KR200291007Y1 (ko) 음식물 보관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