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234Y1 - 청소도구함 - Google Patents

청소도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234Y1
KR200416234Y1 KR2020060002950U KR20060002950U KR200416234Y1 KR 200416234 Y1 KR200416234 Y1 KR 200416234Y1 KR 2020060002950 U KR2020060002950 U KR 2020060002950U KR 20060002950 U KR20060002950 U KR 20060002950U KR 200416234 Y1 KR200416234 Y1 KR 200416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leaning tool
tool box
cleaning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아
Original Assignee
김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아 filed Critical 김민아
Priority to KR2020060002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2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clean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교,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걸레, 세제, 빗자루 등을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청소도구함(10)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관이 미려한 캐비넷 형상으로 되어있으나 캐비넷과는 달리 습기가 많은 청소도구의 부식을 예방하고 자루가 긴 대걸레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청소도구함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전면에는 내용물을 가려주는 여닫이문(11)이 있으며, 청소도구함 자체를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고안되었다.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청소도구함 내부에는 대걸레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대걸레자루고정틀(20)과 손걸레, 세제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개의 선반(30)과 총채, 빗자루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수개의 걸고리(40)로 형성되어있다.
청소도구함 하부 바닦에는 젖은 대걸레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통(50)을 구비하였다.
대걸레자루고정틀(20)의 대걸레자루고정구(21)는 일정한 형틀(24)속에 적당한 강도의 압축스프링(22)을 넣고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누름덮개(23)를 씌워서 대걸레자루고정구(21)에 대걸레자루를 넣었을 때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하여 누름덮개(23)가 대걸레자루를 적당한 압력으로 눌러 줍으로써 대걸레의 흘러내림 없이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청소도구함, 여닫이문, 대걸레자루고정틀, 대걸레자루고정구, 누름덮개, 압축스프링, 선반, 걸고리

Description

청소도구함{CLEANING THINGS BOX}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도구함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도구함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도구함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도구함 A-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도구함 대걸레장착시 내부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도구함 대걸레장착시 외부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대걸레자루고정틀 세부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청소용구함 11 : 여닫이문 20 : 대걸레자루고정틀
21 : 대걸레자루고정구 22 : 압축스프링 23 : 누름덮개 30 : 선반
40 : 걸고리 50 : 물받이통, 60 : 대걸레
본 고안은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자루가 긴 대걸레와 손걸레, 세제, 빗자루, 총체 등을 위생적이고 깔끔하게 정리?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한 청소도구함으로써
기존의 청소도구함은 캐비넷형식으로 형성되어있어 내부에 통풍구를 갖추었다하여도 물기가 많은 청소도구를 보관하기에는 부적절하여 목재 또는 철판으로 만들어진 청소도구함이 부식되고 내부의 청소도구들도 부패되어 악취로 인하여 비위생적이며 사용하기도 불편하였다.
그리고 자루가 긴 대걸레를 보관하기 위하여 청소함 상부를 개방하고, 탄력이 있는 클립을 사용하여 대걸레자루를 보관하는 등 개선이 되었으나 조금만 반복사용하여도 클립의 탄력이 저하되어 제기능을 할 수 없으며, 청소도구함 상부면을 개방하였다 하더라도 습기가 많은 청소도구를 위한 통풍에는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자루가 길고 물기가 있는 대걸레를 비롯한 빗자루, 세제 등 청소도구들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청소도구함에 정리?정돈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청소도구함의 상부와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대걸레 등 커다란 청소도구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습기가 많은 청소도구들의 부식 등 위생적인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본 고안의 내부에는 대걸레자루를 편리하게 탈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대걸레자루고정틀과 손걸레, 세제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과 총체, 빗자루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걸고리를 형성하였으며, 청소도구함 하부 바닦에는 물받이통을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고 청결한 청소도구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청소용구함의 사시도로써 장방형의 캐비넷 형태로 되어 있고 청소도구함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외여닫이문이 형성되어 있어 일부 내용물이 보이지 않도록 하였으며 청소도구함을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청소도구함 내부의 상부에는 대걸레자루고정틀(20)과 대걸레자루고정틀 하부에 수개의 선반(30)과 그리고 청소도구함내부의 양측면과 뒷면에 수개의 걸고리(40)로 형성되어 대걸레, 손걸레, 세제, 빗자루 등을 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대걸레자루고정틀 세부구조도이며,
대걸레자루고정틀(20)은 본고안의 중요한 기술중의 하나로써 공정되어 있는 일정한 형틀(24) 속에 적당한 강도의 압축스프링(22)을 넣고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 성된 누름덮개(23)를 씌워서 형성하였다.
대걸레자루고정구(21)에 대걸레자루를 밀어 넣었을 때 압축스프링의 탄력으로 누름덮개가 대걸레자루를 눌러서 고정시켜줌으로써 탈부착이 쉽고 편리하게 대걸레를 보관할 수 있다.
물기가 많은 대걸레(60)는 청소도구함(10) 외부에 걸레부분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통풍이 잘되어 부식으로 인한 악취 등 비위생적인 부분을 개선하였으며, 대걸레 하부 바닦에 물받이통(50)을 구비함으로 더욱 청결하도록 하였다.
선반(30)은 청소도구함(10) 뒤판과 대걸레고정틀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며 선반에 진열된 청소도구는 대걸레대와 대걸레대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입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청소도구함 내부 뒷면과 양측면에는 수개의 걸고리(40)를 부착하여 총체나 빗자루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학교나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걸레는 사용 후 정리정돈이 가장 어려운 문제이다. 세척한 대걸레는 그 형태상 완전히 탈수가 되지 않아 물기가 많이 있고, 물기가 많은 대걸레를 기존의 청소도구함에 보관하거나 바켓스 등에 담아서 보관함으로써 쉽게 부식되어 악취가 난다.
본고안품은 청소도구함 자체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물기가 많은 청소도구 를 쉽게 건조시키고, 자루가 길어서 정리정돈이 까다로운 대걸레를 대걸레자루고정틀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여닫이문을 부착하여 일부 청소도구들을 가려줌으로써 외관상 미려하게 고안하였다.

Claims (2)

  1. 장방형체의 캐비넷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있고 전면에는 외여닫이문이 형성되어있는 청소도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본체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대걸레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 누름덥개로 형성된 대걸레자루고정틀과, 상기 대걸레자루고정틀 하부에 형성되는 선반과 청소도구함 내부 양측면과 뒷면에 형성된 걸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도구함
KR2020060002950U 2006-02-02 2006-02-02 청소도구함 KR200416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50U KR200416234Y1 (ko) 2006-02-02 2006-02-02 청소도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50U KR200416234Y1 (ko) 2006-02-02 2006-02-02 청소도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234Y1 true KR200416234Y1 (ko) 2006-05-15

Family

ID=4176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950U KR200416234Y1 (ko) 2006-02-02 2006-02-02 청소도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2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910B1 (ko) 2010-12-28 2012-05-23 장근대 대걸레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910B1 (ko) 2010-12-28 2012-05-23 장근대 대걸레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347B1 (en) Mop holding device
KR200416234Y1 (ko) 청소도구함
US20090026900A1 (en) Apparatus for in-wall storage of bathroom implements
CN208491894U (zh) 一种易拆装刀具收纳装置
GB2426691A (en) Dustbin incorporating dustpan and mop bucket
KR100815641B1 (ko) 세면용품 보관대
KR100462246B1 (ko) 청소용구함
JPH081727Y2 (ja) 包丁差し具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CN205215078U (zh) 一种多用筷子笼
JP5256703B2 (ja) キャビネット
CN201939295U (zh) 教室用多功能卫生车
CN208640296U (zh) 一种多功能筷子筒
CN210300890U (zh) 一种多功能卫生打扫工具收纳装置
JP3012172U (ja) 収納ケース及びトイレ用清掃具
KR200412883Y1 (ko) 청소용구함
KR200209687Y1 (ko) 청소용구함
AU2001100472A4 (en) Sponge holder device
JPS5923561Y2 (ja) 厨房キャビネット
KR200396663Y1 (ko) 화분 수납공간을 갖는 청소도구보관통
CN205338788U (zh) 多用洗漱盒
KR200384819Y1 (ko)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TWM604166U (zh) 分離式廁刷座
KR200413172Y1 (ko) 청소용구함
KR20110115441A (ko) 양변기의 청소용 브러쉬 수납기능을 구비한 잡지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