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978B1 -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 Google Patents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978B1
KR101345978B1 KR1020120053452A KR20120053452A KR101345978B1 KR 101345978 B1 KR101345978 B1 KR 101345978B1 KR 1020120053452 A KR1020120053452 A KR 1020120053452A KR 20120053452 A KR20120053452 A KR 20120053452A KR 101345978 B1 KR101345978 B1 KR 10134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tea
drying
drying unit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22A (ko
Inventor
박수희
Original Assignee
박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희 filed Critical 박수희
Priority to KR102012005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97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컵 본체의 내부를 격벽으로 구획하여 격벽 일측에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격벽 타측에는 건조부를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차 스푼을 소량의 물로 간편하게 세척한 후 즉석에서 건조부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차 스푼의 간편한 세척에 사용되는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을 마친 차 스푼을 건조부에 넣어서 보관하면서 건조함으로써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며, 차 스푼을 이용해 커피 분말이나 설탕 등을 뜰 때 커피 분말 등이 차 스푼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A cup for washing and storing teaspoon}
본 발명은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를 타는데 사용한 차 스푼의 간단한 세척과 보관을 가능케 함으로써 차 스푼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케 한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과 같이 차나 커피를 자주 타서 마시는 곳에서는 차나 커피를 탈 때 사용하는 차 스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한 차 스푼을 그대로 두면 차 스푼에 지저분한 얼룩이 남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기 때문에 간편하게 물로 세척해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차 스푼을 일일이 싱크대나 개수대에서 세척한 후 별도의 보관통에 넣어서 보관하는 것은 무척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차 스푼의 세척과 보관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세척용 물을 담는 저수부와, 차 스푼을 보관하는 건조부를 한꺼번에 형성한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컵 본체(1)의 내부를 격벽(103)으로 구획하여 격벽 일측에는 저수부(101)를 형성하고, 격벽 타측에는 건조부(102)를 형성한 구성이다.
한편, 건조부(102)의 바닥면에는 다공부(102b)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컵 본체(1) 일측에는 또 다른 격벽으로 구획된 수납부(105)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건조부(102)의 내벽에 걸림턱(102c)을 돌출 형성하여 그 걸림턱(102c) 상부에 다공판(2)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건조부(102)의 내벽 일측에는 걸림턱(102c)을 돌출 형성하고, 내벽 타측에는 다공판(2a)을 힌지 결합하여 그 다공판(2a)을 걸림턱(102c) 상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저수부(101) 내부에는 별도의 저수통(3)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하고, 저수부(101)의 외벽 일측에는 저수통(3)을 쉽게 빼내기 위한 요부(101a)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건조부(102) 내부에는 별도의 건조통(4)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하고, 건조부(102)의 외벽 일측에는 건조통(4)을 쉽게 빼내기 위한 요부(102a)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컵 본체(1)의 저수부(101)와 건조부(102) 내부에는 각각 저수통(3)과 건조통(4)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하되, 저수부(101)의 외벽 일측에는 삽입홈(104)을 형성하여 손잡이(301)가 형성된 저수통(3)을 저수부(101)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컵 본체(1)의 일측 외벽에는 마그네틱과 같은 부착수단(5)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컵 본체(1)의 저수부(101)와 건조부(102) 내부에는 각각 저수통(3)과 건조통(4)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하되, 저수통(3)과 건조통(4)의 상단부가 컵 본체(1)의 상단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차 스푼을 소량의 물로 간편하게 세척한 후 즉석에서 건조부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차 스푼의 간편한 세척에 사용되는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을 마친 차 스푼을 건조부에 넣어서 보관하면서 건조함으로써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며, 차 스푼을 이용해 커피 분말이나 설탕 등을 뜰 때 커피 분말 등이 차 스푼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부에 다공부를 형성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컵 본체에 수납부를 형성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공판을 가진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공판을 가진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수통과 건조통을 가진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저수통과 건조통을 가진 실시 예의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저수통과 건조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저수통에 손잡이를 형성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1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컵 본체(1)의 내부를 격벽(103)으로 구획하여 격벽 일측에는 저수부(101)를 형성하고, 격벽 타측에는 건조부(102)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때, 저수부(101)와 건조부(102)의 면적은 7:3 정도로 저수부(101)를 건조부(102)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과 같이 컵 본체(1)의 일측에는 손잡이(301)를 형성하였으나, 손잡이(301)는 컵 본체(1)의 디자인이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생략할 수 있으며, 컵의 소재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저수부(101)에 차 스푼의 세척을 위한 물을 담아서 차를 주로 타는 공간에 두면, 차나 커피 등을 태울 때 사용한 차 스푼을 저수부(101)의 물에 가볍게 헹궈낸 후 건조부(102)에 넣어서 보관함으로써 건조부(102)에서 차 스푼이 건조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케 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부(102)의 바닥면에 다공부(102b)를 형성함으로써 헹굼 세척을 마친 차 스푼을 건조부(102)에 넣어서 보관할 때 다공부(102b)를 통해 공기 소통이 원활해짐으로써 젖은 차 스푼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젖은 차 스푼에서 떨어진 물이 건조부(102)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본체(1) 일측에는 또 다른 격벽(103a)으로 구획된 수납부(105)를 형성함으로써 소포장된 커피봉지나 차봉지 등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부(102)의 내벽에 걸림턱(102c)을 돌출 형성하여 그 걸림턱(102c) 상부에 다공판(2)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헹굼 세척을 마친 차 스푼을 건조부(102)에 넣어서 보관할 때 다공판(2)을 공기 소통이 원활해짐으로써 젖은 차 스푼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젖은 차 스푼에서 떨어진 물이 다공판(2)의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공판(2)을 건조부(102) 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컵을 세척할 때 건조부(102) 내부 바닥뿐만 아니라, 다공판(2)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부(102)의 내벽 일측에는 걸림턱(102c)을 돌출 형성하고, 내벽 타측에는 다공판(2a)을 힌지 결합하여 그 다공판(2a)을 걸림턱(102c) 상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헹굼 세척을 마친 차 스푼을 건조부(102)에 넣어서 보관할 때 다공판(2a)을 공기 소통이 원활해짐으로써 젖은 차 스푼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젖은 차 스푼에서 떨어진 물이 다공판(2a)의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컵 본체(1)의 저수부(101) 내부에는 별도의 저수통(3)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함으로써 차 스푼을 반복 세척한 물을 버리고 새로 물을 담아서 보관할 때, 컵 전체를 옮겨갈 필요없이 저수통(3)만을 빼서 세척한 후 다시 물을 담아서 저수부(101)에 끼워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한 사용이 가능케 된다.
또한, 저수부(101)의 외벽 일측에는 요부(101a)를 형성함으로써 컵 본체(1)의 저수부(101)에 끼워진 저수통(3)을 빼낼 때 요부(101a)를 이용해 저수통(3)의 외벽을 직접 잡아서 당겨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저수부(101)에 끼워진 저수통(3)을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컵 본체(1)의 건조부(102) 내부에는 바닥면에 다공부(102b)를 형성한 별도의 건조통(4)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함으로써 저수부(101)에 담긴 물로 헹궈낸 차 스푼을 건조부(102) 내부에서 보관할 때, 건조부(102) 내의 건조통(4)에 차 스푼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차 스푼의 세척 후 차 스푼에 묻어있는 미량의 수분이 흘러내려 건조부(102)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부(102)의 외벽 일측에는 요부(102a)를 형성함으로써 컵 본체(1)의 건조부(102)에 끼워진 건조통(4)을 빼낼 때 요부(102a)를 이용해 건조통(4)의 외벽을 직접 잡아서 당겨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건조부(102)에 끼워진 건조통(4)을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부(102)는 상부가 넓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하고, 건조부(102) 내부에 투입되는 건조통(4)의 높이는 건조부(102) 내부의 전체 높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건조부(102) 내부에 건조통(4)을 투입하였을 때 건조통(4)의 저면이 건조부(102)의 내부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통(4)의 바닥면에는 다공부(401)를 형성함으로써 헹굼 세척을 마친 차 스푼을 건조부(102)에 넣어서 보관할 때 다공부(102b)를 통해 공기 소통이 원활해짐으로써 젖은 차 스푼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본체(1)의 저수부(101)와 건조부(102) 내부에는 각각 저수통(3)과 건조통(4)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하되, 저수통(3)과 건조통(4)의 상단부가 컵 본체(1)의 상단부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저수통(3)과 건조통(4)의 돌출된 상단부를 잡아서 컵 본체(1)의 저수부(101)나 건조부(102) 내부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과 같이 컵 본체(1)의 저수부(101)와 건조부(102) 내부에는 각각 저수통(3)과 건조통(4)을 끼워서 수납 가능케 하되, 저수부(101)의 외벽 일측에는 삽입홈(104)을 형성하여 손잡이(301)가 형성된 저수통(3)을 저수부(101)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저수통(3)의 물을 교환할 저수통(3)을 저수부(101)에서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컵 본체(1)의 일측 외벽에는 마그네틱과 같은 부착수단(5)을 구비하여 차나 커피를 탈 때 사용하는 정수기의 측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본체 101: 저수부
102: 건조부 101a, 102a: 요부
102b: 다공부 102c: 걸림턱
103, 103a: 격벽 104: 삽입홈
2, 2a: 다공판 3: 저수통
301: 손잡이 4: 건조통
401: 다공부 5: 부착수단

Claims (10)

  1. 컵 본체의 내부를 격벽으로 구획하여 격벽 일측에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격벽 타측에는 건조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된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 일측에는 또 다른 격벽으로 구획된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건조부의 내벽 일측에는 걸림턱을 돌출 형성하고, 내벽 타측에는 다공판을 힌지 결합하여 그 다공판을 걸림턱 상부에 거치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저수부의 외벽 일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저수통을 저수부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컵 본체의 일측 외벽에는 마그네틱으로 된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53452A 2012-05-21 2012-05-21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KR10134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52A KR101345978B1 (ko) 2012-05-21 2012-05-21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52A KR101345978B1 (ko) 2012-05-21 2012-05-21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22A KR20130129522A (ko) 2013-11-29
KR101345978B1 true KR101345978B1 (ko) 2014-01-03

Family

ID=4985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452A KR101345978B1 (ko) 2012-05-21 2012-05-21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08A (ko) 2015-05-04 2016-11-14 이정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2967B (zh) * 2017-05-17 2018-07-13 企业管家(中山)科技有限公司 一种清理方便的水杯
CN106963212A (zh) * 2017-05-17 2017-07-21 中山市乐盈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洗方便的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783U (ko) * 1987-10-05 1989-04-10
JP2006026393A (ja) * 2004-07-21 2006-02-02 Shien Chin コ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783U (ko) * 1987-10-05 1989-04-10
JP2006026393A (ja) * 2004-07-21 2006-02-02 Shien Chin コ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08A (ko) 2015-05-04 2016-11-14 이정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KR101754709B1 (ko) * 2015-05-04 2017-07-07 이정미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22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978B1 (ko)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ES2566018T3 (es) Bastidor para un recipiente de detergente
KR101889639B1 (ko) 수동-조작식 의류 세척 장치
ITPN950031U1 (it) Cestello portaposate per lavastoviglie
US3072132A (en) Lens soaking kit
JP2008125701A (ja) 食器洗い機
KR200485317Y1 (ko)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CN103239194B (zh) 餐具清洗机
CN212346317U (zh) 厨具收纳装置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0463682Y1 (ko)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JP2009112756A (ja) 水溶液受け付き石鹸収納容器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KR101286295B1 (ko)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CN210055814U (zh) 多功能洗漱套装
JP2008125702A (ja) 食器洗い機
CN207979251U (zh) 一种带有可填充洗洁液手柄的方便刷
CN217446982U (zh) 清洁刷组件
KR20140002175U (ko) 다용도 식기 세척기
KR200245978Y1 (ko) 착탈식 칸막이가 구비된 수저통
KR102462320B1 (ko)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KR200410400Y1 (ko)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KR101754709B1 (ko) 이층구조의 티스푼 바스켓통
KR100418595B1 (ko) 마대걸레 탈수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