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17Y1 -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 Google Patents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17Y1
KR200485317Y1 KR2020150008532U KR20150008532U KR200485317Y1 KR 200485317 Y1 KR200485317 Y1 KR 200485317Y1 KR 2020150008532 U KR2020150008532 U KR 2020150008532U KR 20150008532 U KR20150008532 U KR 20150008532U KR 200485317 Y1 KR200485317 Y1 KR 200485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main body
kitchen
neck
deterge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443U (ko
Inventor
박창현
김시만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8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1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Abstract

본 고안은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본체(110)보다 가늘고 길게 일체로 연결되어 수세미(S) 걸이를 이루는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를 밀폐시키는 마개(130) 및; 마개(13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부에 보관된 세제액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마개(130)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에 의해서 흡입된 세제액을 배출하는 배출구(141)가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재(140)로 구성되어 주방세제 용기의 목을 길게 하여 이곳에 수세미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세미가 주방세제 용기와 함께 보관되어 설거지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수세미의 형상을 풀잎 모양으로 하여 자연의 환경오염에 대한 생각을 유도함으로써 세제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세미를 주방세제 용기와 따로 보관하지 않아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Kitchen detergent container having luffa rack}
본 고안은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세제 용기의 목을 길게 하여 이곳에 수세미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세미를 편리하고 간편하게 보관하면서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주방세제 용기 등의 주방용기와 수세미는 각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기 따로 구입해서 별도로 보관을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었다.
또한, 보관할 때에는 수세미의 물이 잘 건조되지 않아 곧이어 설거지를 할 경우에 위생이나 사용면에서 불편함이 상존하였다.
뿐만 아니라 별도로 보관 및 준비를 해서 설거지를 할 때에는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주방용기에서는 주방 세제를 격벽이나 난간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지니면서 또 그 옆에 수세미를 동시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 수단이나 공간이 배려 되어 있지 않았다. 때문에 설것이 때에는
(1). 사용중인 수세미가 미끌러져 세척실 속으로 들어가서 수세미에 묻힌 세제가 물에 휭구어져 희석되어, 계속 사용할 때에는 추가적인 세제의 투여가 필요하며,
(2). 급하게 음식을 옮길 때에는 세제용기가 팔에 걸려, 넘어져서 (세제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은 경우) 씽크대 상판을 더럽히고, 심지어는 가까이 둔 음식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3). 사용한 후에 수세미 보관시에도 물기가 제대로 빠지지 않아 비위생적인 상태로 보관되어 왔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에 개발된 것으로 특허공개 제2001-91190호의 "다른 주방용기와 결합된 세제 및 수세미 걸이"가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공개 제2001-91190호의 "다른 주방용기와 결합된 세제 및 수세미 걸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망으로 주방세제통(1)과 수세미(2)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한 것으로서, 다른 주방 용기와의 결합을 " 고정형" 또는 " 길이 조절용" 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고, 씽크대의 세척실 안쪽에 " 세제 및 수세미걸이" 가 위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 및 수세미 걸이 하부와 바닥은 물기가 빠질 수 있도록 배수 구멍이 있어서 사용후에도 수세미의 건조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특허공개 제2001-91190호의 "다른 주방용기와 결합된 세제 및 수세미 걸이"는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치 공간을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설거지 등 작업시에 방해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허공개 제2001-91190호 공개특허공보
본 고안은 종래 세제 용기 및 수세미 걸이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방세제 용기의 목을 길게 하여 이곳에 수세미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세미가 주방세제 용기와 함께 보관되어 설거지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수세미의 형상을 풀잎 모양으로 하여 자연의 환경오염에 대한 생각을 유도함으로써 세제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세미를 주방세제 용기와 따로 보관하지 않아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본체(110)보다 가늘고 길게 일체로 연결되어 수세미(S) 걸이를 이루는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를 밀폐시키는 마개(130) 및; 마개(13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부에 보관된 세제액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마개(130)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에 의해서 흡입된 세제액을 배출하는 배출구(141)가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재(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주방세제 용기의 목을 길게 하여 이곳에 수세미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세미가 주방세제 용기와 함께 보관되어 설거지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수세미의 형상을 풀잎 모양으로 하여 자연의 환경오염에 대한 생각을 유도함으로써 세제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세미를 주방세제 용기와 따로 보관하지 않아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다른 주방용기와 결합된 세제 및 수세미 걸이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가 걸린 주방세제 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 세제를 배출하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가 주방세제 용기에서 분리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의 보관 상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가 걸린 주방세제 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에 세제를 배출하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가 주방세제 용기에서 분리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의 보관 상태도로서, 본 고안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100)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본체(110)보다 가늘고 길게 일체로 연결되어 수세미(S) 걸이를 이루는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를 밀폐시키는 마개(130) 및; 마개(13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부에 보관된 세제액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마개(130)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에 의해서 흡입된 세제액을 배출하는 배출구(141)가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재(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는 앞면 평면부와 뒷면 곡면부를 이루어 목부(120)에 걸린 상태의 수세미(S)가 앞면 평면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세미(S)는 풀잎 형상을 이루어 상기 목부(1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H)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거지를 하려는 작업자는 먼저 주방세제 용기(100)의 목부(120)에 걸려 있는 수세미(S)를 주방세제 용기(10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주방세제 용기(100)의 누름부재(140)를 눌러 주방세제 용기(100) 내의 주방세제를 배출구(141)를 통해 적당량 수세미(S)에다 배출시켜 수세미(S)로 설거지를 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설거지 중에도 주방세제 용기(100)의 누름부재(140)를 눌러 주방세제 용기(100) 내의 주방세제를 배출구(141)를 통해 적당량 수세미(S)에다 배출시켜 수세미(S)로 설거지를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설거지를 종료하게 되면, 수세미(S)를 깨끗이 세정한 다음 짜서 탈수하고, 그 상태로 주방세제 용기(100)의 목부(120)에 수세미(S)를 걸어서 보관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주방세제 용기 110 : 본체
120 : 목부 130 : 마개
140 : 누름부재 141 : 배출구
H : 관통공 S : 수세미

Claims (4)

  1.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본체(110)보다 가늘고 길게 일체로 연결되어 수세미(S) 걸이를 이루는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입구를 밀폐시키는 마개(130) 및; 마개(13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부에 보관된 세제액을 흡입하는 흡입관이 마개(130)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에 의해서 흡입된 세제액을 배출하는 배출구(141)가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재(14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10)는 앞면 평면부와 뒷면 곡면부를 이루어 목부(120)에 걸린 상태의 수세미(S)가 앞면 평면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세미(S)는 풀잎 형상을 이루어 상기 목부(1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H)이 형성되어,
    수세미를 사용한 후 물기가 제대로 빠지도록 상기 목부에 수세미의 일측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8532U 2015-12-28 2015-12-28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KR200485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32U KR200485317Y1 (ko) 2015-12-28 2015-12-28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32U KR200485317Y1 (ko) 2015-12-28 2015-12-28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43U KR20170002443U (ko) 2017-07-07
KR200485317Y1 true KR200485317Y1 (ko) 2017-12-21

Family

ID=5931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532U KR200485317Y1 (ko) 2015-12-28 2015-12-28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96A (ko) 2021-04-12 2022-10-19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315B1 (ja) * 1999-02-19 2000-06-05 名古屋大学長 磁場による電析または無電解析出膜の結晶方位制御方法
KR200205437Y1 (ko) * 2000-05-31 2000-12-01 주식회사마미손 식기세척용 수세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315U (ja) * 1997-07-28 1998-06-09 純江 齋藤 切り込みのあるタワシ
KR20010091190A (ko) 2000-03-13 2001-10-23 강은경 다른 주방 용기와 결합된 세제 및 수세미 걸이
KR20120008011U (ko) * 2011-05-16 2012-11-26 조승훈 용기 내용물 배출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내용물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315B1 (ja) * 1999-02-19 2000-06-05 名古屋大学長 磁場による電析または無電解析出膜の結晶方位制御方法
KR200205437Y1 (ko) * 2000-05-31 2000-12-01 주식회사마미손 식기세척용 수세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96A (ko) 2021-04-12 2022-10-19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43U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333B2 (en) Drying system and method
US9414717B2 (en) Sink container assembly
US20140259381A1 (en)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CN205322276U (zh) 水槽式清洗机用餐具篮
KR200485317Y1 (ko)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KR101333644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젓가락 랙
WO2014081319A1 (es) Utensilio multiuso para facilitar el lavado y mejorar la higiene al lavar los biberones y otros artículos de bebe y/o ninõs pequeños
KR200465013Y1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KR20170002869U (ko) 식기건조대
JP2006087788A (ja) 流し台
KR200205437Y1 (ko) 식기세척용 수세미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CN209346966U (zh) 洗碗机的筷笼及洗碗机
CN203943634U (zh) 一种多功能清洁工具架
KR102462320B1 (ko)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CN214760803U (zh) 便捷干爽卫生的肥皂盒
KR200413788Y1 (ko) 다목적 씽크대
KR200430846Y1 (ko) 습기제거 컵
KR101410228B1 (ko) 수저용 개수대를 갖는 싱크대
KR200493385Y1 (ko) 싱크대용 물막이
CN208533162U (zh) 一种带内置肥皂盒的塑料洗衣盆
AU2001100472A4 (en) Sponge holder device
KR100890368B1 (ko) 행주 걸이
KR200258670Y1 (ko) 위생컵
US20200329948A1 (en) Manual dishwasher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