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998Y1 - 우산자동포장기 - Google Patents

우산자동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998Y1
KR200397998Y1 KR20-2005-0019293U KR20050019293U KR200397998Y1 KR 200397998 Y1 KR200397998 Y1 KR 200397998Y1 KR 20050019293 U KR20050019293 U KR 20050019293U KR 200397998 Y1 KR200397998 Y1 KR 200397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wrapping paper
plastic
inle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보
Original Assignee
김종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보 filed Critical 김종보
Priority to KR20-2005-0019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65B67/04Devices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articles or materials into bags, e.g. gu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5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positively acting means for stretching the mouth of the sack into the open condition, e.g.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66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2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spending sacks, e.g. pedal- operated
    • B65B67/1227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spending sacks, e.g. pedal- operated only by a part of the periphery, e.g. by single points or handles, or by one side or two opposite sid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투입구의 하면 양측에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마련되어, 비닐포장지의 내면은 서로 접촉되거나 오므라들지 않고 항상 비닐포장지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포장지 내로 투입하기 용이하며, 우산의 포장이 빠르고 편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우산을 포장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우산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자동포장기{AUTOMATIC UMBRELLAR WRAPPING MACHINE}
본 고안은 우산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수시로 출입하게 되는 장소인 백화점, 극장, 은행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강우시 우산을 가지고 실내에 들어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때 출입자들이 소지한 우산으로부터 다량의 빗물이 실내에 배출되어 실내가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산의 외부를 감싸는 비닐포장지를 일일이 분배할 수도 있지만, 이는 사용상 매우 번거로우므로 편리하고 간편하게 젖은 우산을 비닐포장지로 포장할 수 있는 우산자동포장기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우산자동포장기의 일예로서,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19720호인 "우산 포장기"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방수 포장지(21)들은 서로에 대하여 접합부(22)에서 접합된 상태로 포장지 걸이(12)에 걸려있게 되며, 방수 포장지(21) 중 하나는 상부가 벌어진 상태로 삽입구(18)의 하부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젖은 우산을 삽입구(18)를 통해서 우산을 삽입시킨 후 본체(11)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서 우산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장지 규제용 로드(13)가 벌어지면서 방수 포장지(21)에 감싸인 우산의 배출을 허용한다. 그와 동시에, 접합부(22)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는 다음의 방수 포장지(21)가 삽입구(18)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끌려오게 되며, 방수 포장지(21)에 감싸인 우산이 배출되면, 포장지 규제용 로드(13)는 스프링(19)의 탄성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원위치로 복귀되는 포장지 규제용 로드(13)는 다음의 방수 포장지(21)가 우산을 감싼 방수 포장지(21)에 접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접합부(22)가 떨어지게 된다. 즉, 다음의 방수 포장지(21)는 삽입구(18)의 직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다음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대기 상태가 된다.
한편, 우산자동포장기에 사용되는 우산투입구의 다른 실시예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02353호인 "우산자동포장기의 우산 투입구"에 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투입구(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우산투입구(1)의 하방에는 큰 탄성판(2) 및 작은 탄성판(4)이 스페이스(5)를 사이에 두고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우산자동포장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산투입구의 하부에 배치된 비닐포장지는 쉽게 비닐포장지의 내면끼리 상호 붙거나 비닐포장지가 오므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비닐포장지를 벌려 우산을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장지 걸이는 본체에 탈착식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본체로부터 포장지 걸이를 분해하여 비닐포장지 묶음을 건 후 다시 포장지 걸이를 좁은 본체에 조립해야 하므로 비닐포장지의 공급이 매우 불편하며, 비닐포장지 공급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포장지 걸이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포장지 걸이의 단부에 근접하게 설치된 포장지 규제용 로드에 의해 비닐포장지 묶음을 포장지 걸이에 거는 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고, 비닐포장지를 공급하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닐포장지의 내면은 서로 접촉되거나 오므라들지 않고 항상 비닐포장지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포장지 내로 투입하기 용이하며, 우산의 포장이 빠르고 편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우산을 포장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우산자동포장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우산자동포장기는, 전면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 내벽면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호 접착된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포장지 걸쇠; 우산을 투입하여 상기 비닐포장지에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비닐포장지에 포장된 상기 우산을 상기 개방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전면에 인출부가 형성된 우산투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우산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의 상기 인출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하면에 탄성편이 마련되어, 상기 비닐포장지가 상기 우산투입구의 하부로 하나씩 이송되고 상기 인출부로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며, 상기 우산투입구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우산투입구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편은 상기 한쌍의 포장지 걸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횡단면은 "( )"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산자동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산자동포장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b는 도 1의 우산투입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가압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우산자동포장기는 본체(100)와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와 우산투입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10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고,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커버 플레이트(130)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130)가 배치되는 본체(100)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커버(1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와 커버 플레이트(13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의 재질로 구성되며, 보호커버(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상면에 마련된 커버 플레이트(130) 없이 본체(100)의 상면이 폐쇄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한 본체(100)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0)의 하부 일측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150)가 구비될 수 있고, 측면에는 손잡이(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전면에는 개방된 개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110)의 상부는 하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의 개방부(110)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본체(100) 내벽면의 상부에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를 지지하는 지지브래킷(210)이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본체(100)에 고정된다.
지지브래킷(2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삽입홈(211)은 포장지 걸쇠(200)의 단면과 같은 형상인 반원의 형상이나, 삽입홈(211)의 형상은 포장지 걸쇠(200)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되므로 사각홈과 같은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해도 무방하다.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에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며, 우산을 포장하기 위한 다수의 비닐포장지는 접착제 등으로 상호 접착되어 있고, 상단부에 포장지 걸쇠(200)에 걸리기 위한 한쌍의 걸림공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에는 우산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우산투입구(300)가 마련되며, 우산투입구(300)는 우산을 투입하기 용이한 형상인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우산투입구(30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우산투입구(300)의 전면에는 비닐포장지에 포장된 우산을 본체(100)에 형성된 개방부(110)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투입구(300)의 인출부(310)가 형성된 반대측 하면에는 탄성을 가진 탄성편(330)이 마련되어 있고, 탄성편(330)은 우산투입구(30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탄성편 결합부(32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탄성편(33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편(330)은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우산투입구(300)의 하부로 하나씩 이송되고 인출부(310)로 하나씩 인출되도록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적당한 탄성으로 잡아준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편(330)은 탄성이 거의 없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편(330)의 재질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우산투입구(300)의 하면 양측에는 우산투입구(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350)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지지편(350)은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지지편(350)이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닐포장지(50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만을 말하는 것임을 유의하기 바라며, 본 실시예에서는 비닐포장지가 전방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편(350)의 후측을 경사지도록 형성하였다.
지지편(350)의 횡단면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우산투입구(300)의 하면 양측에 형성된 지지편(350)의 횡단면이 "( )"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 )"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0)의 내부에는 포장지 걸쇠(200)에 걸린 다수의 비닐포장지를 우산투입구(300)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압부재(400)는 가압판(410)과 탄성지지부(430)로 구성된다.
가압판(410)은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가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부(430)는 본체(100) 내벽면과 가압판(410) 사이에 마련되어, 가압판(410)이 우산투입구(300)측으로 밀리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며, 제 1링크(431)와 제 2링크(432)와 제 3링크(433)로 구성되어 있다.
제 1,2,3링크(431,432,433)는 판형상으로 양측면을 따라 수직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본 실시예에서 제 1,2,3링크(431,432,433)의 횡단면은 "ㄷ"자 형태이나, 이는 제 1,2,3링크(431,432,433)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제 1,2,3링크(431,432,433)는 양측의 수직부로만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며, 이처럼 제 1,2,3링크(431,432,433)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링크(431)는 본체(100) 내벽면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1링크(431) 양측면에 형성된 수직부의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긴 슬릿(43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링크(432) 수직부의 일단은 제 1링크(431)의 수직부에 형성된 슬릿(431a)에 제 1힌지축(431b)으로 힌지 결합되어, 제 1힌지축(431b)은 슬릿(431a)을 따라 본 명세서의 도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 2링크(432) 수직부의 타단은 가압판(410)과 연결된다.
제 3링크(433) 수직부의 일단은 제 2링크(432) 수직부에 제 2힌지축(432b)으로 힌지 결합되고, 제 3링크(433) 수직부의 타단은 제 1링크(431) 수직부의 상부에 제 3힌지축(433b)으로 힌지 결합된다.
제 1링크(431) 상에 평행하도록 배치된 제 1,3힌지축(431b,433b)의 사이가 좁혀지도록 제 1,3힌지축(431b,433b)의 사이에는 스프링(43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434)은 제 1,3힌지축(431b,433b)의 사이의 제 1링크(431)에 배치되도록 하였지만, 스프링(434)은 제 1,3힌지축(431b,433b)의 사이 즉, 제 2,3링크의 사이가 좁혀지도록 배치되면 되므로 스프링(434)의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우산자동포장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우산자동포장기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우산자동포장기에 비닐포장지 묶음을 걸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접착된 다수의 비닐포장지 묶음(500)은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에 걸리게 되며, 다수의 비닐포장지 중 하나(500a)는 입구가 벌어진 상태로 우산투입구(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우산투입구(300)의 하면 양측에 지지편(350)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편(350)이 비닐포장지(500a)의 내면을 지지하므로 비닐포장지(500a)의 내면은 서로 접촉되거나 오므라들지 않고 항상 비닐포장지(500a)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포장지(500a) 내로 투입하기 용이하며, 우산의 포장이 빠르고 편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우산을 포장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우산자동포장기의 우산투입구(300)에 젖은 우산을 투입하면 우산은 우산투입구(300)의 하부에 배치된 비닐포장지(500a) 내로 삽입된다.
삽입된 우산을 전면으로 이동시켜 인출부(310) 및 개방부(110)를 통해 인출하면, 젖은 우산은 비닐포장지(500a)에 포장된 상태로 인출된다. 이때, 우산을 감싼 비닐포장지(500a)는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와 접착되어 있어,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가 우산투입구(300)의 하부로 끌려오게 되며, 우산투입구(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는 탄성편(330)에 의해 내면이 지지되어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가 우산을 감싼 비닐포장지(500a)와 접착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와 접착이 떨어진 상태로 우산을 감싼 비닐포장지(500a)는 배출되며,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는 우산투입구(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다음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장지 걸쇠(200)에는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상호 접착된 비닐포장지 묶음이 한번에 걸리며, 비닐포장지 묶음을 다 쓰게 되면 본체(100)의 커버 플레이트(130)를 열어 새로운 비닐포장지 묶음(500)을 포장지 걸쇠(200)에 걸어 사용한다.
이때, 본체(100)의 개방부(110)의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 개방되어 있고, 포장지 걸쇠(200)는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어 새로운 비닐포장지 묶음을 넓은 개방부(110)로 쉽고 편리하게 포장지 걸쇠(200)에 걸 수 있으므로 비닐포장지 공급이 원활하고, 비닐포장지를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비닐포장지 공급시 새로운 비닐포장지 묶음(500)을 포장지 걸쇠(200)에 걸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430)의 제 2링크(432)가 슬릿(431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며 제 2링크(432)와 연결된 가압판(410)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 상태로 포장지 걸쇠(200)에 비닐포장지 묶음(500)이 걸린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닐포장지를 하나씩 사용하다 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3힌지축(431b,433b)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434)의 복원력에 의해 제 2링크(432)가 슬릿(431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 2링크(432)와 연결된 가압판(410)은 전방 즉, 우산투입구(300)측으로 이동하며 포장지 걸쇠(200)에 걸린 비닐포장지들을 전방의 우산투입구(300)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 내부에 다수의 비닐포장지를 우산투입구(300)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00)가 마련되어, 비닐포장지가 본체(100)의 바닥면에 끌리는 경우라 하더라도 비닐포장지를 하나씩 사용할 때마다 가압판(410)에 의해 비닐포장지는 우산투입구(300)측으로 밀리므로 우산자동포장기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산자동포장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산자동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우산투입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우산자동포장기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산자동포장기는 상기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우산자동포장기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대(101')가 지면과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다. 따라서, 제 2실시예에 의한 우산자동포장기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 1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하며, 차이점만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50')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상면에는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대(101')가 마련되어 있다.
포장대(101')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포장대(101')의 전면에는 비닐포장지가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대(101') 바닥면(120')의 전방에는 하부로 공간부(170')가 형성되어 있어, 비닐포장지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포장대(101')의 바닥면(120')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어,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에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린다.
개방된 포장대(101') 상면의 후방에는 우산을 투입할 수 있도록 우산투입구(30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우산투입구(3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을 투입하기 용이한 형상인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우산투입구(300')의 양측에는 설치부(320')가 형성되어 있어, 이 설치부(320')에 의해 포장대(101')의 양측을 이루는 벽면(130')상에 설치된다.
우산투입구(300')의 상면에는 비닐포장지에 포장된 우산을 본체(100')에 형성된 개방부(110')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우산투입구(300')의 하면 전방에는 탄성을 가진 탄성편(330')이 마련되어 있어, 이러한 탄성편(330')에 의해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으로 하나씩 이송되고 인출부(310')로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며,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적당한 탄성으로 잡아준다.
또한, 우산투입구(300')의 전면 양측에는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350')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지지편(350')은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포장대(101')의 바닥면(120')에는 다수의 비닐포장지를 상기 우산투입구(300')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00')가 마련되며, 가압부재(400')는 가압판(410')과, 탄성지지부(430')로 구성된다.
탄성지지부(43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대(101') 바닥면(120')과 가압판(410') 사이에 마련되어, 가압판(410')이 우산투입구(300')측으로 밀리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며, 제 1링크(431')와 제 2링크(432')와 제 3링크(43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판(410') 및 탄성지지부(430')의 구성은 상기 제 1실시예의 가압판(410) 및 탄성지지부(4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1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은 도 8의 우산자동포장기에 비닐포장지 묶음을 걸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호 접착된 다수의 비닐포장지 묶음(500')은 한쌍의 포장지 걸쇠(200')에 걸리게 되며, 다수의 비닐포장지 중 하나(500a')는 입구가 벌어진 상태로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우산투입구(300')의 전면 양측에 지지편(350')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편(350')이 비닐포장지(500a')의 내면을 지지하므로 비닐포장지(500a')는 내면이 서로 접촉되거나 오므라들지 않고 항상 비닐포장지(500a')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우산자동포장기의 우산투입구(300')에 젖은 우산을 투입하면 우산은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에 배치된 비닐포장지(500a') 내로 삽입되고, 삽입된 우산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인출부(310') 및 개방부(110')를 통해 인출하면, 젖은 우산은 비닐포장지(500a')에 포장된 상태로 인출된다.
이때, 우산을 감싼 비닐포장지(500a')는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와 접착되어 있어,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가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으로 끌려오게 되며,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는 탄성편(330')에 의해 내면이 지지되어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가 우산을 감싼 비닐포장지(500a)와 접착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와 접착이 떨어진 상태로 우산을 감싼 비닐포장지(500a')는 배출되며, 다음의 비닐포장지(500b')는 우산투입구(3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다음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을 투입하는 우산투입구(300')의 전면 양측에 지지편(350')이 마련되어 있어, 지지편(350')이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여 항시 비닐포장지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통상 포장대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우산자동포장기에 있어서 비닐포장지의 입구를 벌려주기 위해 필요한 팬 등의 부품 등이 불필요하여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우산자동포장기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우산자동포장기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포장대(101')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우산자동포장기와,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0)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우산자동포장기와 같은 두가지 종류의 우산자동포장기에 동일한 비닐포장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닐포장지를 공용화할 수 있고, 비닐포장지 구입에 의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비닐포장지 공급시 새로운 비닐포장지 묶음(500')을 포장지 걸쇠(200')에 걸게 되면, 탄성지지부(430')의 제 2링크(432')가 슬릿(431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2링크(432')와 연결된 가압판(410')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 상태로 포장지 걸쇠(200')에 비닐포장지 묶음(500')이 걸린다.
이때, 포장지 걸쇠(200')에 걸린 비닐포장지 묶음(500')의 하단부는 포장대(101') 바닥면(120')의 전방에 형성된 공간부(17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닐포장지를 하나씩 사용하다 보면, 제 1,3힌지축(431b',433b')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434')의 복원력에 의해 제 2링크(432')가 슬릿(431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 2링크(432')와 연결된 가압판(410')은 상방 즉, 우산투입구(300')측으로 이동하며 포장지 걸쇠(200')에 걸린 비닐포장지들을 상방의 우산투입구(300')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포장대(101')의 바닥면에 마련된 가압부재(400')에 의해 비닐포장지를 하나씩 사용할 때마다 비닐포장지가 우산투입구측으로 밀리므로 우산자동포장기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우산자동포장기에 사용되는 비닐포장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우산자동포장기에 사용되는 비닐포장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포장지(500'')에는 우산자동포장기의 내부에 마련된 한쌍의 포장지 걸쇠에 걸릴 수 있도록 한쌍의 걸림공(530'')이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걸림공(53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절취선(5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공(53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절취선(550'')이 형성되면, 우산이 포장된 비닐포장지(500'')의 인출시 절취선(550'') 부분이 절취된 상태로 인출된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 우산이 포장된 비닐포장지(500'')를 당겨도 비닐포장지(500'')의 절취선(550'')이 절취되어 우산이 인출되므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들도 쉽게 포장된 우산을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우산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대가 지면과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 우산자동포장기의 경우 다시 말하면, 포장지 걸쇠의 배치방향과 비닐포장지의 인츨방향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걸림공(53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절취선(550'')이 형성된 비닐포장지(500'')는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우산자동포장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산투입구의 하면 양측에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마련됨으로써, 비닐포장지의 내면은 서로 접촉되거나 오므라들지 않고 항상 비닐포장지의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포장지 내로 투입하기 용이하며, 우산의 포장이 빠르고 편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우산을 포장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산자동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산자동포장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b는 도 1의 우산투입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가압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우산자동포장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우산자동포장기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우산자동포장기에 비닐포장지 묶음을 걸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산자동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우산투입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우산자동포장기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우산자동포장기에 비닐포장지 묶음을 걸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우산자동포장기에 사용되는 비닐포장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종래 우산자동포장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상부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종래 우산자동포장기에 사용되는 우산투입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 본체 101' : 포장대
110,110' : 개방부 120' : 바닥면
130 : 커버 플레이트 130' : 벽면
140 : 보호커버 170' : 공간부
200,200' : 포장지 걸쇠 210 : 지지브래킷
300,300' : 우산투입구 310,310' : 인출부
320' : 설치부 330,330' : 탄성편
350,350' : 지지편 400,400' : 가압부재
410,410' : 가압판 411 : 삽입홈
430,430' : 탄성지지부 431,431' : 제 1링크
431a,431a' : 슬릿 431b,431b' : 제 1힌지축
432,432' : 제 2링크 432b,432b' : 제 2힌지축
433,433' : 제 3링크 433b,433b' : 제 3힌지축
434,434' : 스프링 500,500' : 비닐포장지 묶음
500'' : 비닐포장지

Claims (2)

  1. 전면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 내벽면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호 접착된 다수의 비닐포장지가 걸리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포장지 걸쇠;
    우산을 투입하여 상기 비닐포장지에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비닐포장지에 포장된 상기 우산을 상기 개방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전면에 인출부가 형성된 우산투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우산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우산투입구의 상기 인출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하면에 탄성편이 마련되어, 상기 비닐포장지가 상기 우산투입구의 하부로 하나씩 이송되고 상기 인출부로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며,
    상기 우산투입구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우산투입구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비닐포장지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편은 상기 한쌍의 포장지 걸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자동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횡단면은 "( )"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자동포장기.
KR20-2005-0019293U 2005-07-04 2005-07-04 우산자동포장기 KR200397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93U KR200397998Y1 (ko) 2005-07-04 2005-07-04 우산자동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93U KR200397998Y1 (ko) 2005-07-04 2005-07-04 우산자동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998Y1 true KR200397998Y1 (ko) 2005-10-12

Family

ID=4369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293U KR200397998Y1 (ko) 2005-07-04 2005-07-04 우산자동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9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707A (zh) * 2017-10-11 2019-04-19 宁波大学 雨伞套袋设备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707A (zh) * 2017-10-11 2019-04-19 宁波大学 雨伞套袋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3929A1 (en) Bag dispensing system
KR101935102B1 (ko) 복수의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며, 개별 분리수거용 봉투를 거치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200467816Y1 (ko) 우산 자동포장기
EP3164040B1 (en) Towel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and water-resistant container with a handle
US3621991A (en) Package for garments
CA2479761A1 (en) Synthetic resin bag
US2925175A (en) Method of packing and a packing and dispensing unit for garment bags
KR200395793Y1 (ko)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KR200397999Y1 (ko) 우산자동포장기
KR101358418B1 (ko) 테이프 접힘 기능을 갖는 테이프 컷터기
KR200397998Y1 (ko) 우산자동포장기
BE1008203A4 (fr) Distributeurs.
RO119275B1 (ro) Distribuitor de pungi din material plastic şi pungă din material plastic pentru a fi utilizată în acest distribuitor
KR101369929B1 (ko) 물품 포장기
KR101774904B1 (ko) 생육과일 보호용 포장지를 이용한 생육과일 보호용 포장장치
KR20190069272A (ko)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WO2004080811A1 (ja) 長尺物包装法及び包装機
KR101215732B1 (ko) 릴 포장 카세트
WO1991013815A1 (fr) Distributeur d&#39;objets en plastique conditionnes en rouleau
JP2024029436A (ja) 連続型包装袋ホルダ
BE1016321A6 (nl) Draagsysteem voor het transport van een bos bloemen.
US20190328186A1 (en) Towel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bracket and water-resistant container with a handle
JP2008161367A (ja) 塵取り
JP3616023B2 (ja) 野菜類の袋詰め作業補助装置
JPH07329940A (ja) 履物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