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21Y1 -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21Y1
KR200478321Y1 KR2020150002494U KR20150002494U KR200478321Y1 KR 200478321 Y1 KR200478321 Y1 KR 200478321Y1 KR 2020150002494 U KR2020150002494 U KR 2020150002494U KR 20150002494 U KR20150002494 U KR 20150002494U KR 200478321 Y1 KR200478321 Y1 KR 200478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ntainer body
lid
froze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전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우 filed Critical 전형우
Priority to KR2020150002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은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게 한 다음 편리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보관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체; 일단이 상기 용기본체에 담기게 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에 매립되며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냉동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분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Wastebasket For Food Waste For Cold Storage}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남은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게 한 다음 편리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어느 가정에서나 남은 음식물을 처리하는 일은 여러모로 수고스럽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조리 또는 식사 후 남은 식재료 또는 음식물을 바로 처리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통 또는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담아 모은다. 그리고 그 용량이 다 차면 아파트 단지 또는 동네 한 곳에 설치된 공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내다 버린다. 즉 며칠 동안은 음식물 쓰레기를 발코니 또는 집안 내 후미진 곳에 보관하였다가 내다 버리게 되는 것이다.
며칠 동안 음식물 쓰레기가 모여지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부패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음식물쓰레기통에는 국물 등이 흘러나와 늘 오염되어 있기 쉽다.
공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내다 버리는 과정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다음 빈 통을 다시 들고 와야 하며, 봉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국물이 흘러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손에 이물질이 묻기도 한다.
이처럼 대한민국의 음식문화에 의하면 가정에서 음식물을 처리하는 일은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씽크대에 설치되는 분쇄 장치가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초기 설치비용이 소요되고 처리 가능한 음식물쓰레기의 양이나 종류에도 제한이 따른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리를 소멸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장치도 있으나 처리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 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5748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37801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초기설치비용이 소요되지 아니하며, 비용이나 편리성 면에서 부담이 없으며, 처리 및 보관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 내지 이 방법에 사용되는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보관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체; 일단이 상기 용기본체에 담기게 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에 매립되며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상태로 냉동 처리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분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리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끈부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리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끈부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끈부재의 타단은 상기 뚜껑체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뚜껑체를 들어올릴 시 상기 뚜껑체와 함께 상기 용기본체 내에 있는 냉동된 음식물쓰레기도 함께 따라 올라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체에는 상기 끈부재가 릴에 감긴 채로 안착될 수 있도록 끈부재 안착부 및 상기 끈부재 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가 소통되도록 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 상에는 상기 끈부재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냉동된 음식물쓰레기가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소재의 이형필름이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과 음식물쓰레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뚜껑체의 가장자리 부분이 손잡이 역할을 하게끔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식사 후 남게 된 음식물을 용기본체에 넣고 이를 냉동실에 보관하게 된다. 용기본체가 가득 차게 되면 사용자는 뚜껑체를 열고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냉동된 음식물쓰레기를 빼내어 이를 들고 아파트 단지 등에 마련된 수거용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면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가 처분시까지 냉동보관되기 때문에 부패 및 그에 의한 악취의 문제가 없고 처리시에도 손에 이물을 묻힐 염려가 없으며 수거용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고 난 후 회수해야 할 것이 없어 바로 외출이 가능하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국물이나 찌꺼기를 흘릴 염려가 없으므로 수거용 음식물쓰레기통 주변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의한 냉동된 음식물 쓰레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먹거나 조리하고 남은 음식물 또는 식재료를 냉동보관하여 하나의 얼음 덩어리로 만든 다음 이것을 집 밖에 비치된 공용의 수거용 음식물 쓰레기통에 내다 버리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그래서 본 고안은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된 용기본체(10)가 준비된다. 용기본체(10)는 냉동보관이 가능한 내한성 소재로 되어 있어야 하며, 안에 담긴 냉동된 음식물쓰레기(1, 도 4 참조. 이하 같음)를 빼내기 쉽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아래가 넓고 위가 좁아서는 아니 되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된 턱 등의 장애물이 있어서는 곤란하다. 다시 말하면 약간이라도 상광하협의 형태라면 좋겠으며 내표면이 매끄러운 것이 좋겠다. 내벽면을 테프론 코팅하여 매끄럽게 함으로써 내용물을 좀 더 잘 빼내도록 할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냉동보관시 용적율을 높이기 위해 대략 사각의 통체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식물쓰레기의 냉동을 위해 가정 또는 영업소에 있는 냉장고가 사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전용 냉장고가 사용될 수도 있다.
뚜껑체(20)가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뚜껑체(20)를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뚜껑체(20)의 가장자리 부분(21)이 손잡이 역할을 하게끔 되어 있다. 즉 뚜껑체의 가장자리 부분(21)이 지붕의 처마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뚜겅체(20)를 열거나 후술되는 끈부재(31)를 잡아당길 때 용기본체(10)를 잡고 있을 수 있도록 용기본체(10)의 외벽에 손잡이와 같은 홀딩수단(미도시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홀딩수단은 용기본체(10)의 외벽으로부터 노브(knob)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면 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단이 용기본체(10)에 담기게 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에 매립되며 타단은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수단이 마련된다. 견인수단은 용기본체(10)에 담긴 상태로 냉동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폐기 처분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견인수단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냉동되며, 그와 함께 처리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끈부재(31)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끈부재(31)의 타단은 뚜껑체(20)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뚜껑체(20)를 들어올릴 시 그와 함께 냉동된 음식물쓰레기(1)도 함께 따라 올라갈 수 있게끔 하고 있다. 여기서 뚜껑체(20)에는 끈부재(31)가 릴에 감긴 채로 안착될 수 있도록 끈부재 안착부 및 끈부재 안착부와 용기본체(10)로 통하도록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끈부재 안착부는 뚜껑체(20)의 중심에 마련되는 원통형 캡체결부(25)에 의해 마련된다. 캡체결부(25)에는 나사식으로 캡(30)이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캡체결부(25)의 중심에는 릴형태로 제공되는 끈부재(31)가 끼워지는 중심봉(2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끈부재(31)는 이 중심봉(22)에 끼워져 회전되면서 풀릴 수 있다. 캡체결부(25) 내부에 있는 바닥에는 끈부재(31)를 인출시키기 위한 통로(2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로(25) 상에 또는 그 주변에는 끈부재(31)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24)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체(20)를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임으로써 칼날(24)을 이용하여 끈부재(31)를 절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사용시에는 끈부재(31)를 다시 풀어 용기본체(10) 내부에 늘어지도록 한 후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되는 것이다.
끈부재(31)를 절단하고 냉동된 음식물쓰레기(1)를 용기본체(10)에서 빼내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사용자는 이 상태로 들고 집을 나서서 수거용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면 된다. 그러므로 버린 곳에서 다시 집안으로 들고 들어와야 하는 물건이 없고 버릴 때 따로 분리해서 처리해야 하는 물품도 없게 된다. 냉동된 음식물쓰레기(1)가 해동되기 전이라면 버리는 과정에서 국물이 바닥으로 흐르거나 냄새가 진동하는 경우도 없게 된다.
첨부된 각 도면에는 끈부재(31)가 한 줄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용기본체(10)의 용량 또는 그 밖에 필요에 따라 두 줄 이상의 끈부재(31)가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과정에서 국물이 없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분하는 경우 얼음 덩어리를 만들기 위해 수돗물을 첨가하여 냉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냉동된 음식물쓰레기(1)가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소재의 이형필름(미도시됨)이 용기본체(10)의 내벽과 음식물쓰레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형필름은 봉투의 형태로 용기본체(10)에 끼워지며 뚜껑체(20)에 의해 가장자리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 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냉동된 음식물쓰레기 10 : 용기본체
20 : 뚜껑체 22 : 중심봉
23 : 통로 24 : 칼날
25 : 캡체결부 30 : 캡
31 : 끈부재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보관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체;
    일단이 상기 용기본체에 담기게 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에 매립되며 타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냉동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분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수단은 냉동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처리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끈부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끈부재의 타단은 상기 뚜껑체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뚜껑체를 들어올릴 때 상기 뚜껑체와 함께 상기 용기본체 내에 있는 냉동된 음식물쓰레기도 함께 따라 올라갈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뚜껑체에는 상기 끈부재가 릴에 감긴 채로 안착될 수 있도록 끈부재 안착부 및 상기 끈부재 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가 소통되도록 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 상에는 상기 끈부재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가장자리 부분이 손잡이 역할을 하게끔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150002494U 2015-04-17 2015-04-17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78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94U KR200478321Y1 (ko) 2015-04-17 2015-04-17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94U KR200478321Y1 (ko) 2015-04-17 2015-04-17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321Y1 true KR200478321Y1 (ko) 2015-09-17

Family

ID=5434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94U KR200478321Y1 (ko) 2015-04-17 2015-04-17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567A (ko) 2015-12-14 2017-06-22 이정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024655A (ko) 2018-08-28 2020-03-09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099953B1 (ko) 2018-10-12 2020-04-13 전규리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567A (ko) 2015-12-14 2017-06-22 이정미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0024655A (ko) 2018-08-28 2020-03-09 이정미 음식물 쓰레기 냉동용기
KR102099953B1 (ko) 2018-10-12 2020-04-13 전규리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321Y1 (ko)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EP3393938B1 (en) Device for prolonging the storage of organic waste
CN108430287A (zh) 用于水槽的一次性容器
KR10095881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A2545497A1 (fr) Contenant isolant ayant un compartiment amovible pouvant aller au four a micro-ondes
KR200413055Y1 (ko) 음식물쓰레기 냉장보관장치
JPH0721607U (ja) 生ゴミの冷凍冷蔵処理容器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070011653A (ko) 음식물 쓰레기통
JPH06156606A (ja) 生ごみ処理器
KR101646956B1 (ko) 다용도 물품보관대
KR102039835B1 (ko) 버리는 음식물 처리기
KR101127109B1 (ko) 기능성 쓰레기통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AU2005100555A4 (en) Automatic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Unit
CN205738968U (zh) 一种地埋式垃圾桶
KR200437809Y1 (ko) 음식물쓰레기통
US20170088347A1 (en) Trash Bag Apparatus
US20070074531A1 (en) Whiff-Resistant Trash Container
KR101544711B1 (ko) 다중 지퍼백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봉투
AU2003100783A4 (en) A device for animal faeces
GB2558948A (en) A waste collecting apparatus
CN210479524U (zh) 一种保温堆肥桶
AU2021105581A4 (en) Waste disposal bin
CN211922862U (zh) 一种带有嵌入式厨余垃圾收储装置的家用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