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57Y1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57Y1
KR200449757Y1 KR2020080007771U KR20080007771U KR200449757Y1 KR 200449757 Y1 KR200449757 Y1 KR 200449757Y1 KR 2020080007771 U KR2020080007771 U KR 2020080007771U KR 20080007771 U KR20080007771 U KR 20080007771U KR 200449757 Y1 KR200449757 Y1 KR 200449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container
cap
lid
inser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799U (ko
Inventor
양제우
임정훈
박형환
김용택
Original Assignee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5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형태나 리드의 재질을 변경하지 않고 단지 스트로우를 투입하는 스트로우 삽입구의 모양을 변형하여 음용자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상단에는 리드가 부착되고, 상기 리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상측에는 캡이 결합되며, 상기 캡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투입하기 위한 스트로우 삽입구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의 가로길이는 리드와 스트로우 삽입구 간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는 스트로우의 꽂는 힘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절개선의 내측은 스트로우 삽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부로 구성되어, 스트로우 삽입시 상기 마개부가 리드를 관통함으로써 스트로우 주변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음료, 용기, 캡, 스트로우, 삽입구, 리드, 틈새

Description

음료 용기{Drink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형태나 리드의 재질을 변경하지 않고 단지 스트로우를 투입하는 스트로우 삽입구의 모양을 변형하여 음용자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음료의 판매를 위하여 음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음료 용기가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 용기들은 플라스틱, 유리, 금속 캔, 종이팩 등의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구성되어 우유, 탄산음료, 주스 등을 비롯하여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음료 용기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음료 용기용 캡의 사용예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최근에는 내용물의 보존성과 신선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다층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음료 용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렇게 선택된 음료 용기의 상측에 내열 및 무균 처리된 필름타입의 리드를 열접착 방법으로 구비하는 음료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 용기는 제품의 운반 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6)의 상단에 부착되는 리드의 상측으로 수지 재질의 캡(1)을 덮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음용자가 음료 용기(6) 내부에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의 상단 일측에 스트로우(5)를 투입할 수 있는 스트로우 삽입구(2)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2)는 오픈된 형태가 아니라 절개선으로 성형되어 스트로우(5)를 꽂는 힘에 의해 상기 캡(1)으로부터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음료 용기용 캡은, 음용자가 스트로우 삽입구(2)에 스트로우(5)를 꽂아 내용물을 음용할 시, 상기 스트로우(5)가 틈새없이 리드와 밀착되게 삽입됨에 따라 음료 용기(6)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지 못하여 내용물이 흡입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형태나 재질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이는 제작비용을 상승시켜 소비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그래서, 상기 리드에 스트로우를 꽂은 다음, 상기 스트로우를 회전시켜 스트로우와 리드 간에 틈새를 만들어 내용물을 음용하기도 하지만,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클레임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캡의 형태나 리드의 재질에 대한 변경없이 스트로우를 투입하는 스트로우 삽입구의 모양을 변형하여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의 마개역할을 하는 마개부의 끝단이 리드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음용자의 음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료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상단에는 리드가 부착되고, 상기 리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상측에는 캡이 결합되며, 상기 캡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투입하기 위한 스트로우 삽입구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의 가로길이는 리드와 스트로우 삽입구 간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는 스트로우의 꽂는 힘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절개선의 내측은 스트로우 삽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부로 구성되어, 스트로우 삽입시 상기 마개부가 리드를 관통함으로써 스트로우 주변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가 오각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마개부의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는 소비자가 스트로우 삽입구에 스트로우를 꽂음에 따라 스트로우 삽입구의 마개역할을 하는 마개부의 끝단이 리드에 틈새를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음료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내용물의 음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는 캡의 형태나 재질의 변경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비용의 상승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음료 용기는 스트로우(30)가 투입되는 스트로우 삽입구(11)의 모양을 변경하여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11)의 마개역할을 하는 마개부(12)가 리드(21)를 관통하여 틈새를 형성하도록 한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캡의 사용예를 도시한 상태도이 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음료 용기(20)는 내부에 내용물을 채우기 위해 그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음료 용기(20)의 상단에 리드(21)를 부착하며, 상기 리드(2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측에 캡(10)을 구비한다.
상기 리드(21)는 다층 필름 타입으로 열접착을 통해 상기 음료 용기(20)의 상단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캡(10)은 내부가 보이도록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상기 음료 용기(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10)의 상단 일측에 내용물의 음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음용자가 이용하는 스트로우(30)를 투입할 수 있도록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로우 삽입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선은 상기 캡(10)에 스트로우(30)를 꽂는 힘으로 인해 절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의 내측은 스트로우 삽입구(11)를 마감하는 마개부(12)로 구성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로우 삽입구가 형성된 캡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음용자가 스트로우를 이용시 내용물의 음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트로우 삽입구(11)의 모양을 도 3과 같이 성형한다.
즉,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11)의 모양을 긴 오각형으로 성형하여 마개부(12) 의 끝단을 길고 날카롭게 형성함으로써, 스트로우(30)를 삽입시 상기 마개부(12)가 스트로우(30)를 꽂는 힘에 의해 밀리면서 마개부(12)의 끝단이 리드(21)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마개부(12)의 끝단이 리드(21)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리드(21)에 밀착된 스트로우(30) 주변에 별도의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가 음료 용기(2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의 음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개부(12)는 그 가로길이가 캡(10)과 리드(21) 간에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부(12)는 대부분 리드(21)에 대해 비스듬하게 걸리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충분한 가로길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절개선을 마련해야 한다.
첨부한 도 6은 도 5의 A-A를 취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캡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마개부(12)의 끝단이 리드(21)를 관통하여 틈새를 형성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0)에 성형되는 스트로우 삽입구(11)는 반타원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자가 스트로우(30)를 상기 캡(10)의 스트로우 삽입구(11)에 투입하면 절개선이 절단되면서 스트로우(30)가 삽입되어 리드(21)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절개선 내부에 마개부(12)가 밀리면서 하강하여 상기 리드(21)를 관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드(21) 상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가 음료 용기 내부로 유입 가능함에 따라 음용자가 상기 스트로우(30)를 통해 음료 용기(20) 내부에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음료 용기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음료 용기용 캡의 사용예를 도시한 부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로우 삽입구가 형성된 음료 용기용 캡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로우 삽입구가 형성된 음료 용기용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캡의 사용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5의 A-A를 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11 : 스트로우 삽입구
12 : 마개부
20 : 음료 용기 21 : 리드
30 : 스트로우

Claims (2)

  1. 음료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상단에는 리드가 부착되고, 상기 리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상측에는 캡이 결합되며, 상기 캡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투입하기 위한 스트로우 삽입구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의 가로길이는 리드와 스트로우 삽입구 간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는 스트로우의 꽂는 힘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절개선의 내측은 스트로우 삽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부로 구성되어, 스트로우 삽입시 상기 마개부가 리드를 관통함으로써 스트로우 주변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삽입구가 오각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마개부의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2020080007771U 2008-06-11 2008-06-11 음료 용기 KR200449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771U KR200449757Y1 (ko) 2008-06-11 2008-06-11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771U KR200449757Y1 (ko) 2008-06-11 2008-06-11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99U KR20090012799U (ko) 2009-12-16
KR200449757Y1 true KR200449757Y1 (ko) 2010-08-06

Family

ID=4424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771U KR200449757Y1 (ko) 2008-06-11 2008-06-11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240B1 (ko) 2019-04-12 2020-06-30 금성실업 주식회사 음료용 컵 용기
KR200493834Y1 (ko) 2020-10-05 2021-06-10 소윤섭 음료용기용 리드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60Y1 (ko) * 2013-11-21 2015-01-23 주식회사 에버그린패키징코리아 빨대 유입구를 갖는 음료용 팩
KR200480691Y1 (ko) * 2015-05-28 2016-06-24 김현순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029A (ja) * 1992-09-14 1994-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付きカップ容器
US5348217A (en) 1990-08-21 1994-09-20 Tropicana Products, Inc. Beverage container with novel dispensing means
KR20030031167A (ko) * 2000-08-21 2003-04-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경화된 플루오레닐 폴리이미드
KR200331167Y1 (ko) 2003-06-18 2003-10-22 매일유업주식회사 음료 용기의 빨대 삽입 구조
JP2004231201A (ja) 2003-01-28 2004-08-19 Nippon Paper-Pak Co Ltd 飲料用紙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217A (en) 1990-08-21 1994-09-20 Tropicana Products, Inc. Beverage container with novel dispensing means
JPH06100029A (ja) * 1992-09-14 1994-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付きカップ容器
KR20030031167A (ko) * 2000-08-21 2003-04-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경화된 플루오레닐 폴리이미드
JP2004231201A (ja) 2003-01-28 2004-08-19 Nippon Paper-Pak Co Ltd 飲料用紙容器
KR200331167Y1 (ko) 2003-06-18 2003-10-22 매일유업주식회사 음료 용기의 빨대 삽입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240B1 (ko) 2019-04-12 2020-06-30 금성실업 주식회사 음료용 컵 용기
KR200493834Y1 (ko) 2020-10-05 2021-06-10 소윤섭 음료용기용 리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99U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4036A (ko) 병 뚜껑
KR200449757Y1 (ko) 음료 용기
JP4300882B2 (ja)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JP2009269664A (ja) 口頚部に設置される飲料用粉末供給容器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JP4939599B2 (ja) 飲料パッケージ容器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20170002191U (ko) 해충 침입 방지 음료수 용기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KR200413218Y1 (ko) 컵 용도의 마개를 구비한 포장용 병
KR200331167Y1 (ko) 음료 용기의 빨대 삽입 구조
JP2010064781A (ja) ストロー兼用容器及びそれが付けられた容器入り飲料
KR20170031354A (ko) 결로 방지용 음료용기
KR20070000613U (ko) 커플 음료수 페트병 및 그 내부 뚜껑
KR101136131B1 (ko) 영역 분할형 페트병
JP2007276827A (ja) カプセル容器、カプセル、及びカプセル付き液体容器包装体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RU54902U1 (ru) Бутылка
KR200478362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0255395Y1 (ko) 밀봉성이 뛰어난 포장병용 피티 캡
KR200192656Y1 (ko) 다중 수용부를 갖는 음료용기
KR200461046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US20070224054A1 (en) Smart Lid
KR200434396Y1 (ko) 사은품 분실방지 및 병뚜껑 보호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