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212Y1 - 케이크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케이크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212Y1
KR200417212Y1 KR2020060006210U KR20060006210U KR200417212Y1 KR 200417212 Y1 KR200417212 Y1 KR 200417212Y1 KR 2020060006210 U KR2020060006210 U KR 2020060006210U KR 20060006210 U KR20060006210 U KR 20060006210U KR 200417212 Y1 KR200417212 Y1 KR 200417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packaging box
box
auxilia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아
Original Assignee
차동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아 filed Critical 차동아
Priority to KR202006000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65D5/1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 B65D5/1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the opening being a sl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상자의 2개의 면을 직각으로 형성하지 않고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하여 콤팩트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포장 공간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포장상자의 상/하부 커버에 보조끼움편과 보조절개공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커버의 결합력을 높여 외부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 케이크 포장상자를 구현하고자 한다.
케이크, 포장상자, 절곡면, 끼움편, 절개공

Description

케이크 포장상자{a cake box}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면이 절곡 형성된 케이크 포장상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케이크 포장상자의 포장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케이크 포장상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케이크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6은 통상적인 케이크 포장상자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크 포장상자 14: 상판
16, 16a: 절곡면 18: 오시선
20: 상부커버 22: 보조끼움편
24: 끼움편 26: 하부커버
30: 보조절개공 32: 절개공
34: 하판 36: 측판
본 고안은 케이크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 공간비율을 최소화하고 포장상자의 디자인을 콤팩트하고 미려하게 하면서 외부 먼지나 이물질이 포장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크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과점이나 케이크전문점에서 케이크 포장용으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케이크상자는 케이크 반출시 케이크의 주변장식품이나 빵 및 크림을 포함한 외부의 형상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절첩형의 사각형 박스 타입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크 포장상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의 중심 일부를 타발하여 위로 접도록 된 일체형 손잡이(5)가 형성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안쪽으로 마주보며 접히는 보조날개(6)와, 상기 보조날개(6)의 외측면에 겹쳐지는 상측날개(2) 및 하측날개(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측날개(2)와 하측날개(1)에는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 끼움부(4)와 끼움홈(3)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5)가 타발되어 구멍이 형성된 상면(7)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비닐지(8)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크 포장상자는 사각박스 타입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원형 케이크의 수납시 케이크 포장상자의 내측면과 여유공간이 많아지게 되어 케이크의 크기에 비해 상자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어 휴대가 불 편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측면에서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운반시에 사각상자의 직각으로 된 모서리 부분이 신체 등에 접촉되고 그로 인해 케이크가 포장상자의 내측면에 묻게 될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 인해 케이크가 훼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크 포장상자는 상자본체를 개폐시키는 수단인 상/하부 커버에 단순히 하나의 끼움편과 끼움홈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장 과정에서 외부 충격으로 상기 끼움편이 끼움홈에서 쉽게 빠져 포장상자 내의 내용물(예를 들어, 케이크)이 빠져나올 우려가 있었다. 특히, 하나의 끼움편과 끼움홈을 통해 상/하부 커버를 결합시키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결합력 저하로 인해 상/하부 커버가 휘어지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휘어진 틈새로 외부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여 케이크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 공간비율을 최소화하고 포장상자의 디자인을 콤팩트하고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는 케이크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장상자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상/하부 커버의 결합력 및 밀폐력을 높여 외부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크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끼움편 및 보조절개홈을 통해 장시간의 경과 에도 상/하부 커버가 휘어짐 없이 포장상자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크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견지에 있어, 본 고안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며 선단에는 끼움편이 돌출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하판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며 중앙으로 상기 끼움편이 끼워지기 위한 절개공을 가지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판과 상부커버의 접촉지점에 형성되며 일정각도로 절곡져 형성된 절곡면으로 구성된 케이크 포장상자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고안에서는 포장상자의 2개의 면을 직각으로 형성하지 않고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하여 콤팩트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포장 공간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포장상자의 상/하부 커버에 보조끼움편과 보조절개공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커버의 결합력을 높여 외부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 케이크 포장상자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케이크 포장상자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야 할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상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 고 있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케이크 포장상자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상자(10)는 내부에 케이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상판(14)과 하판(34)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기 배치되고 상기 상판(14) 및 하판(36)의 둘레를 감싸는 측판(36)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크 상자(10)의 일면에는 케이크 등의 내용물을 인입 혹은 인출시킬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방구는 상기 측판(36)에서 연장 형성된 양측 커버(28)와 상기 상/하판(14,34)에 연장 형성된 상/하 커버(20,26)로 덮여지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케이크 포장상자(10)에 있어서, 상판(14)과 상부커버(20)의 경계지점(즉, 접촉되는 부분)에는 절곡면(1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절곡면(16)은 케이크 포장상자(10)를 이루는 4개의 면 중에서 적어도 2개의 면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2)와 90도를 이루는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면(16)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절곡되어 있으며, 이는 케이크 포장상자(10)의 포장 공간비율을 최소화하고 포장 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특히 포장상자의 디자인 측면에서 콤팩트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절곡면(16)에는 포장상자(10)를 제작할 때 별도의 금형을 필요치 않도록 하면서 부드러운 느낌의 라운딩면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깊이의 홈을 가지는 오시선(18)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절곡면(16)은 상부커버(20)를 아래로 내릴 때 상기 절곡면(16)이 훼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오시선(18)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도 4의 전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부분을 라운딩지게 형성하여 절곡면(16)이 양측판(36)의 끝부분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이 절곡면(16)을 라운딩지게 형성하지 않고 도 5의 전개도와 같이 절곡면(16a)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위에서 언급한 장점들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절곡면(16a)과 양측판(36)의 끝부분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B'부분을 일정각도를 이루는 직선으로 형성해야 한다.
전술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20)의 선단에는 끼움편(24)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커버(26)의 중앙면에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편(24)이 끼워져 체결되기 위한 절개공(32)이 형성된다. 즉, 포장상자(10)의 포장작업시 상기 하부커버(26)를 세운 다음, 상기 상부커버(20)를 눕혀 하부커버(26)의 외면에 덮여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20)의 끼움편(24)을 상기 하부커버(26)의 절개공(32)에 끼워넣음으로써 상/하부 커버(20,26)는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포장상자(10)의 개방구를 폐쇄시켜 케이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에는 보조끼움편(22)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끼움편(22)은 3면이 절개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26)의 중앙에는 상기 보조끼움편(22)이 끼워져 체결되기 위한 보조절개공(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커버(20,26)에 각각 별도의 보조끼움편(22)과 보조절개공(30)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은 포장상자(10)를 개폐시키는 상/하부 커버(20,26)의 결합력을 높여주고 또한 결합과정에서 상/하부 커버(20,26)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먼지나 이물질이 포장상자(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바,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후술하는 도 2a 및 도 2b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 2a 및 도 2b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케이크 상자의 포장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케이크 포장상자(10) 포장작업시에는 먼저, 상/하부 커버(20,26)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케이크를 포장상자(10) 내의 공간으로 인입시킨 다음, 상기 상/하부 커버(20,26)를 이용하여 포장상자(10)의 개방구를 다시 폐쇄함으로써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즉, 포장상자(10)를 폐쇄할 때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하부커버(26)를 세운 다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26)의 외면에 상부커버(20)가 덮여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20)의 끼움편(24)은 상기 하부커버(26)의 절개공(32)에 끼워넣고, 상기 상부커버(20)의 보조끼움편(22)은 상기 하부커버(26)의 보조절개공(30)에 끼워넣게 되면 상/하부 커버(20,26)는 끼움편(24)과 절개공(32)외에 보조끼움편(22)과 보조절개공(30)을 통해 다시 한번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위와 같이 보조끼움편(22)을 보조절개공(30)에 끼워 넣게 되면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26)는 견고한 결합력과 함께 외측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 없이 서로 면 접촉하며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보관과정에서 상기 상/하부 커버(20,26)의 휘어진 틈새로 외부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포장상자(10)에 보관중인 케이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크 포장상자의 디자인을 콤팩트화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 공간비율을 최소화하고 포장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끼움편과 절개홈이 각각 형성된 상/하부 커버에 별도의 보조끼움편과 상기 보조끼움편이 끼워지는 보조절개홈을 더 구비토록 함으로서 상기 상/하부 커버의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끼움편 및 보조절개홈을 통해 장시간이 사용시에도 상/하부 커버가 휘어짐 없이 포장상자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켜 외부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판(14)과 하판(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14)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며 선단에는 끼움편(24)이 돌출 형성된 상부커버(20)와, 상기 하판(34)의 양단에 연장형성되며 중앙으로 상기 끼움편(24)이 끼워지기 위한 절개공(32)을 가지는 하부커버(26)로 구성된 통상의 케이크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판(14)과 상부커버(20)의 접촉지점에는 일정각도로 절곡져 형성된 절곡면(16,16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16)은 곡률반경을 이루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16)에는 홈을 가지는 오시선(18)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에는 보조끼움편(2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커버(26)의 중앙에는 상기 보조끼움편(22)이 끼워지기 위한 보조절개공(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상자.
KR2020060006210U 2006-03-06 2006-03-06 케이크 포장상자 KR200417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10U KR200417212Y1 (ko) 2006-03-06 2006-03-06 케이크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10U KR200417212Y1 (ko) 2006-03-06 2006-03-06 케이크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212Y1 true KR200417212Y1 (ko) 2006-05-25

Family

ID=4176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10U KR200417212Y1 (ko) 2006-03-06 2006-03-06 케이크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21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75B1 (ko) * 2007-05-17 2008-07-18 (주)대영피앤씨 케이크 포장상자
KR100856067B1 (ko) 2007-02-06 2008-09-03 (주)조은포장 보조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상자
KR100934457B1 (ko) * 2008-01-28 2009-12-31 도진호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0451290Y1 (ko) * 2008-09-26 2010-12-07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파이 포장케이스
WO2012070764A1 (en) * 2010-11-22 2012-05-31 Cj Cheiljedang Corporation Cake box for fixing cake-support
EP3251969A1 (en) * 2016-06-03 2017-12-06 Nomad Foods Europe IPCO Limited Heatable food product packag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67B1 (ko) 2007-02-06 2008-09-03 (주)조은포장 보조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상자
KR100847275B1 (ko) * 2007-05-17 2008-07-18 (주)대영피앤씨 케이크 포장상자
KR100934457B1 (ko) * 2008-01-28 2009-12-31 도진호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0451290Y1 (ko) * 2008-09-26 2010-12-07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파이 포장케이스
WO2012070764A1 (en) * 2010-11-22 2012-05-31 Cj Cheiljedang Corporation Cake box for fixing cake-support
KR200465283Y1 (ko) 2010-11-22 2013-02-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케익받침 고정용 케익박스
EP3251969A1 (en) * 2016-06-03 2017-12-06 Nomad Foods Europe IPCO Limited Heatable food product packa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212Y1 (ko) 케이크 포장상자
US7708185B2 (en) Plastic box
KR100862628B1 (ko) 측부 개방형 강성 힌지식 뚜껑을 구비한 패킷
KR20110008147U (ko) 일회용 컵 뚜껑
JP2007216994A (ja) 水袋付き切り花包装ケース
KR200452620Y1 (ko) 과자 포장용 종이 상자
JP2009502689A (ja) 貯蔵容器用容器蓋
KR200283390Y1 (ko) 이중용기
JP3111107U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US8127927B2 (en) Erectable packaging, particularly for a bottle
JP5072728B2 (ja) 運搬用容器
KR20240071654A (ko)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KR100301522B1 (ko) 종이상자
KR102558379B1 (ko) 다양한 형태의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
KR200320087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KR20180034293A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239929Y1 (ko) 리필용 팩
KR200420267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0405919Y1 (ko) 속지가 형성된 밀폐용기
KR200290857Y1 (ko) 피자 상자
KR200298264Y1 (ko) 조립식 박스
KR200223832Y1 (ko) 포장상자.
KR100385472B1 (ko) 리필용 팩
KR200261162Y1 (ko) 피자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