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910B1 - 대걸레 거치대 - Google Patents

대걸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910B1
KR101146910B1 KR1020100137083A KR20100137083A KR101146910B1 KR 101146910 B1 KR101146910 B1 KR 101146910B1 KR 1020100137083 A KR1020100137083 A KR 1020100137083A KR 20100137083 A KR20100137083 A KR 20100137083A KR 101146910 B1 KR101146910 B1 KR 10114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p
receiving portion
receiving
extens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0013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대걸레 거치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대걸레 거치대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복수개 형성되며, 대걸레의 연장봉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구비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대걸레의 연장봉이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수용부에 수용된 대걸레 및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걸레 거치대{MOP SUPPORTER}
본 발명은 대걸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걸레의 보관이 편리하고, 걸레의 건조가 용이한 대걸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관공서 또는 사무실 등에서 주로 바닥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대걸레는 자루를 잡고 서 있는 상태에서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청소기구이다.
이러한, 대걸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봉이 구비된다.
종래에는 대걸레를 보관시 화장실 등의 벽에 기대어 보관하는 것과, 대걸레 걸레 부분이 화장실 등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대걸레자루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를 벽면의 걸이구 등에 걸어 보관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대걸레의 보관은 걸레의 많은 부분이 화장실 등의 바닥과 벽면에 닿아 있는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탈수성과 통기성이 미비하여 물에 젖은 걸레가 건조되지 않고 부패됨으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되어 비위생적이었고, 걸레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대걸레를 거꾸로 세워두어야 하는 불편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대걸레의 보관이 편리하고, 걸레의 건조가 용이한 대걸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이 분리 가능하여 내부 부품 유지보수가 용이한 대걸레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복수개 형성되며, 대걸레의 연장봉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구비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대걸레의 연장봉이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수용부에 수용된 대걸레 및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고, 장착부는 상부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탈방지부는 수용부의 양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게 구비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 측으로 가압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뭉치는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탈방지부는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토션스프링 및 토션스프링에 형성되어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대걸레 연장봉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수용부에 수용되는 대걸레의 연장봉과 접하는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부의 직경은 대걸레 연장봉과 유사하고, 대걸레 연장봉은 수용부의 직경보다 큰 자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은 대걸레를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함을 포함하고, 장착부는 보관함의 상단부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되고, 하중을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는 대걸레의 연장봉을 프레임의 수용부에 수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부와 마찰돌기에 의해 일정높이에 거치됨으로 건조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분리 가능하여 내부에 구비된 부품의 불량 시 교체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보관함내에 고정되어 사용됨으로 대걸레의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고, 프레임의 지지구조에 의해 무거운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이탈방지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에 적용된 대걸레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이탈방지부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이탈방지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이탈방지부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가 보관함에 적용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100)는 크게, 프레임(110), 수용부(120), 이탈방지부(130) 및 장착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4)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4)에는 각각 대응되는 보가 형성되며, 보에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장착부(150)는 상부프레임(1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150)는 도 1 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보관함(200) 상단부에 접하여 볼팅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4)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장착부(150)가 상부프레임(112)에 형성됨으로써, 내부 부품의 불량 시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수용부(120)는 프레임(110)의 전측에 복수개 형성되고, 대걸레(10)의 연장봉(12)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전측이 개구되어 연장봉(12)이 전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으며, 내측은 연장봉(12)의 직경과 유사하다.
수용부(120)에는 이탈방지부(130)가 구비되어 수용부(120)에 수용된 대걸레(10)의 연장봉(12)은 이탈되지 않는다.
이탈방지부(130)는 수용부(120)의 양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132)와, 탄성부재(132)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게 구비되며,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120) 측으로 가압되는 가압뭉치(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탈방지부(130)는 수용부(120)의 양측에 마주보게 형성되어 연장봉(12)이 수용부(120)에 삽입시 수축되고, 연장봉(12)이 수용부(120)에 수용되면, 탄동되어 연장봉(12)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부재(132)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하부프레임(114)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114a)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32)의 전측에는 가압뭉치(134)가 결합되며, 가압뭉치(134)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가압뭉치(134)는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가압뭉치(134)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연장봉(12)은 마찰력에 의해 하부로 쳐지지 않는다.
더욱이, 수용부(120)에 내측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마찰돌기(125)가 형성되어 연장봉(12)의 둘레 전체를 지지함으로 대걸레(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0)의 직경은 대걸레(10)의 연장봉(12)과 유사하고, 대걸레(10) 연장봉(12)은 수용부(120)의 직경보다 큰 자루(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연장봉(12)에 수용부(120)의 직경보다 큰 자루(14)가 구비됨에 따라 자루(14)가 걸림턱을 형성하여 연장봉(12)이 하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물기가 있는 걸레부분의 통풍성을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대걸레(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함(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관함(200)에 의해 대걸레(1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장착부(150)는 보관함(200)의 상단부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되고, 하중이 지지되도록 지지편(155)이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140)의 변형 예로서, 이탈방지부(140)는 수용부(120)의 둘레를 감싸는 토션스프링(142) 및 토션스프링(142)에 형성되어 수용부(120)의 내측에 수용되는 대걸레(10)의 연장봉(12)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절곡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토션스프링(142)은 하부프레임(114)에 고정되며, 연장봉(12)이 수용부(120)에 삽입될 때, 연장봉(12)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절곡부(144)가 수축되고, 연장봉(12)이 수용부(120)의 수용되면, 탄동되어 연장봉(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거치대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걸레(10)는 청소 후 세척되어 건조를 위해 보관된다. 대걸레(10)에는 연장봉(12)이 형성되며, 연장봉(12)을 프레임(110)의 수용부(120)에 장착하여 건조, 보관할 수 있다.
연장봉(12)의 수용부(120) 장착을 살펴보면, 연장봉(12)의 가압력에 의해 수용부(120)의 양측에 마련된 가압뭉치(134)가 양측으로 후퇴되어, 수용부(120)가 개방되고, 연장봉(12)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봉(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수용부(120)의 내측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돌기(125)가 형성되고, 가압뭉치(134)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마찰력과, 탄성부재(132)의 가압력에 의해 연장봉(12)의 위치가 고정된다.
더욱이, 연장봉(12)에는 수용부(120)의 직경보다 큰 자루(14)가 구비되어 자루(14)가 걸림턱을 역할을 하게 되므로,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일정 높이로 고정된다.
이로 인해, 대걸레(10)의 걸레부분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건조가 용이하다.
연장봉(12)의 분리는 연장봉(12)을 일정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연장봉(12)의 장착 시 이탈방지부(130)의 동일한 작용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40)의 변형 예로서, 연장봉(12)의 가압력에 의해 토션스프링(142)의 탄성절곡부(144)가 벌어지게 되어, 수용부(120)가 개방되고, 연장봉(12)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절곡부(144)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연장봉(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은 보관함(2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대걸레(10)가 보관함(200)에 보관되어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프레임(110)에는 보관함(200)의 상단부에 접하는 장착부(150)가 형성되어 고정되고, 장착부(150)에는 지지편(155)이 형성되어 무거운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프레임(110)은 상부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4)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장착부(150)는 상부프레임(112)에 형성됨에 따라 가압뭉치(134) 또는 탄성부재(132)의 불량 시 교체가 용이하다.
이는, 상부프레임(112)에서 하부프레임(114)을 분리하게 되면, 하부프레임(114)에 가압뭉치(134)와 탄성부재(132)가 안착되어 있어, 상부프레임(112)의 해체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대걸레 거치대 110 : 프레임
112 : 상부프레임 114 : 하부프레임
114a : 고정부재 120 : 수용부
125 : 마찰돌기 130, 140 : 이탈방지부
132 : 탄성부재 134 : 가압뭉치
142 : 토션스프링 144 : 탄성절곡부
150 : 장착부 155 : 지지편
200 : 보관함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 형성되며, 대걸레의 연장봉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대걸레의 연장봉이 상기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대걸레 및 상기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 측으로 가압되는 가압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뭉치는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대걸레 연장봉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탄성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대걸레의 연장봉과 접하는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직경은 상기 대걸레 연장봉과 유사하고;
    상기 대걸레 연장봉은 상기 수용부의 직경보다 큰 자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대걸레를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보관함의 상단부에 걸쳐져 위치가 고정되고, 하중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걸레 거치대.
KR1020100137083A 2010-12-28 2010-12-28 대걸레 거치대 KR10114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083A KR101146910B1 (ko) 2010-12-28 2010-12-28 대걸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083A KR101146910B1 (ko) 2010-12-28 2010-12-28 대걸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910B1 true KR101146910B1 (ko) 2012-05-23

Family

ID=4627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083A KR101146910B1 (ko) 2010-12-28 2010-12-28 대걸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82B1 (ko) * 2013-07-26 2014-09-22 장근대 청소도구 거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55Y1 (ko) 1999-07-21 2000-03-15 김경중 다용도청소용구함
KR200195741Y1 (ko) 2000-04-04 2000-09-15 박생현 자루걸레 걸이
KR200416234Y1 (ko) 2006-02-02 2006-05-15 김민아 청소도구함
JP2008011911A (ja) 2006-07-03 2008-01-24 Teramoto Corp 棒状部材用ハン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55Y1 (ko) 1999-07-21 2000-03-15 김경중 다용도청소용구함
KR200195741Y1 (ko) 2000-04-04 2000-09-15 박생현 자루걸레 걸이
KR200416234Y1 (ko) 2006-02-02 2006-05-15 김민아 청소도구함
JP2008011911A (ja) 2006-07-03 2008-01-24 Teramoto Corp 棒状部材用ハン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82B1 (ko) * 2013-07-26 2014-09-22 장근대 청소도구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100057B4 (en) Cleaner holder
US8474089B2 (en) Cleaning bucket system for flat mops
US846864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floor
US8215296B1 (en) Tile cutting table device
US8826490B1 (en) Accessory holder attachment
KR200479959Y1 (ko) 밀대형 청소기
KR101146910B1 (ko) 대걸레 거치대
CA2661240C (en) Bag holder
CN210262455U (zh) 一种纺织用纺织新材料切断装置
KR101442182B1 (ko) 청소도구 거치장치
US7775611B1 (en) Mop holding device
KR101818533B1 (ko) 쓰레받기
KR200395793Y1 (ko)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JP5074349B2 (ja) スポンジの泡立て装置
KR102099958B1 (ko) 밀대 청소기
KR20120087381A (ko) 스스로 짤 수 있는 걸레
KR20140103660A (ko) 휴지를 쉽게 교환 가능한 휴지걸이
CN214434072U (zh) 一种便于收纳的折叠式拖把
KR20110000200U (ko)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KR10144862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1904B1 (ko) 조립식 청소도구 보관대
JP3174936U (ja) モップ収納具
JP3184473U (ja) 吸水体絞り具
CN212015539U (zh) 一种能够独自站立的便捷式粘尘装置
KR200397998Y1 (ko) 우산자동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