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796Y1 -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 Google Patents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796Y1
KR200337796Y1 KR20-2003-0032614U KR20030032614U KR200337796Y1 KR 200337796 Y1 KR200337796 Y1 KR 200337796Y1 KR 20030032614 U KR20030032614 U KR 20030032614U KR 200337796 Y1 KR200337796 Y1 KR 200337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ing
partition
auxiliar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화
Original Assignee
최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화 filed Critical 최동화
Priority to KR20-2003-0032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분할용기에 있어서, 특히 메인용기의 테두리부와 분할용기의 테두리부를 개별적으로 패킹하여 밀폐기능을 보다 강력하게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에 관한 것으로,
덮개의 외곽에 메인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2중 칸막이를 형성하고, 또한 덮개의 내측에 보조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1자형태 또는 십자형태의 2중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제 1 패킹과,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에 삽입되어 밀폐되는 제 2 패킹으로 이루어져, 메인용기와 보조용기의 밀폐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고;
본 고안은 덮개에 2중 칸막이를 보조용기 개수만큼 더 설계하고, 메인용기를 밀착하기 위한 제 1 패킹과 보조용기를 밀착하기 위한 제 2 패킹을 아울러 더 구비하여 메인용기의 밀착은 물론 보조용기의 밀착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용기가 탑재되는 다분할 용기의 밀착성이 뛰어나게 이루어져 보조용기에 투입된 음식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확실하게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A Partition Box Having Sealing Structure}
본 고안은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용기의 테두리부와 분할용기의 테두리부를 개별적으로 패킹하여 밀폐기능을 보다 강력하게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음식물을 임시 저장하는데 이용되며, 특히 음식물을 구성하는 음식의 내용물이나 기타 내부의 액상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밀폐용기는 철재류도 소량 생산되지만 주로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은 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담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를 덮는 덮개(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200)에는 밀폐기능을 하는 패킹(300)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0) 및 덮개(200)에는 각각 결합구조가 더 형성되어 있어 본체에 음식물을 담은 다음 덮개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본체의 결합구조에 결합시키도록 하며, 이때 패킹(300)의 작용으로 본체에 있는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300)은 덮개의 내측면에 형성하되, 본체의 상부 테두리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며, 주로 덮개(200)에 2중 칸막이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실리콘 패킹(300)이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면과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요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개의 큰 본체(100)내부에 다수개의 보다 작은 용기(400)가 다수개 맞물려 배치되도록, 다양한 반찬을 구획하여 간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작은 용기의 밀폐구조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과정에서 각각의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위로 넘치게 되어 서로 섞이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분할구조로 이루어진 밀폐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소형용기도 각각 밀폐시킬 수 있는 패킹구조를 부가토록 하여 다수개의 소형용기가 배치되는 용기 내부에서 음식물이 섞이는 것을 막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부피가 비교적 큰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분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용기 및, 상기 메인용기를 커버링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분할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곽에 메인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2중 칸막이를 형성하고, 또한 덮개의 내측에 보조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1자형태 또는 십자형태의 2중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제 1 패킹과,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에 삽입되어 밀폐되는 제 2 패킹으로 이루어져, 메인용기와 보조용기의 밀폐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와 매인용기용 2중 칸막이는 직사각형 2중 칸막이와 십자형태의 칸막이가 결합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패킹과 제 1 패킹은 직사각형 라인의 내부에 십자형 수평수직라인이 결합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기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분할용기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용기 110: 걸림리브
120: 걸림턱 200: 덮개
210: 잠금날개 220: 필름힌지
230: 삽입홀 240: 메인용기용 칸막이
250: 보조용기용 칸막이 260: 지지용 칸막이
300: 패킹 310: 제 1 패킹
320: 제 2 패킹 400: 보조용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밀폐용기를 종래 기술을 설명한 도 2와 본원고안을 설명한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밀폐용기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제작되며, 크게 메인용기(100)와, 상기 메인용기(100)에 삽입 배치되어 음식물을 각각 분할하여 담는 보조용기(400)와, 상기 보조 용기(400)와 메인용기(100)의 개구에 결합되어 잠금기능을 하는 덮개(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용기(100)와 덮개(200)에는 밀폐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먼저, 메인용기(100)에는 메인용기의 개구 연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본체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한 걸림리브(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리브(110)에는 걸림리브의 돌출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동안 연장된 걸림턱(120)이 메인용기(100)의 개구 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00)에는 덮개의 연부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잠금날개(210)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날개(210)는 필름힌지(220)에 의해 덮개(200)로부터 회동가능하도록 덮개(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잠금날개(210)에는 본체의 걸림턱(120)이 삽입되는 삽입홀(230)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00)의 하부에는 본체의 개구면에 접촉하는 영역에 패킹(300)이 설치되어 메인용기(100) 및 보조용기(400)와 덮개(200)의 결합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패킹(300)은 각각의 소형용기를 밀폐시키도록 소형용기의 개구면을 따라서 설치되는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개의 소형용기일 경우 4개의 패킹구조가 더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는 덮개(200)에 설치되는 패킹(300)의 구조를 변화시켜 이중밀폐용기의 밀폐성능을 대폭 향상하였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덮개(200)의 외곽에 메인용기(100)를 밀폐하기 위한 2중 칸막이(240)를 형성하고, 또한 덮개(200)의 내측에 보조용기(400)를 밀폐하기 위한 1자형태 또는 십자형태의 2중 칸막이(250)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240)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제 1 패킹(310)과,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250)에 삽입되어 밀폐되는 제 2 패킹(320)으로 구성하였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240)와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250)를 덮개(200)에 형성하되,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250)는 일자 또는 십자형태의 지지용 칸막이(260) 및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240)중 내측 칸막이를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에 결합되는 패킹은 메인용기(100)를 밀폐하는 제 1 패킹(310)과 보조용기용 제 2 패킹(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패킹(310)과 제 2 패킹(320)은 별도로 분할되며, 상기 제 2 패킹(320)은 보조용기(40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결합된다.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250)이는 십자형태의 지지용 칸막이(260)를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는바, 이는 제 2 패킹(320)을 결합하였을때 상기 제 2 패킹(320)이 각각 보조용기(100)를 보다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패킹(310)과 제 2 패킹(320)은 덮개(200)에 형성되는 2중 칸막이(240, 250)에 삽입되기 때문에 완벽하게 지지되어 외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용기(100)에 적용하는 칸막이(240)가 구비되고, 십자형태의 보조용기용칸막이(250)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250)는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240)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결합되는 제 2 패킹(320)은 제 1 패킹(310)과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사각형태의 제 1 패킹(310)에 십자형태의 제 2 패킹(320)이 결합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제 1 패킹(310)이 메인용기(100)의 밀폐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보조용기(400)의 밀폐에도 관여하여 결국 메인용기(100)와 보조용기(400)를 동시에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인용기(100)의 밀폐와 동시에 보조용기(400)중 2개면이 겹쳐지면서 제 1 패킹(310)에 의해서 밀폐되고, 제 2 패킹(320)에 의해서 나머지 2개면이 눌려지면서 밀폐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밀폐용기의 사용시에는, 덮개(200)의 제 1 패킹(310)과 제 2 패킹(320)이 메인용기(100)와 보조용기(400)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결합시킨 다음, 덮개(200)의 잠금날개(210)를 걸림턱(120)을 향해 회동시켜 잠금날개(210)의 삽입슬롯(230)에 걸림턱(120)이 삽입되도록 한다.
결국, 본 고안은 분할용기를 이루는 메인용기(100)와 보조용기(400)를 각각 독립적으로 밀폐하게 되므로 보조용기(400)에 수납되는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게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중으로 밀폐작용을 하고 있어 외부로 음식물이 세는 것을 이중으로 막을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에 2중 칸막이를 보조용기 개수만큼 더 설계하고, 메인용기를 밀착하기 위한 제 1 패킹과 보조용기를 밀착하기 위한 제 2 패킹을 아울러 더 구비하여 메인용기의 밀착은 물론 보조용기의 밀착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용기가 탑재되는 다분할 용기의 밀착성이 뛰어나게 이루어져 보조용기에 투입된 음식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확실하게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3)

  1. 부피가 비교적 큰 메인용기와, 상기 메인용기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분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용기 및, 상기 메인용기를 커버링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분할용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용기와 보조용기의 밀폐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덮개의 외곽에 메인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2중 칸막이를 형성하고, 덮개의 내측에 보조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1자형태 또는 십자형태의 2중 칸막이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용기용 2중 칸막이에 삽입되어 밀폐하는 제 1 패킹과,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에 삽입되어 밀폐되는 제 2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용 2중 칸막이와 매인용기용 2중 칸막이는 직사각형 2중 칸막이와 십자형태의 칸막이가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킹과 제 1 패킹은 직사각형 라인의 내부에 십자형 수평수직라인이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KR20-2003-0032614U 2003-10-17 2003-10-17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KR200337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14U KR200337796Y1 (ko) 2003-10-17 2003-10-17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614U KR200337796Y1 (ko) 2003-10-17 2003-10-17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796Y1 true KR200337796Y1 (ko) 2004-01-07

Family

ID=4942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614U KR200337796Y1 (ko) 2003-10-17 2003-10-17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7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533B1 (ko) * 2020-07-31 2022-01-17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230162757A (ko) 2022-05-21 2023-11-28 심민정 원터치 뚜컹 칸칸이 반찬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533B1 (ko) * 2020-07-31 2022-01-17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230162757A (ko) 2022-05-21 2023-11-28 심민정 원터치 뚜컹 칸칸이 반찬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420B2 (en) Discharge container
TWM517558U (zh) 分離容納多種霜類化妝品之具備多層隔室之化妝品容器
ATE276149T1 (de) Behälter mit zwei oder mehr abteilungen
US20020096525A1 (en) Selectively divisible liquid container with removable divider
KR890000064A (ko) 소금 및 후추뿌리개
KR200337796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휴대용 다용도 분할용기
US9758285B2 (en) Bag in box packaging having an inserted panel for receiving a spout of the bag for corner dispensing
KR200417212Y1 (ko) 케이크 포장상자
BRPI0610290A2 (pt) disposição de fechamento
KR20180003174U (ko) 다수개의 수납부와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6892176B (zh) 一种食品分隔储存盒
JP2000062788A (ja) 二液混合容器
KR200283390Y1 (ko) 이중용기
CN205958593U (zh) 一种排枪加样槽
KR101613908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0478760Y1 (ko) 칸칸 밀폐 용기
KR100656565B1 (ko)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200462545Y1 (ko) 샴푸 린스 이중용기
BR0115496A (pt) Capa de fechamento para recipientes com câmaras duplas
JP2001097386A (ja) 2成分混合容器
KR20200086161A (ko)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JP2002104548A (ja) 二剤貯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