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272A -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272A
KR20190069272A KR1020180023363A KR20180023363A KR20190069272A KR 20190069272 A KR20190069272 A KR 20190069272A KR 1020180023363 A KR1020180023363 A KR 1020180023363A KR 20180023363 A KR20180023363 A KR 20180023363A KR 20190069272 A KR20190069272 A KR 2019006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center
fusing
peripheral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559B1 (ko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풍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풍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풍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6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점보롤과 같이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을 포장할 시, 개방부를 묶어 내용물이 포장지에서 쏟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Fusing device to prevent spreading of wrapping paper}
본 발명은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이 담긴 포장지의 개방부를 중앙홀 안쪽으로 집어 넣고 펼쳐지지 않도록 처리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 하고 견고한 포장 구조를 완성하여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점보롤 화장지(이하 '점보롤'이라 함)는 대형 두루마리 화장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중 화장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점보롤은 크기가 큰 만큼 무게도 상당하기 때문에 청소 요원들이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포장에 각별히 신경 쓸 필요가 있다.
점보롤이 유통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일정 개수(보통 4개 단위)의 점보롤을 비닐 포장지에 담아 한 묶음을 형성시키고, 다시 복수의 묶음을 종이 박스에 담아 납품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제공된 박스는 건물 내 창고 등에서 보관된 후, 필요시 청소 요원들이 한 묶음씩 꺼내어 운반하곤 한다.
하지만 종래의 비닐 포장 방식은, 포장이라기보다는 담아 보관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일측이 막힌 비닐 포장지에 점보롤을 넣은 후 개방된 부분엔 별다른 처리를 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접어 놓은 것이다.
이 경우 비닐 포장지에서 점보롤을 꺼내는 것은 수월하겠지만, 포장지가 견고하게 내용물을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운반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비닐 포장지의 개방부가 항상 열려 있는 상태라서 청소 요원이 양손을 사용하여 점보롤 묶음을 조심스럽게 운반해야만 했다.
더불어 비닐 포장지의 개방된 부분을 마구잡이로 접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물론 제품을 넣은 후 포장지의 개방부를 묶어 놓는다면 운반이 조금은 편리해지겠지만, 수작업으로 개방부를 묶어야만 해서 제조 효율이 떨어지며, 단순히 묶어 놓기만 할 경우 제품의 하중을 제대로 견디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두루마리 화장지를 포장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6-0034011호(1996.10.22. '화장지 자동포장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점보롤과 같이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을 포장할 시, 개방부를 묶어 내용물이 포장지에서 쏟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는,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이 담긴 포장지의 개방부를 상기 제품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 측으로 밀어넣어 삽입시키는 중앙삽입수단; 및 상기 포장지에 형성된 주름이 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앙홀 둘레를 융착시키는 융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삽입수단은, 음압을 형성시켜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세워서 모아주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를 승강시키는 진입부 승강수단; 상기 진입부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지의 중앙홀 둘레를 눌러주는 주변고정부; 및 상기 주변고정부를 승강시키는 주변고정부 승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진입부에서 형성된 음압에 의해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가 세워서 모아진 상태에서, 상기 진입부 승강수단이 하강하여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상기 중앙홀 측으로 밀어 넣어 삽입 시키면, 상기 주변고정부 승강수단도 상기 주변고정부를 하강시켜 상기 포장지의 중앙홀 둘레를 눌러주되, 상기 주변고정부 승강수단은 상기 진입부가 상승 작동하는 동안에도 상기 주변고정부가 상기 포장지의 중앙홀 둘레를 눌러주도록 하고, 상기 진입부가 상기 중앙홀에서 완전히 이탈한 이후 상기 주변고정부가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착수단은, 상기 제품의 중앙홀에 진입하여 포장지를 지지하는 중심지지부; 상기 중심지지부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홀 둘레에 융착부를 형성시키는 주변융착팁; 상기 주변융착팁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심지지부 및 주변융착팁을 승강시키는 융착팁 승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는, 제품을 담기 위해 열려 있던 포장지의 개방부를 가운데로 모아 묶음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품의 중앙홀에 삽입시킴으로써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중앙홀 인근에 형성된 주름에 복수개의 융착부를 형성시켜 주름 펼침이 방지되도록 하여 견고한 포장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한 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개방부의 삽입, 융착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공정 효율을 보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펴짐방지용 융착장치가 적용된 포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포장시스템에서 중앙묶음장치를 통과한 포장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펴짐방지용 융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에서 중앙삽입수단과 융착수단이 상승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3에 도시된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에서 중앙삽입수단과 융착수단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 및 도7은 도3에 도시된 펴짐방지용 융착장치를 통과하여 포장이 마감된 포장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중앙홀(11)이 형성된 제품의 예시로 점보롤(10)(대형 두루마리 화장지)을 도시하고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반드시 점보롤(10)을 포장하는 데에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중앙홀(11)이 형성된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펴짐방지용 융착장치가 적용된 포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시스템(100)은 중앙묶음장치(110) 및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를 포함한다. 물론 포장시스템(100)은 점보롤(10)을 이송시키는 수단, 점보롤(10)을 포장지(20)에 일정 개수 담는 수단, 일정 개수의 점보롤(10)이 담겨진 포장지(20)를 세우거나 눕히는 수단, 포장이 완료된 제품을 이송하고 박스에 담는 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한다.
또한 중앙묶음장치(110)는 일정 개수의 점보롤(10)이 포장지(20)에 담겨지면,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중앙으로 모아 묶어주는 장치이며,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는 중앙묶음장치(110)에서 묶여진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에 삽입시키고, 묶음 과정에서 발생한 포장지(20)의 주름(22)이 펼쳐지지 않도록 융착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중앙묶음장치(110)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 하고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포장시스템에서 중앙묶음장치를 통과한 포장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앙묶음장치(110)는 제품이 담긴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가운데로 모아 융착시켜 묶음부(23)를 형성시켜 배출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중앙묶음장치(110)를 통과한 포장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21)가 묶여 있고, 묶임 과정에서 포장지(20)에 주름(22)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6) 부분을 위로 하여 점보롤(10)을 운반하더라도 크게 무리가 없지만,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 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다. 또한 운반 과정에서 점보롤(10)의 하중이 개방부(21)쪽으로 집중되면 주름(22)이 펼쳐지면서 개방부(21)가 터질 우려도 있다. 이를 위해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가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주름(22)이 펼쳐지지 않도록 조치하게 된다.
도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펴짐방지용 융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3의 (b)는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의 제품지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4는 도3에 도시된 펴짐방지용 융착장치에서 중앙삽입수단과 융착수단이 상승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는 중앙삽입수단과 융착수단이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는 베이스판(121), 제품지지수단(122), 중앙삽입수단(123) 및 융착수단(130)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21)은 중앙삽입수단(123) 및 융착수단(130)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중앙삽입수단(123) 및 융착수단(130)은 베이스판(121)에 설치되어 필요시 승강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판(121) 역시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의 메인프레임(14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포장지(20)에 담겨지는 점보롤(1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점보롤(10)의 최상단 층 높이도 달라지기 때문에 베이스판(121)이 메인프레임(14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공정에 따라 중앙삽입수단(123)과 융착수단(130)의 기본 높이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제품지지수단(122)은 중앙삽입수단(123) 및 융착수단(130) 아래쪽에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가 위치하면, 작업 과정에서 제품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 주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품지지수단(122)은 도3의 (b)와 같이 제품의 진행 방향 양측에서 제품을 밀착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중앙삽입수단(123)은 묶음부(23)가 형성된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에 밀어넣어 삽입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중앙삽입수단(123)은 진입부(124), 진입부 승강수단(125), 주변고정부(126) 및 주변고정부 승강수단(127)을 포함한다.
진입부(124)는 묶음부(23)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 안쪽으로 밀어 넣어주기 위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입부(124)는 음압을 발생시켜 불규칙하게 흐트러져 있는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반듯하게 세워준 후 중앙홀(11)로 밀어 넣게 되는데, 이를 위해 진입부(124)의 하부는 진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부는 진공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진입부 승강수단(125)은 진입부(124)가 베이스판(121)을 기준으로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주변고정부(126)는 진입부(124) 둘레를 감싸는 둥그런 도넛 형태로 제작되며, 별도의 주변고정부 승강수단(127)을 통해 베이스판(121)에서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다.
중앙삽입수단(123)이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 안쪽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
융착수단(130)은 중앙삽입수단(123)에서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점보롤(10)의 중앙홀(11) 안쪽으로 삽입되면, 중앙홀(11) 주변을 융착시킴으로써 포장지(20)의 주름(22)이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융착수단(130)은 중심지지부(131), 하우징(132), 주변융착팁(133), 스프링(134) 및 융착팁 승강수단(135)을 포함한다.
중심지지부(131)는 주변융착팁(133)이 포장지(20)를 열압착 하는 동안 포장지(20)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 안쪽에서 밀착시켜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중심지지부(131)는 점보롤(10)의 중앙홀(11)의 직경과 거의 근접한 치수를 가지는 것으로,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중앙홀(11) 안으로 밀어 넣되, 포장지(20)에서 중앙홀(11) 주변의 상면이 팽팽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심지지부(131)가 포장지(20)의 상면을 팽팽해지도록 개방부(21) 부분을 중앙홀(11) 쪽으로 밀어 넣고 있으면, 포장지(20)의 상면이 들뜨거나 헐렁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융착 과정에서 팽팽한 상면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포장이 깔끔해져서 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포장지(20) 상면의 주름(22)이 헐겁거나 삐뚤어지지 않고 반듯하고 깔끔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주름(22)이 헐겁다면 융착이 이루어지더라도 융착부(24,25) 주변이 헐거운 상태이기 때문에 고정력이 저하된다. 즉 팽팽한 주름(22)에 융착부(24,25)가 형성되어야만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심지지부(131)는 주변융착팁(133)이 마련된 하우징(132)과 동일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융착팁 승강수단(135)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132)과 중심지지부(131)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하우징(132)은 중심지지부(131)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있으며 하우징(132)의 내측에는 스프링(134)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32)의 아래쪽으로 주변융착팁(133)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변융착팁(133)은 스프링(134)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주변융착팁(133)은 중앙홀(11) 둘레를 열압착하여 원형의 융착부(24,25)를 형성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변융착팁(133)은 중심지지부(131)와 가까운 내측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으로 두 개가 한쌍을 이루도록 설계하였다.
이하에서는 도4 및 도5를 통해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를 이용하여 도2에 도시된 형태의 포장지(20)의 포장을 마감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1에 도시된 포장시스템(100)에서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가 중앙묶음장치(110)를 통과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려 있던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가운데로 모여진 후 묶여진다. 이렇게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는 점보롤(10)이 적층된 부분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도2에 도시된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는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도4의 A파트 위치, 즉 중앙삽입수단(123) 아래쪽으로 옮겨지고 제품지지수단(122)의 작동으로 고정된다.
이후 진공장치(미도시)가 작동하면 진입부(124) 내측으로 음압이 형성된다. 진입부(124) 아래에는 포장지(20)에서 돌출된 부분, 즉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가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진입부(124)에 음압이 형성되면 불규칙하게 흐트러져 있던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모아지면서 위쪽의 진입부(124)를 향해 세워진다. 진입부(124)는 계속하여 음압 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진입부 승강수단(125)이 진입부(124)를 하강시킨다.
진입부(124)가 하강하면 음압에 의해 똑바로 세워진 포장지(20)의 개방부(21)는 진입부(124)에 밀리면서 점보롤(10) 안쪽의 중앙홀(11)로 삽입된다. 물론 묶음부(23) 역시 중앙홀(11)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5의 A파트를 참조하면 진입부(124)가 하강하면서 포장지(20)에서 돌출되어 있던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로 밀어 넣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진입부(124)가 하강할 시 주변고정부 승강수단(127)도 주변고정부(126)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주변고정부(126)가 점보롤(10)의 중앙홀(11) 둘레를 눌러주게 된다.
진입부(124)의 하강에 의해 묶음부(23)가 형성된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점보롤(10)의 중앙홀(11) 안쪽으로 삽입되고 나면, 진입부 승강수단(125)은 진입부(124)를 다시 상승시킨다. 이때 진입부(124)가 상승할 때 개방부(21)가 중앙홀(11)에서 다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먼저 진입부(124)의 상승 과정에서는 진공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또한 진입부(124)와 포장지(20)가 밀착된 부분의 마찰에 의해 포장지(20)가 밀려 올라올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주변고정부 승강수단(127)은 진입부 승강수단(125)과 시간차를 두고 작동한다.
즉 주변고정부 승강수단(127)은 진입부(124)가 상승 작동하는 동안에도 주변고정부(126)가 포장지(20)의 중앙홀(11) 둘레를 일정 시간동안은 눌러주도록 하고, 진입부(124)가 중앙홀(11)에서 완전히 이탈한 이후에 비로소 주변고정부(126)가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진입부(124)와 포장지(20) 사이의 마찰에 의해 개방부(21)가 밀려 올라오려 하더라도, 주변고정부(126)가 중앙홀(11) 둘레의 포장지(20)를 눌러 상승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된 개방부(21)는 위쪽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중앙삽입수단(123)에서 진입부(124)에 의해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점보롤(10)의 중앙홀(11)로 삽입되고, 진입부(124)와 주변고정부(126)가 순차적으로 상승하고 나면,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는 도4의 B파트 위치로 옮겨진다. 물론 포장지(20)가 옮겨질 때 제품지지수단(122)은 일시적으로 제품 지지를 해제하며, 위치 이동을 마친 후 다시 제품을 고정시킨다.
도4의 B파트 위치에 포장지(20)가 위치하면 융착수단(130)의 융착팁 승강수단(135)이 작동하여 중심지지부(131) 및 하우징(132)이 하강한다. 중심지지부(131)는 점보롤(10)의 중앙홀(11) 상단에서 포장지(20)를 바깥 방향으로 밀착 지지하여, 포장지(20)의 상면이 팽팽해지도록 한다. 또한 융착팁 승강수단(135)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132) 하부의 주변융착팁(133)도 점보롤(10)의 중앙홀(11) 둘레면 상부에 밀착된다.
도5의 B파트를 참조하면 융착수단(130)이 하강하여 주변융착팁(133)이 최상단 점보롤(10)의 위쪽면 포장지(20)에 밀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융착팁(133) 중 내측 팁은 점보롤(10)의 중앙홀(11) 쪽으로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서 밀착하고, 외측 팁은 그보다 바깥쪽 위치에서 밀착한다.
주변융착팁(133)은 중앙홀(11) 둘레면 상부의 포장지(20)를 열압착하여 포장지(20)를 일시적으로 용융시킨 후 굳도록 함으로써 융착부(24,25)를 형성시킨다.
주변융착팁(133)의 밀착으로 포장지(20) 상부에서 점보롤(10)의 중앙홀(11) 둘레면에 동심원 상으로 2개의 융착부(24,25)가 형성되고 나면, 융착팁 승강수단(135)이 작동하여 중심지지부(131) 및 하우징(132)을 상승시킨다. 이때 하우징(132) 내부에는 주변융착팁(133)을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34)이 설치되어 있다.
즉 주변융착팁(133)은 하우징(132)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만약 주변융착팁(133)이 하강하여 포장지(20) 상부에 밀착하게 되면, 주변융착팁(133)이 하우징(132) 내측으로 소정 거리 밀려 올라간다.
이후 융착을 마치고 중심지지부(131)와 하우징(132)이 상승하면 주변융착팁(133) 역시 상승해야 하는데, 이때 주변융착팁(133)에는 스프링(134)에 의해 아래쪽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132)이 상승하는 동안에도 주변융착팁(133)은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여전히 포장지(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주변융착팁(133)이 하우징(132) 내측 단부에 걸려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더 이상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갈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주변융착팁(133)이 포장지(20)에서 이탈하여 하우징(132)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즉, 주변융착팁(133)은 융착팁 승강수단(135)이 작동할 시 중심지지부(131)와 함께 상승되어야 하지만,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중심지지부(131)와 시간차를 두고 상승하게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는 중심지지부(131)가 상승할 시 포장지(20)가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이다. 즉 중심지지부(131)는 융착 과정에서 포장지(20)의 상면이 팽팽해지도록 개방부(21) 부분을 점보롤(10)의 중앙홀(11)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는데, 이처럼 중심지지부(131)와 포장지(20)가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중심지지부(131)가 상승한다면, 중심지지부(131)와 밀착된 부분의 포장지(20)가 밀려올라 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중심지지부(131)가 상승하는 초기에 주변융착팁(133)은 여전히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포장지(20)의 상면을 눌러 포장지(20)의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상태이고, 중심지지부(131)가 먼저 상승하여 포장지(20)와의 강한 밀착력이 해제되고 나면 비로소 주변융착팁(133)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포장지(20)가 밀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융착수단(130)에서 점보롤(10)의 중앙홀(11) 둘레면에 동심원 상의 두 개의 융착부(24,25)가 형성되고 나면 제품지지수단(122) 역시 제품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고, 포장지는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에서 배출된다.
도6은 펴짐방지용 융착장치를 통과하여 점보롤의 포장이 마감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7의 (a)는 점보롤 포장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7이 (b)는 중앙홀 둘레에 형성된 융착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기준으로 포장지(20)의 아래쪽은 막혀 있는 상태이며, 이 부분에는 손잡이(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포장지(20)의 위쪽은 처음에는 개방된 상태였고, 개방부(21)를 통해 점보롤(10)들이 포장지(20)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이다. 이후 점보롤(10) 위쪽으로 포장지(20)의 남아 있는 부분, 즉 개방부(21)가 중앙묶음장치(110)에서 가운데로 모여진 후 융착되어 묶음부(23)가 형성되었으며, 그 상태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의 상태에서도 개방부(21)가 막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손잡이(26)를 잡아 점보롤(10)이 담긴 포장지(20)를 운반할 수는 있다.
하지만 포장지(20)는 비닐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중앙묶음장치(110)에서 포장지(20)의 개방부(21)가 가운데로 모이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주름(22)이 생기게 된다. 즉 펼쳐져 있던 포장지(20)가 좁은 공간으로 모여지기 때문에 개방부(21) 부분이 접혀지면서 주름(22)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개방부(21)가 묶인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26)를 파지하고 운반하더라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2의 포장지(20) 상태에서 아래쪽에 있는 손잡이(26)를 위쪽으로 하여 점보롤(10)을 운반한다면, 주름(22)이 생긴 부분에 점보롤(10)의 하중이 집중된다. 이 경우 운반 과정에서 접힌 주름(22)이 펼쳐지면서 개방부(21)가 터지거나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를 위해 중앙묶음장치(110)에서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모아 묶어 놓은 점보롤(10) 포장지(20)는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로 진입하게 되고, 중앙삽입수단(123)에서 묶음부(23)가 형성된 개방부(21)가 점보롤(10)의 중앙홀(11) 내로 삽입되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이후 융착수단(130)에서 중앙홀(11) 둘레에 융착부(24,25)가 형성되면, 융착부(24,25)에 의해 주름(22)이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주름(22) 부분이 펼쳐지지 아니하고 개방부(21)가 터질 가능성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의 중앙삽입수단(123)은 진입부(124)를 통해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점보롤(10)의 중앙홀(11)로 삽입하기 전, 음압을 형성시켜 불규칙하게 흐트러져 있는 개방부(21)를 반듯하게 세워서 모아 준 후 중앙홀(11)로 밀어 넣기 때문에 개방부(21)의 깔끔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진입부(124)가 개방부(21)를 중앙홀(11)에 밀어 넣은 후 후퇴할 때, 마찰에 의해 포장지(20)가 밀려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입부(124)가 상승하는 동안에는 주변고정부(126)가 중앙홀(11) 둘레를 눌러주고, 진입부(124)가 중앙홀(11)에서 완전히 이탈한 이후에 주변고정부(126)도 상승토록 함으로써, 개방부(21) 일부가 중앙홀(11)에서 밀려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점보롤(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융착수단(130)의 주변융착팁(133)은 중앙홀(11)에 인접한 내측 팁을 통해 내측융착부(24)를 형성시키고, 중앙홀(11)에서 다소 떨어진 외측 팁을 통해 외측융착부(25)를 동시에 형성시킴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중앙홀(11) 둘레에 형성되는 융착부(24,25)는 포장지(20)의 주름(22)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점보롤(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주름(22)이 가장 심하게 형성된 중앙홀(11) 인접부와 그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복수개로 융착부(24,25)를 형성시킴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켜 주름(22) 터짐 우려를 완전히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20)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120)는, 제품을 담기 위해 열려 있던 포장지(20)의 개방부(21)를 가운데로 모아 묶음부(23)가 형성된 부분을 제품의 중앙홀(11)에 삽입시킴으로써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중앙홀(11) 인근에 형성된 주름(22)에 복수개의 융착부(24,25)를 형성시켜 주름(22) 펼침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포장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26)를 파지한 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개방부(21)의 삽입, 융착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공정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점보롤
11 : 중앙홀
20 : 포장지
21 : 개방부
22 : 주름
23 : 묶음부
24 : 내측융착부
25 : 외측융착부
26 : 손잡이
100 : 포장시스템
110 : 중앙묶음장치
120 :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121 : 베이스판
122 : 제품지지수단
123 : 중앙삽입수단
124 : 진입부
125 : 진입부 승강수단
126 : 주변고정부
127 : 주변고정부 승강수단
130 : 융착수단
131 : 중심지지부
132 : 하우징
133 : 주변융착팁
134 : 스프링
135 : 융착팁 승강수단
140 : 메인프레임

Claims (3)

  1.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이 담긴 포장지의 개방부를 상기 제품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 측으로 밀어넣어 삽입시키는 중앙삽입수단; 및
    상기 포장지에 형성된 주름이 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앙홀 둘레를 융착시키는 융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삽입수단은,
    음압을 형성시켜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세워서 모아주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를 승강시키는 진입부 승강수단;
    상기 진입부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지의 중앙홀 둘레를 눌러주는 주변고정부; 및
    상기 주변고정부를 승강시키는 주변고정부 승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진입부에서 형성된 음압에 의해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가 세워서 모아진 상태에서, 상기 진입부 승강수단이 하강하여 상기 포장지의 개방부를 상기 중앙홀 측으로 밀어 넣어 삽입 시키면, 상기 주변고정부 승강수단도 상기 주변고정부를 하강시켜 상기 포장지의 중앙홀 둘레를 눌러주되, 상기 주변고정부 승강수단은 상기 진입부가 상승 작동하는 동안에도 상기 주변고정부가 상기 포장지의 중앙홀 둘레를 눌러주도록 하고, 상기 진입부가 상기 중앙홀에서 완전히 이탈한 이후 상기 주변고정부가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수단은,
    상기 제품의 중앙홀에 진입하여 포장지를 지지하는 중심지지부;
    상기 중심지지부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홀 둘레에 융착부를 형성시키는 주변융착팁;
    상기 주변융착팁에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중심지지부 및 주변융착팁을 승강시키는 융착팁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KR1020180023363A 2017-12-11 2018-02-27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KR102049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9186 2017-12-11
KR1020170169186 201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272A true KR20190069272A (ko) 2019-06-19
KR102049559B1 KR102049559B1 (ko) 2019-11-27

Family

ID=6710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363A KR102049559B1 (ko) 2017-12-11 2018-02-27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13B1 (ko) 2020-04-27 2021-05-04 (주)디에스아이 자동 포장기용 실링 헤드 장치 및 그 자동 포장기용 실링 헤드 장치를 이용한 포장용 밴드 융착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02U (ja) * 1992-07-09 1994-02-0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カップ状容器の口部密封装置
JPH0648415A (ja) * 1992-07-21 1994-02-22 Touyo Riken:Kk 包装シートの側面折り畳み装置
KR960034011A (ko) * 1995-03-18 1996-10-22 이재진 화장지 자동포장장치
JPH0948410A (ja) * 1995-08-04 1997-02-18 Sekisui Plastics Co Ltd 包装用袋の上方開口部の締め付け装置
KR100540355B1 (ko) * 2004-04-14 2006-01-11 우남순 롤제품의 포장장치
JP2007161336A (ja) * 2005-12-16 2007-06-28 Fp Corp 容器用ヒートシ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02U (ja) * 1992-07-09 1994-02-0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カップ状容器の口部密封装置
JPH0648415A (ja) * 1992-07-21 1994-02-22 Touyo Riken:Kk 包装シートの側面折り畳み装置
KR960034011A (ko) * 1995-03-18 1996-10-22 이재진 화장지 자동포장장치
JPH0948410A (ja) * 1995-08-04 1997-02-18 Sekisui Plastics Co Ltd 包装用袋の上方開口部の締め付け装置
KR100540355B1 (ko) * 2004-04-14 2006-01-11 우남순 롤제품의 포장장치
JP2007161336A (ja) * 2005-12-16 2007-06-28 Fp Corp 容器用ヒートシー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813B1 (ko) 2020-04-27 2021-05-04 (주)디에스아이 자동 포장기용 실링 헤드 장치 및 그 자동 포장기용 실링 헤드 장치를 이용한 포장용 밴드 융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59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778A (en) Universal bag support
US8100370B1 (en) Bag mouth holder and opener
US9466167B2 (en) Device for filling and closing disposable bags for containing banknotes
KR101074142B1 (ko) 패드 용기
JP2006515254A (ja) 新型ディスペンサーを備えている板紙カートン
JP6113297B2 (ja) 紙製積層束の梱包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梱包された紙製積層束の梱包体
US20050284866A1 (en) Disposable trash container
EP1688369B1 (fr) Boîte et procédé d'expédition d'une bobine de câble
CZ300626B6 (cs) Cívka a kazeta pro zarízení k ukládání odpadu, zarízení k ukládání odpadu a zpusob ukládání hadicové fólie na cívku
CN107531336A (zh) 用于形成自定义包装的系统和方法
FR3075181A1 (fr) Machine pour l'emballage par au moins un materiau d'emballage de sterilisation
JP2013082487A (ja) ビン等の容器の包装方法
KR20190069272A (ko)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US8191724B2 (en) Speedy bag—bag dispensing system
US20140263532A1 (en) Speedy bag - bag dispensing system
CN107635878A (zh) 具有铰链盖的用于烟草制品的硬质包装
US1965992A (en) Machine for forming bundles
US5316170A (en) Self-ejecting garbage receptacle
EP0756569B1 (en) Package to be provided on and around a container and a tool and a method to do so
KR200395793Y1 (ko) 우산자동포장기 및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포장지
US3456842A (en) Bag dispenser
KR102003010B1 (ko) 중앙홀이 형성된 제품의 포장 구조
US20180044108A1 (en) Trash Can Liner Box Support and Dispensing Arrangement
KR100820409B1 (ko) 꽃꽂이용 지지기구
KR200397999Y1 (ko) 우산자동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