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855B1 -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855B1
KR100300855B1 KR1019990009092A KR19990009092A KR100300855B1 KR 100300855 B1 KR100300855 B1 KR 100300855B1 KR 1019990009092 A KR1019990009092 A KR 1019990009092A KR 19990009092 A KR19990009092 A KR 19990009092A KR 100300855 B1 KR100300855 B1 KR 10030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commercial
spiral portion
low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622A (ko
Inventor
이청원
이근중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안용찬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찬,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안용찬
Priority to KR101999000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8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성분의 이종제품을 각각 다른 용기에 넣어 가조립 한 상태로 하나의 용기를 이루어 운반,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가조립된 용기를 완전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다른 용기에 담긴 제품들을 간단히 혼합시켜 완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서로 결합가능한 상용기(1)와 하용기(2)로 구분구성하되, 상기 상용기(1)는 하단에 절취탭(11)을 형성하고 그 내주 상하부에 각각 나선부(14)(15)를 형성하여 그중 상부의 나선부(14)에는 중앙에 박막(13a)을 갖는 대략 역 U자형의 차단구(13)를 체결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용기(1)의 내부공간 상부에 저장실(12)을 형성하여 되고, 상기 하용기(2)는 외주면에 상기 상용기(1)의 나선부(15)와 체결되는 나선부(21a)를 형성한 개구부(21)에, 선단을 예각의 파열부(22a)로 형성하고 판면에는 다수의 연통공(22b)을 형성한 마개(22)를 끼워 설치하여서 되며, 상기 상용기(1)의 차단구(13)말단과 상기 하용기(2)의 마개(22) 상면 사이에는 O링(3)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이다.

Description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hairdye container}
본 발명은 이종(異種)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분의 이종제품을 각각 다른 용기에 넣어 가조립 한 상태로 하나의 용기를 이루어 운반,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가조립된용기를 완전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다른 용기에 담긴 제품들을 간단히 혼합시켜 완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미용실등에서 머리염색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염색약의 경우, 서로 다른 성분의 이종제품으로 되는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들 혼합되는 내용물들은 제품특성상 어쩔수 없이 사용직전 혼합하여야만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근래 출하되고 있는 대부분의 염색약의 경우 서로 결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결합시에는 서로 연통상태로 되는 두개의 용기, 즉 제 1용기와 제 2용기를 한조로 하여 제품으로서 출시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들 염색약 용기는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제 1용기와 제 2용기내에 담은후 상기 각 용기를 밀봉한 상태에서 제 1용기와 제 2용기를 한조로 하여 제품으로서 출하하여 운반,보관토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각각 다른 내용물이 담긴 두개의 용기를 한조로 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염색약 용기는 제 1용기와 제 2용기를 하나의 용기로 조립상태가 아닌 각각 별도로 운반 보관해야 하는데 따른 염색약 취급상의 불편과 아울러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1용기와 제 2용기를 결합시켜 사용하되, 하부에 위치되는 제 2용기의 마개를 열고 제 1용기 저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 1용기의 밀봉부가 제 2용기에 의해 개봉되면서 제 1용기와 제 2용기가 완전히 체결되기전까지는 순간적으로 내용물이 용기외부로 유출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어, 이와같은 염색약 용기는 제 1용기와 제 2용기를 결합해야 하는 용기사용의 불편은 차치하고라도 외부로 유출되는 강한독성을 갖는 용액에 의해 손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피부건강도 해치게되는 등의 문제를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제 1용기와 제 2용기로 되어 별도로 운반 보관되는 종래의 염색약 용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내용물이 담기는 상용기와 하용기로 구분구성하되, 상용기와 하용기를 가조립 상태에서 운반, 보관할 수 있게 하여 그 취급을 간편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 사용시에는 하용기에 대해 가조립상태인 상용기하부의 절취탭을 뜯어내 간단히 순간적으로 완전 조립되게 함으로써 양 용기가 서로 연통상태로 되어 양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간편히 혼합할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이 용기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 염색약 용기를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이루는 상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이루는 하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용기 2: 하용기 3: O링
11: 절취탭 12: 저장실 13: 차단구
13a: 박막 14, 15, 21a: 나선부 21: 개구부
22: 마개 22a: 파열부 22b: 연통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이 가능한 용기(A)는, 서로 결합가능한 상용기(1)와 하용기(2)로 구분구성하되, 상기 상용기(1)는 하단에 절취탭(11)을 형성하고 그 내주 상하부에 각각 나선부(14)(15)를 형성하여, 그중 상부의 나선부(14)에는 중앙에 박막(13a)을 갖는 대략 역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차단구(13)를 체결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용기(1)의 내부공간 상부에 저장실(12)을 형성하여 되고, 상기 하용기(2)는 외주면에 상기 상용기(1)의 나선부(15)와 체결되는 나선부(21a)를 형성한 개구부(21)에, 선단을 예각의 파열부(22a)로 형성하고 판면에는 다수의 연통공(22b)을 형성한마개(22)를 끼워 설치하여서 되며, 상기 상용기(1)의 차단구(13)말단과 상기 하용기(2)의 마개(22) 상면 사이에는 O링(3)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이루는 상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이루는 하용기의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상용기(1)와 하용기(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용기(1)는 내부가 빈 캡형태로 되어 그 선단부에는 선단팁(16)을 형성하고 그 내주연부 상하부에는 각각 나선부(14)(15)를 형성하여 상부의 나선부(14)에는 중앙에 쉽게 파열 관통가능한 소재로 되는 박막(13a)을 형성한 대략 역 U자형 단면을 갖는 차단구(13)외면의 나선부(13b)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용기(1)내부에 차단구(13)가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써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일정공간의 저장실(12)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상용기(1)의 하단둘레전체에는 외력에 의해 쉽게 절취 분리가능한 절취탭(1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하용기(2)는 개구부(21)외주에 상기 상용기(1)하부의 나선부(15)가 체결되는 나선부(21a)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이때 하용기(2)에 체결되는 상용기(1)는, 상용기(1)하단에 형성된 절취탭(11)하면이 하용기(2)외면에 접촉되어 더이상의 회전체결이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하용기(2)의 개구부(21)에는 중앙에 예각형태의 파열부(22a)를 일정높이 돌출 형성하고, 그 판면에는 다수의 연통공(22b)을 형성한 마개(22)를 끼워 설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마개(22)상면에 돌출 설치되는 파열부(22a)의 돌출높이는, 상용기(1)하단의 절취탭(11)하면이 하용기(2)외면에 접촉되어 더이상의 회전체결이 불가능하도록 하나의 용기(A)로서 조립 완료되었을때 하용기(2)에 끼워져 설치된 마개(22)의 파열부(22a)선단이 상용기(1)내에 설치된 차단구(13)중앙에 설치된 박막(13a)과 접촉직전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에 있어서도 원뿔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상용기(1)와 하용기(2)를 서로 체결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용기(1)의 체결구(13)하면과 하용기(2)의 마개(22)상면 사이에는 O링을 설치하여 파열부(22a)에 의해 박막(13a)이 파열되어 상용기(1)와 하용기(2)에 담긴 용액이 서로 섞이는 과정에서 상용기(1)와 하용기(2)가 체결된 나선부(15)(21a)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O링(3)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체결구(13)하면이나 또는 마개(22)상면에 일체로 부착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A)의 실시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용기(1)의 저장실(12)과 하용기(2)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담아 각각 차단구(13)와 마개(22)에 의해 밀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용기(2)의 마개(22)상면에 O링(3)을 위치시킨후 그대로 상용기(1)의 나선부(15)로 하여금 하용기(2)의 나선부(21a)에 체결되도록 하면 상용기(1)와 하용기(2)는 하나의용기(A)로서 가조립 되는 것인바, 이때 상용기(1)의 차단구(13)하면과 하용기(2)의 마개(22)상면 사이에는 O링(3)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용기(1)하단의 절취탭(11)하면이 하용기(2)의 외면에 접촉되게 하여 하용기(2)의 마개(22)에 형성된 파열부(22a)선단이 상용기(1)의 차단구(13)중앙에 형성된 박막(13a)에 접촉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로 상용기(1)와 하용기(2)가 가조립되어 하나의 용기(A)로 이루어진 제품으로서 판매되게 되는 것이므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염색약 제품의 운반, 보관이 휠씬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가조립 상태인 본 발명의 용기(A)를 가정이나 미용실등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하용기(2)상에 체결된 상용기(1)하단의 절취탭(11)을 간단히 뜯어내게 되면 절취탭(11)에 의해 그 체결위치를 제한받고 있던 상용기(1)는 분리된 절취탭(11)의 높이(폭)만큼 더 회전 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용기(1)를 다시 회전시켜 하용기(2)에 더욱 확실하게 체결시키게 되면 상용기(1)는 좀더 하용기(2)측으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상용기(1)내부에 설치된 차단구(13)중앙의 박막(13a)으로 하여금 하용기(2)의 마개(22)에 돌출 설치된 파열부(22a)측으로 접근이동하면서 박막(13a)은 파열부(22a)에 의해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파열되면서 상용기(1)의 저장실(12)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이미 파열된 박막(13a)을 통해 마개(22)상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마개(22)에 형성된 다수의 연통공(22b)을 통해 하용기(2)내부로 흘러 들어 가게 됨에 따라 상용기(1)의 저장실(12)과 하용기(2)내부는 서로 연통상태로 되어 이 상태에서 용기(A)를 그대로 흔들어 주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용기(1)와 하용기(2)에 담긴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게 되어 목적한 염색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용기(1)와 하용기(2)가 연통상태로 되어 용기(A)내에 목적한 염색약이 마련되면 사용자는 상용기(1)선단의 선단팁(16)부분을 절단하여 상용기(1)의 저장실(12)을 외부와 연통상태하여 용기(A)내에 혼합된 상태로 담긴 내용물을 선단팁(16)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켜 목적한 염색약으로서 간편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용기(1)가 분리된 절취탭(11)의 높이만큼 하용기(2)측으로 회전하강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용기(1)의 차단구(13)하면과 하용기(2)의 마개(22)상면에 위치된 O링(3)은 차단구(13)와 마개(22)사이에서 강하게 압착되면서 패킹역활을 훌륭히 수행하게 되므로 용기(A)의 내부공간과 용기(A)외부간의 기밀유지를 확실하게 되어 내용물이 혼합되는 과정에서 용기(A)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상용기(1)하단에 형성되는 절취탭(11)은 상용기(1)가 하용기(2)에 대해 체결되는 정도, 다시말해 하용기(2)의 마개(22)에 돌출 형성된 파열부(22a)와 상용기(1)의 차단구(13)에 형성된 박막(13a)간의 간격을 서로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가장 근접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활이외에도, 용기(A)의 개봉 및 사용여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여 용기(A)의 부정한 사용을 막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안심하고 염색약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용기(1)의 저장실(12)과 하용기(2)의 내부공간을 연통상태로 두기 위해 마개(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통공(22b)의 구성에 있어서도, 본예에서는 마개(22)의 판면에 관통 형성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마개(22)상면에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파열부(22a)에 다수의 연통공(22b)을 형성하여 마개(22) 외부와 하용기(2)내부공간이 서로 연통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할 수 있는등 연통공(22b)의 형성 갯수와 아울러 그 형성위치는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벗어나지 않는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상용기(1) 및 하용기(2)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폴리염화비닐(PVC)등 열가소성 물질은 주재로 하는 소재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A)의 용도에 있어서도, 염색약의 혼합을 위해 사용하는 것 이외에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액체나 분말들의 혼합을 위한 용기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에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이종제품의 분미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의하면,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이 담긴 상용기와 하용기로 구성하여 이들 용기를 가조립하여 하나의 용기로서 운반, 보관할수 있도록 하여 그 취급을 한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에 있어서도 단순히 상용기 하단의 절취탭을 분리해낸후 상용기를 하용기에 대해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용기를 완전조립 하는 것에 의해 상용기 내측의 저장실을 차단하고 있는 박막이 하용기의 파열부에 의해 파열되면서 상용기의 저장실과 하용기 내부공간이 연통상태로 되게 하여 상용기와 하용기에 담겨진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자연스럽게 섞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아주 손쉽고 위생적으로 염색약을 혼합시켜 간편히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이나 미용실등에서의 머리염색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염색약의 보관 및 혼합을 위한 용기의 구성을 단순화 하는데 따른 용기 제작의 원가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하 별도의 용기와 이를 구분하는 격벽과 파열부재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하단에 절취탭(11)이 형성되고 그 내주 상하부에 각각 나선부(14)(15)가 형성된 상용기(1) ;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박막(13a)을 갖는 대략 역 U자형 형상으로 상기 상용기(1) 내측의 상부 나선부(14)에 밀착되게 체결되는 차단구(13) :
    외주면에 나선부(21a)가 형성된 개구부(21)에 중심부 상면에 첨예한 파열부(22a)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 다수의 연통공(22b)이 형성된 마개(22);
    상기 차단구(13) 하단부와 상기 마개(22)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O링(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22)에 다수 형성되는 연통공(22b)을 파열부(22a)에 관통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13)하단에 O링(3)을 일체로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22) 상면에 O링(3)을 일체로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필요시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19990009092A 1999-03-18 1999-03-18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030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92A KR100300855B1 (ko) 1999-03-18 1999-03-18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92A KR100300855B1 (ko) 1999-03-18 1999-03-18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22A KR20000060622A (ko) 2000-10-16
KR100300855B1 true KR100300855B1 (ko) 2001-09-22

Family

ID=1957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92A KR100300855B1 (ko) 1999-03-18 1999-03-18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440A (ko) 2018-07-10 2020-01-20 김문수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786B1 (ko) * 2019-04-17 2020-11-25 주식회사 하이디어랩 화장품용 듀얼 튜브 및 이를 활용한 화장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440A (ko) 2018-07-10 2020-01-20 김문수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22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031B1 (ko) 분배 클로우져
US6766903B1 (e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US5979647A (en) Lid for container
US5170888A (en) Device for keeping at least two products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for enabling their mixing at the time of its use
EP1968866B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JP3312734B2 (ja) 内容物を貯蔵し混合するための多重区画分配器
EP1687208B1 (en) Cap with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and product with the same
JPS6382953A (ja) 貯蔵分与単位
US5417321A (en) Two-compartment container
US3720524A (en) Container assembly with frangible mixing means
US5893452A (en) Monopiece body for the separate packaging and mixing of at least two products
US6910573B2 (en) Dual container bottle
CA2327307C (en) Dispensing nozzle for multi-compartment container
WO2001023262A1 (en) A food storage, mixing and serving container
KR100300855B1 (ko) 이종제품의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JPH0872921A (ja) 二剤混合容器
JPH09150855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のオーバーキャップ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WO2001054991A1 (en) Drinking spout for a fluid container
US20100282756A1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JPH08282690A (ja) チューブ状倒立容器
KR20060082504A (ko) 용기의 마개
KR101740663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JP3318423B2 (ja) 二成分混合容器
KR20050096011A (ko)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