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42U - 다기능 식판 - Google Patents

다기능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42U
KR20170002642U KR2020160000229U KR20160000229U KR20170002642U KR 20170002642 U KR20170002642 U KR 20170002642U KR 2020160000229 U KR2020160000229 U KR 2020160000229U KR 20160000229 U KR20160000229 U KR 20160000229U KR 20170002642 U KR20170002642 U KR 201700026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ice
side dish
height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엠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엠디
Priority to KR2020160000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642U/ko
Publication of KR20170002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의 밥 홈, 반찬 홈 및 국 홈이 형성된 식판에 있어서, 상기 밥 홈과 반찬 홈 내에서 최외곽 테두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구획 돌기 및 상기 국 홈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식판{MULTI FUNCTIONAL FOOD PLATE}
본 고안은 다기능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한 파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균형잡힌 식사량의 적정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나 스테인리스 금속판을 사출 또는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되는 식판은 단체 급식을 하는 군대, 학교, 공장 등과 같은 대형 식당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판은 손으로 가장자리의 양측부를 잡은 상태로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수용부에 담고 식탁으로 운반하여 식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식판의 가장자리에 음식물의 기름이나 물이 묻어 있어서, 이를 손으로 잡게 되는 경우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한편, 상기 식판은 개인이 스스로 섭취할 양을 직접 담도록 되어 있지만, 적정량을 정확히 계측할 수 없기 때문에 잔여 음식이 발생하여 이를 폐기하게 되어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균형잡힌 적정 식사량은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적정 식사량보다 더 많은 양을 담게 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남긴 음식을 폐기하기도 하지만,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섭취하게 되고, 드물게는 다이어트 등을 이유로 적정 식사량에도 못미치는 식사를 하게 된다.
더불어,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영양을 고려하지 않은, 즉 균형잡히지 않은 식사(편식)을 하고 있다.
사람들이 균형잡힌 적정 식사량을 섭취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얼만큼 섭취하는 것이 적정 식사량인지 그 기준을 알지 못하고 균형잡힌 식사가 어떤 식사인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견고한 파지력을 제공하고, 개인마다 신체 사이즈, 나이 등에 따른 적정량 조절이 가능한 식판이 요구된다.
공개실용신안20-2009-0010579(2009.10.19)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안정된 파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의 섭취량에 따른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담을 수 있는 다기능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은 상면에 복수의 밥 홈, 반찬 홈 및 국 홈이 형성된 식판에 있어서, 상기 밥 홈과 반찬 홈 내에서 최외곽 테두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구획 돌기 및 상기 국 홈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 홈 내에 한 개의 밥 구획 돌기가 형성되고, 밥 구획 돌기는 상기 밥 홈의 구획되는 각각의 영역의 면적비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밥 홈을 둘러싸는 밥 홈 테두리의 높이는 상기 밥 구획 돌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찬 홈 내에는 복수의 반찬 홈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찬 홈 구획 돌기의 각각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찬 홈 구획 돌기를 둘러싸는 반찬 홈 테두리의 높이는 상기 반찬 홈 구획 돌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 홈의 밥 홈 테두리에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손바닥을 파지할 수 있는 손바닥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 홈에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사람의 엄지가 닿는 위치에 엄지 엄지 손가락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는 상기 국 홈의 영역 전체에 걸쳐 마찰력을 갖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는 상기 국 홈의 영역 전체에 걸쳐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이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찬 홈 구획 돌기에 의해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1 반찬 홈, 제2 반찬 홈 및 제3 반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 홈 테두리는 평면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밥 홈 테두리의 내측에 원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록 이격되어 상기 밥 홈의 영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밥 홈 구획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식판은 사용자에게 안정된 파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의 섭취량에 따른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담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기능 식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은 밥 홈(110), 국 홈(120), 반찬 홈(130), 구획 돌기(110a, 130a, 130b) 및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판(100)은 통상의 식판과 같이 전체적인 테두리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평평한 금속 판의 상면(101)에 복수의 오목한 홈을 형성하여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구획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오목한 홈은 밥 홈(110), 국 홈(120), 반찬 홈(130)을 정의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밥류, 반찬류 및 국류 등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밥 홈(110), 국 홈(120) 및 반찬 홈(130)의 각각의 인접하는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볼록한 부분이 돌출되어 이루는 오목한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밥 홈(110)은 음식 중에서 밥을 담는 부분으로서, 식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된 바닥부(102)와 상면(101)을 연결하는 측벽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02)는 상면과 평행한 평평한 구조이지만, 복수 개소에서 상면(101)에서 밥 홈(110), 국 홈(120) 및 반찬 홈(130)을 이루는 부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로 각각의 홈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부는 밥 홈(110), 국 홈(120) 및 반찬 홈(130)을 각각 구획하기 위한 일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지만, 식판(100)의 최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밥 홈(110)의 영역은 밥 홈(110)을 감싸는 테두리(110c)로 구별될 수 있고, 밥 홈(110)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밥 홈 구획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밥 홈 구획부(110a)의 높이는 테두리(110c)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밥 홈(110)의 내부 영역을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밥 홈(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밥의 양을 육안으로 명확하게 나누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판(100)이 이루는 전체 높이는 Ha이며, 밥 홈 구획부(110a)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부(102)가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되는 높이(Hb)는 Ha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밥 홈(110)은 제1 밥 홈(111) 및 제2 밥 홈(1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밥 홈(111) 및 제2 밥 홈(112)의 내부 공간에는 각각의 영역에 상당하는 용량을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밥 홈(111)의 수용 면적 또는 제2 밥 홈(112)의 수용 면적의 조합을 이용하여 밥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국 홈(120)은 음식 중에서 국 그릇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국 그릇이 원형의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이에 대응되는 원형의 파인 홈을 나타내고 있으나, 국 그릇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국 홈(120)의 바닥면에는 마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는 국 홈(120) 내부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필름 형태의 마찰 부재가 부착되거나, 국 홈(120) 바닥면을 미세하게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처리함으로써 국 홈(120)에 안착되는 국 그릇의 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 그릇(10)이 국 홈(120)에 완전히 밀착되면 외부로부터 소정의 진동이 가해져도 국 그릇(10)이 마찰부에 의해 마찰력을 제공받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국 그릇(10)이 국 홈(1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반찬 홈(130)은 반찬 홈(130)의 영역을 정의하는 반찬 홈 테두리(130c)의 내부 영역을 구획하는 반찬 홈 구획부(130a, 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반찬 홈 구획부(130a, 130b)의 높이는 반찬 홈 테두리(130c)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찬 홈 구획부(130a, 130b)의 높이가 반찬 홈 테두리(130c)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이유는, 반찬 홈(130)의 내부 영역을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제1 반찬 홈(131), 제2 반찬 홈(132) 및 제3 반찬 홈(133)의 영역을 일정 비율로 가시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1 반찬 홈(131), 제2 반찬 홈(132) 및 제3 반찬 홈(133)의 바닥에 각각의 영역에 상당하는 면적비 또는 용량을 표기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반찬 홈을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반찬 개수에 따라 다양한 개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찬 홈 구획부(130a, 130b)는 각각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반찬 홈(131)과 제2 반찬 홈(132)을 구획하는 제1 반찬 홈 구획부(130a)의 길이는 제2 반찬 홈(132)과 제3 반찬 홈(133)을 구획하는 제2 반찬 홈 구획부(130b)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제2 반찬 홈(132)과 제3 반찬 홈(133)에 수용되는 반찬의 종류가 일부 섞여야 하는 음식, 예를 들면, 샐러드와 샐러드 소스인 경우 서로 섞기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식사 중에 일부씩 섞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찬 홈(130)에 근접하도록 구획되어 형성되는 제4 반찬 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반찬 홈(140)은 반찬 홈(130)과 완전히 구획되어서 상호 섞이지 않도록 다른 종류의 반찬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판(100)의 좌측 일부분이 함몰되어서 사용자의 손바닥의 일부가 접촉될 수 있는 손바닥 거치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손바닥 거치부(150)는 사용자가 식판(100)을 파지하고 이동하는 동안 안정적인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손바닥 거치부(150)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엄지 손가락 파지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엄지 손가락 파지부(151)는 손바닥 거치부(150)와 함께 사용자의 파지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식판(100)에 음식을 담아 이동할 때나 수거 장소로 식판을 운반할 때에 물기 및 음식물의 기름기 등이 식판(100)의 가장 자리에 묻어 손에서 미끄러져 파지가 어려워서 식판(100)이 미끄러져 음식물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식판(100)의 손바닥 거치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 면에는 숫가락 거치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손바닥 거치부(150)가 식판(100)의 좌측 단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 숫가락 거치부(160)는 식판(100)의 우측 단부의 일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숫가락 거치부(160)는 통상적으로 숫가락 또는 젓가락을 임시로 거치할 수 있는 길이 및 폭을 갖도록 파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은 도 1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면, 밥 홈(21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상이하고, 그 외의 유사한 부분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판은 밥 홈(210)을 정의하는 밥 홈 테두리(210f)가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밥 홈(210)의 원중심을 기준으로, 원중심을 통과하는 제1 구획부(210a)가 형성되고, 제1 구획부(210a)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제2 구획부(210b) 및 제3 구획부(210c)가 밥 홈(2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되고, 제1 구획부(210a)와 제2 구획부(210b)가 이루는 각도를 양분하는 각도로 제4 구획부(210c) 및 제5 구획부(210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밥 홈(210)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소정 각도로 복수의 구획부에 의해 제1 원형 밥 홈(211), 제2 원형 밥 홈(212), 제3 원형 밥 홈(213), 제4 원형 밥 홈(214) 및 제5 원형 밥 홈(215)이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계 방향을 연상시키는 각각의 구획부에 의해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섭취량에 따라 적정량을 정확하게 확인하며 음식을 담을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밥 홈(210)의 복수의 구획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입되는 각각의 높이(Hd)는 식판(200)의 전체 높이(Hc)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국 홈(220)의 바닥에 전술한 바와 같은 마찰부가 형성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 그릇(10)이 국 홈(220)에 안착되면 마찰부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국 그릇(10)이 국 홈(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식판
110: 밥 홈
120: 국 홈
130: 반찬 홈

Claims (13)

  1. 상면에 복수의 밥 홈, 반찬 홈 및 국 홈이 형성된 식판에 있어서,
    상기 밥 홈과 반찬 홈 내에서 최외곽 테두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구획 돌기; 및
    상기 국 홈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 홈 내에 한 개의 밥 구획 돌기가 형성되고, 밥 구획 돌기는 상기 밥 홈의 구획되는 각각의 영역의 면적비가 동일하지 않은 다기능 식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밥 홈을 둘러싸는 밥 홈 테두리의 높이는 상기 밥 구획 돌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다기능 식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찬 홈 내에는 복수의 반찬 홈 구획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찬 홈 구획 돌기의 각각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되는 다기능 식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찬 홈 구획 돌기를 둘러싸는 반찬 홈 테두리의 높이는 상기 반찬 홈 구획 돌기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다기능 식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 홈의 밥 홈 테두리에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손바닥을 파지할 수 있는 손바닥 거치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홈에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사람의 엄지가 닿는 위치에 엄지 엄지 손가락 파지부가 형성되는 다기능 식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국 홈의 영역 전체에 걸쳐 마찰력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국 홈의 영역 전체에 걸쳐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이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기능 식판.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찬 홈 구획 돌기에 의해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되는 제1 반찬 홈, 제2 반찬 홈 및 제3 반찬 홈을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 홈 테두리는 평면의 형상이 원형인 다기능 식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밥 홈 테두리의 내측에 원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록 이격되어 상기 밥 홈의 영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밥 홈 구획 돌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판.
KR2020160000229U 2016-01-14 2016-01-14 다기능 식판 KR201700026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29U KR20170002642U (ko) 2016-01-14 2016-01-14 다기능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29U KR20170002642U (ko) 2016-01-14 2016-01-14 다기능 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42U true KR20170002642U (ko) 2017-07-24

Family

ID=5939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29U KR20170002642U (ko) 2016-01-14 2016-01-14 다기능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6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77Y1 (ko) 2018-09-21 2019-01-07 이혜진 음식용 판형 트레이
KR20220084939A (ko) * 2020-12-14 2022-06-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식사 보조 기구
KR20220164650A (ko) 2021-06-05 2022-12-13 백준선 접이식 다이어트 식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579U (ko) 2008-04-14 2009-10-19 우애숙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579U (ko) 2008-04-14 2009-10-19 우애숙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77Y1 (ko) 2018-09-21 2019-01-07 이혜진 음식용 판형 트레이
KR20220084939A (ko) * 2020-12-14 2022-06-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식사 보조 기구
KR20220164650A (ko) 2021-06-05 2022-12-13 백준선 접이식 다이어트 식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449B2 (en) Serving tray and food container
US8322530B2 (en) 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system
AU2007213472B2 (en) 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system
US20090200195A1 (en) Serving platter having disposal opening and shallow sealing lid
US10413101B2 (en) Attachable plate and cup assembly
KR20170002642U (ko) 다기능 식판
US1022882A (en) Plate.
US8181785B1 (en) Bariatric bowl system
JPH0655476U (ja) コップの受容および保持手段付きプレ−ト
JP3212312U (ja) 包装用容器
EP3381317A1 (en) Bento box structure
US20100181226A1 (en) Food container assembly
JP2017144147A (ja)
JP3175492U (ja) 容器
CN202060449U (zh) 减油餐盘组
GB2561890A (en) Bento box structure
JP7137178B2 (ja) 包装用容器
JP7351497B2 (ja) 包装用容器
JP6461723B2 (ja) 容器用連結部材
JP3114163U (ja) ドンブリ形お盆
JP2023041947A (ja) 包装用容器
JP3102884U (ja) 弁当容器
TWM578104U (zh) Lunch box
JP2019147621A (ja) 包装用容器
JP2019172376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