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579U -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 Google Patents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579U
KR20090010579U KR2020080004892U KR20080004892U KR20090010579U KR 20090010579 U KR20090010579 U KR 20090010579U KR 2020080004892 U KR2020080004892 U KR 2020080004892U KR 20080004892 U KR20080004892 U KR 20080004892U KR 20090010579 U KR20090010579 U KR 20090010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cutlery
space
plate
spac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애숙
Original Assignee
우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애숙 filed Critical 우애숙
Priority to KR2020080004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579U/ko
Publication of KR20090010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5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그릇을 얹거나 또는 밥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공간부; 상기 제1공간부 상측에 위치되며,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공간부; 및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의 측방에 위치되며, 젓가락과 수저를 동시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공간부는 젓가락 모양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 상단 양측으로 함몰되며, 수저의 헤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와 대응되는 라운드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젓가락 위에 수저를 함께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은 식판 위에 수저와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는 제3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저 도구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식판, 수저, 젓가락, 거치

Description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food plates}
본 고안은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판 위에 수저와 젓가락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수저와 젓가락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학원, 회사 등에서 급식 제도가 보편화되어 있다. 배식문화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판 등 식기문화도 날로 발전되고 있다. 식당에서 사용되는 식판은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만큼 청결해야 하며, 많은 양의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식판(100)은 수저와 젓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급식받는 과정에서 수저 도구 등을 둘 곳이 마땅치 않아 손에 들고 있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은 이동하면서 급식을 받을 때, 한 손으로 식판을 들고 다른 손으로 수저와 젓가락을 들어야 하므로 식사용구를 바닥에 떨어뜨릴 경우가 많다.
한편, 본인이 직접 자율배식을 해야 할 때, 한 손에 식판과 수저와 젓가락을 동시에 쥐어야 다른 손으로 주걱, 집게, 국자 등을 쥘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실수로 수저 또는 젓가락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식판은 왼쪽이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오른쪽이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국그릇을 항상 오른쪽에 올려놓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이 오른손으로 밥을 먹기 때문에 국그릇을 오른쪽에 올려놓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왼손으로 밥을 먹는 사람 즉, 왼손잡이의 경우는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식판 형상으로 인해서 왼손으로 밥을 먹는 사람들의 불만이 쏟아져 나오기 십상이다.
따라서, 종래의 식판은 수저와 젓가락을 식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식사용구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야 하며, 국그릇을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어느 방향이든지 올려놓을 수 있도록 식판의 형상을 보다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수저와 젓가락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도록 식판 위에 수저와 젓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식판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국그릇을 식판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원하는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는 식판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국그릇을 얹거나 또는 밥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공간부; 상기 제1공간부 상측에 위치되며,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공간부; 및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의 측방에 위치되며, 젓가락과 수저를 동시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공간부는 젓가락 모양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입부와,상기 요입부 상단 양측으로 함몰되며, 수저의 헤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와 대응되는 라운드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젓가락 위에 수저를 함께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한 쌍의 제1공간부는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공간부에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별도의 분리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은 식판 위에 수저와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는 제3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저 도구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은 국그릇을 어느 방향에든지 놓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왼손으로 밥을 먹는 사람도 식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1)은 제1공간부(10), 제2공간부(20) 및 제3공간부(30)로 구성된다.
제1공간부(10)는 국그릇을 얹거나 또는 밥을 담을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종래의 식판(100) 경우는 왼쪽은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오른쪽은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국그릇을 항상 오른쪽에 올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왼손으로 밥을 먹는 사람의 경우는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제1공간부(10) 양쪽 모두가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따라서, 국그릇을 왼쪽 또는 오른쪽 어느 방향이든지 쉽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식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2공간부(20)는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부를 가리킨다. 그리고 제2공간부(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간부(10) 상측에 위치된다.
한편, 복수개의 제2공간부(20) 중 어느 하나는 평면상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공간부(20)가 3개로 이루어지며, 가운데의 공간부가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3공간부(30)는 젓가락과 수저를 동시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공간부(10) 및 제2공간부(20)의 측방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3공간부(3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공간부(3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공간부(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공간부(30)는 젓가락 모양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입부(32)와, 상기 요입부(32) 상단 양측으로 함몰되며, 수저의 헤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와 대응되는 라운드형의 홈부(34)를 갖는다. 이때, 상 기 홈부(3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요입부(32)에 젓가락(B)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홈부(34)에 수저의 헤드부(A)를 안착시키면, 수저와 젓가락이 한 곳에 놓이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공간부(20)에 구비되는 분리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간부(20)에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별도의 분리벽(25)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벽(25)은 식판의 바닥에서 소정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도면의 a,b,c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25)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 공간부에 분리벽(25)이 설치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은 식판 위에 수저와 젓가락을 함께 거치할 수 있는 제3공간부(30)가 형성됨으로써, 수저 도구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식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공간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공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공간부에 구비되는 분리벽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공간부
20: 제2공간부
25: 분리벽
30: 제3공간부
32: 요입부
34: 홈부

Claims (3)

  1. 국그릇을 얹거나 또는 밥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공간부;
    상기 제1공간부 상측에 위치되며,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공간부; 및
    제1공간부 및 제2공간부의 측방에 위치되며, 젓가락과 수저를 동시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공간부는
    젓가락 모양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 상단 양측으로 함몰되며, 수저의 헤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와 대응되는 라운드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젓가락 위에 수저를 함께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공간부는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부에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별도의 분리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KR2020080004892U 2008-04-14 2008-04-14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KR200900105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892U KR20090010579U (ko) 2008-04-14 2008-04-14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892U KR20090010579U (ko) 2008-04-14 2008-04-14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579U true KR20090010579U (ko) 2009-10-19

Family

ID=4155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892U KR20090010579U (ko) 2008-04-14 2008-04-14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5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42U (ko)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이씨엠디 다기능 식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42U (ko)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이씨엠디 다기능 식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579U (ko)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CN204541560U (zh) 一种中式带托盘的餐盘
CN201271055Y (zh) 一种饭盘
CN213696440U (zh) 设有碗状凹槽的学生餐盘
US20040003760A1 (en) Modular kit of dimensionally complementary serving pieces
CN201253064Y (zh) 一种食堂用餐盘
CN103027608A (zh) 厨房卫具架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038093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102551013B1 (ko)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CN214048367U (zh) 一种可搁置公筷的搁置盘
CN210748521U (zh) 双面盘
JP3226544U (ja) 箸置き台
CN217987249U (zh) 一种大型餐厅用腰盘
CN202198288U (zh) 新型快餐盘
CN213075266U (zh) 组合式卫生盘
KR200431708Y1 (ko) 요식업소용 반찬 보관대
KR20130006657U (ko) 접시
CN211833802U (zh) 一种宴会用的餐盘
CN203059139U (zh) 一种托盘式餐具
KR200280720Y1 (ko) 뚜껑이 있는 급식판
KR200175671Y1 (ko)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
JP3097980U (ja) 立食パーティー等の際に使用する片手用トレイ
KR20210059949A (ko) 수저받침 접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