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682Y1 -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 Google Patents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682Y1
KR200463682Y1 KR2020100002081U KR20100002081U KR200463682Y1 KR 200463682 Y1 KR200463682 Y1 KR 200463682Y1 KR 2020100002081 U KR2020100002081 U KR 2020100002081U KR 20100002081 U KR20100002081 U KR 20100002081U KR 200463682 Y1 KR200463682 Y1 KR 20046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main body
cover
cleaning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531U (ko
Inventor
박금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폴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폴리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폴리머
Priority to KR2020100002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68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2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clean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청소용스폰지 보관함은, 내부에 청소용 스폰지를 다수개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본체 내부의 스폰지가 개방된 하부 바닥으로 내려올때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에 부착된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본체 내부에 수납된 스폰지를 본체의 하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와 하판 사이에 스폰지 높이 이상되는 스폰지배출구가 형성되어 본체 내부에 수납된 스폰지를 손쉽고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Cleaning Sponge Receptacle}
본 고안은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물을 적시어 물체의 표면 더러움을 닦는 청수용 스폰지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주방이나 욕실 바닥등을 청소하는 청소용품중에서 세제나 비누 없이 물만 적시어서 청소 대상 표면을 닦는 스폰지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스폰지는 사각 입방체로 절단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시중에서 쉽게 구할수 있고, 크리닝 성능도 좋아서 청소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스폰지를 사용하여 주방이나 화장실청소를 한 후 사용된 스폰지는 소량의 물로 행궈내기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한데, 스폰지를 후에 재사용하려고 놓아 두고, 나중에 다시 찾으려 하면 스폰지를 어디에 두었는지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은 스폰지와 사용한 스폰지를 항상 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스폰지를 찾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생수용 종이컵의 적층보관함이나 생리대나 화장품파우치의 보관함 등이 공지되어 있지만, 공지된 보관함의 구조에 스폰지를 보관할 경우 스폰지의 인출이 원활하지 않고, 사용한 스폰지를 다음 사용을 위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 매우 불편하게 된다. 청소용 스폰지는 다른 스폰지에 면상 접촉이 되면 미끄러지지 아니하여 인출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출원번호 20-2006-0032266, 출원일자 2006년12월21일, 공개번호 제 20-2008-0002145, "생리대 보관함"이 공개된바 있다. 이 고안은 보관함의 상부덮개를 열어서 생리대를 보관함에 수납하고, 전면하부에 형성된 하부덮개를 열어서 생리대를 보관함에서 인출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러한 구조의 보관함을 청소용스폰지 보관함으로 사용하려하면, 새로운 스폰지를 꺼내어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이미 사용한 스폰지는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불편하게 된다.
또, 출원번호 20-2007-0005263, 출원일자 2007년03월30일,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0437531호 "절취수단을 갖는 화장품 파우치 보관함"은 개폐되는 커버와 삽탈되는 바닥판을 갖는 보관함을 구비하여, 커버의 개방을 통해 보관함 내에 파우치를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게 하고, 보관함의 일측에는 상기 파우치를 인출할 수 있게 한 배출공을 형성하며, 보관함의 저면에는 바닥판의 상부 공간에 해당하는 수거부를 형성하되, 그 수거부의 일측에는 컷터를 갖는 절개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보관함을 이용하여 다수의 파우치를 수납하여 보관 및 인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파우치의 일부가 외부에서 보여지므로 파우치 내용물의 종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 고안과 같은 구조의 보관함에 스폰지를 보관하려고 하면, 사용한 스폰지를 별도로 수납할 공간이 없으며, 보관함 내부에 수납된 스폰지를 인출하는 배출공이 스폰지 배출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주방이나 화장실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부피가 작고, 벽체나 가구의 몸체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관함에 수납된 스폰지의 인출이 간편하고, 청소등에 사용한 스폰지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소용스폰지 보관함은, 내부에 청소용 스폰지를 다수개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본체 내부의 스폰지가 개방된 하부 바닥으로 내려올때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에 부착된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은, 본체 내부에 수납된 스폰지를 본체의 하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와 하판 사이에 스폰지 높이 이상되는 스폰지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은, 본체의 후면과 측면 일부가 닫힌 덮개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사용한 스폰지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역할을 하도록 하는 스폰지선반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은, 벽면에 본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공 또는 접착테이프를 추가로 구비한다.
덮개는 본체 전면에서 본체 측면 깊이 이상 연장하고 측면 깊이 정도에서 절곡하고, 절곡부분에 덮개구멍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열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은 벽면에 설치하기가 쉽고, 부피가 작아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은 보관함에 수납된 스폰지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한 스폰지를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있어서 한번 사용한 스폰지를 재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절약이 되고 스폰지의 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청소용 스폰지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청소용 스폰지 수납함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청소용 스폰지 수납함의 본체 후면에 형성된 접착면이 부착된 부분을 도시한 부분좌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 청소용 스폰지 수납함의 각기 다른 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 내지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청소용스폰지 보관함은, 내부에 청소용 스폰지를 다수개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의 본체(10)와,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1)와, 본체 내부의 스폰지가 개방된 하부 바닥으로 내려올때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단에 부착된 하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와 같이 본체 내부에 수납된 스폰지(30)를 본체의 하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와 하판 사이에 스폰지 높이 이상되는 스폰지배출구(40)가 형성된다. 스폰지배출구(40)는 전면 하부 및 양 측면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이 스폰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어서 좋다. 스폰지배출구(40)를 일측면만 열어 놓으면 위에 있는 스폰지가 꺼내려는 스폰지를 접촉하여서 쉽게 빠져 나올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빼어내려는 스폰지를 측면으로 회전시키면서 빼어내면 용이하게 인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스폰지배출구의 높이를 스폰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면 스폰지를 배출구의 측면에서 회전시키기가 용이해진다.
본체의 하판(12)은 도1에서와 같이 "ㄴ"자 형상을 지니며, 하판의 상부가 본체의 후면 하단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도 1은 본체의 후면에 하판(12)을 결합한 형상으로서, 스폰지를 인출할 때, 측면에서 스폰지의 앞면이나 후면을 좌우로 흔들어서 꺼내면 된다.
도 4는 본체의 측면 하단이 측면 안쪽으로 경사면을 이루면서 하판과 결합한 형상으로서, 본체의 전면과 측면에 스폰지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하판과 본체를 결합하면, 도 1에서 도시한 형상보다 하판을 본체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스폰지를 인출할 때, 본체의 측면에서 스폰지 앞부분을 좌우로 흔들어서 꺼낼 수 있다. 하지만, 도 1보다는 스폰지를 좌우로 돌릴 수 있는 각도가 줄어든다.
도 5는 본체의 측면 하단이 측면 안쪽에서 하판과 직각을 이루면서 결합된 형상으로, 본체의 측면일부와 전면에 스폰지배출구가 형성된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하판과 본체를 결합하면, 도 1 및 도 4에서 보인 형상보다 본체와 하판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고, 다수개의 스폰지가 본체에 수납되어있어도 하판이 스폰지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쳐지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폰지는 본체의 측면에서 스폰지 앞부분을 좌,우로 흔들면서 빼어내면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것처럼 하판과 본체가 결합하도록 보관함을 제작하면 되며, 하판과 본체의 결합된 형상이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형상을 갖더라도 스폰지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스폰지배출구가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면 된다.
덮개(11)는 본체 전면에서 본체 측면까지의 깊이보다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하고, 측면 깊이 정도에서 절곡하고, 절곡부분에 덮개구멍(14)을 형성하여 손가락으로 열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덮개(11)에 형성된 덮개구멍(14)을 통하여 덮개를 열면 본체 내부로 스폰지를 넣을 수 있고, 덥게를 닫으면 덮개의 상단에 스폰지를 올려놓을 수 있는 스폰지선반으로 활용된다.
본체의 후면과 측면의 일부는 닫힌 덮개보다 높게 형성되고, 닫힌 덮개는 사용한 스폰지를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역할을 하는 스폰지선반으로 사용된다. 스폰지선반위에 스폰지를 올려놓아도 본체의 후면과 측면의 일부가 스폰지선반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스폰지가 바닥으로 추락하여 분실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덮개의 절곡부분에 덮개구멍(14)이 형성되거나, 덮개가 부착된 본체 전면과 덮개가 절곡된 절곡부분 사이에 덮개를 열 수 있는 덮개구멍(14)이 형성되면 덮개의 상부에 재활용 스폰지(본원 고안에서는 이미 사용하고 재사용 할 스폰지를 지칭한다.)를 수납할 때 덮개의 표면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서 좋다.
본체에는 벽면에 본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공 또는 접착테이프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체에는 본체를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면이나 측면에 접착테이프(21)가 하나이상 구비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벽에 본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걸쇠가 후면의 상단에 구비되어도 좋다. 본체에 구비된 접착테이프를 통하여 본체가 벽체나 가구의 벽면에 부착되면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본체 내부의 스폰지(30)을 인출할 수 있어서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하부와 결합된 하판(12)의 후면에도 접착테이프(21)가 구비되면 본체와 하판이 벽체에 접착테이프를 통하여 부착되면서 본체내부에 수납된 스폰지(30)를 하판이 보다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어서 좋다.
도 3은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면이 부착된 부분을 도시한 부분좌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에 스폰지를 수납하고, 인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본체와 하판이 부착된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을 사용할 장소(예: 주방 이나 화장실)의 벽면이나 가구의 몸체에 부착한다.
2.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의 덮개를 열고 보관함의 내부로 스폰지를 수납한다.
3. 주방이나 화장실의 청소 등으로 스폰지를 사용하여야 할 때 스폰지 배출구에서 스폰지를 인출한다. 스폰지를 배출구의 좌우로 흔들어서 인출하게 되면 보관함의 내부에 수납된 스폰지와 접촉면이 줄어들게 되어 손쉽게 꺼낼수가 있다.
4. 사용한 스폰지를 재사용 하고자 할때 사용한 스폰지를 덮개의 상단에 올려놓고, 추후 스폰지를 재 사용할 때, 덮개의 상단에 올려진 스폰지를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은 크리닝성능이 좋은 스폰지를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이다.
10 : 본체 11 : 덮개 12 : 하판 13 : 측면상부 14 : 덮개구멍
20 : 부착공 21 : 접착테이프 30 : 스폰지 40 : 스폰지 배출구

Claims (3)

  1. 전후좌우의 4개 측면을 가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전방 측면이 상면의 전후 길이보다 조금더 길게 상부로 연장되고, 전방 측면의 모서리부분에서 1차 절곡된 후, 후방 측면의 모서리 부분에서 2차로 절곡되어 형성된 덮개와;
    본체의 후방 측면이 모서리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장하는 스폰지 높이 이상 되는 위치에서 전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본체의 바닥면과 비슷한 면적이 되는 위치에서 절단하여,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스폰지가 하부로 더 이상 낙하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고, 스폰지가 전면 개방 출구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측면을 연장하여 출구의 후방 좌우 측면 일부가 막히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후면과 측면의 후방이 연장되어 상기 덮개 위의 공간이 좌우로 한정되도록 하여, 스폰지를 올려 놓는 선반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후방 측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거나, 상기 본체 후장 측면의 상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에는 덮개를 덮었다가 열기 편리하도록 손가락 구명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2081U 2010-02-26 2010-02-26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KR20046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81U KR200463682Y1 (ko) 2010-02-26 2010-02-26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81U KR200463682Y1 (ko) 2010-02-26 2010-02-26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31U KR20110008531U (ko) 2011-09-01
KR200463682Y1 true KR200463682Y1 (ko) 2012-11-20

Family

ID=4508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081U KR200463682Y1 (ko) 2010-02-26 2010-02-26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6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22Y1 (ko) * 2015-07-06 2017-03-08 김진용 셀 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상품 진열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14Y1 (ko) 2000-01-24 2000-06-15 이종환 다목적 종이상자
KR200351887Y1 (ko) 2004-02-26 2004-06-04 영 열 김 화장솜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14Y1 (ko) 2000-01-24 2000-06-15 이종환 다목적 종이상자
KR200351887Y1 (ko) 2004-02-26 2004-06-04 영 열 김 화장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31U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9474A (en) Toilet tissue holder and bowl brush
US9072413B2 (en) Storage container for bathroom cleaning utensils
US20100243660A1 (en) Bathroom organizer with dual paper toilet storage holder
US6651260B1 (en) Toilet tank top with easy access to drop in deodorizing discs
JP6054619B2 (ja) 流し台用シンク
KR200463682Y1 (ko) 청소용 스폰지 보관함
US6343845B1 (en) Multiple bar soap storage dispenser
US10213072B2 (en) Method of forming a toilet caddy assembly
US20050120968A1 (en) Pet furniture
JP3131381U (ja) らくらくモップ埃取り収納箱
KR101345978B1 (ko)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KR20100011337U (ko) 위생수저통
KR200467805Y1 (ko)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KR101196496B1 (ko) 롤형 물티슈 포장용기
KR102440416B1 (ko) 양치질 전용 위생컵
US20120211533A1 (en) Child portable potty seat caddy
CN212465831U (zh) 一种用于浴室的多功能纸巾盒
KR200488532Y1 (ko) 칫솔을 거치한 상태에서 넘어짐을 방지한 칫솔 거치대용 컵
KR200309989Y1 (ko) 휴지 보관대
CN202234478U (zh) 一种杯子
KR101105094B1 (ko) 물 배출형 휴대용 가방
KR101105101B1 (ko) 물 배출형 휴대용 가방
JP3142782U (ja) 綿棒ディスペンサー
JPS5817576Y2 (ja) 台所用品収容箱
KR20110115441A (ko) 양변기의 청소용 브러쉬 수납기능을 구비한 잡지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