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295B1 -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 Google Patents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295B1
KR101286295B1 KR1020110100969A KR20110100969A KR101286295B1 KR 101286295 B1 KR101286295 B1 KR 101286295B1 KR 1020110100969 A KR1020110100969 A KR 1020110100969A KR 20110100969 A KR20110100969 A KR 20110100969A KR 101286295 B1 KR101286295 B1 KR 10128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water
storage container
soapy water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813A (ko
Inventor
김계림
Original Assignee
김계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림 filed Critical 김계림
Priority to KR102011010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2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 사용시 발생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될 수 있도록 비누 받침부재를 형성하고, 이 비누 받침부재로부터 수집/배출된 비눗물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 내에 따로 저장함으로써 비누가 무르지 않는 상태로 오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비눗물을 따로 모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주변 청소에 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는 상부에는 비누가 놓여지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생성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되는 대롱부가 연장 형성되는 비누 받침부재와, 내부에는 상기 대롱부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어 수집/배출된 비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의 비눗물을 선택적으로 정량 토출시키는 펌핑수단이 구비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SOAP CASE WITH CONTAINER FOR SOAPY WATER}
본 발명은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누 사용시 발생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될 수 있도록 비누 받침부재를 형성하고, 이 비누 받침부재로부터 수집/배출된 비눗물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 내에 따로 저장함으로써 비누가 무르지 않는 상태로 오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비눗물을 따로 모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주변 청소에 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란 주로 세정에 사용되는 고급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을 말하는 것으로 고체비누를 물에 적셔 거품을 일으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세면대에는 비누를 담아두기 위한 별도의 비누 받침부재가 준비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비누받침대는 비누를 담기 위한 비누받침대만으로 구성되거나 배수구가 있는 비누받침대 아래에 밑받침이 놓이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비누받침대에 물이 고이거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비누가 쉽게 물러 오래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누 받침부재나 그 주변이 쉽게 지저분해짐은 물론 자주 물청소를 해 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누 사용시 발생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될 수 있도록 비누 받침부재를 형성하고, 이 비누 받침부재로부터 수집/배출된 비눗물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 내에 따로 저장함으로써 비누가 무르지 않는 상태로 오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비눗물을 따로 모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주변 청소에 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는 비누가 놓여지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생성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되는 대롱부가 연장 형성되는 비누 받침부재와, 내부에는 상기 대롱부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어 수집/배출된 비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의 비눗물을 선택적으로 정량 토출시키는 펌핑수단이 상기 대롱부의 관통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비누 받침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저장용기 상에는 상기 대롱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의 가장자리에는 패킹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관통구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에 의하면 첫째 비누 사용시 발생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될 수 있도록 비누 받침부재를 형성하고, 이 비누 받침부재로부터 수집/배출된 비눗물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 내에 따로 저장함으로써 비누가 무르지 않는 상태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둘째, 비눗물을 따로 모아 물비누로 사용할 수 있어 버려지는 소중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비눗물로 인해 쉽게 지저분해 지는 비누받침대 및 그 주변 청소에 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덮개, 마개 작동 포함)
도 3 내지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비눗물 저장 / 일체로 사용 / 분리해서 사용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1)는 상부에는 비누(100)가 놓여지는 수용부(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11)로부터 생성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되는 대롱부(13)가 연장 형성되는 비누 받침부재(10)와, 내부에는 상기 대롱부(13)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어 수집/배출된 비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2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21) 내의 비눗물을 선택적으로 정량 토출시키는 펌핑수단(23)이 대롱부(13)의 관통방향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저장용기(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누 받침부재(10)는 비누(100)가 수용됨과 동시에 비누(100) 사용시 발생되는 비눗물을 수집/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에는 비누(100)가 놓여지는 수용부(1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수용부(11)로부터 수집된 비눗물이 배출되는 대롱부(13)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비누 받침부재(10)는 비누(100)로부터 생성된 비눗물이 수용부(11)를 통과해 수집된 후 대롱부(13) 측으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수용부(1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11b)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11b)을 통해 비눗물이 수집됨과 동시에 비누(100)가 공기와 원활하게 접촉되면서 무르지 않고 쉽게 건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비누 받침부재(10)의 상측에는 수용부(11)를 개폐하는 덮개(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덮개(15)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누 받침부재(10)와 저장용기(20)가 상호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경우 물비누(200) 사용시 비누 받침부재(10)가 측면으로 눕혀지는바 이때 비누(100)가 떨어지거나 비눗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15)는 수용부(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15a)가 형성되어 있어 수용부(11)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11a)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덮개(15)의 가장자리 측에는 수용부(11)로부터 비눗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15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비누 받침부재(10)의 형상은 다양한 크기의 비누(100)가 놓여져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아울러 모양, 색채, 재질 또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비누 받침부재(10)의 하부에는 저장용기(20)가 위치되는데, 이 저장용기(20)는 비누 받침부재(10)에 의해 수집/배출된 비눗물이 사용가능하게 저장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는 전술한 대롱부(13)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어 수집/배출된 비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2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저장공간(21) 내의 비눗물을 선택적으로 정량 토출시키는 펌핑수단(23)이 구비된다.
즉, 전술한 저장용기(20)는 비누(100)로부터 생성된 비눗물을 비누 받침부재(10)로부터 공급받아 저장공간(21) 내에 저장했다가, 일정량 이상 저장된 후에는 물비누(200)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때 저장용기(20)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비누, 샴푸, 린스와 같은 액상물질이 수용되며 이 액상물질이 정량 토출되도록 하는 펌핑수단(23)이 구비된 저장용기와 유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그 길이를 갖으며 그 상부에 펌핑수단(23)이 체결된 용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그 상부에 비누 받침부재(10)의 대롱부(13)가 삽입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비눗물 수집/배출 시에는 저장용기(20)를 눕혀놓은 상태에서 사용하고, 비눗물의 수집/배출이 완료되어 물비누(200)로 사용시에는 비누 받침부재(10)가 세워진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비눗물 수집/배출 및 물비누(200) 사용이 더욱 용이하도록 대롱부(13)와 펌핑수단(23)이 저장용기(20)의 동일 방향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누 받침부재(10)를 저장용기(20)로부터 분리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저장용기(20) 상에는 대롱부(13)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25)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25)의 가장자리에는 비눗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27a)가 마련되며, 관통구(25)의 일측에는 관통구(2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27)가 설치된다.
따라서 비눗물의 수집/배출 시에는 마개(27)를 열어 관통구(25)를 개방한 상태에서 대롱부(13)를 삽입해 비눗물이 비누 받침부재(10)로부터 수집/배출되도록 하고, 저장공간(21) 내에 저장된 비눗물을 사용할 시에는 비누 받침부재(10)를 관통구(25) 내에서 제거한 뒤 관통구(25)를 마개(27)로 폐쇄한 다음 눕혀져 있던 저장용기(20)를 정방향으로 세워 펌핑수단(23)을 이용해 물비누(200)를 정량 토출해 사용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누 받침부재(10)의 수용부(11) 내에 비누(100)를 올려놓고 사용하는데, 비누(100) 사용 후 물에 젖은 비누(100)에서 생성되는 비눗물은 수용부(11)의 배수공(11b)을 통과해 대롱부(13)를 따라 저장공간(21) 내에 저장된다.
저장공간(21) 내에 비눗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덮개(15)를 이용해 수용부(11)를 폐쇄해 비누(100)가 떨어지거나 비눗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눕혀져 있던 저장용기(20)를 정방향으로 세우고 펌핑수단(23)을 이용해 비눗물을 정량 토출시켜 물비누(200)로 사용한다.
또한 비누 받침부재(10)가 저장용기(2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경우에는 비누 받침부재(10)를 관통구(25) 내에서 제거하고 관통구(25)를 마개(27)로 폐쇄한 다음 눕혀져 있던 저장용기(20)를 정방향으로 세워 펌핑수단(23)을 이용해 비눗물을 정량 토출시켜 물비누(200)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10 : 비누 받침부재 11 : 수용부
11a : 걸림턱 11b : 배수공
13 : 대롱부 15 : 덮개
15a : 걸림돌기 15b,27a : 패킹부재
20 : 저장용기 21 : 저장공간
23 : 펌핑수단 25 : 관통구
27 : 마개 100 : 비누
200 : 비눗물

Claims (3)

  1. 상부에는 비누가 놓여지는 수용부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생성되는 비눗물이 수집/배출되는 대롱부가 연장 형성되는 비누 받침부재; 및
    내부에는 상기 대롱부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어 수집/배출된 비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의 비눗물을 선택적으로 정량 토출시키는 펌핑수단이 상기 대롱부의 관통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누 받침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용기 상에는 상기 대롱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의 가장자리에는 패킹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관통구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1020110100969A 2011-10-05 2011-10-05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KR10128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69A KR101286295B1 (ko) 2011-10-05 2011-10-05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69A KR101286295B1 (ko) 2011-10-05 2011-10-05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13A KR20130036813A (ko) 2013-04-15
KR101286295B1 true KR101286295B1 (ko) 2013-07-18

Family

ID=4843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69A KR101286295B1 (ko) 2011-10-05 2011-10-05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440A (zh) * 2018-10-09 2019-02-15 山鹏 一种香皂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693U (ko) * 1986-09-10 1988-03-28
JPH08322757A (ja) * 1995-05-29 1996-12-10 Futaba Kagaku:Kk 液体石けん用分配器
KR19980066981U (ko) * 1997-05-21 1998-12-05 정상화 깔때기 기능을 갖는 비누 받침대
KR20100000626U (ko) * 2008-07-10 2010-01-22 예 원 김 비누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693U (ko) * 1986-09-10 1988-03-28
JPH08322757A (ja) * 1995-05-29 1996-12-10 Futaba Kagaku:Kk 液体石けん用分配器
KR19980066981U (ko) * 1997-05-21 1998-12-05 정상화 깔때기 기능을 갖는 비누 받침대
KR20100000626U (ko) * 2008-07-10 2010-01-22 예 원 김 비누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440A (zh) * 2018-10-09 2019-02-15 山鹏 一种香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13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707B1 (ko) 칠판용 지우개 세척기
KR101286295B1 (ko) 비눗물 저장용기가 구비된 비누 케이스
JP7175461B2 (ja) 超音波洗浄装置
KR200454404Y1 (ko) 비누통
KR101345978B1 (ko)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KR101504826B1 (ko) 비눗갑
JP2008110866A (ja) 風呂場用のゴミ入れ
CN203987766U (zh) 新型面盆
KR200468552Y1 (ko) 비누 받침대용 보조 받침판
KR100634840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160000685U (ko) 비눗물이 새지 않는 여행용 비누 용기
KR200470915Y1 (ko) 비눗갑
KR100945830B1 (ko) 미술용 물통
JP2012120815A (ja) 石けん箱
KR200395993Y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20150034575A (ko) 비누 받침대
TR201920640A2 (tr) Bi̇r taşinabi̇li̇r temi̇zli̇k ci̇hazi
KR200468883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소형 빨래판
KR200466592Y1 (ko) 밑밥주걱꽂이 부착형 밑밥통
KR20170050791A (ko) 신발세탁패키지
KR100948318B1 (ko) 비누 케이스
GB2523182A (en) A bucket, combination including a bucket insert, and a method
KR20150120724A (ko) 비누지갑수세미
KR200412883Y1 (ko) 청소용구함
JP3199634U (ja) 身体洗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