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629B1 - 포도박스 - Google Patents

포도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629B1
KR101121629B1 KR1020090037091A KR20090037091A KR101121629B1 KR 101121629 B1 KR101121629 B1 KR 101121629B1 KR 1020090037091 A KR1020090037091 A KR 1020090037091A KR 20090037091 A KR20090037091 A KR 20090037091A KR 101121629 B1 KR101121629 B1 KR 10112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rape
hollow
holde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320A (ko
Inventor
근 욱 이
Original Assignee
근 욱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 욱 이 filed Critical 근 욱 이
Priority to KR102009003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629B1/ko
Priority to PCT/KR2009/004539 priority patent/WO2010126204A1/ko
Publication of KR20100118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통과정 시 포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보다 장시간동안 보관할 수 있는 포도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도박스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중공과, 이 중공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하향에서 삽입된 포도 줄기를 파지하는 파지편으로 이루어진 파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도, 박스, 파지, 적층, 단턱

Description

포도박스{a grape box}
본 발명은 포도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도의 운반 시 포도알의 탈립과 과실의 변형을 방지하여 장시간동안 자연상태와 유사하게 유지 가능하고, 유통 기간이 늘어나며, 세균 및 해충으로 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신선도와 청결함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포도박스에 관한 것이다.
포도는 특성상 수분이 많고 사과 또는 배와 같은 단일과인 여타 과일에 비해 수십 개 내지 일백 수십 개의 알맹이로 이루어진 송이 과일로서 포도의 형태가 천차만별인 부정과 형태이다.
따라서, 포도는 여타 과일에 비해 운송 및 취급에 있어 애로가 많은 과일이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포도 포장방식은 포도가 포장상자 바닥에 놓여진 상태로 운송 또는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소수의 포도알만이 포도전체의 무게를 감당함으로써 하중을 감당하지 못해 구형의 포도알이 납작해져 탈립이 되거나 포도즙이 흘러나와 터진 포도는 물론 인접한 포도의 신선도 저 하, 부패 유발 및 날파리와 같은 벌레를 발생시키는 등 단위 포장상자 내의 상품성을 떨어뜨려 유통중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으며, 이로 인해 유통기간이 아주 짧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의 운반 시 포도알의 탈립과 자체하중에 의한 변형 즉, 포도알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면에 포도줄기의 상부를 파지하여 포도가 자연상태와 같이 장시간 동안 세움 보관되어 유통 기간이 늘어나고, 세균 및 해충으로 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신선도와 청결함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포도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도박스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중공과, 이 중공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하향에서 삽입된 포도 줄기를 파지하는 파지편으로 이루어진 파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파지수단에 의해 포도를 포장박스 내에 쉽고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자연상태와 같이 포도가 세움설치되어, 운반 시 탈립이나 포도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통기간을 길게 가질 수 있게 한다.
셋째. 적층이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한다.
넷째. 투명창을 통해 박스에 수납 보관된 포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도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뚜껑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적층 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투명창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중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격벽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9는 파지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요철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파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파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파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거치대 설치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거치대 설시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 다.
본 발명에 따른 포도박스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와 거치대(20)와, 파지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10)는 포도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20)는 박스(10)의 두께에 비례하여 그와 결합할 수 있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11)의 상부에 거치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거치대(20)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골판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포도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20)는 수용공간(11)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양측부가 절곡되며, 이 절곡 외면이 수용공간(11) 내면 또는 외면(실시예 미도시)과 밀착되도록 하며,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호치키스(hotchkiss)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파지수단(30)은 상기 거치대(20)에 형성되는 중공(31)과, 이 중공(31)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어 하향에서 삽입된 포도 줄기를 파지하는 파지편(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지편(32)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서 포도의 줄기가 중공(31)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중공(31)에 삽입된 포도의 줄기 상단을 파지하여 이탈하지 못하도록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박스(10)와 파지수단(30)의 파지편(32)은 거치대(2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여 거치대(20)를 설치하는데 용이성을 갖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도가 수용된 박스(10)의 수용공간(11)을 외부공간과 차단하여 포도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뚜껑(13)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뚜껑(13)은 박스(10)의 상부에 끼움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상세한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는 박스(10)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하향된 곳에 설치되며, 상기 박스(10)의 하단은 단턱(15)이 구비되어 박스를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스(10)가 적층되면, 하부층의 박스(10)는 뚜껑(13)이 필요없게 되고, 단지 최상부층의 박스(10)에만 뚜껑을 설치하면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10)의 수용공간(11)에 수납 보관된 포도의 상태를 운반자 및 소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박스(10)의 일면에 투명창(17)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투명창(17)은 비닐 또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투명창의 설치 시 박스(10)의 일면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지수단(30)의 중공(31)은 거치대(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31)이 하나 이상 형성되면, 운반 시 흔들림에 의해 포도가 서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도록 박스(10)에 수용공간(11)을 분할하는 격벽(19)이 더 구비되고, 이 격벽(19)은 중공(31)과 중공(31) 사이에 위치하되 중공(31)들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박스(10)에 포도를 수납 보관한 후, 그 주변의 수용공간에 종이 또는 스트로폼을 채우는 것이 운반 시 포도가 흔들림으로 인해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수단(3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거치대(20)에 형성된 중공(31)과, 이 중공(31)을 관통 삽입하는 봉(33)의 상단에 걸림턱(34)이 형성되며, 하단에 집게(35)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집게(35)는 양측부가 절곡되어 양단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된 역삼각형 판체(35a)와, 상기 역삼각형 판체(35a)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손잡이(35b)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35b)를 파지하여 누르면 판체(35a)의 양단부가 벌어지게 되며, 이 사이에 포도 줄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35b)를 놓으면 판체(35a)의 복원력에 의해 판체(35a)의 양단부는 포도 줄기를 파지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35a)가 포도 줄기를 더욱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톱날 형상의 요철(35c)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수단(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거치대(20)에 형성된 중공(31)과, 이 중공(31)을 관통한 플레이트(36)의 상단에 걸림턱(34)이 구비되고, 플레이트(36)의 하단에 포도 줄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구멍(3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34)은 중공(31)보다 큰 직경을 가져 플레이트(36)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구멍(37)은 관통한 포도의 줄기 상부가 간섭되어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포도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플레이트(36)는 구멍(37)과 포도 줄기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포도가 낙하하지 아니하도록 일정 기울기를 넘지 아니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수단(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거치대(20)에 형성된 중공(31)과, 하측이 절곡되어 뾰족한 하단이 상측방을 가리키며, 상측은 상기 중공(31)을 관통하고, 상단에 걸림턱(34)이 구비된 낚시바늘(38)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뾰족한 하단이 포도의 줄기 일측에 삽입되거나 관통됨으로써, 포도가 박스(10)의 수용공간(11)에 세움 위치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수단(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파지수단(30)은 상기 거치대(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두변의 길이가 동일하고 한변의 길이가 짧은 이등변삼각형의 통공(40), 또는 상기 거치대(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 또는 "*"자형 절개라인(41), 또는 상기 거치대(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이 합쳐진 오뚜기 형상의 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공(40)과 같은 경우, 포도 줄기를 길이가 짧은 변과 근접하도록 삽입한 후, 길이가 동일한 두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포도의 줄기를 강제 이동시켜 포도를 고정한다.
상기 절개라인(41)과 같은 경우, 상기 언급한 파지편(32)과 같이 포도 줄기 상부를 하향에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삽입 관통되게 하면, 절개라인(41)이 찢어지면서, 찢어진 부분이 파지편(32)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포도 줄기를 파지 고정한다.
상기 오뚜기 형상 홀(42)의 경우, 포도 줄기를 큰 구멍으로 먼저 삽입한 후, 작은 구멍으로 포도 줄기를 강제 이동시키면 포도 줄기가 작은 구멍에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져 포도가 고정된다.
한편, 도 15은 상기 거치대 설치방향을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박스(10)의 상부 양측에 상부와 서로 대응되는 일면이 개구되도록 끼움홈(50)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50)에 거치대(20)의 양단이 끼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박스(10)의 상면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끼움공(55)이 형성되며, 이 끼움공(55)에 거치대(20)의 양단이 수용되도록 상기 거치대는 양단부가 직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거치대(20)가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면 상기 언급한 접착제 또는 호치키스를 이용한 거치대 설치방법에 비해 더욱 쉽고 용이하게 거치대(20)를 박스(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뚜껑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적층 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투명창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중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격벽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9는 파지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요철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파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파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파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거치대 설치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거치대 설시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 박스 13 : 뚜껑
15 : 단턱 17 : 투명창
19 : 격벽 20 : 거치대
30 : 파지수단 31 : 중공
32 : 파지편 33 : 봉
34 : 걸림턱 35 : 집게
36 : 플레이트 37 : 구멍
38 : 낚시바늘 40 : 통공
41 : 절개라인 42 : 홀
50 : 끼움홈 55 : 끼움공

Claims (14)

  1.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형성되는 중공과, 이 중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봉과, 상기 봉의 하단에 설치된 집게를 구비하여 포도 줄기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집게는, 양측부가 절곡되어 양단부가 접촉되도록 형성된 역삼각형 판체와, 상기 역삼각형 판체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판체의 양단부를 벌어지게 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박스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하향된 곳에 설치되며, 상기 박스의 하단에는 단턱이 구비되어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금속, 합성수지 및 골판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이 더 구비되며, 이 격벽은 중공과 중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양단부 내면에 요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상부 양측에 상부와 서로 대응되는 일면이 개구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에 거치대의 양단이 끼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상면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되며, 이 끼움공에 거치대의 양단이 수용되도록 상기 거치대는 양단부가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스.
KR1020090037091A 2009-04-28 2009-04-28 포도박스 KR10112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91A KR101121629B1 (ko) 2009-04-28 2009-04-28 포도박스
PCT/KR2009/004539 WO2010126204A1 (ko) 2009-04-28 2009-08-13 포도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91A KR101121629B1 (ko) 2009-04-28 2009-04-28 포도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20A KR20100118320A (ko) 2010-11-05
KR101121629B1 true KR101121629B1 (ko) 2012-03-15

Family

ID=4340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091A KR101121629B1 (ko) 2009-04-28 2009-04-28 포도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9Y1 (ko) * 2012-07-09 2013-08-09 이세진 포도 포장 박스
KR200467549Y1 (ko) * 2012-09-07 2013-06-24 이세진 포도 포장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024Y1 (ko) * 2001-04-13 2001-10-11 이영철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JP2009007014A (ja) * 2007-06-26 2009-01-15 Hidetake Hirai 苺の搬送用保持具および苺の搬送・陳列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024Y1 (ko) * 2001-04-13 2001-10-11 이영철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JP2009007014A (ja) * 2007-06-26 2009-01-15 Hidetake Hirai 苺の搬送用保持具および苺の搬送・陳列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20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6515B2 (ja) ブドウ梱包ボックス
US6625959B2 (en) Center column support packaging device for disc-shaped items and related materials and method for packaging such disks and material
US7857148B2 (en) Jar dispenser
KR101121629B1 (ko) 포도박스
JP2010254303A (ja) ブドウ輸送用箱
JP5279009B2 (ja) 植物の保持部材
KR200468259Y1 (ko) 포도 포장 박스
JP5612192B2 (ja) クレート
US2006657A (en) Detachable lid holding device
KR200447103Y1 (ko) 과일용 난좌
KR200463647Y1 (ko) 포도 포장 박스
JP5186184B2 (ja) 収納箱
US8307981B1 (en) Electrode container having an insert for electrode removal
KR101053694B1 (ko) 포도 포장상자
US5738893A (en) Method of wrapping tomatoes on-the-vine
US200700949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flowers
JP4178324B2 (ja)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EP0828673A1 (en) Package and method for packaging fruit
KR20130005611U (ko) 포도 박스
JP2013523542A (ja) クレート
KR102110092B1 (ko) 과일 포장 장치
KR200467549Y1 (ko) 포도 포장 박스
KR20140001022U (ko) 포도 포장 박스
US10017280B1 (en) Tote for separate items
US20190233164A1 (en) Planter stacking ri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