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883Y1 - 청소용구함 - Google Patents

청소용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883Y1
KR200412883Y1 KR2020060000007U KR20060000007U KR200412883Y1 KR 200412883 Y1 KR200412883 Y1 KR 200412883Y1 KR 2020060000007 U KR2020060000007 U KR 2020060000007U KR 20060000007 U KR20060000007 U KR 20060000007U KR 200412883 Y1 KR200412883 Y1 KR 200412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leaning
water
tool box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2020060000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2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cleaning utens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걸레 및 기타 청소용구의 보관구조에 관한 청소용구함에 관한 것으로 봉걸레의 물기를 빠르고 제거하고 청소용구의 정리정돈을 잘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청소용구함은 그 일측에 봉걸레를 걸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구성되며 특히 걸레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걸림턱(5)을 횡설하는 한편 봉걸레(4)의 자루 하단에 지름이 굵은 밴드(7)를 부착하여 이 부분이 걸림턱(5)에 걸쳐지게 된 상태로 보관하여 줌으로써 물기의 용이한 배수와 함께 걸레의 신속한 건조수단을 제공하고 또 흘러내리는 물은 저부의 물받이통(3)에 집수되어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봉걸레를 사용하고 세척한 다음 이를 보관할 때에 봉걸레의 대부분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관함은 물론 물기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아니하고 특히 걸레의 물기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되며 걸레의 빠른 건조로 인하여 2차적인 오염물질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청소에 필요한 비, 쓰레받이, 손걸레등을 깨끗이 보관함은 물론 실내를 항상 청결히 유지할 수 있는 청소용구함이다.
청소도구함

Description

청소용구함{Cleaning tool box}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청소용구함 1 : 봉걸레보관부
5 : 걸림턱 3 : 물받이통
4 : 봉걸레
본 고안은 봉걸레의 물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하고 또 이에 따른 걸레의 빠른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기타 청소용구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봉걸레를 많이 사용하는 학교의 교실 또는 사무실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일반적으로 봉걸레는 사용후 세척한 다음 실내 한쪽 구석에 세워 둔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우 물기가 쉽게 마르지 않아 악취가 나거나 습기의 발생으로 주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걸레부분을 위로 향하게 세워 걸레에 함유된 물기가 원할히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으며 벽을 더렵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교실의 한쪽 구석에는 봉걸레, 비, 쓰레받이 등으로 매우 지저분하여 위생에도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 20-1998-0014801, 등록실용신안 20-0283458 등 다수 있으나 20-1998-0014801는 걸레가 횡봉에 걸쳐져서 물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20-0283458는 망체에 걸레를 올려 놓지만 이 또한 수분의 배출이 되지 않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한계가 있었다.그리고 등록실용신안 20-0341096은 수분의 배출이 가능하지만 봉걸레를 보관하는 방법에 있어 봉걸레를 확실하게 잡아주지 못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점 및 봉걸레 전체를 수납하는 구조로 인하여 시판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봉걸레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너무 높이가 커서 불편한 점이 내포되고 있다.
본 고안의 청소용구함은 그 일측에 봉걸레를 걸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구성되며 특히 걸레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함은 물론 물기가 있는 걸레 부분은 자유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보관하여 물기의 용이한 배수와 함께 걸레의 신속한 건조수단을 제공하며 청소용구함의 높이가 높지 않으면서도 봉걸레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보관할 수 있고, 봉걸레가 확실하게 고정되며 교실의 좁은 공간에 많은 봉걸레를 보관할 수 있으며 흘러내리는 물은 저부의 물받이통에 집수되어 물이 넘치게 되면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 수납 공간을 설치하여 청소용구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다.
통상의 청소용구함(100)내측 일단에 봉걸레보관부(1)를 좌,우로 길게 형성하되 그 중간부에는 봉걸레(4)를 걸기 위한 걸림턱(5)을 횡설하는 한편 봉걸레(4)의 자루 하단에 지름이 굵은 밴드부(7)를 형성되어 이 부분이 걸림턱(5)에 걸쳐지게 한 상태로 보관하며 흘러내리는 물은 저부의 물받이통(3)을 출입 자재하게 설치한 구조이다.
봉걸레보관부(1)의 상단 중앙에는 개구부(12)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봉걸레(4)의 자루 길이가 길더라도 외부로 돌출되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 봉걸레보관부(1) 상단에 손걸레수납부(11,11′)와 우측 상,하에 비수납부(22)와 쓰레받이수납부(23)를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청소용구함(100)의 바닥에는 바퀴(50)가 부착된 구조이다.
도면부호중 (13)은 손걸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봉걸레(4)를 사용하고 세척한 후 이를 청소용구함(100)의 일측에 마련된 봉걸레보관부(1)에 보관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봉걸레보관부(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좌측이 개방되어 봉걸레(4)를 차례로 밀어 넣어 수납하게 되는데 봉걸레(4)의 하단부에 자루의 지름보다 조금 큰 밴드부(2)가 형성되어 있어 길게 횡설된 걸림턱(5)에 지지되어 보관되며 걸레에 함유된 물기는 직하방으로 신속히 흘러내리게 되며 그 저부에 출입자재하는 물받이통(3)에 받아지므로 상기 물받이통(3)을 인출하여 집수된 물을 간단히 제거하게 된다.
한편 청소에 필요한 먼지털이개 및 손걸레는 봉걸레보관부(1) 상단에 형성된 손걸레수납부(11,11′)에 보관하며, 우측 상,하에 비수납부(22)와 쓰레받이수납부(23)를 각각 설치하되 상하 칸막이(24)를 분리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청소용구의 크기와 양에 따라 간헐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통상의 청소용구함은 좁은 교실 및 사무실에 보관하는 관계로 가능한 부피가 작아야함에 본 발명의 청소용구함(100)은 봉걸레(4)의 보관시 밀착시켜 걸레의 너비 부분이 서로 맞닿게 하여 보관하도록함으로 많은 양의 봉걸레(4)를 보관할 수 있고 청소용구함(100)의 폭은 봉걸레(4)의 너비보다 약간 크게함으로써 교실 및 사무실에 두고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또 이동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부에 바퀴(5)를 부착하여 이동시 편리하다.
즉 본 고안은 봉걸레(4)를 보관함에 있어 수분의 신속한 건조와 봉걸레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보관할 수 있으며, 적절한 수납공간으로 청소용구를 잘 보관할 수 있어 교실 또는 사무실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봉걸레의 사용후 그리고 세척후 다량의 물기를 가진 상태에서 보관함에 있어서 높이가 적절하면서도 봉걸레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보관함은 물론 봉걸레의 물기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아니하고 특히 물기의 신속하고 용이한 제거로 인하여 2차적인 오염물질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고, 갖가지 청소용구를 적절히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의 형성으로 보관이 용이하여 실내를 항상 청결히 유지할 수 있어 극히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청소용구함(100)내측 일단에 봉걸레보관부(1)의 중간부에 걸림턱(5)을 횡설하고 상부 중앙에는 길게 개구부(12)가 있으며 양쪽에 손걸레수납부(11,11′)의 구성과 우측 상,하에 비수납부(22)와 쓰레받이수납부(23)를 각각 설치하고 저부에는 물받이통(3)을 설치하며 이동이 쉽도록 바퀴(5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함.
KR2020060000007U 2006-01-02 2006-01-02 청소용구함 KR200412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07U KR200412883Y1 (ko) 2006-01-02 2006-01-02 청소용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07U KR200412883Y1 (ko) 2006-01-02 2006-01-02 청소용구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522A Division KR20060029531A (ko) 2004-10-02 2004-10-02 청소용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883Y1 true KR200412883Y1 (ko) 2006-04-04

Family

ID=4176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007U KR200412883Y1 (ko) 2006-01-02 2006-01-02 청소용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8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US8025347B1 (en) Mop holding device
KR101176193B1 (ko) 청소용구 보관장치
CN211460084U (zh) 一种教室用卫生用具放置柜
KR200412883Y1 (ko) 청소용구함
US20090238739A1 (en) Sanitizing and dampening container
KR200413172Y1 (ko) 청소용구함
KR200411076Y1 (ko) 청소용구함
KR20060029531A (ko) 청소용구함
JP4268185B2 (ja) 風呂場用のゴミ入れ
JP3140460U (ja) 生ごみ収納袋水切り具
KR20060042631A (ko) 청소용구함
KR200341096Y1 (ko) 청소용구함
CN213405927U (zh) 一种劳动教育用教室卫生清扫工具收纳箱
KR200412648Y1 (ko) 청소도구함
KR200416234Y1 (ko) 청소도구함
KR200380781Y1 (ko) 청소도구함
KR200443350Y1 (ko) 악취를 방지한 청소도구함
KR101638806B1 (ko) 청소도구함
KR200283458Y1 (ko) 물받이가 설치된 청소 도구함
KR20000004387U (ko) 청소용구함의 봉걸레 보관구조
CN201939295U (zh) 教室用多功能卫生车
GB2493126A (en) Knife cleaning apparatus
KR20110002344U (ko) 다목적청소용구함구조
CN208610199U (zh) 教室清洁工具存放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