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62Y1 - 미술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미술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62Y1
KR200482762Y1 KR2020160006200U KR20160006200U KR200482762Y1 KR 200482762 Y1 KR200482762 Y1 KR 200482762Y1 KR 2020160006200 U KR2020160006200 U KR 2020160006200U KR 20160006200 U KR20160006200 U KR 20160006200U KR 200482762 Y1 KR200482762 Y1 KR 200482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llet
main body
paints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신
Original Assignee
김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신 filed Critical 김영신
Priority to KR2020160006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2Pal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미술용 팔레트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미술용 팔레트는, 손가락이 끼워져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팔레트 본체; 물감이 내부에 보관되되 평상 시 외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 및 상기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이 배치되도록 상기 팔레트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술용 팔레트{PALLET FOR ART}
본 고안은, 미술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술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미술용 팔레트는 수채화나 유화를 그릴 때 물감을 풀어서 조합하는 데 쓰는 회화기구로서, 조색판(調色板)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미술용 팔레트는 합성수지, 목재, 금속, 도기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성형이 잘 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내수성이 좋은 합성수지제 또는 철제가 주로 적용된다.
미술용 팔레트는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지는데, 평판 형태뿐만 아니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도 개시되고 있다. 접이식 팔레트는 힌지를 축으로 하여 두 면을 상호 접철시킴으로써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1)는 팔레트 본체(2)와, 팔레트 본체(2) 내의 둘레에 마련되는 다수의 물감 수용부(4)를 포함한다.
물감 수용부(4)는 서로 격리되게 칸막이 형태로 구획되며, 종류별 물감을 짜서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물감 수용부(4)의 주변에는 붓으로 물감을 섞어 혼합하기 위한 물감 혼합판(6)이 형성된다.
한편, 도 1과 같은 형태의 미술용 팔레트(1)가 매우 일반적인 것인데, 이와 같은 미술용 팔레트(1)의 경우에는 물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미술용 팔레트(1)는 도 1처럼 물감 수용부(4)가 오픈(open)된 형태라서 물감 수용부(4) 내의 물감을 다 사용하지 않는 한 굳어서 나중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아크릴물감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3044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272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868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32321호
본 고안의 목적은,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술용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손가락이 끼워져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팔레트 본체; 물감이 내부에 보관되되 평상 시 외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 및 상기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이 배치되도록 상기 팔레트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는 홀(hole)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팔레트 본체의 일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본체 내에는 상기 팔레트 본체의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감 보관용 하우징은, 상기 물감이 보관되는 물감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는 이중덮개로서 내측의 그루브에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부가 끼워져 밀봉되며, 상기 하우징 덮개의 표면은 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감 보관용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덮개에 연결되는 연결 바아; 상기 연결 바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를 회전시키는 V홈 형상의 막형 힌지부; 상기 하우징 덮개의 일측에 마련되는 로커;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로커가 로킹되는 로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 벽면에는 메인 레일블록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서브 레일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의 벽면에는 다수의 장식용 띠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덮개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배치부에는 상기 메인 레일블록과 상기 한 쌍의 서브 레일블록에 레일 맞물림되는 메인 레일과 한 쌍의 서브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하우징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에 적용되는 물감 보관용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동작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5에 대응되는 요부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하우징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4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100)는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팔레트 본체(110)와,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팔레트 본체(110)는 넓은 판상형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팔레트 본체(110)가 대략 직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팔레트 본체(110)의 일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져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구(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한 손으로 팔레트 본체(110)를 파지하기에 용이하다.
팔레트 본체(110)의 일측에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이 배치되는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1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120)는 홀(hole) 형상을 가지며, 팔레트 본체(110)의 일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하지만, 이의 구조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하우징 배치부(120)는 홀(hole)이 아닌 홈의 형상이 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이 홈 형상의 하우징 배치부(미도시)에 끼워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은 도 2처럼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120)에 하나씩 끼워져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모든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은 물감이 내부에 보관되되 평상 시 외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물감이 마르는 현상을 예방한다.
이러한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은 물감이 보관되는 물감 보관공간(140a)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40)와, 하우징 본체(14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덮개(150)는 회동식으로 적용된다. 이에, 하우징 본체(140)와 하우징 덮개(150)는 연결 바아(141)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 바아(141)의 일측에는 V홈 형상의 막형 힌지부(142)가 형성된다. 이처럼 연결 바아(141)에 V홈 형상의 막형 힌지부(142)가 형성될 경우, V홈 형상의 막형 힌지부(142)를 기초로 해서 도 7처럼 하우징 덮개(15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경첩이나 별도의 힌지핀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우징 덮개(150)는 이중덮개로서 내측에는 그루브(152)가 형성된다. 하우징 덮개(150)의 그루브(152)는 하우징 본체(140)의 상단부에 끼워져 밀봉된다. 따라서 밀봉의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덮개(150)의 표면은 투명한 재질을 갖는다. 따라서 내장된 물감의 색상을 외부에서 확인하기가 좋다.
하우징 덮개(150)의 일측에는 후크 타입의 로커(151)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140)의 일측에는 로커(151)이 로킹되는 로킹부(144)가 마련된다. 로킹부(144)는 걸림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로커(151)와 로킹부(144)의 구조로 인해 하우징 덮개(15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덮개(150)를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 덮개(150)의 일측에는 손잡이(153)가 마련된다.
하우징 본체(140)의 일측 벽면에는 메인 레일블록(14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서브 레일블록(146)이 형성된다. 메인 레일블록(145)과 서브 레일블록(146)들은 하우징 배치부(120)의 벽면에 끼워져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하우징 본체(140)의 벽면에는 다수의 장식용 띠형 돌기(147)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장의 미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 덮개(150)를 열고 하우징 본체(140)의 물감 보관공간(140a)에 물감을 넣은 후, 하우징 덮개(150)를 닫고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을 하우징 배치부(120)에 배치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필요한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의 하우징 덮개(150)를 열고 사용한 후 닫게 되면 물감이 마르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200) 역시, 팔레트 본체(210)와, 팔레트 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팔레트 본체(210)는 전술한 실시예와 약간 상이한 구조를 가지며,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들은 팔레트 본체(210)의 3변에 걸쳐 배치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300) 역시, 팔레트 본체(310)와, 팔레트 본체(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팔레트 본체(310) 내에는 팔레트 본체(310)의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315)이 마련된다. 이럴 경우, 물감을 섞는 장소가 여러 군데가 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400) 역시, 팔레트 본체(410)와, 팔레트 본체(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팔레트 본체(410)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둘레에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130)이 배열된다. 팔레트 본체(410) 내에는 팔레트 본체(410)의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415)이 마련된다.
그리고 팔레트 본체(410)의 손가락 배치구(411) 주변에는 손가락 배치홈부(412)가 함몰되게 형성되는데, 이의 구조로 인해 한 손으로 팔레트 본체(410)를 쉽게 파지할 수 있게끔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요부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500) 역시, 팔레트 본체(510)와, 팔레트 본체(510)의 하우징 배치부(5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팔레트 본체(510)의 하우징 배치부(520)에는 물감 보관용 하우징(530)에 형성되는 메인 레일블록(145)과 한 쌍의 서브 레일블록(146)에 레일 맞물림되는 메인 레일(521)과 한 쌍의 서브 레일(522)이 형성된다. 이럴 경우, 하우징 배치부(520)에서 물감 보관용 하우징(530)이 임의로 쉽게 빠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에 적용되는 물감 보관용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물감 보관용 하우징(630) 역시, 물감이 보관되는 물감 보관공간(640a)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640)와, 하우징 본체(64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6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하우징 본체(640)와 하우징 덮개(650)는 단면 원형의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640)와 하우징 덮개(650) 역시, V홈 형상의 막형 힌지부(642)가 형성된다. 이처럼 연결 바아(641)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의 일부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동작도, 그리고 도 16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5에 대응되는 요부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용 팔레트(700) 역시, 하우징 배치부(720)를 구비하는 팔레트 본체(710)와, 팔레트 본체(710)의 하우징 배치부(7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감 보관용 하우징(7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물감 보관용 하우징(730)은 물감이 보관되는 물감 보관공간(740a)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740)와, 하우징 본체(74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750)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740)와 하우징 덮개(750) 사이에는 하우징 덮개(750)의 회동을 위한 힌지(H)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하우징 본체(740)의 내벽(740b)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이럴 경우, 물감 보관공간(740a) 내의 물감이 아래로 향하면서 모아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하우징 덮개(750)의 내부에는 물을 포함하는 용해제가 수용되는 용해제 수용부(751)가 형성된다.
하우징 덮개(750)의 용해제 수용부(751)로 용해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750)의 일측에 마개(752)가 마련된다. 하우징 덮개(750)의 바닥(753)에는 다수의 통공(754)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 덮개(75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통공(754)을 개폐하는 회전식 노브(755)가 마련된다.
회전식 노브(755)는 용해제 수용부(751) 내에서 통공(754)의 개폐하는 통공 개폐판(756)과, 일단부는 용해제 수용부(751) 내에서 통공 개폐판(756)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우징 덮개(7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네크(757)와, 하우징 덮개(750)의 외측에서 네크(757)와 연결되는 회전 손잡이(758)를 포함한다.
이때, 통공(754)은 하우징 덮개(750)의 바닥(753) 일측에만 형성되며, 통공 개폐판(756) 역시, 회전동작에 의해 통공(75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사이즈를 갖는다.
이에, 도 14 및 도 16과 같은 상태에서는 회전식 노브(755)의 통공 개폐판(756)이 통공(754)을 가리기 때문에 용해제 수용부(751) 내의 용해제가 하우징 본체(740)의 물감 보관공간(740a)으로 투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도 15 및 도 17처럼 회전 손잡이(758)를 회전시키게 되면 통공 개폐판(756)의 작용으로 통공(754)이 개방되기 때문에 이때는 용해제 수용부(751) 내의 용해제가 하우징 본체(740)의 물감 보관공간(740a)으로 투입되어 물감으로 향한다. 도 15 및 도 17과 같은 경우는 혹시라도 물감 보관공간(740a) 내의 물감이 굳은 경우에 굳은 물감을 풀어서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방안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짜놓은 물감이 설사 남더라도 나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미술용 팔레트 110 : 팔레트 본체
111 : 손가락 배치구 120 : 하우징 배치부
130 : 물감 보관용 하우징 140 : 하우징 본체
140a : 물감 보관공간 141 : 연결 바아
142 : 막형 힌지부 144 : 로킹부
145 : 메인 레일블록 146 : 서브 레일블록
147 : 장식용 띠형 돌기 150 : 하우징 덮개
151 : 로커 152 : 그루브
153 : 손잡이

Claims (9)

  1. 손가락이 끼워져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팔레트 본체;
    물감이 내부에 보관되되 평상 시 외부에 대하여 기밀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 및
    상기 다수의 물감 보관용 하우징이 배치되도록 상기 팔레트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감 보관용 하우징은,
    상기 물감이 보관되는 물감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덮개에 연결되는 연결 바아;
    상기 연결 바아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를 회전시키는 V홈 형상의 막형 힌지부;
    상기 하우징 덮개의 일측에 마련되는 로커;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로커가 로킹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우징 배치부는 홀(hole)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팔레트 본체의 일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본체 내에는 상기 팔레트 본체의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는 이중덮개로서 내측의 그루브에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부가 끼워져 밀봉되며,
    상기 하우징 덮개의 표면은 투명한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 벽면에는 메인 레일블록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서브 레일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벽면에는 다수의 장식용 띠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덮개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배치부에는 상기 메인 레일블록과 상기 한 쌍의 서브 레일블록에 레일 맞물림되는 메인 레일과 한 쌍의 서브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팔레트.
KR2020160006200U 2016-10-25 2016-10-25 미술용 팔레트 KR200482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00U KR200482762Y1 (ko) 2016-10-25 2016-10-25 미술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00U KR200482762Y1 (ko) 2016-10-25 2016-10-25 미술용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762Y1 true KR200482762Y1 (ko) 2017-03-13

Family

ID=5841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00U KR200482762Y1 (ko) 2016-10-25 2016-10-25 미술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15B1 (ko) 2017-08-07 2019-02-01 이헌양 미술용 팔레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41A (ko) 1998-12-31 1999-04-26 권영재 지류접착테이프용 접착제 조성물
KR20010027206A (ko) 1999-09-11 2001-04-06 손용찬 숯을 이용한 온돌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227286Y1 (ko) * 2001-01-12 2001-06-15 주식회사아모스 물감저장용기
KR20030008685A (ko) 2001-07-19 2003-01-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KR20030032321A (ko) 2001-10-17 2003-04-26 송민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24373A (ko) * 2005-05-31 2006-12-05 유지주 덮개가 구비된 물감 수용칸을 갖는 팔레트
KR20110011870U (ko) * 2010-06-18 2011-12-26 권오용 보관용기
KR101521853B1 (ko) * 2015-02-26 2015-05-21 서민진 색상 교환이 용이한 미술용 팔레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41A (ko) 1998-12-31 1999-04-26 권영재 지류접착테이프용 접착제 조성물
KR20010027206A (ko) 1999-09-11 2001-04-06 손용찬 숯을 이용한 온돌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227286Y1 (ko) * 2001-01-12 2001-06-15 주식회사아모스 물감저장용기
KR20030008685A (ko) 2001-07-19 2003-01-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오류 전파 방지를 위한 공간 예측방법
KR20030032321A (ko) 2001-10-17 2003-04-26 송민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24373A (ko) * 2005-05-31 2006-12-05 유지주 덮개가 구비된 물감 수용칸을 갖는 팔레트
KR20110011870U (ko) * 2010-06-18 2011-12-26 권오용 보관용기
KR101521853B1 (ko) * 2015-02-26 2015-05-21 서민진 색상 교환이 용이한 미술용 팔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15B1 (ko) 2017-08-07 2019-02-01 이헌양 미술용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4474B2 (en) Paint brush storage and protection device
KR200482762Y1 (ko) 미술용 팔레트
KR100886456B1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KR200372597Y1 (ko)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KR100852912B1 (ko) 물통이 구비된 그림물감용 회전식 파레트
KR200480640Y1 (ko) 미술용 팔레트
KR100698490B1 (ko) 덮개가 구비된 물감 수용칸을 갖는 팔레트
KR20090011200U (ko) 회화용 파레트
CN208746617U (zh) 一种内衬盖
KR200462137Y1 (ko) 물감용기
KR101945115B1 (ko) 미술용 팔레트
KR200354814Y1 (ko) 두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이중용기
CN206750535U (zh) 一种人参托盘及人参存储装置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AU2008100643A4 (en) Multi-Purpose Waterproof Case
KR200312983Y1 (ko) 그림물감용기
CN208290821U (zh) 一种油画调色盒
CN220429751U (zh) 一种具有防止颜料相互流渗的调色盒
CN215792946U (zh) 一种便于清洁和移动的颜料盒
KR200493693Y1 (ko) 슬라이딩 잠금 구조를 구비하는 식품용기
KR102369558B1 (ko) 바인더형 팔레트
CN210416065U (zh) 多功能颜料桶
KR200337796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KR20170000053U (ko) 화장품 용기
KR200383102Y1 (ko) 그림물감용 파레트의 로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