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587B1 -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587B1
KR102175587B1 KR1020180136376A KR20180136376A KR102175587B1 KR 102175587 B1 KR102175587 B1 KR 102175587B1 KR 1020180136376 A KR1020180136376 A KR 1020180136376A KR 20180136376 A KR20180136376 A KR 20180136376A KR 102175587 B1 KR102175587 B1 KR 10217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ainer body
container
mixing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19A (ko
Inventor
여수빈
Original Assignee
(주)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톨리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0000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는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와; 상기 차단부재(20)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을 갖는 천공부재(40)와; 상기 천공부재(40)를 가압하는 탄성 재질의 버튼부재(5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버튼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40)를 차단부재(20)로 씌워 결합함에 따라, 충전 시 제2내용물(C2)의 손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Mixing contianer in which two contents are easily mixed}
본 발명은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일측에 삽입되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제1,2내용물 충전 시, 용기뚜껑이 결합된 용기본체를 거꾸로 세워 제1내용물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 내에 제2내용물을 충전한 다음, 상기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워서 결합한 후 뒤집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내용물이 충전된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우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제2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내용물이 충전된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워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본체에 결합할 수 있어 혼합용기의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은 서로 혼합된 상태에서 유통이나 보관하게 되면 화학작용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각각 다른 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시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해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90095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혼합용기는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고 중앙부에 단턱이 형성된 화장품용기와, 상기 화장품용기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턱에 얹히는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 상부에 얹혀지며 내부에 에센스가 내장된 에센스용기로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용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상기 파우더와 겔상의 에센스를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겔상의 에센스와 파우더를 섞기 위해 화장품용기로부터 에센스용기를 분리한 후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기 에센스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파우더가 수용된 화장품용기 내측에 부어 혼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겔상의 에센스와 파우더 혼합 시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흘러나와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69670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혼합용기는 내측에 개방돌기가 형성된 상부뚜껑과 상부뚜껑 하부로 결합되고 분말이 수용되는 하부뚜껑 및 하부뚜껑 하부에 결합되며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에 하부뚜껑 및 상부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뚜껑을 회전시키면 하부로 회전이동 되면서 상기 상부뚜껑의 개방돌기가 하부뚜껑에 형성된 보조용기 바닥면을 뚫어 분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하부뚜껑에 수용되어 있던 분말을 용기 내에 낙하시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던 액체와 섞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생산과정에서 상기 하부뚜껑의 보조용기에 분말을 충전시키고 상기 상부뚜껑을 하부뚜껑에 조립할 때, 상기 상부뚜껑의 개방돌기에 의해 상기 보조용기 바닥면이 파손됨으로써 상기 보조용기 내에 충전된 분말이 새어나오는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상부뚜껑 회전 시 상부뚜껑 내측에 형성된 개방돌기가 하부로 회전이동 하면서 상기 하부뚜껑의 보조용기 바닥면을 절개함에 따라, 상기 보조용기 바닥면의 절개된 잔여물이 상기 보조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던 분말과 함께 용기 내로 낙하하면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에 섞여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일측에 삽입되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제1,2내용물 충전 시, 용기뚜껑이 결합된 용기본체를 거꾸로 세워 제1내용물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 내에 제2내용물을 충전한 다음, 상기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워서 결합한 후 뒤집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내용물이 충전된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우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제2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내용물이 충전된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워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본체에 결합할 수 있어 혼합용기의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 시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천공부재를 누르게 됨에 따라 상기 천공부재가 용기본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차단부재의 일측면이 뚫리게 되어 상기 천공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 내측으로 흘러 들어가 제1,2내용물을 간편하게 혼합하며, 상기 제1,2내용물이 섞인 상태에서 버튼부재 가압 시 상기 버튼부재가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 내에서 섞인 제1,2내용물을 배출시키고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으로써 스포이드 역할을 하게 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버튼부재로 천공부재를 가압 시 상기 천공부재가 차단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천공부재의 걸림턱이 차단부재의 내벽 단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천공부재가 용기본체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버튼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은 손가락으로 가압할 때 방해받지 않도록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후 상기 버튼부재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사용할 때 고정부재의 단부가 손가락에 걸리는 불편함 없이 버튼부재를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로부터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비하다가, 용기본체로부터 버튼부재와 고정부재를 분리한 후 천공부재와 차단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천공부재의 누름 작동으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시키고,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천공부재와 차단부재를 분리한 후 버튼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작동으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또는 휴대 시 이종의 내용물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와; 상기 차단부재(20)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을 갖는 천공부재(40)와; 상기 천공부재(40)를 가압하는 탄성 재질의 버튼부재(5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버튼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40)를 차단부재(20)로 씌워 결합함에 따라, 충전 시 제2내용물(C2)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의 내측에는 내벽(21)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2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벽(22)이 형성되되, 상기 내벽(21)의 안쪽으로 천공부재(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의 외주면에는 밀폐링(30)이 더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에는 공기유통홀(23)이 형성되어 버튼부재(50)의 가압 시 상기 버튼부재(50) 내의 공기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0)에는 천공판(24)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판(24)의 주위에는 천공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40)에는 걸림턱(4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41)은 천공부재(40)가 차단부재(20) 내로 삽입될 때 차단부재(20)의 내벽(21) 단부에 걸려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40)에는 사선날부(43)가 형성되어 차단부재(20)를 천공하고, 상기 사선날부(43)와 인접하여 홈(44)이 형성되어 차단부재(20)의 천공판(24)이 차단부재(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50)는 고정부재(6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고정부재(60)의 일측면에는 개방부(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비하되, 용기본체(10)로부터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분리하고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결합하여 상기 천공부재(40)의 누름 작동으로 제1,2내용물(C1, C2)을 혼합시키며,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분리하고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50)의 누름 작동으로 혼합된 제1,2내용물(C1, C2)을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일측에 삽입되어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가압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제1,2내용물 충전 시, 용기뚜껑이 결합된 용기본체를 거꾸로 세워 제1내용물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 내에 제2내용물을 충전한 다음, 상기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워서 결합한 후 뒤집어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내용물이 충전된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우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제2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내용물이 충전된 천공부재에 차단부재를 씌워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본체에 결합할 수 있어 혼합용기의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 시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천공부재를 누르게 됨에 따라 상기 천공부재가 용기본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차단부재의 일측면이 뚫리게 되어 상기 천공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2내용물이 용기본체 내측으로 흘러 들어가 제1,2내용물을 간편하게 혼합하며, 상기 제1,2내용물이 섞인 상태에서 버튼부재 가압 시 상기 버튼부재가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 내에서 섞인 제1,2내용물을 배출시키고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으로써 스포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버튼부재로 천공부재를 가압 시 상기 천공부재가 차단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천공부재의 걸림턱이 차단부재의 내벽 단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천공부재가 용기본체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버튼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은 손가락으로 가압할 때 방해받지 않도록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후 상기 버튼부재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사용할 때 고정부재의 단부가 손가락에 걸리는 불편함 없이 버튼부재를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로부터 이종의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천공부재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비하다가, 용기본체로부터 버튼부재와 고정부재를 분리한 후 천공부재와 차단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천공부재의 누름 작동으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시키고,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천공부재와 차단부재를 분리한 후 버튼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작동으로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또는 휴대 시 이종의 내용물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혼합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혼합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조립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단면도.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조립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는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와, 상기 차단부재(20)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을 갖는 천공부재(40)와, 상기 천공부재(40)를 가압하는 탄성 재질의 버튼부재(5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버튼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40)를 차단부재(20)로 씌워 결합함에 따라, 충전 시 제2내용물(C2)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일측에 토출구(11)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1내용물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용물수용공간(12)에는 제1내용물(C1)이 수용된다.
상기 토출구(11)는 용기본체(10)에서 제1내용물(C1)과 제2내용물(C2)이 혼합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용기본체(10)의 토출구(11)쪽에는 용기뚜껑(70)이 결합된다.
상기 용기뚜껑(70)은 내측에 밀폐돌륜(71)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돌륜(71)은 토출구(11)를 밀폐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 토출구(11)로 내용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토출구(11)의 반대쪽에는 차단부재(20)가 삽입된다.
상기 차단부재(20)는 내측에 내벽(21)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2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벽(22)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21)의 안쪽으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4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외벽(22)은 용기본체(10)의 단부에 걸림 결합되어 차단부재(20)가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벽(21)과 외벽(22) 사이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유통홀(2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통홀(23)은 버튼부재(50)의 가압 시 상기 버튼부재(50) 내의 공기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내벽(21)의 바닥면에는 천공판(24)이 형성되되, 상기 천공판(24)과 내벽(21) 사이에는 천공홈(25)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판(24)이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천공판(24)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이 용기본체(10)내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공홈(25)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40)의 사선날부(43)가 천공판(24)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차단부재(20)의 외벽(22) 외주면에는 장착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6)에는 밀폐링(30)이 더 결합되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부재(2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될 때,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공부재(40)는 차단부재(20)를 천공하며, 외주면에 걸림턱(41)이 형성되고, 내측에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1)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40)가 차단부재(20) 내로 삽입될 때, 차단부재(20)의 내벽(21) 단부에 걸려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천공부재(40)의 내측에 형성된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는 제2내용물(C2)이 충전된다.
상기 제2내용물(C2)은 천공부재(40)내에 충전된 후, 차단부재(20)를 천공부재(40)에 씌워서 용기본체(10)에 결합함에 따라, 제2내용물(C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기본체(10)에 결합된다. 부연해서 설명하자면, 제2내용물(C2)이 액상이 수용된 캡슐 형상일 경우, 제2내용물(C2)이 충전된 용기에 천공부재를 결합할 때 천공부재의 날부가 캡슐 형상의 제2내용물(C2)을 파손시켜 캡슐내의 액상이 흘러나와 불량품이 발생될 우려가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천공부재(40)내에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을 형성하여 상기 제2내용물수용공간(42)안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한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부재(20)를 상기 제2내용물(C2)이 충전된 천공부재(40) 외측으로 씌운 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부재(40)가 결합된 차단부재(20)를 용기본체(10)내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천공부재(40)에는 사선날부(43)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선날부(43)와 입접하여 홈(44)이 형성된다.
상기 사선날부(43)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부재(20)의 천공판(24)을 천공하되, 상기 사선날부(43)와 인접하여 형성된 홈(44)에 의해 상기 천공판(24)이 차단부재(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천공부재(40)를 가압하는 버튼부재(5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 시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천공부재(40)를 누르게 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50)를 가압하게 되면,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차단부재(20)의 천공판(24)의 일부분이 뚫리게 되어 상기 천공부재(4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2내용물(C2)이 용기본체(10) 내측으로 흘러 들어가 제1,2내용물(C1,C2)을 간편하게 혼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2내용물(C1,C2)이 섞인 상태에서 버튼부재(50)를 가압하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50)가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 내에서 섞인 제1,2내용물(C1,C2)을 배출시키고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으로써 버튼부재(50)는 스포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50)의 테두리에는 장착돌륜(51)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륜(51)은 고정부재(60)의 삽입홈(61)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재(6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될 때, 버튼부재(50)도 용기본체(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버튼부재(50)는 고정부재(6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고정부재(60)의 일측면에 개방부(6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부재(50)에 고정부재(60)를 결합한 후 상기 버튼부재(50)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사용할 때 개방부(62)로 인해 고정부재(60)의 단부가 손가락에 걸리는 불편함이 없이 버튼부재(50)를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70)이 결합된 용기본체(10)의 제1내용물수용공간(12)에 제1내용물(C1)을 충전한다.
이후,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한 다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재(40)에 차단부재(20)를 씌워서 결합한 후, 상기 차단부재(20)의 장착홈(26)에 밀폐링(30)을 결합한 다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재(40)가 결합된 차단부재(20)를 뒤집어서 용기본체(10)에 결합한다.
상기 제2내용물(C2)이 충전된 천공부재(40)에 차단부재(20)를 씌우는 과정에서 제2내용물(C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내용물(C2)이 충전된 천공부재(40)에 차단부재(20)를 씌워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에 결합할 수 있어 혼합용기의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부재(50)를 용기본체(10)에 장착한 다음,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60)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부재(50)를 가압한다.
이때, 고정부재(60)의 일측면에 개방부(62)가 형성됨으로써, 버튼부재(50)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사용할 때 고정부재(60)의 단부가 손가락에 걸리는 불편함이 없이 버튼부재(50)를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버튼부재(50)를 가압하면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천공부재(40)의 홈(44)이 닿는 부분을 제외한 차단부재(20)의 천공판(24)이 뚫리게 되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판(24)의 일부분이 천공부재(40)에 붙어있는 상태로 열리게 되어 상기 천공부재(4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2내용물(C2)이 용기본체(10) 내측으로 흘러 들어가 제1,2내용물(C1,C2)을 간편하게 혼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천공부재(40)의 걸림턱(41)이 차단부재(20)의 내벽(21) 단부에 걸려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준다.
상기 제1,2내용물(C1,C2)이 섞인 상태에서 용기본체(10)에서 용기뚜껑(70)을 분리한 다음,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부재(50)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재(50)가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 내에서 섞인 제1,2내용물(C1,C2)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튼부재(5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을 해제하면 원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버튼부재(50)가 스포이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혼합용기를 스포이드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의 제1내용물수용공간(12)에 제1내용물(C1)을 충전한 후, 용기본체(10)의 토출구(11) 반대쪽에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결합하고, 상기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한 후, 상기 천공부재(40)를 차단부재(20)로 씌워 결합하여 상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따로 보관 또는 휴대하다가 용기본체(1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부연 설명하면,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별도로 보관 또는 휴대하다가, 용기본체(10)로부터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분리한 후, 그 위치에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결합하고, 상기 천공부재(40)의 누름 작동을 통해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제1내용물(C1)과 천공부재(40)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을 혼합시킨다. 그리고 제2내용물(C2)이 완전히 용기본체(10) 내로 유입되었을 때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분리한 후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다시 용기본체(10)에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50)의 누름 작동을 통해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10)의 제1내용물수용공간(12)과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각각 수분을 함유한 겔상 또는 액상 내용물과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고형 내용물을 수용할 경우, 상기 겔상 또는 액상 내용물의 수분이 고형 내용물로 유입되어 상기 고형 내용물이 눅눅해지는 등 서로 영향을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70)이 결합된 용기본체(10)의 제1내용물수용공간(12)에 제1내용물(C1)을 충전한 후, 상기 용기본체(10)의 토출구(11) 반대편에 버튼부재(50)를 장착한 다음, 상기 버튼부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60)를 용기본체(10)에 결합한다.
이후,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한 다음, 상기 천공부재(40)에 차단부재(20)를 씌워서 결합하고, 상기 차단부재(20)의 장착홈(26)에 밀폐링(30)을 결합하여 상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별도로 보관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된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분리한 후, 그 위치에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나사 결합한다.
이후,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재(40)의 상단을 누르면 상기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천공부재(40)의 홈(44)이 닿는 부분을 제외한 차단부재(20)의 천공판(24)이 뚫리게 되어 천공판(24)의 일부분이 천공부재(40)에 붙어있는 상태로 열리게 되고, 상기 천공부재(4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2내용물(C2)이 용기본체(10) 내측으로 흘러 들어가 제1내용물(C1)과 혼합된다.
이후,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분리한 다음,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다시 용기본체(10)에 결합하고, 상기 버튼부재(50)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재(50)가 탄력적으로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 내에서 섞인 제1,2내용물(C1, C2)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토출구
12:제1내용물수용공간 20:차단부재
21:내벽 22:외벽
23:공기유통홀 24:천공판
25:천공홈 26:장착홈
30:밀폐링 40:천공부재
41:걸림턱 42:제2내용물수용공간
43:사선날부 44:홈
50:버튼부재 51:장착돌륜
60:고정부재 61:삽입홈
62:개방부 70:용기뚜껑
71:밀폐돌륜

Claims (9)

  1.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와;
    상기 차단부재(20)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을 갖는 천공부재(40)와;
    상기 천공부재(40)를 가압하는 탄성 재질의 버튼부재(5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버튼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40)를 차단부재(20)로 씌워 결합함에 따라, 충전 시 제2내용물(C2)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차단부재(20)에는 공기유통홀(23)이 형성되어 버튼부재(50)의 가압 시 상기 버튼부재(50) 내의 공기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2.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20)와;
    상기 차단부재(20)를 천공하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는 제2내용물수용공간(42)을 갖는 천공부재(40)와;
    상기 천공부재(40)를 가압하는 탄성 재질의 버튼부재(5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버튼부재(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재(40)의 제2내용물수용공간(42)에 제2내용물(C2)을 충전하고 상기 천공부재(40)를 차단부재(20)로 씌워 결합함에 따라, 충전 시 제2내용물(C2)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비하되, 용기본체(10)로부터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분리하고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결합하여 상기 천공부재(40)의 누름 작동으로 제1,2내용물(C1, C2)을 혼합시키며,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차단부재(20)와 천공부재(40)를 분리하고 버튼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결합하여 상기 버튼부재(50)의 누름 작동으로 혼합된 제1,2내용물(C1, C2)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의 내측에는 내벽(21)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21)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벽(22)이 형성되되, 상기 내벽(21)의 안쪽으로 천공부재(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에는 천공판(24)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판(24)의 주위에는 천공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40)에는 걸림턱(4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41)은 천공부재(40)가 차단부재(20) 내로 삽입될 때 차단부재(20)의 내벽(21) 단부에 걸려 천공부재(4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40)에는 사선날부(43)가 형성되어 차단부재(20)를 천공하고, 상기 사선날부(43)와 인접하여 홈(44)이 형성되어 차단부재(20)의 천공판(24)이 차단부재(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50)는 고정부재(6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고정부재(60)의 일측면에는 개방부(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의 외주면에는 밀폐링(30)이 더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9. 삭제
KR1020180136376A 2018-06-22 2018-11-08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2175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49 2018-06-22
KR20180072149 2018-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19A KR20200000319A (ko) 2020-01-02
KR102175587B1 true KR102175587B1 (ko) 2020-11-09

Family

ID=6915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76A KR102175587B1 (ko) 2018-06-22 2018-11-08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5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53Y1 (ko) * 2003-04-03 2003-08-14 주식회사 신광화학 성분이 다른 내용물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45B1 (ko) * 2006-10-26 2008-09-04 권경중 첨가물 첨가용 캡
KR102090337B1 (ko) * 2012-03-11 2020-04-14 주식회사 엔피베버리지 용기 목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53Y1 (ko) * 2003-04-03 2003-08-14 주식회사 신광화학 성분이 다른 내용물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19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353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JP3210250U (ja) 付加的チャンバを備えたキャップ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パッケージングユニット
WO2012060504A1 (ko) 본체를 통해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JP2008056315A (ja) 混合用容器
KR10197886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0571748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210000217U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JP3051062B2 (ja) 二成分混合容器
CN109562873A (zh) 包括容纳空间的容器和从容器的容纳空间释放物质的方法
JPH0722980U (ja) 二成分混合容器
KR20060073397A (ko) 음료용기의 뚜껑 구조
KR20050109017A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JP2009057098A (ja) 二剤混合容器
JP2000085828A (ja) 二液混合容器
JPH0541779Y2 (ko)
KR100300855B1 (ko)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0487057B1 (ko) 2종류의 물질을 분리저장하는 저장용기
JP2599935Y2 (ja) 2種剤混合容器
KR20230174891A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50116321A (ko) 용기의 마개
KR100971612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이종물질 혼합구조
JPH0626718U (ja) 二成分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